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824A -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824A
KR20160141824A KR1020167030855A KR20167030855A KR20160141824A KR 20160141824 A KR20160141824 A KR 20160141824A KR 1020167030855 A KR1020167030855 A KR 1020167030855A KR 20167030855 A KR20167030855 A KR 20167030855A KR 20160141824 A KR20160141824 A KR 2016014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ignal transponder
wireless signal
c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324B1 (ko
Inventor
자헝 왕
펑 바이
주샤 양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2Synchronis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91Fixed mobil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94Proxi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동 단말(101)이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101)이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인에이블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101)은,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송신하고;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접속된 모드 식별 디바이스(103)는 이동 단말(101)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한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는,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101)의 식별자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102)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102)은, 호출 정보 및 식별자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사용자가 고정 단말(102)을 이용함으로써 호출을 수신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송신되고, 고정 단말(102)과 정합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호출이 완료되고, 그에 의해 전화 요금이 절감될 수 있고, 호출 동기화가 자동으로 수행되고; 융통성 및 편의성이 제공되며, 사용자에 대해 편의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CALLING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내용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고정 단말, 이동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수단이 사람들의 생활과 업무에서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전자기파의 복사가 이동 단말에 의한 대화 중에 존재하고, 따라서 장시간 동안 이동 단말을 이용하는 것은 건강 문제를 야기시킬 것이다. 대화를 위해 이동 단말이 이용되는 장소들은 전형적으로 집, 사무실 등과 같은 일부 고정된 장소들이고, 고정 단말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정된 장소들에서 구성된다. 현재,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사이의 호출 전환(call transfer)은 사용자의 능동 설정(initiative setting)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호출 전환 기능을 인에이블하는 사용자의 경우, 이 사용자는, 집이나 사무실에 있을 때, 호출 전환 번호를 자신의 고정 단말 번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 단말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호출될 때, 이 사용자는 고정 단말에 의해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호출 전환 기능에 대한 자동화 정도가 낮으며, 호출 전환 기능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양쪽 모두는 대응하는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 및 관련 동작들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 및 위치가 변경될 때, 호출 전환 번호도 또한 능동적으로(initiatively)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부하를 증가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이용에 대해 편의성 및 능동성(initiative)을 크게 제한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해결되도록 긴급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은, 호출 전환 기능의 자동화 정도를 개선하고 사용자에 의한 이용에 대해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호출 동기화 기능의 자동화 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고정 단말,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와 접속된 패턴 인식기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fixed phone operation network)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패턴 인식기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되고,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대화 액세스 요청 및 호출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난다고 결정할 때,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 단말은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고,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고,
패턴 인식기는 고정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되고,
이동 단말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는 고정 단말로 통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로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이동 단말에 의해,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와 접속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는 단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패턴 인식기에 의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고정 단말에 의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는 단계; 및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고정 단말에 의해,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에 의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패턴 인식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대화 액세스 요청 및 호출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패턴 인식기에 의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패턴 인식기에 의해,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패턴 인식기에 의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에 의해,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패턴 인식기에 의해,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패턴 인식기에 의해, 고정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고정 단말,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와 접속된 패턴 인식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호출 신호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으로 고정 단말에 대해 이 호출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이동 단말 및/또는 고정 단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는데, 이는 호출에 응답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호출 동기화 기능의 자동화 정도를 개선한다. 또한, 호출이 응답될 때,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가 구현되고, 따라서 통화 요금(call charge)을 추가로 절감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1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2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3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제1 시그널링 상호작용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제2 시그널링 상호작용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제3 시그널링 상호작용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다음에,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의 특정 구현예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1),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고정 단말(102), 패턴 인식기(103), 및 패턴 인식기(103)와 접속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1)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자신의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패턴 인식기(103)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01)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102)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고정 단말(102)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호출이 고정 단말(102)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102)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China Netcom, China Mobile, China Telecom 등과 같은 운영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전화 라인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고정 단말은 일반적으로 고정 전화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실현하는 한편, 이동 단말은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실현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대화를 실현하기 위해 고정 단말에 의해 이용되는 운영자 네트워크는 이동 단말에 의해 이용되는 것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서,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응답된 이후에,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오리지널 운영자를 고정 단말의 운영자로 스위칭하는 운영자들의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호출 신호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으로 고정 단말에 대해 이 호출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이동 단말 및/또는 고정 단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는데, 이는 호출에 응답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호출 동기화 기능의 자동화 정도를 개선한다. 또한, 호출이 응답될 때,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가 구현되고, 따라서 통화 요금을 추가로 절감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동 단말(101)로부터 패턴 인식기(103)로 송신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에서 반송되는 식별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101)의 ID 정보, 사용자의 번호 정보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으며, 호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호출하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 정보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동 단말(101)에 의해 송신되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103)가 수신한 이후에, 이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101)에 의해 송신되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고, 그 자신의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정합할 수 있다. 정합이 성공적인 경우, 그것은 이동 단말(101)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것을 의미한다. 그 이후에, 패턴 인식기(103)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고정 단말(102)에 송신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고정 단말(102)이 대응하는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를 정확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구체적으로, 고정 단말(102)은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Zhang이 Mr. Li의 이동 단말을 호출한다.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고정 단말은, Mr. Zhang에 의해 호출되는 Mr. Li의 이동 단말 번호, 이름 또는 다른 정보를 음성 재생 모듈을 통해 프롬프트할 수 있거나, 또는 Mr. Zhang의 이동 단말 번호, 이름 또는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고정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자신의 이동 단말이라는 것을 Mr. Li가 확인하기에 편리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출하는 번호 및 호출되는 사람의 이름을 이용하여 호출이 수행되는 경우는 예일 뿐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대한 착신 호출을 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이 또한 이용될 수 있으며, 그것은 여기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서, 특정 구현예에서, 한 명의 사람이 고정 단말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호출을 행할 때, 이 호출은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수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는데 이용되도록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 중 하나만을 선택한 이후에, 선택되지 않은 단말은 대화에 액세스할 수 없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이동 단말(101), 고정 단말(102) 및 호출하는 사람의 동시적인 3자 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고정 단말(102)을 이용하여 호출에 응답한 이후에, 이동 단말(101)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101)을 이용하여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패턴 인식기(103)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될 수 있고, 패턴 인식기(103)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액세스 응답 및 이동 단말(101)에 의해 송신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01)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과 고정 단말(10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자 동기 대화가 실현될 수 있다.
3자 대화의 구현예에서, 고정 단말과 호출하는 사람 사이의 통신은 고정 단말(102)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사실상 구현되는 한편, 호출하는 사람과 이동 단말 사이의 대화는, 이동 단말(101)과 고정 단말(102)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고정 단말(102)로 전달된 이후에 고정 단말(102)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사실상 구현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101)과 사실상 호출되는 사용자 사이에 확립되는 직접적인 대화 채널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통화 요금은 증가되지 않을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도록 고정 단말(102) 및 이동 단말(101)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더 갖는다. 구체적으로, 패턴 인식기(103)는,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 각각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이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는 것이 허용되고, 이는 호출 자동 동기화의 기능의 후속 구현에 편리하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의 특정 구현예에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서,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 각각에 송신하기 이전에, 패턴 인식기(103)는 또한 이동 단말(101)을 인증하여, 무선 네트워크 내에 등록되지 않은 이동 단말들을 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 인식기(103)는,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동 단말(101)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 각각에 송신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턴 인식기(103)에 의해 이동 단말(101)을 인증한 이후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이 송신되고,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을 개선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패턴 인식기(103)가 결정하는 많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1)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방에 들어가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 및 패턴 인식기(103)가 위치하는 방의 문에 신호 센서 등과 유사한 장치가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에 들어간 이후에, 신호 센서와 접속된 패턴 인식기(103)는,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수 있고, 다음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 각각에 송신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103)와 접속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는 설정에 따라 매 초마다 외측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에 들어갈 때, 이동 단말(101)은 이 무선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신호를 피드백한다. 이 때,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패턴 인식기(103)는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이동 단말(101) 및 고정 단말(102) 각각에 송신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101)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101)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날 때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고, 그에 의해 이동 단말(101)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할 때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103)에 송신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본 발명자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을 능동적으로 취소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편의성을 제공하며 장황한 동작들을 감소시킨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패턴 인식기(103)는, 이동 단말(101)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고정 단말(102)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이동 단말에 저장된 번호를 호출하기 위해 고정 단말을 이용하는 기능을 추가로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출을 능동적으로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 저장된 번호에 대해 고정 단말을 검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 단말(102)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다. 사용자는 특정 이동 단말을 어드레싱하기 위한 요청을 고정 단말에 의해 패턴 인식기(103)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정 단말(102) 상에 특정 이동 단말과 정합되는 버튼을 트리거할 수 있고, 고정 단말(102)은 다음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송신한다. 고정 단말(102)에 의해 송신되는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는 인증을 위해 패턴 인식기(103)로 이 어드레싱 요청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패턴 인식기(103)는 고정 단말(102)에 의해 송신되는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수신하고, 이동 단말(101)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01)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패턴 인식기(103)가 이동 단말(101)을 인증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패턴 인식기(103)는 먼저 어드레싱 요청의 정보와 그 자신의 데이터베이스 정보 사이의 정합 및 계산을 수행하고, 정합이 성공적인 경우에, 그것은 이동 단말(101)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것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101)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에 의해 포워딩되는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패턴 인식기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101)에 저장된 번호를 능동적으로 호출하도록 고정 단말(10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101)에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는 주소록들, 단문 메시지들,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들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Mr. Zhang은 Mr. Li의 이동 단말을 호출할 필요가 있다. Mr. Zhang은 Mr. Zhang의 이동 단말의 ID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기 위해 고정 단말을 이용한다.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는 어드레싱 요청을 패턴 인식기에 송신한다. 패턴 인식기는 Mr. Zhang의 이동 단말에 대한 아이덴티티 인증을 이 이동 단말의 ID 정보에 따라 수행하기 시작한다. 아이덴티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패턴 인식기는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이 ID 정보를 갖는 인식된 이동 단말에 송신하도록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통지한다. 이 때,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Mr. Zhang의 이동 단말은 Mr. Zhang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Mr. Li의 이동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저장된 정보를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다음에, Zhang San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번호에 따라 Mr. Li의 이동 단말을 능동적으로 호출하기 위해 고정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서 패턴 인식기(103)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를 통합하는 많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인식기(103)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는 고정 단말(102)로 통합될 수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면서 디바이스들의 집적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인식기(103)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로 통합될 수 있으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104) 및 고정 단말(102)은 별개로 설계될 수 있다.
다음에,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의한 자동 호출 동기화를 실현하는 방식이 3가지 특정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호출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한 특정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1. 기지국이 착신 호출 신호를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2.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3.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가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로 포워딩한다.
4. 패턴 인식기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방식은 종래의 인증 방식일 수 있는데, 즉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는 패턴 인식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직접 비교될 수 있고, 다음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올바른지가 판정된다. 많은 종류의 이러한 인증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것은 여기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5. 패턴 인식기가,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6. 고정 단말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한다.
7.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고정 단말이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8. 고정 단말의 네트워크 운영이 동기하여 시작된다.
9. 고정 단말이 이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위한 통신을 확립한다.
이 점에 있어서,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은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단계 1 내지 단계 9에 의해 달성되고, 그에 의해 호출은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응답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통화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호출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한 특정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내지 단계 9는 제1 실시예에서의 단계 1 내지 단계 9와 완전히 동일하고, 따라서 중복성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고정 단말이 단계 9에서 이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위한 통신을 확립한 이후에, 아래의 특정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10.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이동 단말을 이용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11.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가 대화 액세스 요청을 패턴 인식기로 포워딩한다.
12. 패턴 인식기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한다.
13. 패턴 인식기가,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한다.
이 점에 있어서, 동시적인 3자 대화 기능은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단계 1 내지 단계 13에 의해 달성된다.
제3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호출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한 특정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1. 고정 단말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2.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가 어드레싱 요청을 패턴 인식기로 포워딩한다.
3. 패턴 인식기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한다.
4. 패턴 인식기가,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5. 이동 단말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6. 사용자가 고정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번호들로부터 호출 번호를 선택할 때, 고정 단말이 이 호출 번호를 능동적으로 호출한다.
이 점에 있어서,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에 저장된 번호를 능동적으로 호출하는 기능은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단계 1 내지 단계 6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개시하는 것은 통화 요금을 절감하고/하거나 편리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때때로, 더 편리하게, 사용자가 고정 단말 부근에 있으며, 이 때 이동 전화가 휴대되지 않는 경우, 고정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호출을 행하는 것은 이동 단말을 찾는 것을 직접적으로 회피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방법에 의해 문제점을 해결하는 원리가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에 의한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의 구현예는 이 시스템의 구현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성을 회피하기 위해 더 이상 반복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701에서,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은,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와 접속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S702에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S703에서,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고정 단말은,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한다.
S704에서,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패턴 인식기에 송신한다.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대화 액세스 요청 및 호출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난다고 결정할 때, 이동 단말은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패턴 인식기는,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이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가 또한 포함된다:
패턴 인식기는 고정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고정 단말에 송신한다.
전술한 구현예들의 설명을 이용하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을 더한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하나의 컴퓨터 디바이스(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휘발성 저장 매체(CD-ROM, 플래시 디스크, 착탈식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음)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은 실시예들의 개략도들일 뿐이며, 이러한 도면들에서의 흐름들 또는 모듈들은 본 개시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장치 내의 모듈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장치에 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실시예와는 상이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위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모듈들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서브모듈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실시예들을 상위 또는 하위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고정 단말, 및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와 접속된 패턴 인식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패턴 인식기는,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고정 단말은,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호출 정보 및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호출이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이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을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은, 호출 신호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으로 고정 단말에 대해 이 호출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이동 단말 및/또는 고정 단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는데, 이는 호출에 응답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호출 동기화 기능의 자동화 정도를 개선한다. 또한, 호출이 응답될 때,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가 구현되고, 따라서 통화 요금을 추가로 절감한다.
명백하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내용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내용에 대한 이러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의 청구항들 및 그것의 등가의 기술들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변경들 및 변형들을 또한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은 2014년 12월 19일자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41079841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에 의해 개시된 전체 내용은 이로써 본 출원의 일부로서 참조된다.

Claims (17)

  1.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으로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고정 단말, 및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와 접속된 패턴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상기 고정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단말은, 상기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이 상기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호출 액세스 응답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상기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fixed phone operation network)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상기 패턴 인식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대화 액세스 요청 및 상기 호출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난다고 결정할 때,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고정 단말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은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고,
    상기 고정 단말은, 상기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음성 재생 모듈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고,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고정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디스플레이를 위해 대응하는 저장된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고정 단말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 및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는 상기 고정 단말로 통합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는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로 통합되는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11.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에 의해, 착신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이 턴 온된다고 결정할 때,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동기화 요청을 패턴 인식기와 접속된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호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호출 액세스 요청을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고정 단말에 의해, 상기 호출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이 상기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때, 상기 고정 단말에 의해, 호출 액세스 응답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송신하고, 상기 고정 단말과 정합되는 고정 전화 운영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답한다고 결정할 때,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대화 액세스 요청을 상기 패턴 인식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대화 액세스 요청 및 상기 호출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고정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확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때,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온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고정 단말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떠난다고 결정할 때,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의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 호출 동기화 기능을 턴 오프하라는 명령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기에 의해, 상기 고정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반송하는 어드레싱 요청을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인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어드레싱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위해 대응하는 저장된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트랜스폰더를 통해 상기 고정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호출 동기화 방법.
KR1020167030855A 2014-12-19 2015-07-03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814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98416.2A CN104507063B (zh) 2014-12-19 2014-12-19 一种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CN201410798416.2 2014-12-19
PCT/CN2015/083242 WO2016095498A1 (zh) 2014-12-19 2015-07-03 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824A true KR20160141824A (ko) 2016-12-09
KR101814324B1 KR101814324B1 (ko) 2018-01-02

Family

ID=5294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855A KR101814324B1 (ko) 2014-12-19 2015-07-03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4257B2 (ko)
EP (1) EP3236681B1 (ko)
JP (1) JP6549158B2 (ko)
KR (1) KR101814324B1 (ko)
CN (1) CN104507063B (ko)
WO (1) WO2016095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0958B (zh) 2014-12-19 2018-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CN104507063B (zh) 2014-12-19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CN105721728A (zh) * 2016-02-16 2016-06-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WiFi的呼叫转移方法及智能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833A (en) * 1996-08-30 1999-05-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lls by remote control
EP1111886A1 (en) * 1999-12-23 2001-06-2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Telephone apparatus
KR20050076531A (ko)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착신전환 설정장치 및 방법
CN100454942C (zh) * 2004-06-25 2009-01-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使移动终端实现多模通信的系统和方法
US20060223511A1 (en) 2005-04-05 2006-10-05 Hagale Anthony R System and method for call forwarding based on localized wireless identification
JP2007266927A (ja) 2006-03-28 2007-10-11 Nec Commun Syst Ltd 携帯端末自動転送システム
CN101064755B (zh) 2006-04-30 2011-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实现呼叫转移的方法及电话终端
JP4902599B2 (ja) 2008-06-30 2012-03-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切替制御方法
CN102014349A (zh) 2010-12-07 2011-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呼叫转移的处理方法及终端
CN103079182A (zh) 2011-10-25 2013-05-01 上海博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nfc的终端自动呼转方法
CN103051815B (zh) * 2012-11-29 2015-09-0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呼叫转移的方法及其系统
US9578177B2 (en) * 2013-04-20 2017-02-21 Ichoose Applications Ltd. Establishing telephone communications with secondary devices
US9628969B2 (en) * 2013-05-03 2017-04-18 Unify Gmbh & Co. Kg Terminating an incoming connection request and active call movement
CN103873709A (zh) 2014-04-11 2014-06-18 上海博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和固话互相转移的方法
CN104507063B (zh) 2014-12-19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CN104410958B (zh) 2014-12-19 2018-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呼叫同步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324B1 (ko) 2018-01-02
EP3236681A1 (en) 2017-10-25
CN104507063B (zh) 2017-02-01
US20160353260A1 (en) 2016-12-01
US9554257B2 (en) 2017-01-24
WO2016095498A1 (zh) 2016-06-23
EP3236681A4 (en) 2018-08-15
JP6549158B2 (ja) 2019-07-24
JP2018500777A (ja) 2018-01-11
CN104507063A (zh) 2015-04-08
EP3236681B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030B2 (en) LTE cellular mobile network access system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US106383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plurality of mobile phones to share one SIM card
CN105493440A (zh)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JP2007037130A (ja) 転送情報をユーザに通知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通知方法
CN104539790A (zh) 一种平板电脑共享手机通讯功能的方法及系统
EP3131276B1 (en) Incoming call forwar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KR101013368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처리방법 및 장치
CN105357633B (zh) 连接建立方法及装置
KR101814324B1 (ko)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0051698A1 (zh) 一种用户终端振铃业务实现的方法、装置和系统
CN107124706B (zh) 一种手机间转接电话的方法、装置及系统
EP3236682B1 (en) Automatic calling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1572570A (zh) 一种无线上网卡通过移动终端进行信息处理的方法和系统
CN103582177A (zh) 扩展通信装置、系统、方法及应用代理装置、方法
CN107148008A (zh) 通话切换方法、系统、终端及服务器
CN102065368A (zh) 一种用户状态自动播放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7007802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통화 및문자전송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CN103139407B (zh) 互联网电话系统及其装置
CN108282588B (zh) 业务处理方法、终端设备和业务漫游网络
KR101144249B1 (ko)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JP200730618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4004678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CN106851576A (zh) 通话显示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8166239A (ja) 孤立用コアネットワーク機能を用いた通話確立方法、基地局、携帯端末、加入者識別子モジュール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