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223A -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223A
KR20160142223A KR1020160027055A KR20160027055A KR20160142223A KR 20160142223 A KR20160142223 A KR 20160142223A KR 1020160027055 A KR1020160027055 A KR 1020160027055A KR 20160027055 A KR20160027055 A KR 20160027055A KR 20160142223 A KR20160142223 A KR 2016014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tube
support plate
uni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239B1 (ko
Inventor
송완영
백남주
조명흠
Original Assignee
이플래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플래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플래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이다.

Description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AND ERECTING METHOD FOR PLUMBER}
본 발명은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산술 등을 진화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막 타워(10)를 이용한다.
상술한 수막타워(10)는 지면상에 설치되는 관체(B)와, 상기 관체(B) 내부에 배치되어 산불 진화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내부관(I)을 포함한다.
즉, 유체가 상기 내부관(I)을 통해 공급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관체(B) 상부측을 통해 토출 되어 산불 등을 진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체(B)의 경우 산불 진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이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다수 개의 관체(B)를 플랜지(F)를 통해 상호 이음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막 타워의 경우 산불 등을 진압하는데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산불 등의 재난을 일반인에게 경고하는 기능은 부족하여 재산 발생시 신속한 대피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체(B)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높게 설치되며, 상기 관체(B)를 직립하기 위해 종래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상기 크레인 등의 경우 길이 좁은 산길 등에는 운행하기 어려워 상기 관체를 직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수막 타워 자체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1995-32814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98128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3161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0-002570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3197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체(B)를 들어올리는 고정부(270)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과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하는 직립 장치(200)에 의해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의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리는 한편 관체(B)를 점차 직립하는 한편 상기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관체(B)를 직립시키는 관체 직립 방법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길이 조정부(220)는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하고,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레버 블록의 핸들을 작동하여 상기 레버 블록과 관체(B) 하단부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하여, 상기 관체(B)가 직립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관체(B)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는 내부관(I)이 내장되는 관체(B) 일 측에 설치되는 시각 탐지 장치(110)와, 상기 관체(B) 타 측에 설치되는 소음 발생부(12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광 발생부(13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연무 발생부(140) 및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140)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포함하되,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 또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재난 경보를 할 수 있고 좁은 산길 등에서도 편리하게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막타워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샤클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버킷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샤클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버킷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I)이 내부에 설치되는 관체(B)에 시각 탐지 장치(110), 소음 발생부(120)와 광 발생부(130) 그리고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무 발생부(140)를 포함한다.
즉, 재난 발생 시 시각 탐지 장치(110)에 의해 재난을 인식한 후 소음 발생부(120)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거나 광 발생부(130)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일반인이 보다 용이하게 재난 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멀리 재난 상황을 전파하기 위해 상기 연무 발생부(140)에서 연기를 피워 보다 멀리 있는 일반인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각 탐지 장치(110)에 의해 재난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가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작동하여 전 자동으로 재난 경보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널리 알려진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획득 장치 등을 이용하여 재난을 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각 탐지 장치(11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의 경우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M)와 유,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재난 발생 또는 재난 경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전파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M)를 이용하여 제어부(CON)를 통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는 제어부(CON)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관체(B)에 설치되어 재난 경보를 발할 수 있는 한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설치한 후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광 발생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자로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하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사부는 널리 알려진 램프나 레이저 발생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널리 알려진 마이크 등을 상기 제1지지판(150)에 설치한 후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되어 재난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소리 발생부(121,122,123)를 예를 들어 120도 각도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3개의 소리 발생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50)상면에 설치하거나 혹은 관체(B) 외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경우도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연무 발생부(140)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 탐지 장치(110),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관체(B)에 설치하여 관재 경보를 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의 구성이나 설치 위치 등이 변경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B) 일 측에 배치되어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주위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것으로서 보다 재난 발생 여부를 완벽하게 탐지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관체가 관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치형(163)과 치차 결합하는 기어부(111)가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기어부(111)가 설치되는 케이스(113)가 상기 홀더 본체(161)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M)는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제어부(CON, 도 2a 참조)에 의해 유,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홀더 본체(161)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개방된 개방부(161)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161)사이에 상기 케이스(163)를 다수 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 중앙부 역시 개방되도록 하여 관체(B, 도 2a 참조)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 개의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보다 넓은 범위의 지역을 관찰할 수 있어 재난 탐지를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 탐지 장치(110)의 경우 상기 홀더 본체(16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치형(163)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데 보다 안정적인 선회를 위해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부(164)를 상기 홀더 본체(161) 바닥면에 형성한 후 상기 기어부(111)에 설치되는 삽입 바아(116)가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기어부(111)가 상기 요홈부(164)를 따라 선회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선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부(111)의 경우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M)에 설치되는 샤프트(114)가 상기 기어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111)가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샤프트(114)가 상기 기어부(111)를 관통하여 상술한 삽입 바아(116)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기어부(111)에 별도의 삽입 바아(11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홀더(160)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더(160)의 저면에 앞서 설명된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a에서는 상기 광 발생부(130)가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6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관체(B)를 세우는 방법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2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관체(B)를 직립하는 직립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직립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E)를 포함한다. 상기 굴삭기(E)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굴삭기(E)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비해 크기가 작고 이동이 편리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산길 등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굴삭기(E)를 이용하는 관계로 산길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굴삭기(E)의 붐(E1)에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270)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강도가 높은 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부(270)에 의해 관체(B)가 붐(E1)에 고정되어 상기 붐(E1)이 올려질 때 관체(B)가 직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연결 체인(2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관체(B)의 하단부에 연결 체인(240)이 설치되어 상기 관체(B)가 직립된 경우 그 저면이 원하는 곳에 배치하도록 상기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관체(B)가 도립된 상태에서 직립되는 중에는 상대적으로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여유가 있으므로 상기 연결 체인(240)을 길이를 감소시켜 가면서 상기 관체(B)의 저면이 설치될 장소에 정확하게 접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길이 조정부(2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립 장치(200)에 의해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린다. 이때, 상기 붐(E1)에는 고정부(270)가 설치도어 관체(B)가 상기 붐(E1)의 상승에 연동되어 점자 직립된다.
이때, 상기 관체(B)의 하단에는 연결 체인(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체인(240)을 당기거나 혹은 후술하는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연결 체인(240)의 길이 감소 과정에 의해 관체(B)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 즉, 기초부(250)의 고정 볼트(251)에 후술되는 관체(B)의 관통공(B2)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길이 조정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한다.
이때,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버 블록이라고 하는 것은 핸들의 작동에 의해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는 연결 체인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예를 들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84728호)인 관계로 상기 레버 블록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레버 블록을 길이 조정부(220)로 이용한다. 즉,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 블록을 작동시키면 상기 연결 체인(220)이 레버 블록 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연결 체인(220)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 블록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붐(E1)을 들어 올려서 관체(B)를 점차 직립하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일 측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의 길이에 여유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레버 블록을 작동시켜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상기 관체(B)가 연결 체인(2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관체(B)를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길이 조정부(220) 즉, 레버 블록에 의해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기 관체(B)의 직립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관통공(B2)에 기초부(250)의 고정 볼트(251)가 삽입되도록 하며, 이 후, 상기 고정 볼트(251)에 너트 등을 채워 관체(B)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관체(B)를 직립하는 경우 다양한 각도로 관체(B)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를 다수 개 배치한 후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여 관체(B)가 정확하게 직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레버 블록과 후크(210)가 4개 씩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4개의 레버 블록과 후크(210)에 의해 4방향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관체(B)가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우라도 정확하게 직립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B)를 직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체(B)는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부(270)에 의해 붐(E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관체(B)가 직립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270)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 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410)에 고정부(270)가 걸림되어 있으며, 상기 샤클(410)은 상기 인출부(420)에 의해 개방되어 고정부(27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고정부(270)가 샤클 본체(411)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걸림 바아(412)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2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관체(B)가 직립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샤클 본체(411)는 다시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후, 붐(E1)을 후퇴(도 4에서 굴삭기 방향)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70)의 조임 상태를 완화하고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270)가 관체(B)에서 바닥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붐(E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110 : 시각 탐지 장치
120 : 소음 발생부 130 : 광 발생부
140 : 연무 발생부 150 : 제1지지판
160 : 제2지지판 200 : 직립 장치
210 : 후크 220 : 길이 조정부
240 : 연결 체인 270 : 고정부

Claims (11)

  1.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체(B)를 들어올리는 고정부(270)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과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하는 직립 장치(200)에 의해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의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리는 한편 관체(B)를 점차 직립하는 한편 상기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관체(B)를 직립시키는 관체 직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부(220)는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하고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레버 블록의 핸들을 작동하여 상기 레버 블록과 관체(B) 하단부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관체 직립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관체 직립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하는 관체 직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하여,
    상기 관체(B)가 직립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관체(B)로부터 분리하는 관체 직립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하는 관체 직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는 내부관(I)이 내장되는 관체(B) 일 측에 설치되는 시각 탐지 장치(110)와, 상기 관체(B) 타 측에 설치되는 소음 발생부(12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광 발생부(13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연무 발생부(140) 및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140)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포함하며,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 또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는 관체 직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관체 직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되는 관체 직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관체 직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되는 관체 직립 방법.
KR1020160027055A 2016-03-07 2016-03-07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KR10176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ko) 2016-03-07 2016-03-07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ko) 2016-03-07 2016-03-07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25A Division KR101626074B1 (ko) 2015-06-02 2015-06-02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23A true KR20160142223A (ko) 2016-12-12
KR101764239B1 KR101764239B1 (ko) 2017-08-04

Family

ID=575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ko) 2016-03-07 2016-03-07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41A (ja) 1994-06-06 1995-12-19 Akimoto Valve Kogyo Kk 防災用自動昇降式散水装置
KR20000025706A (ko) 1998-10-13 2000-05-06 황철성 강유전성램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20070031974A (ko) 2007-02-15 2007-03-20 이우성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100981287B1 (ko)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5472B2 (ja) * 2005-08-11 2008-07-09 株式会社ブリッジ・エンジニアリング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の組立方法
JP5685667B1 (ja) * 2014-05-19 2015-03-18 株式会社ケーエス・トクシュ興業 建物解体用のバケット式掘削機のブームかさ上げ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41A (ja) 1994-06-06 1995-12-19 Akimoto Valve Kogyo Kk 防災用自動昇降式散水装置
KR20000025706A (ko) 1998-10-13 2000-05-06 황철성 강유전성램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20070031974A (ko) 2007-02-15 2007-03-20 이우성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100981287B1 (ko)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239B1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01097A1 (en) Water turbine device and hydraulic power generation device
CN202169028U (zh) 一种小口径竖井人员救援专用设备
KR101764239B1 (ko)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KR101626074B1 (ko)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KR20110006018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JP2010121394A (ja) 塔状構造物解体ゴンドラ及びそれを用いた塔状構造物解体工法
KR102036588B1 (ko) 이상 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CN206916786U (zh) 综合管廊逃生井用井盖
KR20100121160A (ko) 상하수도관맨홀 시설물 검사장치
CN210887239U (zh) 一种市政管道沟槽支护结构
CN214993883U (zh) 一种深基坑作业装置
KR102309655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JP2010029585A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据付方法
CN109356199A (zh) 一种市政窨井盖排涝防坠井装置
CN204715415U (zh) 防坠型窨井盖组件
RU116518U1 (ru) Смотровой колодец подзем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JP2021098104A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栓設備
CN206875056U (zh) 一种施工水泵支撑架
CN105042186B (zh) 海上平台原油立管维修更换装置及原油立管维修更换方法
CN109989333A (zh) 用于混凝土水平支撑的型钢栈桥结构及其安装方法
JPH0720172Y2 (ja) 警報装置を備えた手動式水門巻き上げ機
JP2007263728A (ja) タンク内水中検査カメラ固定装置
CN215289776U (zh) 一种卷扬机牵引安装预制管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