KR101937396B1 -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396B1
KR101937396B1 KR1020170165238A KR20170165238A KR101937396B1 KR 101937396 B1 KR101937396 B1 KR 101937396B1 KR 1020170165238 A KR1020170165238 A KR 1020170165238A KR 20170165238 A KR20170165238 A KR 20170165238A KR 101937396 B1 KR101937396 B1 KR 10193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oftening
optical
chip
pet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호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엠
Priority to KR102017016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396B1/ko
Priority to CN201810751691.7A priority patent/CN10986635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1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grinding, e.g. by triturating; by sievin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steam or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 및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상기 PET 칩을 소정의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METHOD FOR PRODUCING OPTICAL BEADS, OPTICAL BEADS PRODUCED BY THE SAME, REFLECTION FILM, AND LIGHT SOURCE ASSEMBLY COMPRISING THE FILM}
본 발명은 광학 비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이러한 광학비드가 코팅된 반사 필름, 및 이러한 반사 필름을 구비한 광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반사필름 또는 광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광학 비드로서 도광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반사필름 코팅을 위한 광학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그리고 이러한 광학 비드가 코팅된 반사 필름, 이러한 반사 필름을 갖는 광원 어셈블리에 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저 소비전력화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다. LED 광원을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에 배치하는 이른바 에지 타입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통상 하부에 반사필름을 배치하고, 그 위에 도광판과 광확산필름 등을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예를 들어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반사필름과 도광판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 도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며, 이 스크래치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액정표시장치에서의 휘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또다른 종래기술의 반사필름은 기재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바인더 수지, 광확산 입자 및 무기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비드 형상으로 코팅된 광 확산층을 가진다. 여기서, 광확산 입자로는 아크릴계 중합체 입자, 올레핀계 중합체 입자, 아크릴계와 올리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나일론계 중합체 입자, 우레탄계 중합체 입자 및 PBMA(Polybutylmethacrylate)계 중합체 입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광확산입자로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고, 이와 같이 도광판과 반사필름의 접촉하는 부분인 비드(광 확산층의 광 확산입자)용 재료에 경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역시 도광판에 스크래치가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화학 처리하여 연질화하고 이후 분쇄하여 광학 비드를 생성함으로써, 내-용제성, 연질화도, 제품 수율이 우수한 광학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비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쇄 공정을 통하여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외부 표면이 최대한 매끄러운 구형을 이룰 수 있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상화 공정을 통해 판상을 이루면서 반사율 및 백라이트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광학 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 및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상기 PET 칩을 소정의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PET 칩이 가수분해되어 에틸렌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산 모노머(acid monomer)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폴리머 체인이 분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는 분쇄기의 로터의 회전속도 및 분쇄기로 공급되는 PET 칩의 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상기 PET 칩 중량의 0.1 내지 0.3%의 중량의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상기 PET 칩을 소정의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PET 칩을 160 내지 180℃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는 구형상의 볼을 분쇄기 내부에 포함시켜 로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은 상기 PET 칩을 분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최종 광학 비드 입자의 크기는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술한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광학비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술한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따라 따라 제조된 광학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술한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화 과정을 거친 PET 칩을 분쇄함으로써 외부 표면이 최대한 매끄러운 구형을 이루어서 내 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내 용제성이 우수한 광학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화 과정을 거친 PET 칩을 분쇄함에 있어서 분쇄기 내부에 구형을 볼을 넣고 로터를 회전시키는 판상화 과정을 통하여 판상형 광학 비드를 생성함으로써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 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ET 광학 비드 제조공정에서의 제품 수율이 높은 PET 광학 비드 제조방법, 광학 비드 및 이 PET 비드를 이용한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e은 본 발명의 비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광학 비드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는 PET 광학 비드의 지름이 2~40㎛ 인 소형영상제품용 PET 광학 비드의 SEM 사진이며, 도 1c, 도 1d 및 도 1e는 PET 광학 비드의 지름이 40~100㎛ 인 대형영상제품용 PET 광학 비드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광학 비드의 연질화 평가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연질화 단계를 거치기 전의 PET 비드의 사진이며, 도 3b는 연질화 단계를 거친 후의 PET 비드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비하다(hav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비드 제조용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이용한다. PET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터 고분자 중 하나이며, 가볍고 냄새가 없어서 음료수 병(PET병), 생활 용품, 장난감, 전기절연체, 각종 가전제품의 케이스 및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종래기술에 사용하였던 재료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에 비해 연질의 재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ET 광학 비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은 PET 칩을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칩을 분쇄하기 이전에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의 PET 비드를 생성하는 연질화 단계를 거친 후 연질의 PET 칩의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질화 단계는 NaOH를 첨가하여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ethylene glycol에서 PET 칩을 소정의 고온으로 반응시켜 제조하는 공정이며, PET 칩이 가수분해되면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레이트 산 모노머(terephthalic acid monomer)가 생성되어 폴리머 체인(polymer chain)이 분해되고 이로 인하여 PET 칩의 연질화 단계가 진행된다
연질화 공정에서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가변시키면서 이를 통해 제조되는 광학 비드의 특성을 실험하였다.
분쇄 과정에서 광학 비드를 구형화하기 위한 구형화 공정에 사용되는 분쇄기로는 제트 밀(JET MILL) 분쇄기를 이용하였다. 상기 제트 밀 분쇄기는 고압의 에어를 PET 칩에 분사하는 장비이다, 분쇄용 PET 칩으로는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PET 칩을 이용하였으며, 분쇄조건은 분쇄를 위한 로터의 회전속도(rpm) 및 분쇄기의 피더(feeder) 내로 공급하는 PET 칩 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면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구형화 공정에서 분쇄 로터의 회전속도의 수준에 따라 입자가 세분화 될수록 입자의 형태가 구형화 된다. 이 경우, PET 광학 비드의 지름이 2~40㎛ 인 경우 소형영상제품용 PET 광학 비드로서 사용된다.
분쇄 과정에서 세분화되어 입자의 형태가 구형화된 PET 광학 비드의 경우 용제 배합시 침강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분산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분쇄 과정에서 광학 비드를 판 형태로 만드는 판상화 공정은 판상화장비 (PLANETARY MILL)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판상화 공정은 구형상의 볼을 광학 비드가 놓여진 분쇄기 안에 넣고 함께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PET 광학 비드와 볼의 상호간 충돌로 인해 비드의 외주면을 볼이 압축하면서 판상화가 진행된다.
PET 광학 비드의 지름이 40~100㎛ 인 것은 대형영상제품용 PET 광학 비드로 사용되며 판상형 PET 광학 비드로 분류된다. 판상의 형태를 갖는 PET 광학 비드의 경우 보통의 PET 광학 비드보다 광원에서 유입되는 빛의 확산성능이 향상되며, 빛의 유실을 막는 반사성능 또한 향상된다.
최적의 PET 광학 비드를 생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의 조건으로 PET 비드를 연질화하는 공정을 수행하였고, 각 실시예의 물성치를 확인하였다.
각 실시예의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가로 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하였으며, 반응온도는 160~180℃의 범위로 고정하고, NaOH 투입량을 PET칩 중량 대비 0.05%투입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2>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하였으며, 반응온도는 160~180℃의 범위로 고정하고 연질화를 하였다.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1%로 하여 투입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3>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하였으며, 반응온도는 160~180℃의 범위로 고정하고 연질화를 하였다.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3%로 하여 투입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4>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하였으며, 반응온도는 160~180℃의 범위로 고정하고 연질화를 하였다.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5%로 하여 투입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5>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 하였으며,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2%로 고정하고, 반응온도를 150~160℃로 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6>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 하였으며,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2%로 고정하고, 반응온도를 160~170℃로 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7>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 하였으며,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2%로 고정하고, 반응온도를 170~180℃로 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실시예 8>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PET 칩을 화학처리하여 연질화 하였으며,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2%로 고정하고, 반응온도를 180~190℃로 하여 연질화를 실행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비드 입자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PET 비드의 물성 평가를 위해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샘플에 대한 SEM 평가, 제조 수율 및 평균 입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구분 SEM 내-용제성 연질화 백색도(whiteness) 평균 입도(㎛) 제품수율(%)
실시예 1 양호 양호 불량 90.5 43.6 44.5
실시예 2 양호 양호 양호 95.5 42.0 65.3
실시예 3 양호 양호 양호 95.7 41.8 65.7
실시예 4 양호 양호 불량 90.2 44.4 43.8
실시예 5 양호 양호 불량 90.3 42.4 43.5
실시예 6 양호 양호 양호 95.6 41.5 65.4
실시예 7 양호 양호 양호 95.4 41.8 65.5
실시예 8 양호 양호 불량 90.5 44.2 42.5
SEM 평가와 관련하여, 평가를 위한 SEM 장치로는 TESCAN사의 Model을 이용하였다. 평가기준은 SEM 사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조된 PET 비드의 외부 표면이 구형을 이루는 경우에는 '양호'로 판정하고, 제조된 PET 비드의 외부표면의 일부에 구형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다음으로 위 실시예들에 대하여 내-용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비드가 용제에 잠겨도 그 성질이 변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는 내-용제성 평가를 위해 상기 각 실시예의 샘플을 반사필름 제조에 자주 사용되는 용제인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각각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고 브룩필드(Bl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점도 변화의 측정결과 24시간 경과 후의 점도가 20cp 이하인 것은 '양호'로 판정하고, 20cp를 초과하는 것을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샘플은 SEM 평가와 내-용제성 평가에서 모두 양호로 판정되었다.
다음으로 위 실시예들에 대하여 연질화 평가를 하였다.
PET 칩의 연질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실시예의 샘플을 일정 압력을 가하여 칩의 깨짐 정도를 측정하는 분쇄 수율 확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의 샘플에 가해지는 압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 그램 중량의 추(W)가 누르는 힘에 의해 가압표면(P)가 연질화된 PET 칩(B)을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한 후에 칩의 깨짐 정도를 측정한 결과 쉽게 깨지는 것을 '양호' 한 것으로 판정하고, 깨지지 않는 것을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는 연질화되기 이전과 이후의 PET 칩에 대한 사진이다. 연질화 과정을 거치기 이전에 투명하던 PET 칩은 연질화 과정을 거친 후 불투명한 백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6, 실시예 7의 샘플은 '양호'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4가 '불량'으로 판정된 것은 실시예 1의 경우 반응에 투입되는 NaOH량이 적정량보다 적게 투입되어 가수분해가 충분히 되지 않았고, 실시예 4의 경우 반응에 투입되는 NaOH의 량이 적정량보다 많이 투입되어 가수분해가 과하게 진행되어 연질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경우를 통해서 연질화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NaOH 투입량을 PET칩 질량 대비 0.1%~0.3%를 투입하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NaOH 투입량은 제품 수율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 수율과 관련하여, 분쇄 후 분급과정을 거쳐서 지름 2~100㎛ 범위의 크기를 갖는 PET 비드의 수득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ET 비드의 입자의 지름을 2~100㎛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소형영상제품용 PET 비드의 경우 PET 비드의 지름이 2~40㎛ 가 적합하고 지름이 커질수록 용제 배합시 침강현상이 발생되어 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영상제품용 PET 비드의 경우 PET 비드 입자의 지름이 40~100㎛ 가 적합하고 지름이 작아질수록 PET 비드가 코팅된 기재 필름의 표면특성인 요철감이 나타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NaOH 투입량이 PET 칩 질량 대비 0.1%보다 작은 경우 실시예 1의 경우 가수분해가 충분히 되지 않아 제품 수율이 44.5%에 불과하였다. 또한, NaOH 투입량이 PET 칩 질량 대비 0.3%를 초과하는 실시예 4의 경우 제품 수율이 역시 43.8% 에 불과하다. 그러나, NaOH 투입량이 0.1% 일 경우 제품 수율은 65.3% 으로 급 상승하게 되며, 이후 NaOH 투입량이 0.3%때까지 제품 수율은 65.7%로 유지되다가 NaOH가 0.3%를 초과하는 실시예 4에서 가수분해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연질화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게 되고 결국 제품 수율이 43.8 로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연질화를 위한 최적의 NaOH 의 투입량은 PET 칩 질량 대비 0.1% 내지 0.3% 이다.
한편, 실시예 5, 실시예 8이 연질화 평가와 관련하여 불량으로 판정된 것은 실시예 5의 경우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아서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고, 실시예 8의 경우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아서 반응이 과하게 진행되어 연질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6과 실시예 7의 경우를 통해서 연질화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반응온도를 160~180℃ 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와 제품 수율 관계에서도 최적의 반응 온도는 160~180℃임을 표 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표 1에 따르면, 연질화 반응온도가 150~160℃인 실시예 5의 경우 제품 수율이 43.5% 에 불과하다. 그러나, 연질화 반응온도가 160~170℃인 실시예 6의 경우 제품 수율이 65.4%로 급상승하게 된다. 연질화 반응온도가 170~180℃의 실시예 7의 경우에도 제품 수율이 65.5%로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연질화 반응온도가 190~190℃로 하여 실험된 실시예 8의 경우, 제품 수율이 42.5%로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실시예들에 대한 백색도(whiteness) 측정 결과,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되었다. 백색도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플레이트에 담은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값이다. 실시예들의 백색도는 모두 적절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평균 입도와 관련하여, 제조된 비드의 입자 지름인 입도의 측정은 HORIBA 사의 LA96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에 대한 평균 입도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되었다.
상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6, 실시예 7의 샘플은 SEM 평가, 내 용제성, 연질화, 백색도, 평균입도, 제품 수율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며, 연질화 공정에서 NaOH의 투입량은 PET칩 질량 대비 0.1%~0.3%를 투입하는 것이 적절하고, 반응 온도는 160~180℃ 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일특징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를 이용하여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사필름용 안티 블로킹 비드로 상기 실시예 2, 3, 6, 7 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ET 광학 비드를 기재필름에 코팅하여 반사필름을 제작한다. 기재필름으로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등의 공지의 고분자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PET 광학 비드의 기재 필름상의 코팅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투명한 바인더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의해 기재필름으로부터 비드 입자가 탈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무기안료 입자 등도 PET 비드 및 바인더 수지와 함께 코팅되어도 좋고, 이들의 코팅에 의해 반사필름을 얻을 수 있으며, 코팅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특징은 전술한 광원 어셈블리용 반사필름으로 상기 반사필름을 도광판의 일면에 구비한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원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LED를 백라이트용 광원으로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LED로 이루어지며 빛을 발하는 광원과,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과, 반사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내부로 반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확산필름 및 프리즘 등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들 구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광원 어셈블리는 상기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고, 반사필름과 도광판을 이용하는 구조라면 공지의 어떤 구성이라도 좋으며,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PET 광학 비드가 코팅된 반사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래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 추
B: PET 칩
P: 가압 표면

Claims (12)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 및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상기 PET 칩을 소정의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PET 칩이 가수분해되어 에틸렌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산 모노머(acid monomer)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폴리머 체인이 분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분쇄하는 단계는,
    분쇄기의 로터의 회전속도 및 분쇄기로 공급되는 PET 칩의 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상기 PET 칩 중량의 0.1 내지 0.3%의 중량의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상기 PET 칩을 소정의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연질화하는 단계는,
    NaOH 를 포함하는 알칼리 분위기를 조성한 에틸렌글리콜에서 PET 칩을 160 내지 180℃ 온도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을 분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최종 광학 비드 입자의 크기는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비드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광학비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비드 제조방법에 따라 따라 제조된 광학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12. 제 11 항의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KR1020170165238A 2017-12-04 2017-12-04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KR10193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38A KR101937396B1 (ko) 2017-12-04 2017-12-04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N201810751691.7A CN109866355A (zh) 2017-12-04 2018-07-10 制造光学微珠的方法、由其制造的光学微珠及包含其的反射膜、以及光源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38A KR101937396B1 (ko) 2017-12-04 2017-12-04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396B1 true KR101937396B1 (ko) 2019-01-11

Family

ID=6502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38A KR101937396B1 (ko) 2017-12-04 2017-12-04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7396B1 (ko)
CN (1) CN1098663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9947B (zh) * 2019-10-29 2021-06-01 浙江龙游道明光学有限公司 一种高可视对比度反光膜的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7568A (zh) 2012-01-05 2012-06-27 惠州市金百泽电路科技有限公司 液相peg光接枝改性pet薄膜化学镀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4483A (zh) * 2014-01-08 2014-04-02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亚微米级pet微球的制备方法
KR20160142999A (ko) * 2015-06-04 2016-12-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7568A (zh) 2012-01-05 2012-06-27 惠州市金百泽电路科技有限公司 液相peg光接枝改性pet薄膜化学镀铜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6355A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734B1 (en) Laminated film for optical use
CN101505909B (zh) 光学膜的切割方法
EP1942162A1 (en) Anti-UV coating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KR102070734B1 (ko)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467796A (zh) 用于切割玻璃基板的粘着片及切割玻璃基板的方法
CN101080442A (zh) 光学用双轴取向聚酯薄膜
CN1931942A (zh) 改良制品
CN1831071A (zh) 防眩性硬涂膜
CN101012343A (zh) 一种抗紫外线涂料组合物及抗紫外线薄膜
CN108027461B (zh) 低闪光哑光涂层及制备方法
CN109796732B (zh) 一种高透光率高雾度聚酯扩散母料及其制备方法
KR101647475B1 (ko) 고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37396B1 (ko)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N1990524B (zh) 抗静电聚酯薄膜
KR20170039590A (ko) 점착 시트
JP5380896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10733224B (zh) 一种高透光防刮伤pet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1164139B (zh) 硬涂膜
JP4906160B2 (ja) 二軸延伸ポリエテルフィルム
KR102033033B1 (ko)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KR20160142999A (ko)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KR20160137992A (ko) 적층 필름
CN113174079B (zh) 一种抗划伤光学反射膜及其制备方法,以及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面板
JP2013213878A (ja) 光学素子構造体
KR101942896B1 (ko) 엣지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