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897A -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897A
KR20080077897A KR1020070120150A KR20070120150A KR20080077897A KR 20080077897 A KR20080077897 A KR 20080077897A KR 1020070120150 A KR1020070120150 A KR 1020070120150A KR 20070120150 A KR20070120150 A KR 20070120150A KR 20080077897 A KR20080077897 A KR 2008007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short message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812B1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 콜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콜게이트 filed Critical (주) 콜게이트
Priority to CN20088001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682832A/zh
Priority to PCT/KR2008/000977 priority patent/WO2008102974A1/en
Priority to JP2009550794A priority patent/JP2010519841A/ja
Priority to US12/528,315 priority patent/US20100203907A1/en
Priority to EP08723018A priority patent/EP2119261A1/en
Publication of KR2008007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WCDMA 망과 1x EV-DO망 환경에서 별도의 화상통화 키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상통화를 포함한 3G 서비스의 접근방식을 음성통화 키에도 확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3G서비스의 노출도를 한층 증가시키고, 3G 서비스 이용 관련 착신상태 정보와 착신 이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3G 콘텐츠 정보를 호 연결 이전 단계에 발신자에게 제공하여 발신자가 화상통화 및 3G 서비스를 착신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G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상통화, 단문메시지(SMS), 3G 콘텐츠

Description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종래의 WCDMA 망과 1x EV-DO망 환경에서 별도의 화상통화 키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상통화를 포함한 3G 서비스의 접근방식을 음성통화 키에도 확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3G서비스의 노출도를 한층 증가시키고, 3G 서비스 이용 관련 착신상태 정보와 착신 이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3G 콘텐츠 정보를 호 연결 이전 단계에 발신자에게 제공하여 발신자가 화상통화 및 3G 서비스를 착신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G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WCDMA 망에서 제공하고 있는 화상 전화 서비스는 H.324M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회선(Circuit) 방식이고, 1x EV-DO 망에서 제공하고 있는 화상 전화 서비스는 H.323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패킷(Packet) 방식으로, 발신자는 상기 방식의 화상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커버리지 내의 지역 및 국가에서 착신번호와 함께 별도의 화상통화 키를 누르면 발신단말기는 화상통화 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때 착신자 또한 회선 또는 패킷 방식의 화상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보유하고 화상통화 커버리지 내에 위치해야만, 상기 화상통화 호에 응답하여 상호 단말간에 통화로가 설정되고 멀티미디어 통신 제어 프로토콜 협상(H.245)을 통하여 화상통화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망 환경에서 화상호를 수신한 착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지원하지 않거나 서비스 커버리지 외 위치 시에는 화상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보유한 착신 이용자가 화상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원하지 않는 특정인 또는 익명의 발신자에게 화상통화 요청을 받은 경우에도 상기 요청에 응답을 하지 않는 상황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방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통화하는 화상통화는 착신단말기의 상태나 착신자의 의도에 의해 통화연결이 좌우되기 때문에 음성통화를 시도할 때보다 실패율이 높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이용자는 화상통화 이용에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착신단말기의 상태나 착신자의 의도를 모르는 상황에서 별도의 화상통화 키를 선택하여 화상통화를 시도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이용자는 화상통화 키를 선택할 때부터 연결가능 유무에 대하여 고민을 하게 되고, 이는 화상통화 키의 선택을 감소시켜 화상통화의 전반적인 이용률을 떨어지게 만드는 주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WCDMA 망 또는1x EV-DO망 환경에서 상기 망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가지고 음성호 또는 화상호 발신을 시도할 경우, 상기 호에 대하여 화상통화를 포함한 3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즉, 착신 단말의 3G 서비스 지원 유무와 3G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그리고 착신자가 사전에 설정한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 등에 대한 3G 서비스 관련 착신상태 정보와 착 신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3G 콘텐츠 정보를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호의 연결 이전 단계에 발신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발신자가 음성호 또는 화상호 발신 즉시 3G서비스 이용 관련 착신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지원되는 3G 서비스를 조회한 후, 음성통화를 포함한 이용 가능한 3G 서비스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단말기에서 특정 착신단말기로 통화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그와 함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항목 중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서비스 항목 중에서 상기 음성통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화상통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수행하며,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해당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패킷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는, 발신단말기가 특정 착신단말기로 통화호 요청을 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는 내부에 등록되어 있는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3G 콘텐츠 정보와 상기 수신한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단 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문메시지는 TID(Tele-service ID) 규격의 단문메시지로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는 발신자의 호 시도에 의해 기지국과 발신단말기 간의 연결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각각 상기 서비스 서버와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화호 요청은 음성호 요청, 화상호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착신정보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불가능인 경우, 화상통화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키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신단말기와 음성 및 화상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착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저장한 홈 위치 등록기와,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한 경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착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그와 함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항목 중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상기 서비스 항목 선택에 의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와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3G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한 서비스 이용자 DB와, 상기 이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의 정보를 저장한 화상통화 수신 상태 DB와, 상기 이용자가 등록한 3G 콘텐츠를 저장한 3G 콘텐츠 DB와, 상기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의 정보, 상기 3G 콘텐츠의 정보, 착신단말 기의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생성한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하여 지정된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전송부와, 상기 발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접속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접속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발신단말기 또는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단문메시지센터(SMSC)와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단문메시지 송신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상통화 키 선택을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었던 화상통화 및 특정 3G 서비스를 음성통화 키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방식을 획기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음성통화 이용자에게도 화상통화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추가적인 3G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여 착신 상태에 따라 적절한 통화 방법 및 3G 서비스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화상통화를 포함한 3G 서비스의 이용을 적극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문메시지를 통한 3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을 위한 이동통신망의 시스템은, 발신단말기(100), 착신단말기(900), 홈 위치 등록기(500), 서비스 서버(600)을 포함하며, 이들 외에도 기지국(200), 기지국 제어기(300), PSDN(350), 이동 교환기(400), SMSC(700)을 포함한다.
상기 발신단말기(100) 및 착신단말기(900)는 WCDMA 망 또는 1x EV-DO 망 환경에서 화상통화를 포함한 보편적인 3G 서비스를 지원하고, 특정 규격의 단문 메시지 수신 시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거나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정의된 절차에 따라 메뉴화하고, 특정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Radio Transceiver Subsystem)(200)은 상기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Radio Network Controller)(300)는 기지국(200)과 이동 교환기(400)간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담당하며,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400)는 발신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음성호 및 화상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500)는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부가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한다.
서비스 서버(600)는 홈 위치 등록기(500)에서 제공하는 착신단말기의 3G 서 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 및 착신 이용자가 설정한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와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발신 및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3G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발신 및 착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발신 및 착신단말기에 전송한다.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700)는 상기 서비스 서버(600)와 이동 교환기(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600)에서 생성된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를 발신 및 착신단말기에 전송한다.
PDSN(Packet Data Serving Node)(350)은 상기 서비스 서버(600)와 기지국 제어기(3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600)와 발신 및 착신단말기 간에 전송되는 패킷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며, 인터넷망(800)은 발신자가 인터넷 기록 매체를 통하여 3G 콘텐츠를 조회하고 등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통한 3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블록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우선, 착신단말기(700)는 홈 위치 등록기(500)에 연결된 서비스 서버(600)에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정보, 3G 콘텐츠 정보를 설정(S200) 등록한다.
발신단말기(100)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호를 발신한다(S201). 상기 통화호는 음성호 또는 화상호 등을 포함하는 통화 요청 콜이다.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이동 교환기(400)는 착신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500)에 요청하고(S202), 홈 위치 등록기(500)는 착신 정보를 조회한다(S203). 상기 착신 정보는 착신단말기(900)의 3G 서비스 지원 유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서비스 서버(600)에 전달하면서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을 한다(S204). 이어서 서비스 서버(600)는 홈 위치 등록기(500)에서 제공한 상기 착신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유무 정보에 착신 이용자가 직접 설정한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와 3G콘텐츠의 정보 등을 포함하여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발신단말기에 전송한다(S205).
상기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는 단문메시지 고유 ID(Identification), 즉 TID(Tele-Service ID)의 규격 중, 특정 규격을 사용하여 단문메시지 수신 즉시 발신단말기(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 단문메시지와 동일한 80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를 단말기의 프로그램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는 발신자의 호 발신 시도에 의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200)과 발신단말기(100) 사이에 연결된 발신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하여 트래픽 채널을 추가로 개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단문메시지의 전송 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단문메시지의 전송 즉시 발신단말기(100)가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단문메시지가 안고 있는 지연 도착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단문메시지를 통한 본 발명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발신단말기(10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S206)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착신단말기(700)의 3G 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 및 착신자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 등의 3G관련 착신상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고, 착신 이용자가 등록한 3G 콘텐츠의 선택 메뉴를 음성통화 및 화상통화 메뉴와 함께 화면에 구성한 후, 상기 3G관련 착신상태 정보에 따라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메뉴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상기 발신자가 음성통화 및 화상통화 및 3G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S210).
화상통화 및 3G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발신자가 음성통화 연결을 시도할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S201 단계에서 발신자가 지정한 착신번호로 음성호 발신을 시도하고(S211) 이어서 이동 교환기(400)는 음성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S212). 상기 음성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S213).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발신자가 화상통화 연결을 시도할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착신번호로 화상호 발신을 시도하고(S221) 이어서 이동 교환기(400)는 화상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S222). 상기 화상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고 화상통신의 표준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 협상을 완료함으로써 화상통화가 이루어진다(S223). 3G 콘텐츠 이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발신자가 3G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3G 콘텐츠의 주소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600)에 위치한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하고(S231), 이어서 상 기 착신번호로 음성호를 발신한다(S232). 이에 따라 이동 교환기(400)는 음성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고(S233), 상기 음성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S234).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한 발신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600)와 패킷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가 음성통화를 하면서 상기 3G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235).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가 음성호 또는 화상호 발신을 시도할 경우, 3G 서비스 이용 관련 착신상태와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서비스 서버(600)에서 착신단말기의 3G 지원 유무 정보와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를 판단하여, 착신자가 화상통화 수신이 어려운 경우에 한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신자는 화상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한 후 음성통화 또는 3G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 화상통화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 없이 바로 화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홈 위치 등록기(500)에서 화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경우, 서비스 서버(600)는 이용자가 설정한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이를 홈 위치 등록기(500)에 제공해야 한다.
상기 3G 콘텐츠는 발신자가 음성통화 이용 중에 착신 이용자가 등록한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음악, 게임, 문자 게시판 등을 독립적으로 이용하는 독립형(Stand-alone) 콘텐츠와 음성통화 이용 중에 착신 이용자와 함께 채팅, 네트워크 게임 등을 이용하는 인터렉티브형(Interactive) 콘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3G콘텐 츠 중 인터렉티브형(Interactive) 콘텐츠를 등록하여 이를 발신자와 착신자가 함께 쌍방향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각 구성 블록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발신단말기(100)가 음성호 또는 화상호를 발신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600)가 상기 특정 단문메시지를 발신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발신단말기(100)가 내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3G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발신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절차(S300 ~ S310)는 도 2 의 S200 ~ S210과 동일함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신자가 3G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3G 콘텐츠의 주소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600)에 위치한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하고(S331), 서비스 서버(600)는 상기 콘텐츠의 주소정보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착신단말기(900)에 전송한다(S332).
상기 콘텐츠에 접속한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착신번호로 음성호를 발신하고(S333), 이에 따라 이동 교환기(400)는 음성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며(S334), 상기 음성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S335).
한편,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착신단말기(900)는 상기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의사를 착신자에게 확인시킨 후 착신자가 이용을 원할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접속한다(S336). 이와 같이 발신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가 동일한 3G 인터렉티브 콘텐츠에 접속하 여 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S337,S38)함으로써,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가 음성통화를 하면서 상기 콘텐츠를 함께 이용하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착신자가 등록한 3G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발신자의 이용 요청에 따라 함께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상기 콘텐츠를 등록해 놓은 이용자가 호를 발신하게 될 경우에도 음성통화를 하면서 자신이 등록해 높은 콘텐츠를 선택하여 임의의 착신자와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6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서버(60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500)와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700), 인터넷망(800)과 PDSN(Packet Data Serving Node)(350)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규정된 서비스 요건에 따라 서비스 서버(600) 내의 장치들에게 전송하여 처리를 지시하고, 서비스 서버(600) 내의 장치들이 제공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600)와 연결된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하는 등의 인터페이스 및 중앙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401)를 구비한다.
서비스 이용자 DB(4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G 관련 착신상태 정보 및3G 콘텐츠를 지정된 발신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와 상기 가입자가 지정한 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화상통화 수신 상태 DB(403)는 서비스 가입자가 단말기 또는 인터넷망(800)의 기록매체를 통하여 가상의 발신자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에 따라 설정한 화상 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3G 콘텐츠DB(404)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단말기 또는 인터넷망(800)의 기록매체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그룹에 따라 3G 콘텐츠를 등록할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단문메시지 처리부(405)는 상기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와 3G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3G 콘텐츠 관련 정보, 착신 가입자의 단말기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의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특정 규격의 단문메시지를 작성 생성한다.
단문메시지 전송부(406)는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605)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700)를 통하여 지정된 발신 이용자의 단말기 번호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407)는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기 또는 인터넷망(800)의 기록매체를 통하여 특정 콘텐츠에 접속 요청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콘텐츠에 접속하도록 처리하고, 이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해당 장치가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데이터 전송부(408)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7)에서 처리된 정보를 PDSN(Packet Data Serving Node)(350) 또는 인터넷망(800)을 통하여 발신 및 착신 이용자의 단말기 또는 인터넷망(800)의 기록매체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 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가 음성호 또는 화상호를 시도하면(S501), 홈 위치 등록기(500)의 요청을 받은 서비스 서버(600)는 3G 서비스 이용 관련 착신상태 정보와 착신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3G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발신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발신단말기(100)는 내장된 프로그램의 규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3G 관련 착신상태 정보와 지원하는 서비스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제공한다.
상기 착신상태 정보는 착신단말기의 3G 서비스 이용 가능 여부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및 착신자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유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에 따라 발신단말기(100)의 프로그램은 화상통화와 3G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지원하는 3G 서비스의 메뉴를 활성화하여 발신자가 이용할 수 있게 한다(S502). 만약, 서비스 가입자가 화상통화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화상통화 수신 불가 설정을 할 경우, 화상통화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상기 발신자가 이용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신자가 음성통화를 선택하면 발신단말기(100)는 음성호를 발신하게 된다(S503).
또한, 상기 발신자가 상기 S502 단계에서 3G 콘텐츠 이용을 선택할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3G 콘텐츠의 주소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600)에 위치한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한다(S511). 이어서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번호로 음성호를 발신하고 이동 교환기(400)의 음성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신 및 착신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고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S512).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상기 3G 콘텐츠가 발신단말기(100)에 제공되면, 음성통화를 이용 중인 상기 발신자는 3G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동시작업 실행(Multi-Tasking) 키를 이용하여 상기 3G 콘텐츠 화면을 선택하여 이용한다(S513).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문메시지를 통한 3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통한 3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블록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G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각 구성 블록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Claims (12)

  1. 발신단말기에서 특정 착신단말기로 통화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그와 함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항목 중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서비스 항목 중에서 상기 음성통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화상통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수행하며,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해당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패킷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단말기가 특정 착신단말기로 통화호 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내부에 등록되어 있는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3G 콘텐츠 정보와 상기 수신한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발신단말기의 호 발신에 의해 기지국과 발신단말기 간에 연결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3G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착신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 정보 내에 있는 주소정보에 따라 상기 3G 콘텐츠가 위치한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각각 상기 서비스 서버와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호 요청은 음성호 요청, 화상호 요청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는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3G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화상통화 및 콘텐츠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키지 않고, 상기 착신단말기가 3G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화상통화 수신 불가능인 경우, 화상통화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키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1. 발신단말기와 음성 및 화상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착신단말기;
    상기 착신단말기의 3G서비스 지원 유무 정보와 3G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저장한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 3G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한 경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착신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 착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그와 함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항목 중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상기 서비스 항목 선택에 의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와의 음성통화, 화상통화, 3G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단말기
    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3G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한 서비스 이용자 DB;
    상기 이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의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의 정보를 저장한 화상통화 수신 상태 DB;
    상기 이용자가 등록한 3G 콘텐츠를 저장한 3G 콘텐츠 DB;
    상기 화상통화 수신 가능 유무의 정보, 상기 3G 콘텐츠의 정보, 착신단말기의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
    상기 생성한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하여 지정된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전송부;
    상기 발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3G 콘텐츠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접속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접속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발신단말기 또는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단문메시지센터(SMSC)와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단문메시지 송신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120150A 2007-02-21 2007-11-23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97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80012068A CN101682832A (zh) 2007-02-21 2008-02-20 利用短消息服务提供3g业务的方法和系统
PCT/KR2008/000977 WO2008102974A1 (en) 2007-02-21 2008-02-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JP2009550794A JP2010519841A (ja) 2007-02-21 2008-02-20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利用した第3世代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12/528,315 US20100203907A1 (en) 2007-02-21 2008-02-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EP08723018A EP2119261A1 (en) 2007-02-21 2008-02-2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539 2007-02-21
KR1020070017539 2007-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97A true KR20080077897A (ko) 2008-08-26
KR100977812B1 KR100977812B1 (ko) 2010-08-25

Family

ID=398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50A KR100977812B1 (ko) 2007-02-21 2007-11-23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03907A1 (ko)
EP (1) EP2119261A1 (ko)
JP (1) JP2010519841A (ko)
KR (1) KR100977812B1 (ko)
CN (1) CN101682832A (ko)
WO (1) WO2008102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1080B (zh) * 2010-01-15 2013-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传输方法、系统及光网络设备
US8195144B2 (en) * 2010-04-07 2012-06-05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resetting a non-responsive mobile unit then-currently occupying a cellular traffic channel of a wireless network
CN101931909A (zh) * 2010-08-23 2010-12-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3g终端的信息生成和获取方法、系统及3g终端
CN102378226B (zh) * 2010-08-26 2014-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2m业务的优化方法及装置
JP5581953B2 (ja) * 2010-10-06 2014-09-0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20130179507A1 (en) * 2012-01-06 2013-07-11 Microsoft Corporation Communicating Media Data
TWI488061B (zh) * 2012-12-19 2015-06-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用於行動裝置的資料查詢系統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0139C (en) * 1992-09-29 1997-02-18 William Walter Demlow Information display provided to calling party
US5805682A (en) * 1995-11-30 1998-09-0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thod for delivering call related information to a video display
US6459780B1 (en) * 2000-02-15 2002-10-01 Verizon Servic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ed party call disposition options in real time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7342917B2 (en) * 2001-10-02 2008-03-11 Comverse, Inc. Multimedia personalized call management (MPCM)
KR20040102954A (ko) * 2003-05-30 2004-12-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호 완료 서비스 방법
FR2865091B1 (fr) * 2004-01-14 2006-04-28 Cit Alcatel Procede de repli d'une demande d'etablissement d'une liaison multimedia vers une demande d'etablissement de liaison audio, par determination de la capacite de liaison
KR100695265B1 (ko) * 2004-07-07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301023C (zh) * 2004-07-30 2007-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提前接收主叫号码的系统及方法
DE102005050586B3 (de) * 2005-10-21 2006-11-02 Siemens Ag Verfahren zum Aufbau einer Videotelefonverbindung und/oder Multimediatelefonverbindung in einem Datennetz
US8521186B2 (en) * 2006-01-18 2013-08-27 Rockstar Consortium Us Lp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ocation-enhanced presence information for entities subscribed to a communications system
US7979059B2 (en) * 2006-02-06 2011-07-12 Rockefeller Alfred G Exchange of voice and video between two cellular or wireless telephones
CN100455008C (zh) * 2006-08-11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通信方法及系统
KR100842544B1 (ko) * 2006-09-1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일러블 영상 코딩을 이용한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시스템
US9100936B2 (en) * 2007-04-12 2015-08-04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utually supported capabilities between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832A (zh) 2010-03-24
WO2008102974A1 (en) 2008-08-28
KR100977812B1 (ko) 2010-08-25
JP2010519841A (ja) 2010-06-03
EP2119261A1 (en) 2009-11-18
US20100203907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7812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415761B1 (ko)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100683026B1 (ko) 가상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60126520A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0336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10106742A (ko)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11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방법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152625B1 (ko)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40084541A (ko) 단말 저장 방식을 이용한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20858B1 (ko) 외부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및 장치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0910301B1 (ko)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KR20060081985A (ko)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68454B1 (ko)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5928A (ko)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KR20050071951A (ko) 음성/데이터 동시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및 음성/데이터 동시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
KR20080104526A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080020747A (ko) 메시지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