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54B1 -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54B1
KR100668454B1 KR20050051749A KR20050051749A KR100668454B1 KR 100668454 B1 KR100668454 B1 KR 100668454B1 KR 20050051749 A KR20050051749 A KR 20050051749A KR 20050051749 A KR20050051749 A KR 20050051749A KR 100668454 B1 KR100668454 B1 KR 10066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service
call
dtmf sig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363A (ko
Inventor
박시우
노재형
안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5005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54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5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가 서비스 요청을 위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통화 중에도 키 버튼의 입력을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통화 종료 후 연락처 전달, 배경 음악이나 통화 대기음 변경을 위하여 일일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DTMF, 통화, 부가 서비스, 키 버튼, 명함, 배경음, 통화 대기음, 전송

Description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by Detection DTMF Signal while Phone C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시스템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본 발명은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통화 중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의 키 버튼 입력을 통한 부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키 버튼 입력에 따른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즉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처리 결과를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로 알려주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각종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또한, 사용자와 사용자,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와 사용자, 일반 업체와 사용자 사이에 다양한 정보들을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전송, 수신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가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유사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생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의 기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녹음 기능, 자동 응답 기능, 전화번호부 저장 기능, 명함 전송 기능, 게임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 장치의 결합에 따라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TV 수신, 라디오 수신, MP3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첨가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도 이동통신망에 포함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이 있으면 착신자가 설정한 음악을 대기음으로 제공하는 통화 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 통화 중에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설정한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제공하는 통화음(BGM: Back Ground Music)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위치 추적 서비스(GPS: Global Positioning Service), 길 안내 서비스, 채팅, 영화 예매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거나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이거나, 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녹음 기능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없다. 또한, 녹음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떠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없다.
그러나,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하다 보면,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예로써, 통화 중 상대방이 설정한 통화 대기음이나 배경음이 좋아 자신의 통 화 대기음 또는 배경음으로 설정을 원하는 경우, 통화가 종료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일일이 검색하여 설정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자신이나 타인의 연락처를 상대방에게 알려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통화 중 직접 말로 연락처를 불러주어 상대방으로 하여금 받아 적게 하거나, 통화가 완료된 후 자신이 설정한 명함을 전송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신이나 타인의 연락처를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통화 중 녹음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복잡하게 조작해야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는 녹음을 실행시키지 못하거나, 여러 가지 버튼의 조작을 통해 녹음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통화 중에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 통화 중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의 키 버튼 입력을 통한 부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키 버튼 입력에 따른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즉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처리 결과를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로 알려주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가 서비스 요청을 위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신된 DTMF 신호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DTMF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음성 호 신호, 부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신호의 교환 및 처리를 수행하며, 음성 통화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DTMF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 위치 등록기;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음성 통화 중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메인 시스템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제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고, DTMF 신호를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수신부; DTMF 신호에 따라 제공 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서비스 서버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DTMF 처리부;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DTMF 처리부에서 생성된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송신 무선망(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132), 단문 메시지 센터(134), 메인 시스템 서버(14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 데이터베이스부(160), 수신 무선망(170) 및 착신 단말기(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무선망(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132), 단문 메시지 센터(134), 메인 시스템 서버(14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수신 무선망(170)을 이동통신망이라 부른다.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8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가 가능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80)는 호 발신 및 데이터 요청 신호의 전송을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키 버튼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DTMF 신호는, 키 버튼이 입력되면 각 키 버튼에 설정된 저주파와 고주파의 두 주파수를 섞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로써, 단말기에서 '1'번이 눌러지면 단말기는 697 Hz의 저주파와 1209 Hz의 고주파를 섞어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망에서는 이 두 주파수를 통해 '1'이 눌러졌음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 외에도 단말기는 '2'번이 눌러지면 697 Hz의 저주파와 1336 Hz의 고주파를 섞어서 전송하고, '3'번이 눌러지면 697 Hz의 저주파와 1447 Hz의 고주파를 섞어서 전송하며, '4'번이 눌러지면 770 Hz의 저주파와 1209 Hz의 고주파를 섞어서 전송 방식을 이용하며, 이동통신망도 전송된 저주파와 고주파를 확인하여 어떠한 키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송신 무선망(120)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및 중계기(Cell Enhancer) 등으로 구성되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호 요청 신호, 데이터 요청 신호 및 DTMF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할하는 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발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 기능도 수행한 다.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은 메인 시스템 서버(140)와 연결되어 음성 호 신호, 데이터 신호 및 DTMF 신호를 교환 및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메인 시스템 서버(140) 사이의 연결은 지능망(IN: Intelligent Network)과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능망은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신규 서비스의 개발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망으로 다양한 부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으로, 이동통신 교환국(130)이 지능망과 연동되는 경우, 교환기로 지능망 교환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가 사용된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2)는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80)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등록 정보와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발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단말기(180)의 단말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기 제조 업체, 모델명, 지원 가능 서비스, 최대 지원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문 메시지 센터(SMSC: Short Messaging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칭함)(134)는 본 발명에 따라 DTMF 신호에 의해 메인 시스템 서버(140)를 통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되면,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단말기(18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연결되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 사이의 음성 통화 중 DTMF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DTMF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DTMF 신호에 설정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연결하여, 발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단말기(180)가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교환기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교환기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내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메인 시스템 서버(140)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가입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42)는 각 가입자가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가, 메인 시스템 서버(140)로부터 DTMF 신호가 전달되면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요청된 부가 서비스 정보가 어떤 것인지를 메인 시스템 서버(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HLR(312)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단말기(180)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서비스 서버, 예로써 통화 중 음성 녹음을 위한 음성 녹음 서비스 서버, 통화 중 명함 전달을 위한 명함 서비스 서버,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 배경음 서비스 서버 및 통화자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 통화 중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전송하기 위한 사진/동영상 전송 서비스 서버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에 포함된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망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망 외부에 위치하여 인터넷이나 전용선을 통해 메인 시스템 서버(140)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60)는 메인 시스템 서버(140) 및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와 연동하여,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제공 요청 또는 데이터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메인 시스템 서버(140)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 및 데이터베이스부(160)에서의 데이터 저장 및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 무선망(170)도 송신 무선망(120)과 같이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및 중계기 등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해 전송되는 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착신 단말기(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호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80)가 위치한 수신 무선망(170)을 파악해야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180)가 셀에 진입한 경우, 또는 셀 내 에 위치한 착신 단말기(18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위치 등록을 통해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를 파악한 뒤, 파악된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시스템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E1 처리부(210), DTMF 수신부(220), DTMF 처리부(230), 시스템 연동부(240), 사용자 정보 처리부(250),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60), SMS 발신 요청부(270) 등을 포함한다.
E1 처리부(21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QDF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DTMF 신호 및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TMF 수신부(220)는 E1 처리부(210)를 통하여 DTMF 신호를 수신하여 DTMF 처리부(230)로 전달하는 부분이고, DTMF 처리부(230)는 DTMF 수신부(220)로부터 전달받은 DTMF 신호를 확인하여, 시스템 연동부(240)를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부가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SMS 발신 요청부(27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시스템 연동부(240)는 DTMF 처리부(230)에서 DTMF 신호에 따른 부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서비스의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처리 결과를 수신하 여 DTMF 처리부(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정보 처리부(250)는 이동통신 교환기(130)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DTMF 신호에 따라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로부터의 부가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 처리 결과가 DTMF 처리부(230)로 전달되어, DTMF 처리부(230)가 SMS 발신 요청부(270)로 부가 서비스 처리 결과를 전달할 때, 사용자 정보 또는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DTMF 신호에 따라 각 가입자별로 사전에 설정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한 경우, 단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고, DTMF 처리부(230)로부터 어떤 숫자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60)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통해 가입자가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DTMF 처리부(230)로 해당 가입자의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가입자는 사전에 입력되는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야 하며, 이를 위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테이블의 설정을 위하여 입력된 DTMF 신호 및 부가 서비스의 목록을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중 해당 가입자의 계정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60)는 사용자 정보 처리부(250)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테이블을 검색하거나,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MS 발신 요청부(270)는 DTMF 처리부(230)로부터 수신한 부가 서비스 처리 결과와, 사용자 정보 처리부(250)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SMSC(134)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처리 결과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가입자가 설정하는 부가 서비스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고,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사전에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테이블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도록 설정한 경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검색, 설정 및 연결을 위한 사용자 정보 처리부(250)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6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를 확인한 뒤,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 사이의 통화를 연결시킨다(S300).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 사이에 통화가 연결되면,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연동되는 메인 시스템 서버(140)에서는 DTMF 수신부(220)를 통하여 DTMF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S310).
메인 시스템 서버(140)에서는 DTMF 신호가 수신되면, DTMF 신호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착신 단말기(180)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DTMF 신호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신호인 경우, DTMF 처리부(230)는 DTMF 신호를 통하여 어떤 서비스의 요청이 있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요청된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DTMF 신호에 따른 서비스 종류를 설정하여야만 한다.
여기서 DTMF 신호에 따른 서비스 종류 설정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즉 메인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사전에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가입자별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설정하도록 하여, 입력되는 DTMF 신호에 따라 가입자가 설정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부가 서비스 요청을 위하여, 발신 단말기(110) 사용자는 키 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이나 '*' 등의 특수 버튼이 입력되면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S330).
DTMF 신호를 통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녹음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있으면, 부가 서비스 서버부(150)의 음성 녹음 서비스 서버는 음성 녹음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의 발신자 계정으로 설정된 영역에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 사이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저장한다(S340).
그러나 S330 단계에서 DTMF 신호를 확인한 결과, 명함이나 사진의 전송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명함 서비스 서버나 사진 서비스 서버로 명함 또는 사진의 전송을 요청하고, 명함 서비스 서버나 사진 서비스 서버는 명함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진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신자의 계정에 설정되어 있는 명함 또는 사 진을 착신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이 때, 명함이나, 사진 등의 컨텐츠 전송 외에도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착신 단말기(180)로 전송할 수도 있다(S350).
또한, S330 단계에서 DTMF 신호를 확인한 결과, 통화 대기음 서비스나 배경음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서비스가 통화 대기음 설정 서비스 또는 배경음 서비스 여부를 확인한다(S360).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인 경우,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착신 단말기(180)의 단말 번호를 확인한다. 착신 단말기(180)의 단말 번호 확인은 HLR(132)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착신 단말기(180)의 단말 번호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자가 설정한 통화 대기음을 확인한다. 착신자의 통화 대기음 확인은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나 통화 대기음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가능하다.
착신자의 통화 대기음 확인이 완료되면,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착신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한다(S362).
여기서, S36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배경음 서비스 요청인 경우,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배경음 설정 요청인지, 배경음 제공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70).
배경음 설정 요청인 경우, S362 단계의 통화 대기음 설정과 유사하게, 착신 단말기(180)의 단말 번호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설정한 배경음을 확인한 후, 확인된 배경음을 발신자의 배경음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72).
배경음 제공 요청인 경우, 배경음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에게 설정된 배경음을 확인한 후, 발신자에게 설정된 배경음을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로 제공한다(S374).
S340 단계를 통하여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 녹음이 시작되거나, S350 단계를 통하여 착신 단말기(180)로 명함이나 사진이 전송 완료되었거나, S362 단계를 통하여 통화 대기음이 설정되었거나, S372 단계를 통하여 배경음이 설정되었거나, S374 단계를 통하여 배경음이 발신 단말기(110)나 착신 단말기(180)로 제공되면, 서비스를 제공한 부가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처리 결과를 메인 시스템 서버(140)로 전송하고,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SMS 발신 요청부(270)를 통해 단문 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SMSC(134)로 전송하며, SMSC(134)는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발신 단말기(110)로 서비스 처리 결과를 확인시켜주기 위한 서비스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 때, S374 단계를 통한 배경음 제공에 대한 서비스 제공 확인은 발신자가 통화 중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경음 제공에 대한 메시지 전송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S340 단계를 통한 통화 내용 녹음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통화 내용의 녹음을 시작할 때, 종료되었을 때 모두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S380).
그리고,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하여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 사이에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통화 중인 경우에는 별도의 DTM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90).
여기서, S320 단계에서, DTMF 신호가 착신 단말기(18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S330 단계 내지 S374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때, S350 단계에서는 착신자가 설정한 명함이나 사진을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S362 단계 및 S372 단계에서는 발신자가 설정한 통화 대기음이나 배경음을 착신자의 통화 대기음이나 배경음으로 설정한다. 또한, S374 단계에서는 착신자가 설정한 배경음을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로 제공한다. 그리고, S380 단계의 서비스 완료 메시지도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여기서, S330 내지 S374 단계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통화 중인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80)에는 4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통화 중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안테나 상태, 배터리 상태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통화 시간,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전화번호, 메뉴 선택부, 음량 조절부, 전화번호부 검색부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뉴 버튼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아니고, 송화음 차단이나, 착신 메시지 전달, 호 전환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메뉴를 위한 버튼이다.
여기서,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발신 단말기에서 DTMF 신호를 입력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4A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통화 상태에서 통화 내용 녹음을 위해 설정된 키 버튼 '1'번이 입력되면, 음성 녹음 서비스 서버에서는 통화 내용의 녹음을 시작하고, 통화 내용 녹음을 요청한 발신 단말기로 4B와 같은 메시지를 전송한다.
4A의 화면에서 명함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키 버튼 '2'를 입력하면, 명함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명함을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명함 전송을 요청한 발신 단말기로 4C와 같이 명함 전송의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된다. 사진 전송이나 동영상 전송과 같은 경우에도, 4C와 같이 전송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된다.
4A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대방의 통화 대기음의 설정 요청을 위한 키 버튼 '3'이 입력되면,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대기음을 발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한 뒤, 4D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 요청을 위하여 서비스 요청자 즉, 발신 단말기 사용자는 사전에 어느 키 버튼이 어떠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키 버튼인지를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수의 키 버튼에 해당되는 부가 서비스 종류를 인지해야하는 것은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키 버튼에 따른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특수 버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A와 같은 통화 상태에서 '#' 버튼이 입력되면, 메인 시스템 서버(140)는 키 버튼의 입력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알려주기 위한 화면을 4E와 같이 제공한다. 4E의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버튼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연결되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 버튼을 대신하여, '*' 버튼이나 방향 버튼 등의 다양한 버튼을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키 버튼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4에서 설정된 키 버튼 및 부가 서비스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키 버튼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통화 중에도 키 버튼의 입력을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통화 종료 후 연락처 전달, 배경 음악이나 통화 대기음 변경을 위하여 일일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간단한 키 버튼의 입력 동작만으로, 연락처 전달, 통화 내용 녹음, 배경 음악이나 통화 대기음 변경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 다.
또한, 각종 부가 서비스가 이동통신망에서 이루어지므로, 통화 내용 녹음, 명함 전달 기능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화 내용 녹음과 같이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요구되는 서비스도 단말기 메모리의 여유 공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6)

  1.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음성 통화 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가 서비스 요청을 위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DTMF 신호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DTMF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부가 서비스의 처리 결과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이나, 상기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상기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음성 통화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음성 녹음 서비스, 사전에 설정된 명함, 사진, 동영상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을 위한 전송 서비스, 통화 대기음이나 통화 배경음의 설정을 위한 설정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음성 호 신호, 부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신호의 교환 및 처리를 수행하며, 음성 통화 중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상기 DTMF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음성 통화 중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수신 하여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메인 시스템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ing Service Center)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전에 상기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지능망(IN: Intelligent Network)과 연동되어, 지능망 교환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성 통화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음성 녹음 서비스 서버, 사전에 설정된 명함이나 사진을 전송하는 명함 서비스 서버나 사진 서비스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 통화 대기음이나 통화 배경음을 설정하거나 제공하는 통화 대기음 서비스 서버나 배경음 서비스 서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DTMF 신호 및 상기 가입자 정보를 수 신하는 E1 처리부;
    상기 DTMF 신호를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로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연동부;
    상기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시스템 연동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는 DTMF 처리부; 및
    상기 E1 처리부로부터 상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TMF 처리부로 전달하는 DTMF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 서버는,
    상기 DTMF 처리부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결과를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의 생성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SMS 발신 요청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 서버는,
    상기 E1 처리부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상기 DTMF 처리부로 전달하는 사용자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의 검색 및 설정을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DTMF 신호를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수신 부;
    상기 DTMF 신호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설정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DTMF 처리부; 및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요청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상기 DTMF 처리부에서 생성된 부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연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의 DTMF 신호 검출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DTMF 신호별 부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상기 DTMF 처리부로 전달하는 사용자 정보 처리부; 및
    상기 DTMF 처리부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하는 SMS 발신 요청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 서버.
KR20050051749A 2005-06-16 2005-06-16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66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1749A KR100668454B1 (ko) 2005-06-16 2005-06-16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1749A KR100668454B1 (ko) 2005-06-16 2005-06-16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363A KR20060131363A (ko) 2006-12-20
KR100668454B1 true KR100668454B1 (ko) 2007-01-12

Family

ID=3781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1749A KR100668454B1 (ko) 2005-06-16 2005-06-16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44B1 (ko) * 1995-12-27 200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44B1 (ko) * 1995-12-27 200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74344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363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1908C2 (ru) Протокол управления вызовами при недостаточном кредите
CA226945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JP2005136968A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379945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메시지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92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KR100668454B1 (ko)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0680301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21004B1 (ko) 번호 이동성에 따른 단문 서비스의 연락 번호 전달 방법및 시스템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909830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
KR100525523B1 (ko) 이동통신망의 음성 쪽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5073B1 (ko) 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9230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음성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9194464A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65739B1 (ko) 호출자 멜로디 발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802114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