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249B1 -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249B1
KR101144249B1 KR1020090105643A KR20090105643A KR101144249B1 KR 101144249 B1 KR101144249 B1 KR 101144249B1 KR 1020090105643 A KR1020090105643 A KR 1020090105643A KR 20090105643 A KR20090105643 A KR 20090105643A KR 101144249 B1 KR101144249 B1 KR 10114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p
shortcut key
wlan
call
voip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897A (ko
Inventor
백승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0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2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은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상기 무선랜을 켤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에 따른 입력이 긍정 입력인 경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 및 VoI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으로 VoIP 서비스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 환경에서 단축키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Access Point)로 접속하거나 상기 AP와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AP, 단축키, VoIP, 무선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

Description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SHORTCUT KEY IN FIXED MOBILE CONVERGENCE TERMINAL}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Fixed Mobile Convergence)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입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입자들은 장소와 시간을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아울러, 유선통신망도 발전하여 한층 빠른 고품질의 유선통신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유선통신 서비스의 경계가 명확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상기 두 통신 서비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만 제공되던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유선 단말기에서 구현될 뿐 아니라, 유선 통신망에서만 제공되었던 온라인 게임, 웹 서핑 등의 인터넷 서비스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두 통신서비스를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실현됨에 따라, 가입자들은 하나의 유무선 통 합 단말을 이용하여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실내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전화 서비스(즉,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분포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집 또는 사무실 등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분포된 지역에 위치하면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런데 가입자들은 유무선 통합 단말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Access Point: 접속점, 이하 'AP'로 표기함)에 접속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친다. 예컨대, 가입자들은 유무선 통합 단말에 구현된 메뉴 트리에서 다수의 서브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이동통신망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 전환한다. 또한, 가입자들은 유무선 통합 단말에 구현된 메뉴 트리에서 다수의 서브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하기도 한다.
이렇게 현재 보급된 유무선 통합 단말은 접속망을 전환하기 위하여 가입자에게 여러 단계의 입력신호를 요청한다. 즉, 가입자들은 유무선 통합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 간의 접속 세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조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가입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번거로운 조작 절차로 인하여 유무선 통합 단말에 구현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텔레포니, 이하 'VoIP'로 표기함) 기능의 사용 빈도를 낮추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축키를 통하여 편리하게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하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은,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상기 무선랜을 켤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에 따른 입력이 긍정 입력인 경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 및 VoI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으로 VoIP 서비스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은,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짧은 경우, VoIP 서비스 관련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긴 경우, 가입자의 확인 없이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 및 VoI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으로 VoIP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 환경에서 단축키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로 접속하거나 상기 AP와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은 착신번호와 단축키가 입력되면 VoIP 기반의 호 발신을 즉시 수행함으로써,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조작의 편의성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한 번의 단축키 눌림 신호를 통하여 즉시 근거리 유선 통신망의 AP와 접속 세팅을 완료함으로써, 종래의 접속 세팅 과정에서 파생되는 가입자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100)은 이동통신 모듈(110),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 무선랜 모듈(130),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Connection Manager, 140), VoIP 클라이언트(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300)과 통신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기지국(300)으로부터 이동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의 제어에 따라 켜지거나 꺼진다.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는 이동통신 모듈(110)을 제어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300)으로 접속하거나 기지국(300)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예컨대, 위치등록 메시지, 호 연결 메시지, 호 응답 메시지 등)를 생성하거나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클 라이언트(120)는 이동통신 관련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이동통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300)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는 이동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30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석한다.
무선랜 모듈(13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200)와 통신하여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AP(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AP(200)로부터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랜 모듈(130)은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의 제어에 따라 켜지거나 꺼진다. 상기 AP(200)는 일종의 중계 장치로서, 유선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통합 단말(100)과 유선 인터넷망 사이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을 제어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200)로 접속하거나 해당 AP(200)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AP(200)로 접속할 때, 최근 접속한 AP로 접속을 시도하고 실패한 경우 가입자에 의해 등록된 AP 프로파일 순서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해당 AP로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AP 프로파일 목록에 기록된 AP로의 접속 시도도 실패한 경우 주변 AP를 탐색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이 중 선택된 어느 한 AP로 접속한다.
또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즉, 접속 요청 메시지, 접속 해제 메시지 등)를 생성하거나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 성한 후,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20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AP(200)로부터 유선 인터넷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석한다. 한편,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을 켜고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통하여 AP(200)로 접속한 경우, 상기 AP(200)와의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VoIP 클라이언트(150)로 보고한다.
VoIP 클라이언트(150)는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VoIP 서비스를 등록하여 VoIP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VoIP 클라이언트(15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등록(Register)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등록 메시지를 무선랜 모듈(130) 및 AP(200)를 이용하여 VoIP 서비스 서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함으로써, VoIP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VoIP 클라이언트(150)는 상기 무선랜 모듈(130) 및 AP(200)를 이용하여 VoIP 기반의 호를 상대방 단말과 설정하여 가입자에게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60)는 VoIP 클라이언트(150),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 및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를 제어하여, 이동통신기반의 통화 서비스 또는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유무선 통합, 이하 'FMC'로 표기함) 단축키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무선랜 모듈(130)을 켤 것인지 또는 무선랜 모듈(130)을 끌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결과에 따라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 또는 VoIP 클라이언트(15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또는, 제어부(160)는 FMC 단축키의 입력신호에 근거하 여 무선랜을 켤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Pop-up) 또는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팝업상 또는 메인 메뉴상에서 선택된 입력정보에 따라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 또는 VoIP 클라이언트(150)의 활성화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VoIP 클라이언트(150)에 의하여 VoIP 서비스에 등록된 후에, FMC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에 따라 즉시 VoIP 클라이언트(150)와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를 비활성화함으로써 VoIP 서비스 등록을 해제하고 무선랜 모듈(130)을 끄거나, 무선랜 모듈(130)을 끄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VoIP 서비스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VoIP 클라이언트(150)에 의하여 VoIP 서비스에 등록된 후에, 착신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FMC 단축키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VoIP 클라이언트(150)로 상기 착신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VoIP 호 발신을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VoIP 클라이언트(150)에 의하여 VoIP 서비스에 등록된 후에, 착신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FMC 단축키 이외의 통화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VoIP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 또는 이동통신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업 또는 선택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100)에서 FMC 단축키를 운영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이 비활성화된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FMC 단축키 입력신호에 따라 VoIP 서비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랜 모듈(130)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가입자의 의해 입력된 FMC 단축키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FMC 단축키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컨대, 0.7초)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 S203). 즉, 제어부(160)는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보다 긴지 또는 짧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면, 사용자 확인 과정없이 즉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와 VoIP 클라이언트(150)를 활성화한다(S205). 그러면, 활성화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을 켜고,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해당 AP(200)로 접속한다(S207, S209). 이어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AP(200)로 접속 완료되었음으로 S205 단계에서 활성화된 VoIP 클라이언트(150)로 보고한다.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부터 접속 완료를 보고받은 VoIP 클라이언트(150)는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에 의해 켜진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VoIP 통화 서비스를 담당하는 VoIP 서비스 서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SIP 기반의 VoIP 서비스 등록 메시지(즉, Register)를 전송한다(S211). 즉, VoIP 클라이언트(150)는 VoIP 서비스 등록 메시지를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AP(200)로 전송하고, AP(200)는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메시지를 유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담당하는 VoIP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VoIP 서비스를 등록한 유무선 통합 단말(100)은 가입자에게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S20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짧으면, VoIP를 켤지 여부를 가입자에게 묻는 팝업(Pop-up)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VoIP 서비스 메인 메뉴(도 3 참조)를 화면에 표시한다(S213). 상기 팝업의 일례로서 "인터넷 전화를 켜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의 일례로서 도 3과 같은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팝업상에의 선택정보 또는 상기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상에서의 선택정보에 근거하여 VoIP 클라이언트(150) 및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를 활성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이다.
유무선 통합 단말의 제어부(160)는 가입자의 입력된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컨대, 0.7초) 미만으로 짧으면, 도 3의 (a)와 같은 VoIP 서비스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도 3의 (a)에서 '켜기/크기'가 선택되면, 도 3의 (b)와 같은 서브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메인 메뉴상에서 '켜기/크기' -> '쿡인터넷전화 켜기' 메뉴가 순차적으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면, VoIP 클라이언트(150)와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 하여금 무선랜 모듈(130)을 켜게 하여 해당 AP(200)로 접속하게 하고, VoIP 클라이언트(150)로 하여금 VoIP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한다. 이에 따라,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상에서 '쿡인터넷전화 켜기'를 선택한 가입자는 유무선 융합 단말(100)을 이용하여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는, 제어부(160)는 상기 메인 메뉴상에서 '켜기/크기' -> '무선랜만 켜기' 메뉴가 순차적으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 하여금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켜게 하여 해당 AP(200)로 접속하게 한다. 이에 따라,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상에서 '무선랜만 켜기'를 선택한 가입자는 유무선 통합 단말(100)을 이용하여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지만, 상기 무선랜 모듈(130)과 접속된 AP(200)를 이용하여 저렴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즉, 가입자는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지 않고 AP(200)를 통하여 유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보다 저렴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유무선 통합 단말(100)은 S209 단계에서 AP(200)로 접속할 때,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AP 중에서 특정 AP(200)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AP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의 의해 활성화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을 켠 다음, 특정 AP(200)로 접속하기 위하여 최근 접속한 AP(200)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최근 접속 AP(200)로 접속을 시도한다(S401). 이어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최근 접속한 AP(200)로의 접속에 성공하면 상기 AP(2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최근 접속한 AP(200)와의 접속에 실패하면, 가입자가 직접 입력하여 저장한 다수의 AP 프로파일 목록을 확인한다(S403, S405). 이어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AP 프로파일 목록에 기록된 AP순으로(즉, 목록의 위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접속을 시도한다(S407). 각각의 AP 프로파일에는 AP 네트워크 이름, IP 주소,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보안 접속 여부 등의 AP 접속 정보가 기록되고,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AP 프로파일에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해당 AP(200)로 접속을 시도한다.
다음으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AP 프로파일 목록에 기록된 AP 중 어느 하나와 접속에 성공하면, 해당 AP(2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AP 프로파일 목록에 기록된 AP 모두와 접속에 실패하면,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된 지역 주변에서 접속 가능한 AP(200)를 탐색하고, 이렇게 탐색된 주변 AP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S409, S411). 이어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상기 접속 가능한 주변 AP 목록 중에서 특정 AP(200)를 가입자에 의해 선택받으면,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선택된 AP(200)로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130)과 상기 선택받은 주변 AP(200)와의 연결을 유지한다(S41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등록된 상태의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FMC 단축키 입력신호에 따라 무선랜 모듈을 끄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VoIP 서비스에 등록된 상태(즉, VoIP 클라이언트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가입자의 의해 입력된 FMC 단축키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FMC 단축키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컨대, 0.7초) 이상으로 긴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 S503). 즉, 제어부(160)는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보다 긴지 또는 짧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면, 사용자 확인 과정없이 즉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와 VoIP 클라이언트(150)를 비활성화한다(S505). 그러면, VoIP 클라이언트(150)는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VoIP 서비스 서버로 VoIP 서비스 등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여, VoIP 서비스 등록을 해제시키고 상기 VoIP 서비스 등록이 해제되었음을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 보고한다(S507). 이어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는 무선랜 모듈(130)과 해당 AP(200)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130)의 전원을 끔으로써 상기 무선랜 모듈(1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509). 이에 따라, 가입자는 FMC 단축키를 한번 입력함으로써, 유무선 통합 단말(100)의 무선랜 기능과 VoIP 통화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S50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FMC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짧으면, VoIP 서비스 메인 메뉴(도 3 참조)를 화면에 표시한다(S511).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상에서 입력된 선택정보에 근거하여 VoIP 클라이언트(150) 또는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를 비활성화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도 3의 (a)와 같은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상에서 '켜기/크기' -> '무선랜 끄기' 메뉴가 순차적으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면, VoIP 클라이언트(150)와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를 비활성화하여, VoIP 클라이언트(150)로 하여금 VoIP 서비스 등록 해제를 수행하게 하고, 더불어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 하여금 해당 AP(200)와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무선랜 모듈(130)을 끄게 한다. 이에 따라, 유무선 통합 단말(100)은 유선망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와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이동통신 기반의 서비스만을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60)는 도 3의 (a)와 같은 메인 메뉴상에서 '켜기/크기' -> '쿡인터넷전화만 끄기' 메뉴가 순차적으로 가입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만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로 하여금 VoIP 서비스 등록 해제를 수행하게 한다. 이에 따라, 유무선 통합 단말(100)은 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받지 못하지만, 상기 무선랜 모듈(130)과 접속된 AP(200)를 이용하여 보다 저렴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에 등록한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통화연결 모드에 근거하여 착신단말로 VoIP 호를 발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VoIP 클라이언트(150)가 VoIP 서비스에 등록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와 호 연결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601). 상기 착신 전화번호는 키패드를 통해서 가입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전화번호이거나, 최근통화목록에 포함된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록에 포함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호 연결 입력신호가 FMC 단축키 입력신호인지 또는 일반 통화키 입력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03). 제어부(160)는 상기 호 연결 입력신호가 FMC 단축키 입력신호가 아닌 일반 통화키 입력신호로 확인되면, 가입자가 사전에 설정한 통화연결 모드를 확인한다(S605). 즉, 제어부(160)는 일반 통화키가 입력되면, 해당 호를 이동통신 통화로 수행할 것인지 또는 VoIP 통화로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연결 모드를 확인한다. 상기 통화연결 모드는 발신시 선택 모드, 이동통신 통화연결 모드 또는 VoIP 통화연결 모드로 설정된다.
제어부(160)는 상기 통화연결 모드가 발신시 선택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VoIP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S607, S609).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메뉴상에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로 호 발신을 지시하거나 VoIP 클라이언트(150)로 호 발신을 지시한다(S611). 즉, 제어부(160)는 VoIP 통화 수행을 요구하는 선택신호를 가입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VoIP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는 무선랜 모듈(130)을 통하여 착신단말로 VoIP 호를 발신한다. 이때, 상기 VoIP 호는 상기 무선랜 모듈(130)과 접속된 AP(200) 및 유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인 착신단말로 전달된다. 또는,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통화 수행을 요구하는 선택신호를 가입자로부터 수신하면,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는 이동통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호를 착신단말로 발신한다.
제어부(160)는 S605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화연결 모드가 이동통신 통화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고 이동통신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클라이언트(120)로 하여금 이동통신 기반의 호를 착신단말로 발신하게 한다(S613, S615). 또는, 제어부(160)는 상기 통화연결 모드가 VoIP 통화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VoIP 클라이언트(15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고 VoIP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하여,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로 하여금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착신단말로 VoIP 호를 발신하게 한다(S617).
한편, 제어부(160)는 S603 단계에서 상기 호 연결 입력신호가 일반 통화키 입력신호가 아닌 FMC 단축키 입력신호로 확인되면, 통화연결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이 없이 즉시 VoIP 클라이언트(15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VoIP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VoIP 클라이언트(150)는 무선랜 모듈(130)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단말로 VoIP 호를 발신한다(S617).
정리하면, 가입자는 일반 통화키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할 때, 통화연결 모드를 세 가지(즉, 발신시 선택 모드, VoIP 통화연결 모드, 이동통신 통화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자신의 구미에 맞게 VoIP 통화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무선랜 모듈(130)이 꺼진 상태(즉, VoIP 클라이언트와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호 연결 입력신호로서 FMC 단축키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도 2의 S205 단계 내지 S211 단계와 같이 즉시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와 VoIP 클라이언트(150)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140)로 하여금 무선랜 모듈(130)을 켜게 하여 해당 AP(200)로 접속하게 하고, VoIP 클라이언트(150)로 하여금 VoIP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VoIP 클라이언트(150)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VoIP 기반의 호 발신을 지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MC 단축키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200)로 접속하거나 상기 AP(200)와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 환경에서, FMC 단축키를 통해 간편하게 VoIP 기반의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유선 인터넷망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접속 세팅 절차를 거쳐야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탈피하여 한 번의 FMC 단축키 눌림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AP(200)와 접속 세팅을 완료함으로써, 상기 접속 세팅 절차에서 유발되는 가입자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 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이 비활성화된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FMC 단축키 입력신호에 따라 VoIP 서비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VoIP 서비스 메인 메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AP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등록된 상태의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FMC 단축키 입력신호에 따라 무선랜 모듈을 끄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에 등록한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통화연결 모드에 근거하여 착신단말로 VoIP 호를 발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통신 모듈 120 : 이동통신 클라이언트
130 : 무선랜 모듈 140 :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
150 : VoIP 클라이언트 160 : 제어부

Claims (11)

  1. 무선랜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상기 무선랜을 켤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에 따른 입력이 긍정 입력인 경우,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
    VoI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으로 VoIP 서비스 등록하는 단계;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 이외의 통화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VoIP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 통화를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긴 경우, 상기 팝업 출력에 따른 가입자 확인 과정없이 상기 무선랜 켜기 및 VoIP 서비스 등록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단축키의 키 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상기 제 2 판단 결과 상기 단축키가 기 설정 시간 보다 짧게 눌릴 경우, VoIP 서비스 관련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판단 결과 상기 단축키가 기 설정 시간 보다 길게 눌릴 경우, VoIP 서비스 등록을 해제하고 상기 무선랜을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는,
    최근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의 접속 실패시, 등록된 프로파일 순서대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시도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의 접속 실패시, 주변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여 해당 목록을 표시하고 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 판단 단계 이전에,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랜을 통해 상기 착신 전화번호로 VoIP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6. 삭제
  7. 무선랜을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짧은 경우, VoIP 서비스 관련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보다 긴 경우, 가입자의 확인 없이 무선랜 커넥션 매니저를 활성화하여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 및
    VoI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으로 VoIP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단축키의 키 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상기 제 2 판단 결과 상기 단축키가 기 설정 시간 보다 짧게 눌릴 경우, VoIP 서비스 관련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판단 결과 상기 단축키가 기 설정 시간 보다 길게 눌릴 경우, VoIP 서비스 등록을 해제하고 상기 무선랜을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을 켜는 단계는,
    최근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의 접속 실패시, 등록된 프로파일 순서대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시도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의 접속 실패시, 주변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여 해당 목록을 표시하고 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눌림 시간 판단 단계 이전에,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랜을 통해 상기 착신 전화번호로 VoIP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서비스 등록 단계 이후에,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 이외의 통화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VoIP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 통화를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단축키 운영 방법.
KR1020090105643A 2009-11-03 2009-11-03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KR10114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43A KR101144249B1 (ko) 2009-11-03 2009-11-03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43A KR101144249B1 (ko) 2009-11-03 2009-11-03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97A KR20110048897A (ko) 2011-05-12
KR101144249B1 true KR101144249B1 (ko) 2012-05-10

Family

ID=4436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643A KR101144249B1 (ko) 2009-11-03 2009-11-03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919B1 (ko) * 2015-03-26 2017-09-05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32B1 (ko) * 2004-10-09 200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망 선택 접속 기능을 갖는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전화망 선택 접속 방법
KR100735376B1 (ko) * 2006-03-29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32B1 (ko) * 2004-10-09 200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망 선택 접속 기능을 갖는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전화망 선택 접속 방법
KR100735376B1 (ko) * 2006-03-29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919B1 (ko) * 2015-03-26 2017-09-05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97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19959B2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information, including call subject information, to a recipient of a telephone call
CN101288317B (zh) 用于利用无线手机进行通信的系统和方法
KR101669059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K2015607T3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a user identity
CN104539790A (zh) 一种平板电脑共享手机通讯功能的方法及系统
KR100960697B1 (ko)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EP345164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 established communication se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80077897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814324B1 (ko) 자동 호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JP2005159567A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JP2001274875A (ja) 通信端末
KR101144249B1 (ko)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의 단축키 운영 방법
KR20040106481A (ko) 메시지에 기초한 제어를 갖는 통신 시스템
WO2010016488A1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3236682B1 (en) Automatic calling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JP6631130B2 (ja) 構内交換機、構内交換プログラム、及び構内交換機システム
KR1006403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EP3051783B1 (en) A method for handling an outgoing call connection in a telecommunication device
EP2437478B1 (en)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ted mobile initiated calling
KR101016644B1 (ko) 통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357152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呼救済方法および電話交換機
KR100910301B1 (ko)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US20120077478A1 (en)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ted mobile intiated calling
JP404786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セン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