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974A -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 Google Patents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974A
KR20070031974A KR1020070017299A KR20070017299A KR20070031974A KR 20070031974 A KR20070031974 A KR 20070031974A KR 1020070017299 A KR1020070017299 A KR 1020070017299A KR 20070017299 A KR20070017299 A KR 20070017299A KR 20070031974 A KR20070031974 A KR 2007003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indow
firefighter
extingui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성 filed Critical 이우성
Priority to KR102007001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974A/ko
Publication of KR2007003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고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의 대형산불 발생시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화재의 사전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로는 환경산업의 공해방지에 유용한 출원으로서, 해마다 번복되는 각종재난재해에 해당되는 화재로 부터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의 소방장비를 개량하여 화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축소 진압함을 목적으로 환경보존과 더불어 산림보호 및 모든 재해 재난을 잠재우기 위한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제해결 수단으로 소방관창, 고압 피스톤식펌프, 방재물질인 방화수 및 방화사를 산불발생 예상 지역에 설치 배치토록 함이다.
이는 곧 다시 말해서,
높은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의 사전예고 없이 빈번히 발생되는 대형산불의 발생요인을 과학적인 사고력에 의해서 소방장비와 방재물질을 시의적절하게 현지에 투입하여 사전예방함을 특징으로 종래기술수준으로 일기예보에 그치는 그야말로 힘이들고 불가능되여진것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계절적으로 발생되는 산불, 황사현상, 폭설, 폭서, 홍수, 가뭄, 산사태, 도로유실 농경지소실 인명손실의 피해를 축소하는 다용도, 다목적의 기능을 포함하는 재난예방용 장비이다.
상기 본 발명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1)은 고압피스톤식펌프와 소방호스, 배관라인, 헬리콥터와 유기적인 결합관계로 구성되여 대형산불을 좀더 빠르게, 좀더 많이 초기에 소화 진화함이다.
상기 소방 장비는 수동적인 방재방식과 능동적인 방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형별 발화물질과 방재물질상관관계, 능선별 배관라인, 소방관창, 고압피스톤식펌프, 방화수, 방화사, 발화감지노끈, 소방정, 소방관창지지대, 토출분사낙하물막커텐.

Description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The mountain of a fire bic used extinction nozzle mounting pipe system and the mountain a fire bic extinction on the prevention of rull there of it's for the early extinguished a fire.}
도1은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10) 및 소방호스연결마디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을 부분측면 진화방식을 상세히 도시한 본 발명 전체구성측면상세도.
도2는 기존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기 진화방식을 도시한 전체구성측면 방식도.
도3은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기탑재용 소방관창 전체, 측면, 단면을 도시한 전체사시도 및 소방관창 분해결합, 측면, 단면을 상세히 도시한 조립상세도 및 토출부분물막작동을 상세히 도시한 작동상세도.
[도3-1]은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기탑재용 소방관창 측면 단면을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3-2]은 ˝ 소방관창분해결합측면, 단면을 도시한 조립상세도.
[도3-3]은 ˝ 소방관창 토출부분물막작동을 상세히 도시한 작동상세도이다.
[도3-1], [도3-2], 도[3-3], 각각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한 1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호스(3) 연결접합부 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 및 소방호스연결부위 암수나사 측면을 도시한 소방관창(11)측면연결방식도.
[도4-1]은 소방관창(11)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4-2]은 소방관창(11)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4-3]은 소방관창(11) 및 소방호스 보호용 연결선 와이어로우프측면결선을 도시한 헬리콥터에 연결되는 소방호스 연결측면결합방식도
[도4-1], [도4-2], [도4-3] 각각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한 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3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높고 낮은 능선별 소방방재배관 및 방재수로 내지 방재배관연결 소방관창 전체구성측면도, 단면도.
[도5-1]은 전체구성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4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방화사, 방화수에 의한 초기진화방식을 도시한 초기진화 측면방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5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 및 초기진화를 위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소방장비운용방식을 도시한 소방장비운용 계통 방식도
[도7-2]는 소방장비운용 계통방식도
도8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6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대형산불초기진화를 위 한 발화유형별 도미노 방식을 도시한 초기진화 방식도.
[도8-1]은 헬리콥터에 의한 초기진화 방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대형산불
(2) 소방관창
(3) 소방호스
(4) 방사선 형식의 관창틈새
(5) 일자형식의 관창틈새
(6) 방화수
(7) 방화사
(8)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
(9) 최초 발화 감지 노끈 (59) 발화물질
(10)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
(11) 소방호스 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
(12)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
(13)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 상단지지대 후렘
(14) ″ 하단지지대 후렘
(15) ″ 수직지지대 후렘
(16) ″ 칼쿠리 훅크
(17) ″ 칼쿠리 훅크 걸고리 후렘
(18) ″ 칼쿠리 훅크 결합 걸고리 가공홀(HOLE)
(19) 연결소방호스 및 소방관창 보호용 연결선 와이어로프
(20) ″ 와이어로프 매듭 걸고리 가공홀(HOLE)
(21) ″ 연결걸고리 뭉치쇠
(22) ″ 뭉치쇠 가공홀(HOLE)
(23) ″ 안전핀 샤클
(24) 소방관창연결 접합부속 볼트
(25) ″ 너트
(26) ″ 와샤
(27) 소방관창 상단부 매듭 마개 플렌지. (127) 소방관창배관
(28) ″ 연결플렌지 (128) 플렌지접속 가공홀(HOLE)
(29) 소방 호스 연결 부속 카플링
(30) ″ 암나사산 몸체
(31) ″ 숫나사산 몸체
(32) ″ 중간부위 고무팻킹
소방관창몸체 상단부(A). 소방관창몸체 하단부(B)
(33) 소방장비 보관 거치 설비 거치대
(34) 방화수 보관용 방염물질 바스켓 (134) 방화수보관비닐봉지
(35) 방화사 보관용 ″ (135) 방화사보관비닐봉지
(37) 재난방지용 방재배관
(38) 재난방지용 방재수로
(39) 방화수 이송을 위한 방재배관 분배기 (139) 급수관
(40) 방재배관연결부속레듀사 (109)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제어보드
(41) 집수정 (110) 근거리무선통신안테나
(42)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 (111) 근거리무선통신장치
(43) 방화수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밸브 (143) 방화수 수위감지센서
(44) 일자형의 토출분사수
(45) 방사형의 토출분사수 물막 커텐
(46) 소방펌프 작동 기계실 (146) 엑세서 포인터
(47) 안전통제실 (105)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관제서버
(48)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시스템 (148) 고성능 수중펌프
(49)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 (149) 인터넷망
(50) 헬기 이착륙에 따른 소방펌프작동제어를 위한 스윗치
(51) 기상대 일기예보에 따른 방화수 살포를 위한 소방펌프작동 스윗치 버턴
(52) 동력 전원 공급장치 제어박스 (105) 인버터 (106) 전원부
(53) 발화물질 지역명 콤퓨터 전산망 입력 (100)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제어박스
(54) 최초 발화 원인 물질 낙뢰 및 부싯돌 낙석 (103) 디스플레이화면
(55) 방재배관연결부속 앨보 (107) 브레이크(과전류차단기) (108) 각펌프의 온오프제어를 위한 스윗치
(56) 헬리콥터 (57) 소방관창접합부
본 발명은 높고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의 대형산불 발생시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활동의 소방관창 및 화재의 사전예방 내지는 초기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로는 환경산업의 공해방지에 유용한 출원으로서, 해마다 발생되는 대형산불 재난으로 부터 국토를 보존하고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을 위해서 모든 재해 재난 항목중 최우선적으로 사전예방함과 아울러서 산불 발생시 초기진화함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소방관창 및 소화방법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소방관창(2)은 사전예고없이 빈번히 발생되는 대형산불의 발생요인을 과학적인 사고력에 의해서 또는 발생전후의 시간 간격을 감안하여 헬리콥터수송장비를 활용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좀더빨리, 좀더많이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방재물질을 토출 분사함과 아울러 토출분사수(44) 수량을 더멀리 더많이 분사할수 있도록 고압피스톤식펌프(8)와 유기적 결합관계로 조성됨과 동시에 설치배치 운용토록 함으로서 대형산불은 초기진화 속도가 더빨리 진행 됨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바와 같이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방화수(6) 외에 방화사(7)를 이용하여 도미노 방식에 의한 수단이 과제해결수단으로 또한번더 포함되여 대형산불 발생과 동시에 초기진화가 수분이내로 이루어져야 되고 이렇게 종래기술수준을 개선하고 개량한것으로서 높고 낮은 산의 화재발생 지역에 본 발명의 초기진화를 위한 방법이 채택되여지고, 오늘날 대형산불은 대형화재 대형참사로 이어져서 재해 재난이 가중되는 현실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정부는 이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아낌없는 협력이 절실히 요청됨이다.
또한 이 분야의 종래기술을 한단계 더 격상시키는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됨으로 보다 더 나은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져 함이다.
상기한바 같이 종래기술은 대형산불 발생후 조치를 취함으로 인해서 재해 재난구호난민이 발생되고 재난 지역으로 선포되는 안타까운 실정이므로 이에 상응하는 소방장비와 방재물질을 시의적절히 현지 배치토록하여 지구촌의 재해 재난을 영구 추방토록 본 발명은 확실한 사전예방대책이 정립되여 있다 함이다.
또한 대형산불(1)대형화재는 사전예고에 의해서 발생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밤낮구분없이 빈번히 발생되는 돌발사고 발생을 당황하지않고 의연히 대처토록 사전예방에 만반의 노력을 다함이다.
더욱더 종래기술에 있어서 최초발화원인 물질인 낙뢰 및 부싯돌 낙석(54)에 의한 발화불씨의 경계를 주의하여 관찰하고 사전예방에 만반의 노력을 아낌없이 발휘하여 환경보전에 최선을 다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대형산불(1)의 발생요인에는 자연적인 발생에 따라서 부싯돌 낙석(54)으로 또는 낙엽끼리 마찰에 의해서 어린애들의 불장난으로, 산짐승끼리 행보에 따라 낙석의 마찰에 의해서 스파크 발생 으로 낙엽으로 인화하여 방화를 시작하여 산능선별로 풍향 풍속에 따라 대형산불(1)으로 확산되는 것으로써 조그만한 불씨가 확산되여 거대한 불기둥으로 화염을 토해내는 것이 대형산불의 특성으로서 이럴때쯤에 헬리콥터가 출동되여 방화수(6)를 고공에서 낙하하여 불기둥에 투입하니 불기둥에 존재하는 불씨와 불꽃은 바람따라서 이산에서 저산으로 옮겨가면서 대형산불(1)은 확대되는것으로 이러한 것이 종래의 기술수준으로 대형산불 발생후 조치는 불난집에 부채질하는 형식으로 급착스럽게 진화하는 방식은 향후 지양되어야 함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는 앞서 언급된바와 같이, 대형산불은 사고발생후 초기진화에는 소방원, 소방장비 투입으로 수동적인 화재의 진압활동으로 이에 대한 피해를 상세히 열거할수 없음이며 화재발생 신고접수후 바로 즉각 조치할수 있는 소방방재시스템으로 전환토록 함이다. 즉 다시 말해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형식으로 비참한 결과로써 피해상황을 설명함을 생략토록 한다.
상기 신고체재에 걸맞도록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을 적재 적소에 현지에 설치배치하여 안전통제실에서 스윗치 보턴을 눌러주면 전원공급 기계실에서 고압피스톤식펌프(8)가 즉각 작동되여 본 발명의 소방관창(2)에서 방화수(6)가 소방관창 틈새으로 토출분사함을 우선적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임과 더불어 최우선적인 조치로는 최초 발화지점에 즉각 초기진압되는 또다시 또한번더 방화사(7)를 이용하는 도미노 방식을 작용선택하여 대형산불을 초기진화함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또한 산불, 황사현상, 폭설, 태풍, 홍수. 가뭄.으로 산사태. 도로유실 농경지손실 인명손실의 피해를 극소화하여 좋은 환경을 조성토록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과제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대형산불(1)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2)의 제작방법 설치작동방법의 본 구성의 설명에 앞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소방관창(2)의 재질선택에 있어서,
한국공업규격수준의 비철재금속으로 스텐, 알루미늄, 방염물질프라스틱 및 녹슬지 않는 철재금속으로 소재를 선택하여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대책기구로서 재난예방을 위한 화재진압용으로 합당하게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소방관창(2)은 높고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에서 사전예고없이 발생되는 화재를 사전예방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초기에 방재물질을 시의적절히 화재발생 현장에 설치배치함이며 대형산불(1)의 유형별 발화물질(59)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방재물질을 무한정공급살포하는 소방장비인것이다.
상기한바 같이 용도에 필요한 수량 이상의 방화수(6)를 방재청산하 소방검정공사의 표준형 소방관창보다 더많이 토출되는 것으로 종래의 기술수준 이상으로 개량된 소방장비이며 종래의 기술수준과는 현격한 차이가 발생되며 종래의 화재진압 및 문제점 애로사항을 해소코져 본 발명에서 착안점은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후 종래의 문제점의 원인분석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설 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목적달성을 위한 대형산불(1)초기진화를 위한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10)의 초기진화방법 전체구성 설명을 위한 전체부분측면을 도시한 측면 초기진화 전체구성방식도 및 소방호스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을 부분측면진화방식을 상세히 도시한 전체구성 측면상세도이다.
도2는 기존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기 진화방식을 도시한 전체구성측면방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 위한 헬기 탑재용 소방관창 전체, 측면, 단면을 도시한 전체사시도 및 소방관창분해결합 ,측면 단면을 상세히 도시한 조립상세도 및 토출부분물막작동을 상세히 도시한 작동상세도이다.
[도3-1]은 대형산불초기진화를 위한 헬기탑재용 소방관창 측면 단면을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3-2]은 대형산불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분해결합측면 단면을 도시한 조립상세도이다.
[도3-3]은 대형산불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토출부분물막작동을 상세히 도시한 작동상세도이다.
[도3-1], [도3-2], [도3-3]. 각각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한 1실시예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도1과 도2의 전체구성을 본 발명의 소방관창 제작설치 설명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진행토록 한다. 바람직한 1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상기 장비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2)으로서,
높고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에 사전예고없이 발생되는 화재를 사전예방함과 아울러 초기진화하는데 화재진압용으로 합당하게 하였다.
상기 소방관창(2)은 헬기탑제용 및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으로 분류되여지며 본 발명의 구성을 전개하기 앞서 "소방관창"이란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관창"이라 함은 "소방호스용 연결금속구" 또는 "중간연결금속구" 끝단부위에 연결시켜 소화용수를 방수하게 하는 나사식 또는 차입식 토출기구를 말함이다.
둘째, "접합부"라 함은 관창과 결합금속구 등을 연결, 결합 또는 접합기능을 가진 부위를 말함이다.
셋째, 관창은 접합부의 칫수에 따라서 호칭25, 호칭40, 호칭50, 호칭65, 호칭75, 호칭90, 호칭100으로 구분함이다.
넷째, 구조·모양 및 치수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앞서 호칭에 대한 소화전용과 소방차용의 표준방사형 관창은 방수시 그 호칭에 따라서 다음표에 의한 수량의 물을 토출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Figure 112007501926318-PAT00001
상기에서와 같이 관창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이 매우 엄격하고 고도한 기술적 기능이 포함된것으로서 소방펌프 또한 고성능엔진펌프 내지 고도의 동력펌프의 작동이 되어야 하는 소방펌프(8)임을 인지하고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위한 기술적 사항을 더욱더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통상의 헬기탑제용 소방관창(1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방관창(2)은 대형산불(1)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관창으로서 헬리콥터(56) 탑재용 소방관창(10), 소방호스(3)연결마디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 및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12)으로 분류하여 구분되여 제작 설치함이며 동도시된바와 같이 동도시된 도면에 의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도1에서, 도2에서 비교참조하자면 본 발명의 소방관창은 대형산불(1)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으로 방재청산하 소방검정공사의 표준형 관창보다 용도에 필요한 수량 이상의 방화수(6)를 더많이 토출되는것으로 종래의 기술수준을 개량한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수준과는 현격한 차이가 발생 됨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종래의 소방장비의 표준규격화에 따라서 소방관창 및 소방호스,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 헬리콥터으로 효율적인 초기 진화 활동방법을 고안하여 착안한것으로서 기존의 장비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최종적인 목적 달성으로 재해 재난이 없는 활력이 넘치는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하여 기존의 소방호스 접합부사이사이에 소방관창(11)을 헬기탑재용 소방관창(12)과 연결하여 사용함이다.
상기 소방관창접합부(57)의 칫수에 따라서 호칭25, 호칭40, 호칭50, 호칭60, 호칭75, 호칭,90, 호칭100, 입곱계층 단위로 구분하여 소방검정공사에 준하는 관창규격이 정밀가공되는것으로 본 발명의 소방관창은 소방검정공사 규격기준 이외의 것으로 소방관창접합부관창틈새(4)으로 토출되는 방화수량이 표준관창보다도 더많은 양을 토출하는것으로 대형산불 초기진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더많이 더빨리 초기에 진화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함이다.
또한 소방관창접합부(57)에 사용되는 수입금구, 조임링, 채임쇠, 채임용수철 고무패킹 및 고무밴드으로 소방관창 내부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부속품의 절약으로 나사식, 차입식, 토출기구아닌 소방관창(2)으로서 가공제작 공정의 축소 효과발생이 표출 됨이다. 즉 다시 말해서,
"튜우브없는 타이어" "베아링없는 치차"와 같은 현상이 표출 됨이다.
상기와 같이 동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소방관창(2)은 원통형태의 배관(127)으로 일계층간 길이 삼백밀리밀리 배관지름 일백밀리밀리으로 배관 양쪽 끝단부에는 플렌지(28)를 각각 두곳에 용접으로 제작가공하고 배관 원둘레 부위로 대칭 대각으로 크고 작은 분사수 토출 노즐구멍이 지름 삼밀리밀리 및 지름 오밀리밀리으로 칠십여곳에 드릴 가공제작되여 일계층의 소방관창이 조성되여 제작 완료된다. 일계층의 소방관창을 칠계층으로 동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분리 결합되도록 플렌지(28)와 플렌지 접속가공홀(128) 여덟곳에 볼트, 너트, 와샤를 사용하여 접합으로 이어지는데 플렌지와 플렌지 중간에는 와샤(26)를 끼우는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여기서 플렌지 접속가공홀(128)은 칫수지름 십삼밀리의 드릴가공 여덟곳이 사십오도 각도로 정밀 가공되며 소방관창접합부 내지 연결구부속은 볼트, 너트, 와샤가 된다.
이렇게 소방관창은 제작공정순서로 엄격히 제작가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더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 헬기탑재용 소방관창(10)은 배관지름 일백밀리밀리, 배관길이 삼백밀리밀리의 배관(127)에 플렌지(28)와 플렌지 접속가공홀(128) 여덟곳에 볼트 너트 와샤를 사용하여 일곱개 배관을 연결 접속하여 합체된것을 소방관창(1)이라 규정짓고, 소방관창상단부(A)와 소방관창하단부(B)으로 분류하여 구분하고 소방관창상단부(A) 상단으로 배관마개플렌지(27) 및 열십자 형식 내지 원형형식의 소방관창상단지지대후렘(13)으로 수평형태를 유지하면서 소방관창상단지지대후렘 상단으로 또한번더 칼쿠리 훅크 걸고리후렘(17)이 세갈래로 반구 형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소방관창상단지지대후렘(13)의 세곳에 용접 내지 드릴가공볼트너트조립이 진행됨이다.
또한 헬기탑재용 소방관창 칼구리훅크(16)는 단조 제작하는 강하고 질긴 특 수강으로 조성한다. 소방관창하단부(B) 상단으로 소방관창하단지지대후렘(14)이 수평으로 열십자형식 내지 원형식의 지지대후렘 상단으로 소방관창 수직 지지대 후렘(15)이 균등하게 세곳으로 나누어 소방관창상단부(A) 하단과 소방관창하단부(B) 상단으로 볼트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한셋트의 헬기탑재용 소방관창이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통상의 헬기탑재용 소방관창(10)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창하단부(B) 하단에 위치하는 소방호스(3)는 소방호스연결부분에는 소방호스 연결나사 암수소켓부속과 손으로 분리결합할수 있는 카플링(29) 및 소방호스를 보호하는 와이어로우프 소방호스연결선(19)이 소방관창하단부 소방관창하단지지대후렘(14)에 고정 장착 구성 됨이다.
상기와 같이 헬기탑재용 소방관창의 제작 구성설명을 마감하고 도3-3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 동도시된 동도면에 의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헬기탑재용 소방관창(10)의 토출부분적물막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소방관창 길이 이천일백밀리밀리의 중간지점을 반분하여 구분짓고 소방관창상단부(A) 하단과 소방관창하단부(B) 상단의 관창몸체로서 일직선토출분사구가 사백구십여곳이 조성되여 방사형 토출분사물막커텐(45) 분사구가 일곱여곳에서 조성되여 집수정(41)에 설치되여 있는 소방펌프(8)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승되는 방화수(6) 수압상승으로 소방호스(3)를 통하여 이동되여져서 연결된 소방관창틈새(4)으로 방화수(6)가 일직선으로 토출하면서 일정한 거리 사십미터까지는 토출은 일직선으로 하 게 되여지고 대기권 압력과 중력에 의해서 삿갓형식의 토출분사물막커텐(45)이 작동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심도깊게 상세한 설명은 제작실험을 통한 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헬기탑재용 소방관창분사구에서 토출되는 토출분사수 내지 토출분사물막커텐(20)은 다양한 형태로 분사가 되면서 방재활동이 시작되는데 관창장방형구멍이 삿갓 지붕형태로 겹겹이 토출분사가 이루어지고 크고 작은 구멍에서는 굵고 가는 형태로 토출분사가 이루어지면서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의 작동에 의해서, 방화수(6) 압력은 상승되고 높이에 따라서, 토출 분사 행동반경은 넓어지고 좁혀지는 것이다. 상기 소방관창(10)은 헬리콥터에 실려서 소방라인 내지 소방호스로 통하여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발화지점에 분사 하게 되면 높이에 따라서 토출분사수 내지 분사물막커텐은 행동반경이 넓어지고 하여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 작동에 의해서 방화수압력상승으로 높이에 의하여 매초당 (15m에서 20m) 행동반경이 매초당 (50m에서 150m)로 매분당 행동반경이 수 (km)로 전환되여 이에 대한 소화 방재효과는 상당한 진전이 표출된다. 본 발명인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부산의 소방파출소에서 본 발명의 소방관창(2)을 제작하여 성능실험 테스트를 완료한바 소방실무자 한테서 격려를 받기도 하였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발명실시가 수립되고 제반사항이 준수되고 기술수준이 향상됨으로써 동도시된 도면 구성에 따라서, 소방관창(10) 몸체와 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후렘(15), 상단지지대후렘(13), 하단지지대후렘(14)은 분리결합구성되고 발화지점에 항상 배치되여 소방장 비관창틈새(4)를 자유 자재로 제작·설비·설치하여 대형산불를 축소진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상기 소방관창(10)은 소방호스(3)연결접합부 암수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소방호스 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으로 연결되여 구성되여진다. 소방호스 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호스(3) 연결접합부 연결마디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 및 소방호스 연결부위 암수나사측면을 도시한 소방관창(11)측면연결방식도이다.
본 발명 2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도4-1], [도4-2] ‥‥각각은 소방관창(11) 정면,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단면도이다.
[도4-3] ………은 소방관창(11) 및 소방호스 보호용 연결선 와이어로우프측면결선을 도시한 헬리콥터에 연결되는 소방호스 연결측면결합방식도이다.
통상의 소방관창(2)은 접합부의 칫수에 따라서, 2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호칭25, 호칭40, 호칭50, 호칭65, 호칭75, 호칭90, 호칭100,으로 되여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소방호스(3)는 호칭별 일곱종류유형별 분류 구분되여서 제작사용되고 있으며 이에따른 2실시예에 의하면 소방호스(호칭65mm×호스길이15m)로 기재를 하고 사용압력(20kg/cm2)의 단위를 표기기재토록 함으로써 식별되여지고, 소방관창(11)은 길이가로×폭세로(515mm×
Figure 112007501926318-PAT00002
165mm)로서 소방호스보다 폭이 두배이상이다.
본 발명의 소방관창(11)은 소방호스호칭별로 소방호스길이 일십오미터를 표준으로 기준을 정하고 집수정(41)에서 발화지점 최대거리 삼킬로미터 최소거리 일킬미터로 호방호스(3)를 길이에 따라서 일킬로미터 두셋트 이킬로미터 두셋트 삼킬로미터 두셋트로 하여 소방펌프작동기계실(46)에 설치배치토록하고 호칭별 호방호스연결접합부는 호칭 100×90, 호칭 90×75, 호칭 75×65,순으로 배관연결부속레듀사(40) 및 카플링연결플렌지마개(27) 내지 카플링연결플렌지(28)를 소방호스연결구카플링(29) 암수나사에 본 발명의 소방관창(11)을 일십오미터단위로 호칭별로 소방관창을 한개씩 한개씩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헬기에 의해서 즉각 출동하여 발화 인접지역에 소방호스를 배열배치함과 동시에 안전통제실(47)과 무선통화후 소방펌프작동기계실(46)의 소방펌프(8)를 작동하여 방화수(6) 수압상승과 동시에 헬기소방활동으로 방화수를 살포함으로써 초기진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방관창(11)은 소방호스 한개체 한개체 연결마디 사이에 설치되여 토출분사수(44)는 수직 수평으로 소방관창 원둘레에 따라서 살포되여져서 산불화재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방호스를 보호하기 위한 와이어로우프소방호스연결선(19)을 소방호스와 고정연결접합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소방관창(11)은 대형산불로 인한 재해 재난을 종식하는 지름길이자, 오늘날 기상의 변화로 발생되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축소하는 지름길이며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계기로써 황사 현상, 폭설피해, 폭서피해, 홍수, 가뭄, 태풍, 적조피해를 축소토록하는 다기능을 포함하고 다목적 효과발 생에 의한 억조창생의 문이 열렸음이다.
왜냐하면 사전예고없이 발생되는 대형산불은 촌각을 다투는 긴박한 상황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돌출화재발생은 초기진화를 위한 방재, 소화방법이 어우려져서 소방관계자는 본 발명의 소방관창으로 초기진화 방식과 방법에 관심을 갖고 협력과 이해를 요청 됨이다.
상기와 같은 소화진화 방법은 기동성, 신속성,이 포함되는것으로써 주야를 불문하고 초기진화 작업에 임할수 있는 장점으로써 또한 소화, 진화활동의 최우선은 안전에 의한 소방방재방법으로써 어우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3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높고 낮은 산 능선별 소방방재배관 및 방재수로 내지 방재배관연결소방관창 전체구성측면, 단면도이고, [도5-1]은 전체구성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4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방화사, 방화수에 의한 초기진화방식을 도시한 초기진화 측면방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5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 및 초기진화를 위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소방장비운용방식을 도시한 소방장비운용 계통방식도이며, [도7-2]는 소방장비운용 계통방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6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대형산불초기진화를 위한 발화유형별 도미노 방식을 도시한 초기진화 방식도이고, [도8-1]은 헬기에 의한 초기진화방식도이다.
상기 동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동도면에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의 대형산불초기 진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먼저, 대형산불의 발생원인과 방재활동의 종래의 기술을 파악한후 장단점을 발췌한 후 이의 시정을 대책수립하는 기반이 조성되고 자연적인 발화 발생원인으로 벼락에 의하여, 낙엽끼리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마찰에 의한 발화로써,
산불의 발생 원인에는 계절적 측면에서 분류 한다면 가을에서 겨울을 접하는 시기 단풍이 우수수 떨어진후에서 겨울에서 봄철로써 기간은 육개월, 칠개월으로 이 기간 동안에 눈덮힌 산천은 안전지대라 볼수있고 비와 눈으로 덮힌 지역의 화재발생시 초기에 진화되는 자연의 혜택이라 볼수 있는바,
상기 태풍, 폭풍 및 강풍이 휘몰아치는 날에 산불이 발생 되었다면 최첨단 소화진압 장구류가 동원되여 이것도 모자라면 헬리콥터가 여러 수십대가 동원되여 방화수(6), 방화사(7), 이산화탄소 핼론가스사용으로 단기간에 초기진압이 성립되면 다행이랄수 있고 일주일 이상 이주일 정도가 된다면 재난구호난민이 발생되여 국가적 개인적 손실은 엄청나다 할것이다. 또한 기상상태악화로 인한 헬기진압 불능일때는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12)을 통하여 능선별 방재수로를 이용함이다.
상기 발화물질은 높이(30cm)에서 (30m)로 수풀로 조성되여 마치 전쟁터의 화약고 같이 재인식됨을 감지한다.
또한 발화진행은
Figure 112007501926318-PAT00003
화살표와 같이 이쪽에서 저쪽으로 낮은쪽에서 높은쪽 으로 풍속은 매초당 (15m) 이상으로 발화물질(59) 높이가 (10m)이상일때 발화부피는 면적당 세제곱으로 발화 확산진행 된다고 가정 했을경우
<가로×세로×속도>
0.3m × 0.3m × 1.5(m/sec) → 0.3m × 0.3m × 15m ×60(m/min)
15m × 15m × 15(m/sec) → 15m × 15m × 15m ×60(m/min)
20m × 20m × 15(m/sec) → 20m × 20m × 15m ×60(m/min)
위와 같은 계산의 수치가 표출되는바, 종래기술수준의 사고력을 재고찰 한바 같이,
풍속의 변화에 따라서 산불은 촌각을 다투어 확산됨을 감지 할수 있는바 최초 발화 지점에서 수분 이내로 초기진압 활동이 종결되도록 해야 만이 초기 진화의 목적이 달성이 된다.
이와같이 발화는 계산상 기하급수적으로 진행확산되는데, 방재활동은 산술적으로 방재장비물질의 조달 수송이 원만하지 못하고 시간차 방재능력 즉 헬리콥터수송 방재활동은 띠줄 형식방재 기능이 되여 불씨의 잔재가 남게 되여 재차 발화되는 점을 지적코자 함이다. 여기서 종래기술수준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본 발명의 초기진화방법으로 향후 시행토록 함이다.
향후 이러한 문젯점을 여러 방면으로 재 검토 재고찰 한것에 다음과 같은 결론이 성립 되었다. 상대적인 원칙에 의해서 발화는 기하급수인데 방재 또한 기하급수적 이어야 됨을 착안하여 발화물질보다 더많은 방재물질을 동도면에 도시한바 같이 방재물질을 기하 급수이상으로 무한정 공급토록 하면 승산이 있음을 확고하게 재인식된다.
또 한편으로는 논두렁 밭두렁을 태우다 불씨가 바람에 날리어 대형 산불이 되는 경우와 담배불이 화인이 되여, 또는 공기가 희박한 상황에서 자연적 발생으로 이러한 원인과 결과가 초래 됨을 감지함에 있어서, 대형산불 결과에 따른 확고부동한 대책이 무엇보다도 시급했다.
확고부동한 대책방안으로는 동도면에 도시된바 같이, 도5-1의 상세도를 참조하였고, 능선별 배관수로 상단부 소방정 내지 집수정(41)에는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를 집수정(41)에 설비배치토록하여 능선별 배관연결고정식의 소방관창과 방재배관(37)은 상호연결시켜 산정상 능선별 배관연결고정식의 소방관창(12)의 틈새(4)으로 방화수(6)를 토출 분사토록하였고 정상부위에 일정한 규격의 집수정(41)을 설비 배치토록 되여지고 산정상부위 집수정(41)에는 항시 방화수(6)는 흘러넘치도록 조치되여져서 발화 준 위험지역에는, 동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시덤불 잔디. 잡목보다 높은 위치에 방화수보관비닐봉지(134)와 방화사보관비닐봉지(135)를 나무에 매달아두고 최초발화감지노끈(5)이 땅위에서 발화 됨과 동시에 최초발화감지노끈(5)이 절단되여 높은 위치의 방화수 내지 방화수보관비닐봉지(134) 및 방화사 내지 방화사 보관비닐봉지(135)는 같이 낙하함이다.
또한 가시덤불,잔디,잡목,낙엽,에 발화가 되었을때, 발화물질(59)과 함께 하는 최초발화감지노끈이 녹으면서 비닐포대와 봉지가 떨어지듯 벌려지듯 제작토록 하면 순간적변화의 지연시간을 얻을수 있고 이러한 순간 방화수(6), 방화사(7)는 발화물질에 흡착되여 발화정체 하는 순간에는 헬기가 현지출동되여 소방작업의 임 무수행되여지고. 이렇게, 능선별 배관연결고정식의 소방관창(12)은 산림보다, 높게 설비배치되여 방대한 지역에 분포배치함이다.
상기 바람직한 방재활동에는 최초발화에서 발화진행 과정에서 방재물질이 항상 최초발화지역에 소방장치들로 하여금 방화수 방화사를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최소 다섯배의 비율이상으로 한정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순간적이고 한시적인 방재인 반면에, 본 발명 개발장비를 산정상에서 산능선별로 적정비치, 배치함으로써 항구적으로 대형산불은 사전예방 되여지고, 상기와 같이 도6에 의한 상세한 설명이다.
또한편으로는 지형지물의 형상에 따라서 가장 신속하고 기동성있는 방법을 착안한바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초기진화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곱터에 탑재된 소방장비관창(10)은 발화 예비지점 상공에서 방재물질인 방화수(6)는 소방호수(3) 사이사이 마디소방관창(11)으로 함께 집중투하된다 여기에서는 헬리콥터엔진에 의한 고성능 수중펌프(148)으로 지역의 여건에 따라서 소방정 내지 집수정(41)에서 장착가동되여 방재물질은 발화지점에 이송되여 헬기의 고공비행으로 높이에 따라서 방대한 지역에 연속적으로 방화수(6)를 투하하여 초기진화 소화 작업이 깨끗히 정리되고 대형화재의 초기진화로써 수분내로 진화되여 인명재산상 손실이 격감되는 것이 특징인 종래의 기술수준을 점진적으로 향상된 계기이다.
왜냐하면, 종래의 헬리콥터방재활동은 순간적으로 방화수를 투하하여 이동되고 방재활동방식이 띠줄 방식에서 본 발명에 속하는 방재활동은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방화수(6)를 투하되는 차이이다. 상기와 같이 [도8-1]에 의한 상세한 설명이 다.
이렇게 헬기에 의한 방재선을 유지 하면서 방화사수를 집중투여 한다면 소기의 초기진화가 이루어짐을 인지되고 감지된다. 또한 최초발화감지노끈(5)은 발화가 잘되는 노끈으로 조성함이다.
상기 최초발화되는 낮은 위치의 가시덤불에 발화되는 불씨는 최초발화감지노끈(5)에 발화되여 감지노끈(5)이 절단되면서 방화수 내지 방화수보관비닐봉지(134) 및 방화사 내지 방화사보관비닐봉지(135)가 낙하되여 지면의 발화물에 덮치고 접착되여 발화를 정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상기 대형산불은 동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헬기에 의해서 능선별 집수정(41)배관라인, 소방호스(3), 최초발화감지노끈(5) 또는 능선별원형방재수로(38)는 홍수.가뭄.조절배관라인으로 조성되여 기상대 일기예보와 더불어 높고 낮은 산의 방대한 지역의 지형지물의 형상에 따라서 도미노 방식의 방재활동과, 헬기에 의한 지속적이며 연속적인 방재활동으로서, 이에 헬기에 의해 탑재된 소방관창(10)으로 각부능선별 높은 부위 집수정(41)에서 낮은쪽으로 소방호스(3)와 연결되여 관창틈새(4)로 방화수는 토출분사 되여 대형산불 대형화재는 초기진화됨으로서 산불화재는 사전예방되여 산림을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상기와 같이 대형산불 대형화재 초기진화는 발화물량과 방재물량이 발화지역에 상호간 존립함으로 상호억제, 제압함으로 화재진압은 발생초기에 소화되여 이와 같이 발화물질과 방재물질은 상관관계가 된다.
즉 재차 강조해서 발화물질과 방재물질은 밀착되고 흡착함으로 인해서 화재는 영구히 종식되는 것으로서
상기 동도면에 도시한바 같이, 방재수로는 기울기 물매는(AD, AE) 지점 골짜기 팔부 능선과 오부 능선 별로 일도각도의 기울기 물매 을 유지 하면서 능선별로 회전하여 (AD)지점 (AE)지점으로 환원 시키며 집수정(41)은 산림자원의 많고적음에 따라서 오십미터에서 일백미터 구간으로 조절하고 규격에 있어서는(대,중,소으로 구분되고 집수정(41) 내부에는 방화수이송을 위한 분배기 내지 방화수수위감지센스(143) 및 드레인밸브(42)를 설치하고, 팔부 능선 이상의 꼭대기 산정상부위는 산높이에 따라서 (U형)(W형)으로 높은산(a1 )에서 낮은산(b1)(c1 ),으로 방재배관(37)을 조성한후 낮은산(b1)(c1 ),주위 정상은 능선별로 [도5-1]과 같이 집수정(41) 및 방재수로(38)을 조성한한후 능선별 집수정(41)에는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를 조성토록 하여 홍수조절기능을 담당토록하는 구성이 되여 있으며 이는 곧 화재진압과 산림보존육성의 실시 기대 효과는 증대하여 자원환경 개선사업이 조성되여지고, 지면의 사정으로 방재수로(38) 및 집수정(41)은 규격의 특정이 곤란하여 칫수는 생략하였다, 통상적으로 집수정 용적량은 칠백세제곱평방미터가 적정하다.
상기와 같이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화재진압 방식은 산림의 보호보존환경사업이 동시병행 실시라 한다. 이는 곧 자원의 균등한 배분으로 지역사정에 따른 차별이 해소되고 인구의 도시집중화를 해소하고 인구의 도시배분을 균등히 하는 효 과실시기대가 예상되여 진다.
한편, 이렇게 지형 지물의 형상에 따라서 도미노방식의 소방활동과 헬기에 의한 소방활동, 그리고 본 발명의 개발장비 소화장비관창(12)은 헬기에 탑재되여 집수정(41)을 통하여 집중투하씩 이불보자기형 석면포와, 삿갓형 진화장비, 물보, 사보들로써, 지속적이며 연속적으로 방화사 및, 방화수를 살포한후 완전 진화후 소방작업이 종료가 된다. 즉 향후 능선별원형방재수로 및 홍수.가뭄조절배관수로의 형성 및 조성됨이다.
상기 소화장비관창(12)은 산정상의 집수정(41)에서 낮은쪽으로 소방호스(3)와 연결되여 관창틈새(4)로 방화수(6)는 토출분사되여지고 이의 설치에 있어서 산림청 실무자의 의견과 환경청의 영향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는 애로가 있다.
상기의 애로사항은 산림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존하는 일련의 조치로써 아낌없는 협력과 지원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애로사항을 해소토록 함이다.
상기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헬기에 의한 초기 진화방법 및 방화수. 방화사를 높고 낮은 산에 화재발생 전에는 모든 소방장비가 적절히 설비 배치되는 집수정 방재수로 방재배관은 홍수.가뭄에 따라 방화수. 방화사를 현지에 배치를 우선적으로 설치함으로서 계절적으로 봄에 발생되는 황사현상의 피해를 호소함이며 여름철에는 장마로 인한 농작물, 도로유실, 태풍피해, 지구촌 물난리, 안개발생으로 교통사고 유발, 폭설피해, 지구촌 온난화 현상으로 피해으로서 각종 재해재난예방의 첫걸음으로 다기능의 다목적인 용도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 요지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도7에 의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한다.
대형산불을 초기진화하고 사전예방에 필요한 것으로서 안전 통제실(47)이다. 이곳에서는 헬기탑승 근무자를 보좌하고 진화명령을 무선으로 교신하고 소방장비 비치 및 전원공급실 및 기계실(46)의 장비를 관리운용하는 것으로써, 일기예보에 따라서 봄철에 황사발생경보에 따라서 소방정 펌프를 가동하여 방화수(6)을 소방관창(2)을 통하여 토출분사토록 해야되고 폭우로 인해서 산사태, 도로유실 계곡물범람되여 위험경보발령이 내리면 집수정(41)의 방화수 및 방재수로의 방화수(6)를 억제, 조절, 하도록 통제실(47) 내부에는 인터넷망(149), 관제서버 왼쪽으로 디스플레이화면(103),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49)으로 헬리콥터(56)내의 휴대용무선통신 단말기(49)으로 지상근무자와 헬리콥터 승무원과의 송수신 대화로써 고압 피스톤식 소방펌프시스템(48)을 응용하는 것으로서 대형산불발생시의 근무자간의 업무이다.
한편 지상근무자가 공석일때는 헬리콥터 승무원은 소방장비보관거치설비거치대(33)에 부착된 소방펌프작동스윗치버턴(51)이 전원부(106)으로 연결되여 동력전원공급장치제어박스(52)연결된후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제어박스(100),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제어시스템(48),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제어보드(109)으로 연결되여 헬콥곱터 승무원이 소방장비보관거치설비거치대(33)에 보관된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10)을 헬리곱터 칼구리 훅크(16)으로 설비거치대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가 이분이내로 가동되도록 구성 됨이다.
또한 기계실 내부의 소방펌프는 외부의 집수정(41) 및 소방설비배관펌프와 유기적인 결합이 되여 삼위일체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이 기술적인 요지이다.
상기 고압피스톤식 소방펌프(8)는 높이 일천미터높이까지 방화수(6)를 급수하는 것으로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급수하기 위한 상향식 가압급수방식의 급수시스템이다. 소방펌프(8) 하단으로 급수관(139)이 위치한다. 한편 급수관(139)은 집수정(41) 내부으로 설치되고 집수정 내의 드레인밸브(22)는 집수정 내부 오물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해서 설치되어야하며 헬기에 의한 진화작업후 철수할 당시에는 소방호스내의 물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헬기의 철수와 함께 소방진화활동이 완료하여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초기진화가 종료 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장비선택과 기술용어들이 단어는 다르지만 최종적으로 하는 역활은 같아서 비용이 적게들고 효율이 증가되는 방법들로 재충전하는 계기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대형산불과 근린생활구역의 대형화재를 분리 구분지어서 재출원함을 다짐하면서 이세상의 모든 재난 재해 예방으로 게으름과 수수방관을 떨쳐 버리고 쉼없이 노력하는 자에게 있음이다. 끝으로
상기 본 발명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2)은 국가 만년 대계를 위한 막중지사안으로서 기간산업보호필수품목으로서 청구범위의 등록기재 되어야 함이다.
본 발명은 높고 낮은 산의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으로서, 환경산업의 공해 방지에 유용한 소방관창(2)으로 헬리콥터에 탑재되여 높고 낮은산의 방대한 지역의 대형산불을 신속하게, 정확게 좀더빨리 좀더많이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방화수(6)를 고압피스톤식펌프(8)에 의하여 작동되여 소방호스(3)를 통하여 이송되여 소방관창 틈새(4)으로 토출분사수 내지 토출분사 물막 커텐(45)이 종래기술수준의 관창보다 더많이 방화수를 토출되여 헬리콥터 수송비행 및 능동적인 방재활동의 집수정(49)에 배치되는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12)으로 일기예보의 상황에 따라서 소방관창(12)으로 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는 사전예고없이 발생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효과로써.
또한 발화물질 산림(59)에 방화수 내지 방화수보관비닐봉지(134) 및 방화사 내지 방화사보관비닐봉지(135)는 높고 낮은산 현지에 설비 배치되여 산림에 불이 붙자 말자 최조발화감지노끈(5)이 절단되여 방화수(6) 및 방화사(7)는 낙화되여 초기에 진화하는 효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산림을 보존 육성하며, 황사현상을 사전예방하고 폭설피해축소, 홍수가뭄, 태풍피해축소, 적조피해축소 각종 재해 재난을 축소토록 다목적.다기능을 포함되여 이의 효과는 억조창생의 문이 열렸음이다,

Claims (2)

  1. 통상의 대형산불(1) 초기진화를 위한 화재진압용 소방관창(2)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용 소방관창은 비철재 금속스텐, 알루미늄, 방염물질 프라스틱으로 녹슬지 않는 철재금속으로 원통형태의 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비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호스(3)는 호칭별관창접합부칫수에 따라서 십오미터길이의 소방호스 끝단부위 그리고 소방호스 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 또한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의 소방관창으로 분리 구분되여져서 방사선 형식의 관창틈새(4) 그리고 일자형식의 관창틈새(5)으로 원통형태 배관 원둘레 부위로 대칭대각으로 분사수토출가공홀이 지름 삼밀리밀리 그리고 가공홀지름 오밀리밀리으로 칠십여곳 가공 제작 구성되며;
    상기 분사수토출가공홀으로 방화수(6)는 관창틈새으로 토출되여지고 고압피스톤식소방펌프(8)의 작동으로 수압상승된 방화수는 소방호스으로 이송되여 일자형의 토출분사수 그리고 방사형의 토출분사수 물막커텐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방관창은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10) 그리고 소방호스연결마디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 그리고 능선별 배관연결고정식의 소방관창(12)으로 분리 구분되여;
    상기 헬리콥터 탑재용 소방관창(10)은 소방관창몸체상단부(A)와 소방관창몸체하단부(B)으로 구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 상단으로 소방관창몸체상단에는 소방관창매듭마개플렌지와 상단지지대후렘(13)이 관창몸체주위로 하단지지대후렘(14) 그 리고 수직지지대후렘(15)으로 원통형식으로 소방관창연결접합부속 볼트, 너트, 와샤으로 분리결합구성되고 소방관창몸체는 배관과 플렌지로 용접가공제작되여서 소방관창몸체 상단부상단에는 칼쿠리훅크걸고리후렘(17)이 상단지지대후렘 상단으로 후렘원둘레 세곳에 균등하게 후렘가공홀에 볼트너트 결속하여 분리결합 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소방관창(10)을 연결하는 소방호스에는 소방호스연결마디 중간에 설치되는 소방관창(11)은 상단부 하단으로 소방관창 원둘레 주위에 소방호스보호용 연결선와이어로우프(19), 와이어로우프매듭걸고리 가공홀(20) 그리고 연결걸고리뭉치쇠(21) 또한 뭉치쇠가공홀(22)에 안전핀 샤클(23)을 결속 부착하여 소방관창연결플렌지(28)와 소방호스연결부속카플링(29) 그리고 소방호스연결부속암나사산몸체(30) 그리고 소방호스연결부속숫나사산몸체(31)으로 연결 구성되며 집수정(41)이 위치설비하는 소방펌프작동 기계실(46)으로 고압피스톤식소방펌프(8) 하단에 위치하는 급수관(139)으로 연결 구성되며;
    기상상태악화로 인하여 헬리콥터에 의한 소방방재활동 불능일때는 능선별 배관연결 고정식 소방관창으로 설치 운용구성함과 아울러 발화지점에 항상 배치되여 소방장비관창틈새를 자유자재로 제작 설비 설치하여 대형산불를 축소진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초발화되는 낮은 위치의 가시덤블에 발화되는 불씨는 최초발화감지노끈(5) 에 발화되여 감지노끈이 절단되면서 방화수(6)를 보관비닐봉지(134) 내부에서 낙하되여지고 이와 동시에 방화사(7)를 보관비닐봉지(135) 함께 지면의 발화물에 덮치고 접착되여 발화를 초기에 정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1020070017299A 2007-02-15 2007-02-15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20070031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99A KR20070031974A (ko) 2007-02-15 2007-02-15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99A KR20070031974A (ko) 2007-02-15 2007-02-15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74A true KR20070031974A (ko) 2007-03-20

Family

ID=4365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299A KR20070031974A (ko) 2007-02-15 2007-02-15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9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16B1 (ko) *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20160142223A (ko) 2016-03-07 2016-12-12 이플래넷 주식회사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WO2023023715A1 (en) * 2021-08-24 2023-03-02 Firefenda Pty Ltd Fire protec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16B1 (ko) *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20160142223A (ko) 2016-03-07 2016-12-12 이플래넷 주식회사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WO2023023715A1 (en) * 2021-08-24 2023-03-02 Firefenda Pty Ltd Fire prot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3552A (ko) 대형산불, 대형화재 사전예방과산림보호방식(초기진화)(장비개발)
Dunn Safety and Survival on the Fireground
Badger et al. Large-loss Fires in the United States 2014
Zhang et al. Fire risk analysis and prevention of urban comprehensive pipeline corridor
RU2722615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насосно-рукавная система
KR20070031974A (ko)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Guo Fire risk assessment for commercial buildings based on FRAME method
Dong et al. Investigation of fire protection status for nanjing representative historical buildings and future management measures
CN106178327A (zh) 输电线路山火现场的处置方法
CN207342056U (zh) 森林火灾警示灭火多功型消防系统
CN105363154B (zh) 嵌入式可伸缩火灾救援设备
WO2022047506A1 (en) Forest fire prevention and fighting system with water
유용호 et al. The study on application of automatic monitor system for initial fire suppression in double-deck tunnel
CN215987656U (zh) 多功能模块化消防训练塔
CN205127205U (zh) 嵌入式可伸缩火灾救援设备
US20140374127A1 (en) System for self-protection against forest fires in an urban forest interface
Xie Heavy compressed air foam truck applied to high-rise building fires
CN211215069U (zh) 一种林业用防火报警设备
CN108905027A (zh) 一种特殊的多功能消防动力车
CN109701181A (zh) 森林火灾警示灭火多功型消防系统
Wang et al. Research on application of heavy compressed air foam truck applied in high-rise building fires
Badger Large-loss fires in the United States-2009
Yakovlev Peculiarities of organizing rescue operations under adverse climatic conditions: Far Eastern Federal District
CN204864645U (zh) 快速金属风暴型灭火器
KR100683550B1 (ko)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