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57A -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57A
KR20160141657A KR1020160065217A KR20160065217A KR20160141657A KR 20160141657 A KR20160141657 A KR 20160141657A KR 1020160065217 A KR1020160065217 A KR 1020160065217A KR 20160065217 A KR20160065217 A KR 20160065217A KR 20160141657 A KR20160141657 A KR 20160141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struction
display
section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히코 미요시
하지메 후타츠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6Visual data mining; Browsing structu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8Entity relationship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열람 화면중의 데이터 중 지시 방향과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내용을 제어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열람 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열람 장치는, 경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나타낸 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방향 취득부와, 상기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지시 방향 취득부와,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관계를 취득하는 관계 취득부와, 상기 관계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데이터 중에서 표시 내용에 차이가 있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DATA BROWSE APPARATUS, DATA BROWSE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열람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센서 디바이스나 측위 시스템의 발전에 의해, 스마트 폰이나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의해 취득된 전 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측위 데이터, 화상해석으로부터 취득된 동선(trajectory) 데이터, 및 3차원(3D) 스캐너에 의해 취득된 계측 데이터 등, 각종의 공간 데이터를 열람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한편, 이러한 대량의 열람 데이터로부터 어떠한 패턴이나 지견을 취득하기 위해서, 기계학습 등의 고도의 분석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분석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여전히 인간에 의한 관찰 및 분석이 큰 중요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상황에 의해, 대량의 열람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열람 방법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GPS등에 의해 취득된 동선 데이터에 관한 일반적으로 사용된 방법에 의해, 지도 위에 중첩되도록 예를 들면 동선 데이터가 표시된 동선 데이터를 유저가 열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표시의 입도나 주목 개소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관점에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으로, 행동 패턴 등의 새로운 지견의 발견에 이를 수 있다.
유저가 열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열람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평 08-2198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08-21980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유저가 지도 데이터를 열람할 때 시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조작의 속도에 따라, 스크롤중인 지도의 상세도를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기술은,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넓거나 주요 도로에 대해서만 표시된 도로를 한정한다. 이렇게 표시를 한정하는 것은, 스크롤중인 지도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묘화처리에 사용된 자원과 부하를 절약한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평 08-21980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개략을 효율적으로 취득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이 기술은 스크롤 방향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상세도를 감소시킨 채 화면이 스크롤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추적을 시작하면, 유저는 지도를 스크롤중에 상세도가 낮게 표시된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를 더 이상 열람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저는, 상세한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스크롤을 정지시켜야 한다. 또한, 유저가 지도를 스크롤중에 건너뛴 데이터 내에 중요한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 유저는 중요한 데이터를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세도를 유지한 채 데이터를 열람할 경우에는, 정보량이 과다해져서, 시인성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높인다. 예를 들면, 유저가 대량의 동선 데이터를 열람할 경우, 유저가 주목하고 있는 동선의 흐름을 화면을 스크롤하면서 추적할 때, 다수의 동선이 복잡하게 서로 교차하는 개소를 통과할 때에 화면이 심한 변화를 표시하기도 하여서, 유저가 추적하고 있었던 동선의 흐름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장치가, 스크롤 지시를 받아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한 화면내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같은 과제가 일어난다. 정보량 과다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구별하면서, 상기 장치가 그 표시를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대량의 열람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시에 그것들의 상세도를 유지하고 시인성을 확보한 채 유저가 적합하게 열람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는, 경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나타낸 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방향 취득부; 상기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지시 방향 취득부;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관계를 취득하는 관계 취득부; 및 상기 관계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데이터간에 표시 내용에 차이가 있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다.
도 3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동선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 도다.
도 4a는 동선 데이터의 가시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감시 플로어 플랜(floor plan)의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4c는 데이터 열람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5a 및 5b는 데이터 열람 장치에서 행해진 조작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6a, 6b, 6c, 6d는 조작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벡터 데이터와 동선 데이터간의 상관도 취득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7a는 데이터 열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b는 데이터 열람 장치에 입력된 조작 지시의 경시적인 예를 도시한 도다.
도 8a, 8b, 8c, 8d, 8e, 8f는, 복수의 조작 지시가 조작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9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0a, 10b, 10c, 10d는, 상관도에 따라, 표시부의 표시 범위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11은 제3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2는 제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다.
도 13a, 13b, 13c, 13d, 13e는 무인항공기에 의한 촬영을 도시한 도다.
도 14는 제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5a 및 15b는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된 지시 방향과 데이터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6a 및 16b는 취득된 데이터와 지시 방향에 따른 상관도에 가중을 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7a, 17b, 17c, 17d는 표시 범위외에 위치된 데이터의 상관도를 산출하여서, 지시 방향을 예측하는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8a 및 18b는 3D스캐닝 데이터 등에 있어서의 입체조형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9a, 19b, 19c, 19d는 지도상의 점 데이터의 위치에 근거해서 상기 데이터 방향을 취득하는 예를 도시한 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는, 기억부, 데이터 방향 취득부, 지시 방향 취득부, 상관도 취득부 및 표시 변경부를 구비한다.
기억부는,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점 데이터는, 점형상의 데이터나 좌표 데이터(위치 데이터)나 정점 등, 점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다. 또한, 선 데이터는, 동선 데이터, 경계선, 선 그래프, 트리구조 데이터, 및 소셜 맵등의 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다. 또한, 면 데이터는, 평면, 곡면, 및 입체를 구성하는 면 등의 면을 나타내는 데이터다.
데이터 방향 취득부는, 점 데이터의 위치 방향, 선 데이터의 선 방향, 및 면 데이터의 법선방향 중 적어도 1개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지시 방향 취득부는,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임의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지시 방향 취득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터치, 멀티 터치, 클릭, 스크롤, 드래그, 회전, 각도, 각속도, 및 방위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상기 지시 방향을 취득한다. 또한, 지시 방향 취득부는, 표시부의 표시의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한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또한, 지시 방향 취득부는,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해도 좋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상에서 손가락을 이동한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또한, 터치패널상을 핀치 아웃(pinch-out) 함에 의해 화면을 확대할 경우, 핀치 아웃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향하는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또한, 촬영부를 탑재한 무인항공기가 이동할 경우, 무인항공기의 이동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되어도 좋다.
상관도 취득부는,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상관도 취득부는,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 사이의 각도, 데이터의 취득 위치와 지시 방향의 취득 위치 사이의 거리, 및 데이터와 지시 방향과의 내적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상관도를 산출한다. 상관도 취득부는, 외부장치에서 산출된 상관도를 취득해도 좋다.
표시 변경부는,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표시 변경부는,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이상 또는 이하인 데이터를 표시부에 강조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변경부는, 상관도가 가장 높은 데이터에서 시작하는 상관도의 순서로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표시 변경부는, 상관도의 통계 값에 따라,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해도 좋다. 상관도의 통계 값의 예들은, 합, 평균, 중간값, 최대값, 최소값, 분산, 표준편차, 및 빈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열람 장치에 의하면, 열람 화면중의 데이터 중 지시 방향과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해서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열람 장치는, 상관도등의 관계에 근거하여, 복수의 데이터간에 표시 내용에 차이가 있도록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 결과, 대량의 열람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열람 장치에 의해, 유저는 동시에 그것들의 상세도를 유지하고 시인성을 확보한 채 적합하게 열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1)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다. 제어부(101)는, 중앙처리장치(CPU)나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등으로 구성되어, 예를 들면 정보처리를 위한 연산과 논리 판단을 행한다.
제어부(101)는, 데이터 갱신부(151),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 상관도 취득부(154), 상관 테이블 생성부(155), 및 표시 변경부(156)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시스템 버스(107)를 통하여, 시스템버스(107)에 접속된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표시부(102)는, 화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표시 제어부120) 및 액정 패널이나 프로젝터 등의 출력 장치를 구비한다.
촬영부(103)는, 문서와 인물(인물의 행동을 포함한다)을 촬영한다. 문서의 종류로서는, 단표나 책자 등의 물리매체 문서와 아울러, 타블렛 디바이스 등에 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 표시 문서 등이 포함된다. 조작 입력부(104)는, 버튼, 터치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이며, 터치, 멀티 터치, 클릭, 스크롤, 및 드래그에 의해 유저로부터 발행된 지시를 입력한다.
통신부(105)는, 근거리 통신망(LAN), 제3세대(3G), 제4세대(4G), 블루투쓰(등록상표),및 무선전파 인식(RFID)의 기술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콘트롤러 등이며,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외부통신부다. 통신부(105)는,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통신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계측부(106)는, 전 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센서, 자이로제 센서, 및 전자 컴퍼스등이며,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위치, 회전, 각도, 각속도, 및 방위 등을 계측한다. 계측부(106)는, 조작 입력부(104)와 같이 입력부가 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8)는, 각 구성 요소로부터 제공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RAM(108)은,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109)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 광학 디스크 등의 물리매체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 코드와 아울러, 각종 설정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09)는,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기억한다.
상기한 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입력 또는 통신부(105)로부터 공급되는 네트워크 경유의 각종 입력에 따라서 작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 입력부(104)로부터의 입력 또는 통신부(105)로부터의 입력이 공급되면, 인터럽트 신호가 제어부(101)에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기억부(109)에 기억된 각종의 제어 신호를 판독하고, 그 제어 신호에 따라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그 시스템 또는 그 장치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하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가 실현되어도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다. 감시 공간(201)에는, 1명 이상의 통행인(들)이 통행하고 있다. 감시 카메라 장치(촬영부)(203)는, 그 감시 공간(201)을 촬영한다. 감시 서버 장치(204)는, 통신회선(205)을 통해서 감시 카메라 장치(203)와 데이터 열람 장치(100)를 접속한다.
감시 카메라 장치(203)로 촬영된 화상은, 감시 서버 장치(204)에 전송되어, 감시 서버 장치(204)로 축적 및 분석된다. 화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통행인(202)의 이동 궤적을 의미하는 동선 데이터가 공간 데이터(열람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그 동선 데이터는 선 데이터다.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 서버 장치(204) 및 감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것 외, 상기 축적된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자(206)로부터 발행된 지시를 접수하고, 감시자(206)의 감시 업무의 수행 지원을 행한다.
감시 카메라 장치(촬영부)(203)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고정식 감시 카메라와 아울러, 화각 및/또는 그 방위의 변경이 가능한 카메라나 이동 가능한 팬 헤드에 탑재된 카메라 등이 있다. 감시 카메라 장치(203)는, 필요에 따라 복수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감시 카메라 장치(203)가 그 화상을 분석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선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선 테이블(301)에는, 소정의 길이의 궤적(동선)에 대응하는 동선 식별번호(ID), 계측 시작 일시, 및 계측 종료 일시가 등록된다. 또한, 동선좌표 테이블(302)에는, 동선 테이블(301)에 정의된 동선ID에 대해서, 동선을 계측하는 장치, 동선이 계측된 시간, 좌표, 속도, 및 방향등이 등록된다. 상기 좌표 및 속도는, 복수의 촬영부에 의해 출력된 계측 결과를 통합하여서 관리되므로, 촬영 위치 및 촬영 화각 등의 촬영 조건에 관한 사전 취득정보를 사용하여, 좌표가 새의 눈 플로어 플랜에서의 좌표로 변환된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동선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채용 가능한 방법들은, 동화상의 프레임간 차이를 사용한 이동체의 검지와, 얼굴 검지의 좌표 추이와, GPS나 무선 태그로부터 취득된 이동 경로를 포함한다. 동선좌표 테이블(302)에 대하여, 시간을 축으로 동선 데이터를 나타내는 좌표계열 등의 계열값을 취득한 후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4a는, 동선 데이터의 가시화 예를 도시한 도다. 가시화된 동선 데이터는, 동선 테이블(301) 및 동선좌표 테이블(302)로부터 취득된 각 동선에 속하는 좌표군에 근거하여, 각 좌표를 직선으로 서로 연결하여서 작성된 연속선으로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관찰된 동선 데이터는, 선반의 배치나 통로의 형상 등으로 인해, 소정의 패턴으로서 그려진다. 도 4a에서는, 모든 동선의 모든 좌표가 가시화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가시화되는 동선 데이터는 특정한 일시 및/또는 특정한 영역에 근거하여 특정되어도 좋다.
도 4b는, 감시 플로어 플랜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동선 데이터가 취득된 슈퍼마켓의 점포의 플로어 플랜을 도시하고, 상품 선반의 배치에 의해 격자형의 통로(410)가 형성되고, 원주형의 상품 선반(411)이 2개 배치된 통로(412)가 상기 플로어 플랜의 중앙에 존재한다. 상기 플로어 플랜의 상하단에는 벽과 장해물이 없고, 감시 공간(209)내에서 행위가 일어나면 사람의 왕래 및 입/퇴출은 관측되지만, 감시 공간(209)외에서 행위가 일어나면 사람의 왕래 및 입/퇴출은 관측되지 않는다.
또한, 플로어 플랜의 오른쪽에는 금전등록기(413)가 배치되어 있고, 판매 공간으로부터의 사람의 퇴출이 관측된다. 또한, 예를 들면 광역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서, 감시 공간(209)을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감시 시스템과 입/퇴출 정보등을 입출력하여서, 동일한 통행인을 서로 관련지어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c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다. 열람 화면(401)(표시부 102)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플로어 플랜의 적어도 1개를 표시한다. 한층 더,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을 통한 감시자의 손(402)으로부터 발행된 지시에 따라, 확대, 축소, 및 시점 이동 등이 실시된다. 감시자(206)는, 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관측된 동선 데이터를 관찰 및 분석함으로써 통행인(202)의 행동 패턴을 파악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5a, 5b, 도 6a, 6b, 6c, 6d, 및 도 7a,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5b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에서 행해진 조작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6a, 6b, 6c, 6d는, 조작 입력부(104)에 의해 입력된 입력 벡터 데이터와, 동선 데이터간의 상관도 산출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7a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이하의 설명에서, 그 흐름도는, CPU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도 7a에서, 공정 전체(S700∼S713)는, 데이터 변경이나 화면 조작 등의 이벤트 입력의 검지를 기점으로서 실행되는 이벤트 대기 루프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계S700에서는, 감시자(206)가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의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 위를 유저의 손가락으로 조작함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에 이벤트가 입력된다. 화면상에서 행해진 조작은, 도 7a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의 실행을 기동하는 이벤트의 입력으로서 검지된다.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이 이벤트의 입력을 검지하면, 처리는 단계S701에 진행되어, 데이터 갱신부(151)는,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예를 들면, 동선 데이터 등의 열람 데이터)의 갱신 유무를 확인한다.
데이터 갱신부(151)가 데이터의 갱신을 검출하는 경우(단계S701에서 YES), 처리는 단계S702에 진행되어, 데이터를 재판독 한다. 그리고, 단계S703에 처리가 진행된다. 데이터 갱신부(151)가 데이터의 갱신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S701에서 NO), 단계S703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03에서는,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이 조작 지시 검지부로서 기능하고, 감시자(206)의 손가락의 이동에 의한 조작 지시를 검지하여서, 조작 지시의 유무를 검출한다. 조작 지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단계S703에서 YES), 단계S704에 처리가 진행된다. 조작 지시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단계S703에서 NO), 단계S713에 처리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 위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우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데이터 열람 장치(100)에 발행된 이동 지시(501)가 검출되었을 경우를 생각한다.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이 이동 지시(501)를 검출하는 경우(단계S703에서 YES), 단계S704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04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 지시는,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각종의 조작 지시이어도 된다. 또한, 지시 실행부(152)는, 지시 방향 취득부로서 기능하고,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도 5a에서는, 지시 실행부(152)는, 이동 지시(501)에 근거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로서 취득한다. 추가로, 지시 실행부(152)는, 마우스, 터치 펜, 또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입력된 방향 또는 각도나, 전자 컴퍼스로부터 입력된 방위 등의 데이터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로서 취득해도 좋다.
단계S705에서는, 단계S704에서 취득된 조작 지시에 따라,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지시 실행부(152)는, 표시 범위 이동부로서 기능하고, 표시부(102)의 표시 범위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를 따라 이동시킨다. 도 5a에서는, 우상측을 향한 이동 지시(501)에 따라, 지시 실행부(152)가 열람 화면(500)에 표시된 화상을 스크롤 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의 스크롤에 의해, 열람 화면(500)에 표시된 열람 영역(표시 범위)(502)은, 감시 공간(201)의 좌하측으로 이동한다. 추가로, 지시 실행부(152)는, 조작 지시에 따라 열람 영역(502)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도 좋다.
단계S706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일 경우에(단계S706에서 YES), 단계S707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07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가, 열람 화면(500)에 표시된 열람 데이터 중, 입력 벡터 데이터와의 상관도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열람 데이터(이하, "대상 데이터"라고 한다)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람 화면(500)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502)에 포함된 동선 데이터 및 열람 영역(502) 근방에 위치된 동선 데이터가, 대상 데이터로서 추출된다. 또한,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는, 데이터 방향 취득부로서 기능하고, 동선 데이터의 선 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열람 영역(502) 근방에 위치된 동선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화면을 스크롤할 때에 스무스하게 근방의 동선 데이터를 열람 화면(500)에 표시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대상 데이터는, 상관도 산출 처리의 부하를 감소하기 위해서 이것들의 동선 데이터에 한정된다. 예를 들면, 광역의 동선 데이터에 대하여 상관도 산출 처리를 행해야 하는 경우나, 계산에 할당 가능한 많은 자원의 가용성으로 인해 상관도 산출 처리의 부하를 감소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보다 많은 동선 데이터가 추출되어도 좋다.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대상 데이터로서 추출된 동선 데이터에 대하여,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입력 벡터 데이터와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상관도 취득부(154)는, 입력 벡터 데이터의 방향과 동선 데이터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코사인 값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코사인 값이 상관도로서 산출되므로, 단지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가 적어도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기만 하면 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으로서, 열람 화면(500)에 포함된 동선 데이터의 관측 점(602)으로부터 선택된 2개의 관측 점(선택 점603)을 연결하는 선분(613)의 방향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관도 취득부(154)는, 열람 화면(500)의 표시 영역(502)에 포함된 가장 외측의 양단의 2개의 관측 점을 선택 점(603)으로서 자동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또한, 조작 입력부(104)(예를 들면, 마우스의 클릭이나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2개의 관측 점(선택 점603)이 선택되어도 좋다.
이와 아울러, 동선 데이터(601)에 포함된 관측 점(602)(열람 화면(500)의 표시 영역(502)외의 관측 점을 포함한다)의 양단점을 선택 점(603)으로서 선택하여서 정의된 선분의 방향, 인접하는 2개의 관측 점(열람 화면(500)의 표시 영역(502)외의 관측 점을 포함한다)을 각각 연결하는 선분의 방향의 평균, 및 최근의 관측 점 소정의 시간 전의 동선 데이터를 샘플링하여서 취득된 선분의 방향을 사용하여,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이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그 최근의 관측 점에서 소정의 길이의 동선 데이터를 샘플링하여서 취득된 선분의 방향, 및 인체검출에 의해 검출된 인물의 방위 등을 사용하여,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이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선 데이터(선 데이터)(601)가 점 데이터의 이동일 경우, 임의의 이동 시간에 대응하는 2점을 연결하는 선분방향 또는 임의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2점을 연결하는 선분방향을 사용하여,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이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지시 방향의 시점과 종점의 근방에 있는 동선 데이터(선 데이터)상의 2점을 연결하는 선분방향을 사용하여, 동선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612)이 결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의 2점은, 2개의 관측 점이여도 좋다.
이렇게,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선 데이터의 접선방향,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에 표시되어 있는 선 데이터상의 임의의 2점(2개의 관측 점)의 선분방향, 또는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선 데이터상의 점(관측 점)을 포함하는 선 데이터상의 임의의 2점(2개의 관측 점)의 선분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또한,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복수의 선분방향의 평균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 위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입력 벡터 데이터(604)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접촉 시작한 점과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떨어진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사용하여, 입력 벡터 데이터(604)가 취득된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도 취득부(154)가, 입력 벡터 데이터(604)의 방향(614)과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 사이의 상대 각도(605)의 코사인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복수의 대상 데이터(예를 들면, 복수의 통행인(202)의 동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입력 벡터 데이터(604)와의 상대 각도 및 그의 코사인 값을 산출한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 테이블 생성부(155)는, 동선 데이터(601)(대상 데이터)와 입력 벡터 데이터(604)간의 상관도를 동선ID에 관련지어서 상관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S709 및 단계S710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상관 테이블에 기억된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관도가 가장 높은 동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동선 데이터를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에 강조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변경부(156)는, 소정의 역치이상인 상관도를 갖는 동선 데이터를 강조 표시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지시(501)가, 열람 화면(500)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함과 아울러,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604)도 결정한다. 이 경우, 지시 실행부(152)는, 표시 범위 이동부 및 지시 방향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이동 지시(501)에 의해, 열람 화면(500)이 스크롤함과 동시에, 상관도가 높은 동선 데이터가 열람 화면(500)에 강조 표시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은 감시 영역의 좌하 방향이지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벡터 데이터(604)의 방향(614)은 우상 방향이다. 이 경우, 우상 방향으로 향한 입력 벡터 데이터(604)와 상관도가 높은 우상 방향으로 향한 동선 데이터가 강조 표시된다. 한편, 열람 화면(500)은, 강조 표시된 동선 데이터가 향하는 우상 방향으로부터 역방향(좌하 방향)으로 스크롤 되고, 이것은, 열람 화면(500)이 그 스크롤에 따라, 시간축을 거슬러 추적하면서(시간축의 역방향으로) 관측 점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 각도(605)가 60도일 경우, 코사인 값은 0.5가 된다. 상대 각도(605)가 240도일 경우, 코사인 값은 -0.5가 된다. 달리 말하면, 이동 지시(501)가 역방향일 경우, 입력 벡터 데이터(604)의 방향(614)이 180도 변경되고, 코사인 값은 정의 값으로부터 부의 값(또는, 부의 값으로부터 정의 값)으로 변경된다. 이동 지시(501)가 역방향인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상관도를 산출할 경우, 상관도 취득부(154)는 코사인 값의 절대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열람 화면(500)의 스크롤에 따라, 열람 화면(500)이 시간축의 앞으로(시간축의 순방향으로) 추적하면서 관측 점을 표시할 때, 상관도 취득부(154)는 코사인 값에 -1을 승산하여서 취득된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으로부터 역방향(좌하 방향)으로,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상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이동시킬 경우, 좌하 방향으로 향한 이동 지시가 입력되고, 좌하 방향으로 향한 입력 벡터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 경우, 상관도 취득부(154)가 코사인 값에 -1을 승산하여 취득된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할 때, 좌하 방향으로 향한 입력 벡터 데이터로부터 역방향(우상 방향)으로 향한 동선 데이터(610)가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열람 화면(500)은, 강조 표시된 동선 데이터(610)와 같은 방향(우상 방향)으로 스크롤 되고, 이것은, 그 스크롤에 따라, 시간축의 앞으로(시간축의 순방향으로) 추적하면서 관측 점들을 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상관도 취득부(154)는,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을 취득하는데 사용된 선분의 방향 및 길이를 동선 벡터 데이터로서 사용하여서, 동선 벡터 데이터와 입력 벡터 데이터(604)와의 내적을 상관도로서 산출해도 좋다. 이렇게 상관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같은 상대 각도이면, 동선 벡터 데이터 중 또는 동선 벡터 데이터간에 보다 긴 동선 벡터 데이터가 보다 높은 상관도를 갖게 함으로써, 열람 화면(500)에 긴 동선 데이터가 다른 동선 데이터와 뒤섞이는 그러한 상황하에서도, 긴 동선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강조 표시된다. 이 결과, 감시자(206)는 동선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열람 화면(500)을 스크롤하면서 상기 동선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관도 취득부(154)는, 동선 벡터 데이터와 입력 벡터 데이터(604)간의 거리의 역수를 상술한 내적값에 승산하여서 취득된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해도 좋다. 이렇게 상관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 벡터 데이터(604) 근방에 있는 동선 데이터가, 입력 벡터 데이터(604)로부터 떨어져 있는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보다 높은 상관도를 갖게 함으로써, 근방에 있는 동선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강조 표시된 결과, 감시자(206)는 이동 지시(501) 근방에 있는 원하는 동선을 구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것들의 상관도를 이용 용도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서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 사이의 각도, 데이터의 취득 위치와 지시 방향의 취득 위치간의 거리, 및 데이터와 지시 방향의 내적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상관도를 산출하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감시자(206)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상관도가 높은 동선 데이터를 선택할지, 상관도가 낮은 동선 데이터를 선택할지는 임의로 결정되어도 된다. 단계S709에서는,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가 역치이하의 동선 데이터, 상관도의 절대값이 역치이상의 동선 데이터, 및 상관도의 절대값이 역치이하의 동선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해도 좋다. 이렇게, 표시 변경부(156)는, 동선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상관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이상 또는 이하인 데이터를 표시부(102)에 강조 표시시킨다.
또한, 단계S710에서는, 여러 가지 표시 형식으로 동선 데이터를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선택된 동선 데이터(이하, "선택 동선 데이터"라고 한다)가, 선택되지 않은 동선 데이터(이하, "비선택 동선 데이터"라고 한다)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식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102)는, 열람 화면(500)의 스크롤중에 선택 동선 데이터의 색을 상기 비선택 동선 데이터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서, 상관도가 높은 선택 동선 데이터를 강조 표시해도 좋다. 이때, 선택 동선 데이터의 시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표시부(102)는, 상관도에 따라 동선 데이터의 폭, 농담, 명도, 색조, 및 투명도 등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다수의 동선 데이터가 서로 중첩되면서 표시될 경우, 감시자(206)가 주목하는 동선 데이터가 다른 동선 데이터에 의해 숨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에 근거하여 동선 데이터를 소트(sort) 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부(102)는 소트의 결과에 따른 순서로 동선 데이터를 묘화해도 좋다.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가 가장 높은 데이터로부터 시작하거나 상관도가 가장 낮은 데이터로부터 시작하여, 상관도의 순서로 그 데이터를 표시부(102)에 표시시켜도 좋다.
단계S710에서 표시 변경부(156)가 동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 후, 단계S713에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단계S706에 있어서,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도 또는 스크롤중도 아닐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NO), 단계S711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11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종료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종료 지시일 경우에는(단계S711에서 YES), 단계S712에 처리가 진행되어, 표시부(102)가 동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표준 표시 형식으로 되돌린다.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종료 지시가 아닐 경우에는(단계S711에서 NO), 단계S713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13에서는, 단계S700∼S712의 처리에 따라, 표시부(102)가 열람 화면(500)의 화면묘화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열람 영역(502)의 확대 또는 축소나 각 데이터의 표시 형식에 따라, 표시부(102)가 열람 화면(500)의 열람 영역(502)과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이후, 다음 이벤트 입력의 대기 상태로 추이한다.
도 7b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에 입력된 조작 지시의 경시적인 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5a 및 5b에 도시된 스크롤 및 입력 벡터 데이터에 대응한다.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이 조작 지시(503∼507)를 입력한다. 열람 화면(508∼512)은, 조작 지시(503∼507)에 각각 대응한다.
단계S700에서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을 유저의 손가락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조작 지시(503)가 상기 이벤트로서 입력된다. 이 경우, 단계S701 및 S702에서는, 아직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열람 화면(508)은 초기 상태에 있다.
단계S703∼S705에서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상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우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지시 504, 505 또는 506가 입력된다. 조작 지시 504, 505 또는 506이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의 지시일 경우는(단계S706에서 YES), 단계S707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가, 열람 화면 509, 510 또는 511에 표시되어 있는 동선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동선 데이터에 대하여, 조작 지시 504, 505 또는 506에 근거하여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와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도 7b에서는, 우상 방향으로 향한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의 산출로부터 높은 값이 취득된다. 그러므로, 단계S709, S710, S713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이상인 동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동선 데이터를 열람 화면 509, 510 또는 511에 강조 표시시킨다.
단계S711에서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유저의 손가락을 떨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조작 지시(507)가 스크롤의 종료로서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S712 및 S713에서는, 표시부(102)가 동선 데이터의 강조 표시를 종료하고, 열람 화면(512) 위의 동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표준 표시 형식으로 되돌린다.
이렇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조작 지시(이동 지시)로부터 입력 벡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각각의 열람 데이터(공간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 벡터 데이터와의 상관도를 산출한 후에, 상관도에 따라 스크롤 화면상의 열람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이것들의 처리 수순에 관해서, 조작 지시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조작 지시에 따라 열람 화면이 여러 가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크롤함과 아울러, 열람 화면에 열람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강조 표시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데이터(공간 데이터)가 복잡하게 교차하기 때문에, 열람 데이터의 시인성이 저하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도, 열람 데이터가 강조 표시되는 것으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감시자(206)는 감시자(206)가 화면을 스크롤하면서, 추적하고 있었던 동선의 흐름을 놓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이 종료했을 때는, 열람 데이터의 표시 형식이 복귀되므로, 열람 데이터의 표시 모드 등을 전환할 필요가 없어져,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한 감시자(206)에 부과된 부하를 경감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감시자(206)가 넓은 감시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빨리 화면을 스크롤할 때에, 이것들의 효과는 유용하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자(206)가 열람 데이터를 열람할 때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트랜지션 효과 등을 사용하여서 상기 열람 데이터의 표시 형식의 변화를 강조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자(206)가, 열람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복귀하지 않고, 표시 형식을 변경한 상태(예를 들면, 강조 표시한 상태)을 유지하여서 열람 데이터를 열람할 때의 시인성을 높이기도 한다.
또한,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기 열람 데이터를 선택할 때, 상관 테이블 생성부(155)는, 상관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관도의 히스토그램 등을 생성하고, 표시 변경부(156)는, 빈도가 소정의 역치이하에 해당하는 그룹을 선택한다. 표시부(102)는, 이 그룹에 속하는 열람 데이터를 강조 표시함에 의해, 감시자(206)가 소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그룹으로서 그 밖의 열람 데이터에 매립된 열람 데이터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람 화면에 표시된 열람 데이터(공간 데이터)가 2차원 데이터인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높이나 깊이 등을 포함시킨 3차원 데이터의 열람 데이터(공간 데이터)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열람 장치이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람 데이터가 동선 데이터인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동선 데이터 등의 공간 데이터와 아울러, 선 그래프, 트리구조 데이터, 및 소셜 맵 등의 열람 데이터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하다.
특히, 감시자(206)가 소망하는 열람 화면의 축척이나 정보량으로는 열람 데이터가 열람 화면(표시 범위)에 포함되기에 불충분할 경우, 특정한 열람 데이터를 열람 화면을 스크롤하면서 추적하는데 본 실시예는 유용하다. 또, 열람 데이터가 열람 화면(표시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수의 데이터가 서로 겹치면서 표시되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할 경우에, 본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유용하다. 이 경우는, 표시 범위를 지시 방향에 의해 이동시키지 않고, 고정된 표시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에 해당한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추적 대상의 열람 데이터인 대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해서 데이터 방향을 취득한다. 그리고,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취득한 데이터 방향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간의 상관도(예를 들면, 코사인 값이나 내적)를 산출하고,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대상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이렇게 표시를 제어함에 따라, 전자의 경우처럼 설명한 열람 데이터가 열람 화면에 포함되지 않을 때에, 화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데이터의 추적이 용이해진다. 한편, 후자의 경우처럼 설명한 열람 데이터가 열람 화면에 포함될 때에, 이 표시 제어에 의해, 입력 벡터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데이터의 일부가 강조되어서, 어떤 데이터가 화면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관도 취득부(154)는, 열람 데이터가 갖는 속성값에 근거하여 상관도에 가중을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관측 점에 있어서 열람 데이터가 체류하는 시간과 주변의 혼잡도를 가중 계수로서 사용하여서, 상관도 취득부(154)는 상관도에 가중을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관도 취득부(154)는, 체류 시간이 긴 동선 데이터와 아주 혼잡한 주변에 위치된 동선 데이터에 보다 큰 가중 계수를 승산하는 것에 의해, 인구밀도가 높은 감시 영역에 위치된 동선 데이터가 강조 표시되므로, 혼잡을 검지하는 감시자(206)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제2의 실시예에서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 위를 복수의 유저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멀티 터치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입력 점에 따라, 상관도를 사용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8a, 8b, 8c, 8d, 8e, 8f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도 8a, 8b, 8c, 8d, 8e, 8f는, 복수의 조작 지시가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9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4∼S713에 해당하는 처리에 단계S905, S906이 삽입되고, 단계S910∼S912가 루프 구조로 되어 있다. 단계S900∼S903, S909는,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0∼S703, S707에 각각 해당한다.
단계S904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제1의 조작 지시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 지시는,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각종의 조작 지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감시자(206)가 열람 화면(500)(표시부102)의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 위를 복수의 유저의 손가락으로 조작한다. 지시 실행부(152)는, 조작 지시의 입력 점의 수를 취득한 후에, 입력 점마다의 좌표,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 등을 취득한다.
단계S905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복수의 입력 점이 입력되었는가(멀티 터치)를 판단한다. 복수의 입력 점이 입력되는 경우(단계S905에서 YES), 단계S906에 처리가 진행된다. 복수의 입력 점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단계S905에서 NO)는, 단계S907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906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복수의 입력 점에 근거하여 제2의 조작 지시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8a, 8b, 8c, 8d, 8e, 8f는,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를 유저의 2개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실행부(152)는, 2개의 손가락의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입력 점(801)을 취득하고, 2개의 입력 점(801)을 연결하는 선분(802)의 가운데 점에서 그 선분(802)에 직교하는 직교 벡터(803)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로서 취득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를 유저의 2개의 손가락에 의해 드래그하는 조작 지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를 유저의 2개의 손가락으로 핀치 조작해서 열람 영역(502)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조작 지시, 및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를 유저의 2개의 손가락으로 핀치 조작해서 열람 영역(502)을 회전하는 조작 지시등의 제2의 조작 지시를, 지시 실행부(152)가 취득한다.
제2의 조작 지시는, 멀티 터치로 조작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각종의 조작 지시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점의 변화로부터 취득된 입력 벡터 데이터, 확대율, 축소율, 및 회전각도 등이 제2의 조작 지시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복수의 조작 지시를 동시에 접수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감시자(206)는 도 8a에 도시된 핀치 조작의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유저의 손가락으로 드래그해도 좋다.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드래그 방향으로 표시 범위를 스크롤시켜서, 스크롤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함과 아울러, 직교 벡터(803)를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달리 말하면, 동시에 2개의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가 취득된다.
또한, 감시자(206)는, 도 8a에 도시된 핀치 조작의 상태에서, 도 8c와 같이 열람 영역(502)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도 좋다.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도 8c에 도시된 확대 방향 또는 축소 방향으로 표시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시킴과 아울러, 도 8a의 직교 벡터(803)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자(206)는, 도 8a에 도시된 핀치 조작의 상태에서, 도 8d와 같이 열람 영역(502)을 회전시켜도 좋다.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도 8d에 도시된 회전 방향으로 표시 범위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도 8a의 직교 벡터(803)를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를 유저의 2개의 손가락으로 드래그한다. 지시 실행부(152)는, 드래그의 시점이 되는 2개의 손가락의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입력 점 806 및 드래그의 종점이 되는 2개의 손가락의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입력 점 807을 취득한다. 지시 실행부(152)는, 입력 점 806의 가운데 점 808과 입력 점 807의 가운데 점 809를 연결하는 직선을 입력 벡터 데이터(810)로서 취득한다.
단계S907에서는, 단계S904와 단계S906 각각에서 지시 실행부(152)가 취득한 제1 및 제2의 조작 지시에 따라 조작 지시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지시 실행부(152)는, 열람 화면(500)의 화상을 스크롤시키거나, 열람 영역(502)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한다. 또한,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터치, 클릭, 스크롤, 드래그, 회전, 각도, 각속도, 및 방위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한다.
단계S908에서는, 지시 실행부(152)는,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스크롤중, 또는 멀티 터치의 입력의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스크롤중, 또는 멀티 터치의 입력의 지시일 경우에는(단계S908에서 YES), 단계S909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909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가 대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S910∼S912의 루프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910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대상 데이터인 동선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와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상관도 취득부(154)가, 입력 벡터 데이터 803 또는 810의 방향과 동선 데이터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코사인 값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사인 값이 상관도로서 산출되므로, 입력 벡터 데이터 803 또는 810은 단지 적어도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도 취득부(154)가, 입력 벡터 데이터(803)의 데이터 방향(814)과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 사이의 상대 각도(804)의 코사인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상관도 취득부(154)는, 선분(802)과 동선 데이터(601)의 데이터 방향(612) 사이의 상대 각도(805)의 코사인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해도 좋다. 상관도 취득부(154)는, 2개의 입력 점(801)을 연결하는 선분(802)을 사용해서 상관도를 산출함으로써, 감시자(206)가 터치패널(조작 입력부104)위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에도 지시 방향을 취득해서 상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2개의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가 취득될 경우는, 상관도 취득부(154)는, 지시 방향마다 데이터 방향과의 상대 각도의 코사인 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단계S911에서는, 제1의 실시예의 단계S709와 마찬가지로, 표시 변경부(156)가, 상관도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S912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선택된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상관도마다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게 변경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S908에 있어서,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스크롤중, 또는 멀티 터치의 입력이 아닐 경우에는(단계S908에서 NO), 단계S913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913에서는, 지시 실행부(152)는, 조작 지시가 스크롤 종료의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 지시가 스크롤 종료의 지시일 경우(단계S913에서 YES), 단계S914에 처리가 진행된다. 그리고, 표시부(102)는,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표준 표시 형식으로 복귀시킨다. 조작 지시가 스크롤 종료의 지시가 아닐 경우(단계S913에서 NO)는, 단계S915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915에서는, 표시부(102)는, 상기 처리에서 결정된 열람 영역(표시 범위)(502)과 각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에 따라 표시 제어부(120)에 지시를 발행하여서, 화면의 묘화를 갱신한다. 그리고, 다음 이벤트 입력의 대기 상태에 처리가 진행된다.
이렇게,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조작 지시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하고,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동선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관도 취득부(154)는 동선 데이터마다 지시 방향과의 상관도를 산출하고,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마다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또한,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동시에 2개의 입력 벡터 데이터(2개의 지시 방향)를 취득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멀티 터치 조작 등을 이용하여서 보다 많은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감시자(206)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502)에 있어서 유저의 자신의 눈으로 추적하는 원하는 동선 데이터를 화면 스크롤중에 감시자(206)가 놓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감시자(206)가 상기 도 8a에 도시된 핀치 조작의 상술한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유저의 손가락으로 드래그할 경우,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동시에 2개의 입력 벡터 데이터(2개의 지시 방향)를 취득한다. 이때, 상관도 취득부(154)는, 도 8b에 도시된 드래그 방향(지시 방향)에 대하여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를 강조 표시하는 것과 아울러, 도 8a에 도시된 직교 벡터(803)에 대하여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를 다른 표시 형식을 사용해서 강조 표시한다.
이 결과,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손가락을 드래그 하여서 열람 영역(502)을 스크롤 함으로써 감시자(206)의 시점을 움직이는 조작 지시와 아울러, 핀치 조작에 따라 입력 벡터(지시 방향)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스크롤 방향과는 다른 지시 방향과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를 강조 표시함으로써, 화면 스크롤중에도 원하는 데이터를 감시자(206)가 놓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벡터 데이터(810)와 데이터 방향 사이의 상대 각도의 코사인 값을 상관도로서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점의 시점과 종점으로부터 지시 방향을 취득하여서, 각 입력 점의 변화가 심할 경우에도, 조작자가 의도한 지시 방향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지시에 따라 열람 영역(502)이 회전하는 경우라도,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영역(502)의 회전과 함께 지시 방향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의 강조된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회전 이동으로 인한 화면변화가 생길 경우에도 원하는 데이터를 감시자(206)가 놓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밖에,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방향 또는 각도나 전자 컴퍼스에 의해 검출된 방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시자(206)가 타블렛 단말 등의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기립, 횡와, 및 회전등의 조작을 행하여서, 중력방향, 각도, 및 방위의 변화에 의해 지시 방향을 회전시킨다. 이 결과,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를 보유하는 감시자(206)의 의도와 데이터 열람 장치(100) 주위의 상황에 따라, 그 데이터의 강조 표시를 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제,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에서는, 단계S910∼S912의 루프에 있어서,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상관도마다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그러나, 단계S912는 그 루프 밖에서 이동되어도 좋고, 표시 변경부(156)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모든 상관도를 산출한 후에 복수의 상관도를 조합시키면서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해, 모든 방향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강조 표시하거나, 일 방향을 과도하게 강조 표시하거나 하는 폐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점의 수는 데이터나 조작 입력 등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펜 입력 모드와 손가락 입력 모드를 가질 경우, 펜 입력 모드는 복수의 입력 점을 포함한다고 상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실수로 복수의 입력 점이 입력되는 경우도,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이 입력에 근거한 상관도의 산출은 생략하여도 좋다. 이렇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멀티 터치에 따라 상관도의 산출을 제한함으로써 처리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에서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1개 또는 2개의 입력 점(들)을 처리하는 것으로 하지만, 멀티 터치의 기능이 유효할 경우는, 3개 이상의 입력 점을 처리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개 이상의 입력 점의 평균 좌표로 설정된 중심점 둘레에, 회전을 요구하는 지시 조작이 입력되어도 좋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3개 이상의 입력 점의 2점씩을 한 번에 사용해서 매 2개의 입력 점마다 지시 방향을 취득하고, 각각의 지시 방향과 데이터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해도 좋다.
제3의 실시예는, 상관도의 변화에 따라, 조작 지시의 변경 또는 데이터의 표시 형식의 변경을 행하는 예로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0a, 10b, 10c, 10d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도 10a, 10b, 10c, 10d는, 상관도에 따라 표시부(102)의 표시 범위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1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4∼S713에 해당하는 처리에는, 단계S1109, S1110이 삽입되어, 단계S1100∼S1115가 루프 구조로 되어 있다. 단계S1110∼S1108, S1111∼S1115는,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0∼S708, S709∼S713에 각각 해당한다.
도 10a는, 동선 데이터 군(선 데이터 군)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동선 데이터 군(1001)에서는, 좌측으로부터 동선 데이터가 흐른 후, 우측에 있어서 4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다. 이렇게 흐르는 동선 데이터 군(1001)의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이 설정되어, 열람 영역(1002) 안을 감시자(206)가 관찰한다고 한다. 열람 영역(1002)은, 스크롤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단계S1105에 있어서, 지시 실행부(152)는 스크롤을 요구하는 조작 지시를 실행함으로써, 열람 영역(1002)이 이동된다.
단계S11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단계S1109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상관도 변화 검지부로서 기능하고, 열람 영역(1002)내의 상관도를 감시하여, 그 변화를 검지한다. 예를 들면, 열람 영역(1002)내의 상관도는, 같은 방향으로 배향된 동선 데이터 군(선 데이터 군)이 분열하거나 분기하는 상황하에서 변경한다.
도 10b는, 소정의 시간에 관측된 동선 데이터와 그 상관도를 도시한 도다. 도 10c는, 지시 방향(1013)을 따라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10c에서는, 각 시간에 있어서의 동선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의 합에 따라,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의 이동 속도가 변화된다. 도 10d는, 열람 영역(1002)내에 있는 동선 데이터수와 그 상관도의 평균 및 합을 도시한 도다.
도 10b, 10c, 10d에 나타낸 예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조작 지시 1003 및 조작 지시 1004를 받는다. 이에 따라, 지시 실행부(152)는, 표시 범위 이동부로서 기능하고,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을, 지시 방향(1013)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지시 실행부(152)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을 스크롤 한다. 이 경우,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이 동선 데이터의 분기 위치를 통과하는 시각t=6 및 t=7에서는, 상관도의 합이 급격하게 저하한다.
단계S1110에서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내에 있어서의 동선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1013)간의 상관도의 합, 또는 그 변화량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할 경우,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가 스크롤 속도의 가감속 또는 스크롤 정지를 행한다. 도 10c에서는,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내에 있어서의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의 합이 저하할수록, 스크롤 속도의 감속을 행한다. 따라서,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이 분기 위치를 통과할 때의 스크롤 속도가 감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영역(1002)내의 데이터의 분포에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을, 감시자(206)에 주의 환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에 의해, 감시자(206)가, 스크롤 속도를 감속하여서 열람 영역(1002)내의 데이터의 분포의 변화 발생을 간과할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자(206)는, 복잡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고 그 데이터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취득할 수 있고, 그 데이터의 변화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영역(1002)내의 데이터의 상관도의 합을 사용했지만, 열람 영역(1002)내의 데이터수의 증감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관도의 합 대신에 상관도의 평균을 사용해도 좋다.
그 밖에,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영역(1002)내의 데이터의 상관도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상관도 중 최빈값의 변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에 의해, 감시자(206)가,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데이터가 분포되어 있을 때에도, 빈도값마다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속도의 가감속 및 스크롤 정지의 이외에,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는, 상관도에 따라, 표시부(102)의 표시 범위의 이동 방향(스크롤 방향)을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는, 동선 데이터의 분기 위치에 있어서, 가장 많은 수의 동선 데이터가 분기하는 방향으로 열람 영역(표시 범위)(1002)의 스크롤 방향을 스냅 시킨다.
제4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카메라나 무인항공기 등을 사용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원격감시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2, 도 13a, 13b, 13c, 13d, 13e,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다. 도 2와의 차이로서, 도 12에 도시된 감시 시스템은, 원격감시 장치(1201) 및 원격조작부(1202)를 구비한다. 원격감시 장치(1201)는, 데이터를 표시부(102)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감시 카메라부(촬영부)를 구비한다. 또한, 원격감시 장치(1201)는, 공중에서의 자세제어, 공중 구동, 및 자체 추진 이동을 실현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감시 공간(201)을 공중에서 촬영하는 무인항공기다.
원격감시 장치(1201)는, 공중에서 정지하거나 공중을 이동하거나 하여서, 감시 대상(예를 들면, 통행인 202)을 감시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무선통신 등을 통해서 감시 서버 장치(204)에 전송된다. 원격조작부(1202)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전/후/좌/우 이동, 방향 전환, 및 상승 강하 이동)을 조작하고, 감시 카메라부의 방향 및 화각 등을 조작한다. 원격조작부(1202)는, 감시자(206)에 의해 행해진 이것들의 조작을 접수하여, 원격감시 장치(1201)에 송신한다.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 카메라 장치(203) 또는 원격감시 장치(1201)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감시 대상(통행인202)의 방위를 가리키는 동선 데이터를 공간 데이터(열람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감시 대상의 동선 데이터(선 데이터) 또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동점(moving point) 데이터(점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에 중첩되면서 표시부(102)에 표시된다. 감시 대상으로서 설정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공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a, 4b, 4c와 같다.
도 13a, 13b, 13c, 13d, 13e는, 무인항공기에 의한 촬영을 도시한 도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감시 장치(1201)는, 감시 공간(201)위의 상공을 이동하면서, 감시 공간(201)을 촬영한다. 감시 공간(201)에는 감시 대상(통행인1305)이 보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마다, 도 14에 도시된 단계S1401∼S1412가 행해진다. 우선, 단계S1401에서는, 표시부(102)에 표시된 데이터(동선 데이터 등)의 갱신의 유무가, 데이터 갱신부(151)에 의해 확인된다.
데이터 갱신부(151)가 데이터의 갱신을 검출하는 경우는(단계S1401에서 YES), 단계S1402에 처리가 진행되어, 데이터 갱신부(151)가 데이터의 재판독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S1403에 처리가 진행된다. 데이터 갱신부(151)가 데이터의 갱신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는(단계S1401에서 NO), 단계S1403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1403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표시 범위 이동부로서 기능하고, 열람 영역(표시 범위)이 변화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열람 영역의 변화란, 감시 카메라 장치(203) 또는 원격감시 장치(1201)등의 촬영부의 이동 등으로 인해 생기는 시야의 변화, 촬영 범위의 변화, 및 화각의 변화를 의미한다.
도 13a에서는, 원격감시 장치(1201)가, 감시자(206)로부터 발행된 지시 또는 자율적인 이동에 따라, 감시 위치 1301로부터 감시 위치 1302에 이동한다. 이 경우, 원격감시 장치(1201)의 감시 카메라부(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범위는, 촬영 범위 1303으로부터 촬영 범위 1304에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표시부(102)에 표시된 표시 범위가 변화된다. 단계S1403에서는,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이동부)(152)가, 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변화로 인한 화상 데이터의 변화를 검지한다.
화상 데이터의 변화를 검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지시 실행부(152)는, 배경의 패턴 매칭을 사용하여서, 또는 감시 서버 장치(204)와 연계하여 감시 공간(201)내의 원격감시 장치(1201)의 절대좌표와 원격감시 장치(1201)의 자세를 사용하여서, 그 변화를 검지하여도 좋다. 이밖에, 지시 실행부(152)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위치, 회전, 각도, 각속도, 방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감시 서버 장치(204)로부터 취득할 수 있을 경우, 감시 공간(201)내에 있어서의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량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변화를 검지하여도 좋다.
본 예에서는, 지시 실행부(152)는, 배경등의 고정물과 원격감시 장치(1201)간의 상대 위치를 기초로,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예는, 화상 데이터에 중첩되면서 표시된 동선 데이터와 원격감시 장치(1201)간의 상대 위치나 상대 속도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때,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변화가 검출되었을 경우는(단계S1403에서 YES), 단계S1404에 처리가 진행된다.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는(단계S1403에서 NO), 단계S1412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1404에서는,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이동량 또는 변화량을 취득한다. 도 13b 및 13c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으로 인해 열람 영역(표시 범위)이 변화된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감시 장치(1201)의 위치(1306)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부 (촬영부)는, 촬영 범위(1307)를 촬영하고, 동점 데이터(1308)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면서 표시부(102)에 상기 감시 공간(201)에 위치된 상기 동점 데이터(1308)를 표시한다. 이때,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감시 장치(1201)의 위치 1306으로부터 위치 1309로의 이동에 따라, 감시 카메라부는, 촬영 범위 1307로부터 촬영 범위 1310으로 촬영 범위를 이동하면서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프레임마다 패턴 매칭 등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이동량이나 변화량이 정량화된다.
단계S1405에서는, 열람 영역의 변화 및 상기 이동량이나 변화량의 정량화의 결과를 사용하여서,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열람 영역의 변화의 방향성분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방향성분이란, 감시 카메라부의 이동이나 카메라 축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화상 데이터의 변화의 방향과 그 이동량이다. 그 이동량은, 예를 들면, 패턴 매칭 등에 의해 검출되는 화상 데이터의 변화의 화소 수에 근거하여 규정된다. 화상 데이터의 변화로부터 방향성분이 취득될 경우(단계S1405에서 YES),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감시 카메라부(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S1406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1406∼단계S1409의 처리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력 벡터 데이터"를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는 지시 방향"으로 치환한 처리이며, 단계S707∼S710의 처리에 해당한다.
보충적으로 설명하면, 단계S1406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가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방향을 취득한다. 단계S1407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대상 데이터인 동선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는 지시 방향과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단계S1408 및 단계S1409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중에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 방향(1320)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되고,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과의 상관도에 근거하여 동선 데이터1311은 강조 표시되지만, 동선 데이터1312는 강조 표시되지 않는다. 이렇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함에 의해, 원하는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S14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변화로부터 방향성분이 취득되지 않을 경우(단계S1405에서 NO), 단계S1410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1410에서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이 정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검지된다.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이 정지하고 있을 경우는(단계S1410에서 YES), 단계S1411에 처리가 진행되어, 표시부(102)가 동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표준 표시 형식으로 복귀시킨다.
도 13d는,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의 정지에 따라, 데이터의 강조 표시가 종료되고, 표준 표시 형식으로 복귀되는 것을 도시한 도다.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점 데이터(1313)는, 표준 표시 형식으로 다시 표시된다.
단계S1410에 있어서,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이 정지하지 않은 경우는(단계S1410에서 NO), 단계S1412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1412에서는, 단계S1401∼S1411의 처리에 근거하여, 표시부(102)가 화면의 묘화를 변경한다.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의 다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한 루프 처리가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도 13e는, 상기한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여서 취득된 열람 영역의 예들을 도시한 도다.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1314∼1318)은, 원격감시 장치(1201)의 위치 1306으로부터 위치 1309로의 이동 방향(1320)에 따라 촬영된 열람 영역이다.
열람 영역(표시 범위)(1314, 1318)은,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동선 데이터의 강조 표시는 종료되어 있다. 한편, 열람 영역(표시 범위)(1315∼1317)에서는, 원격감시 장치(1201)가 이동중이기 때문에,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 방향(1320)을 지시 방향으로서 설정한, 상관도가 높은 동선 데이터가 강조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는, 감시 대상(통행인202)의 현재 위치 및 방위(위치 방향)로 표현된 점 데이터다. 점 데이터의 위치 방향이란, 점 데이터의 위치에 있어서의 방향이다. 예를 들면, 점 데이터인 통행인(202)의 현재 위치에 있어서의 통행인(202)의 얼굴 또는 몸통의 방위는, 데이터 방향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감시 대상의 이동 궤적을 가리키는 동선 데이터를 사용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감시를 행하는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통행인(202)이 감시 영역에 다수 존재할 경우, 감시자(206)가 감시 대상인 통행인(202)을 놓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촬영부가 원격감시 장치(1201)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촬영부가 감시 대상을 추적하면서 촬영하면, 이 추적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설정되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 대상인 동선 데이터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촬영부의 추적 방향(지시 방향)과 상관도가 높은 동선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통행인(202)이 감시 영역에 다수 존재할 경우, 감시자(206)가 감시 대상인 통행인(202)을 놓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동선 데이터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는 과거에 취득된 동선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감시 서버 장치(204)와 연계함으로써 절대좌표를 사용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촬영부와 감시 대상간의 상대 속도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변화를 검지해도 좋다.
또한, 방향성분이 복수 취득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촬영부가 회전할 경우, 회전축에 대하여 같은 각도에 위치하는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방향이 동일하지만, 회전축에 대하여 다른 각도에 위치하는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방향이 다르다. 또한, 촬영부가 회전할 경우, 회전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한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이동량이 동일하지만, 회전축으로부터의 다른 거리에 위치한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이동량이 다르다.
또한, 촬영부가 줌인 또는 줌아웃할 경우, 열람 영역(표시 범위)이 확대 또는 축소하여, 그 확대 또는 축소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방향 또는 이 역방향이 방향성분의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또한, 촬영부가 줌인 또는 줌아웃할 경우, 상기 확대 또는 축소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한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이동량이 동일하지만, 상기 확대 또는 축소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한 관측 점 사이에서는 방향성분의 이동량이 다르다.
이러한 경우에, 열람 영역(표시 범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뒤에, 영역마다 방향성분(지시 방향)이 취득되어도 좋다.
이밖에,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전환 및 원격감시 장치(1201) 자체의 접기나 확대 등으로 인해, 열람 영역(표시 범위)이 변화될 경우에, 관측 점이 변화된 방향을 사용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이렇게,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표시부(102)의 표시의 회전, 확대, 축소, 및 전환 중 적어도 1개로 인한 데이터(예를 들면, 관측 점)의 변화 방향을 방향성분(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는 여러 가지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변화에 대응한 방향성분(지시 방향)을 취득할 수 있고,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감시자(206)가 추적하고 있는 원하는 데이터를 감시자(206)가 놓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방향성분을 갖는 지도 데이터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가 원격감시 장치에 적용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자율적 조작 또는 원격조작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촬영부를 구비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HMD), 타블렛 디바이스, 그 밖의 종류의 휴대 단말을 사용한 데이터 열람 장치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시경 수술 등에 사용하기 위한 수술 지원 장치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 열람 장치(유저 인터페이스)는, 환자의 혈관군(선 데이터 군)과 내시경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는, 혈관의 방향(데이터 방향)과 내시경의 이동 방향(지시 방향)간의 상관도(예를 들면, 코사인 값의 절대값)가 큰 혈관을 강조 표시함으로써, 혈관의 시인성을 높이고, 내시경을 사용한 관찰을 지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5의 실시예를,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된 지시 방향과 데이터 방향싱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5a,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억부(109)는, 지시 방향 기록부로서 기능하고,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에 의해 취득된 조작 지시(지시 방향)의 이력(취득 위치, 방향, 및 길이 중 적어도 1개)을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한다.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6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의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의 지시일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YES), 기억부(지시 방향 기록부)(109)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스크롤 방향(지시 방향)의 이력을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한 뒤에, 단계S707에 처리가 진행된다.
도 15a는, 기억부(지시 방향 기록부)(109)가 기록하는 지시 방향의 이력의 예를 도시한 도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점의 수, 좌표(취득 위치), 및 입력 점의 이동 벡터(방향 및 길이)가 소정의 시간마다(0.1초마다) 기록되어 있다. 입력 점의 이동 벡터는, 소정의 시간동안 입력 점의 이동에 의해 규정된 이동 벡터이며, 소정의 시간마다의 입력 벡터 데이터(지시 방향)에 해당한다.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점 1501로부터 입력 점 1502로의 이동 벡터(1503)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0.1초마다 이동 벡터가 기록되어 있지만, 이벤트 검지 간격마다 이동 벡터가 기록되어도 좋거나, 이동 벡터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되는 시간간격으로 기록되어도 좋다. 이렇게, 지시 방향을 기록하는 시간간격은, 용도에 따라 변동되어도 좋다.
그리고, 지시 방향의 이력을 기록한 후, 단계S708에 있어서, 상관도 취득부(154)가,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된 스크롤 방향(지시 방향)과 데이터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벡터1503의 연장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입력 점을 이동시킬 때 규정되는 가상의 이동 벡터1504를 취득한 후에,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가상의 입력 점(1505)을 도출한다. 상관도 취득부(154)는, 이동 벡터(1504)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설정하면서 데이터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또한,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는, 표시부(102)의 표시 범위를 이동 벡터(1504)를 따라 이동시켜도 좋다. 이 처리에 의해, 조작 지시의 이력에 따라 데이터가 강조 표시된다.
또한, 조작 지시의 이력의 좌표를 사용해서 상관도를 산출하는 예는, 다음 방법도 포함한다.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각 동선 데이터에 대해서, 입력 점의 좌표(취득 위치)의 근방에 위치된 2개의 관측 점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관도 취득부(154)는, 이들 2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이동 벡터간의 상관도를 산출하고, 상관도의 산출 처리를 복수의 시각에서 행한다. 그리고, 상관도 취득부(154)는, 각 시각에 각각 대응하는 상관도의 합 또는 평균을 최종적인 상관도로서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기록된 이력으로 나타낸 입력 점의 궤적과 데이터간의 상관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지시의 이력에 따라, 데이터가 강조 표시된다.
제6의 실시예를, 취득된 데이터나 지시 방향에 따라 상관도에 가중을 행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한다.
상관도 취득부(154)는, 데이터와 지시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취득 위치에 따라, 상관도에 가중을 행한다.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7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가,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을 취득한다.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산출부(154)가, 대상 데이터인 동선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하고, 동선 데이터마다 상관도를 가중한다.
가중 계수는, 데이터의 취득 위치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1601)에 있어서, 화면중앙에서 동선 데이터(1602)까지의 거리(1603)에 따라 단들로 분류된 가중 계수의 구분(1604)에 의해, 가중 계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이러한 가중에 의해, 동선 데이터(1602)의 상관도가, 데이터의 취득 위치에 따라서 가중된다.
또한,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방향을 입력하는 입력 점(1605)으로부터 동선 데이터(1606)까지의 거리(1607)에 따라서 단들로 분류된 가중 계수의 구분(1608)에 의해, 가중 계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이러한 가중에 의해, 동선 데이터(1606)의 상관도가, 지시 방향의 취득 위치에 따라서 가중된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상기 구분 1604, 1608은, 위치가 화면중앙 또는 입력 점에 가까울수록 가중 계수가 증가하도록 설정되고, 위치가 화면중앙 또는 입력 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수록 가중 계수가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가중 계수는 이하의 식(1)로 결정된다.
(가중 계수)=1.0-(화소 수로 표현된 거리)×0.001 ...(1)
이 결과, 화면중앙 또는 입력 점에 보다 가깝게 위치된 동선 데이터에 대해, 상관도의 값이 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자(206)가 주목하고 있는 동선 데이터가, 화면중앙 또는 입력 점의 근방에 위치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감시자(206)가 주목하고 있는 데이터를 한층 더 강조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포함되는 동선 데이터의 관측 점의 수를 카운트하고, 스크롤에 따른 관측 점의 수의 변화가 작을수록, 그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가 증가하도록 가중 계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중 계수는 이하의 식(2)로 결정된다.
(가중 계수)=100-|(스크롤전의 관측 점수)-(스크롤후의 관측 점수)| ...(2)
또한, 동선 데이터의 특정한 점이 스크롤전 및 스크롤후에 있어서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서 관측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특정한 점이 관측될 수 있을 경우에 그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가 증가하도록 가중 계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선 데이터의 특정한 점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횟수를 스크롤을 요구하는 조작 지시마다 카운트하고, 그 횟수가 증가할 수록, 이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가 증가하도록 가중 계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이 결과, 열람 영역(표시 범위)내에 오래 머무르는 동선 데이터에 대한 가중 계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감시자(206)가 추적하는 중인 원하는 동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제7의 실시예를, 표시부(102)의 표시 범위외에 위치된 데이터의 상관도를 산출하여서 지시 방향을 예측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7a, 17b, 17c, 1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한다.
지시 실행부(152)는, 방향 설정부로서 기능하고, 표시부(102)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으로부터 열람 영역(표시 범위)밖으로의 방향을 설정한다.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표시부(102)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의 데이터 방향을 취득한다. 지시 실행부(152)는, 지시 방향 취득부로서 기능하고, 설정된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상관도 취득부(154)는, 표시부(102)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의 데이터 방향과 상기 설정된 방향(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단계S704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를 향하는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단계S706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함과 아울러,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지시 방향을 예측하는 모드로 설정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일 경우, 또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지시 방향을 예측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YES), 단계S707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07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의 데이터 방향을 취득한다.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의 데이터 방향과 상기 설정된 방향(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실행부(152)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를 향하는 방향으로서, 8방향(상방향U, 하방향D, 좌방향L, 우방향R, 좌상방향UL, 우상방향UR, 우하방향DR, 및 좌하방향DL)(1701) 각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방향(1701)으로 각각 열람 영역(1702)을 시프트시켜서 규정된 각 범위(1703)에 대해서, 상관도 취득부(154)는, 동선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8방향(1701)은 매 2개의 인접한 방향간에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고, 열람 영역(1702)과 각 범위(1703)는 30%의 중복부를 가진다. 이것들의 각도와 중복부의 비율은, 임의로 설정된다.
도 17c는, 8방향(1701)으로 각각 시프트시킨 각 범위(1703)에 대하여 상관도의 평균을 산출한 예를 도시한 도다.
단계S709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동선 데이터의 수 및 상관도의 통계 값에 근거하여, 상관도가 가장 높은 범위(1703)를 선택한다. 상관도의 통계 값의 예들은, 상관도의 합, 평균, 중간값, 최대값, 최소값, 분산, 표준편차, 및 빈도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7c에서는, 우하방향DR에 대해 상관도의 평균이 최대값(0.935)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b에서는, 이 열람 영역이 스크롤전의 열람 영역이기 때문에, 열람 영역(1702)은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열람 영역(1702)외에 위치된 데이터(범위 1703의 동선 데이터)의 상관도를 산출함에 의해, 지시 방향을 예측한다.
다시 말해서, 우하방향DR이 지시 방향으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람 영역 1705, 1706의 데이터 방향과 우하방향DR간의 상관도가 산출되고, 단계S710, S713에서는, 상관도에 따라 동선 데이터가 강조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에 위치된 데이터의 상관도를 산출하고, 상관도의 평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방향 중 많은 동선 데이터가 흐르는 방향을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자(206)는 동선 데이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밖에,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열람 영역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강조된 표시를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관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데이터 수(동선 데이터의 수)가 많을 경우는, 이 방향을 따라 상기 데이터의 분기가 특정 위치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분기의 유무를 동선 클러스터링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분석하고, 분기가 존재할 경우는 분기마다 데이터를 나누고, 그룹마다 다른 표시 서식을 채용한다. 이에 따라, 감시자(206)는, 데이터의 분기의 존재를 알면서, 분기전에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사전에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외에 위치된 데이터의 상관도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지시 방향을 스크롤 방향으로서 설정하면서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을 스크롤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람 영역(표시 범위) 1705가 우하방향DR에 이동하는 동안, 열람 영역 1705, 1706의 동선 데이터가 강조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제3의 실시예의 단계S1110과 같이,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가 스크롤 속도의 가감속 또는 스크롤 정지를 행해도 좋다.
이렇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감시자(206)가 조작을 행하지 않고 상기 설정된 방향 중에서 지시 방향이 되는 방향을 예측하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므로, 감시자(206)의 관찰을 지원할 수 있다.
제8의 실시예를 3D스캐닝 데이터 등에 있어서의 입체조형 데이터의 예로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3D스캐너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는, 평면 위에 요철상의 노이즈가 발생하기도 한다. 데이터의 품질상, 이 노이즈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캔 대상인 물체마다 형상이 다르므로, 물체의 정확한 형상을 아는 인물이 이 노이즈를 유저 자신의 눈으로 검사하여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 수정 작업은,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조작자가, 입체조형 물체를 구성하는 평면을 추적하면서 노이즈의 유무를 유저 자신의 눈으로 검사해서 확인하고 나서, 그 노이즈를 수정하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 작업은, 노이즈 확인이 인간의 눈에 의한 검사에 의존하므로, 그 노이즈를 간과할 위험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열람 영역을 확대하지 않으면, 작은 요철(노이즈)을 발견할 수 없고, 또한, 열람 작업도 과도한 부하가 되기 때문에, 수정 작업을 성취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열람 작업시에 열람 영역의 확대, 물체의 회전, 시점의 이동, 및 시점의 회전등이 발생하면, 열람 영역에 표시된 물체의 표면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인간의 시각이 그 이동을 추종하는 것이 곤란하여서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회전축 위에 노이즈가 있을 경우나 시점에서 볼 때 노이즈의 각도가 작을 경우에, 물체의 회전 및 시점의 회전에 의해, 조작자가 노이즈와 그 주변을 구별할 때의 곤란성과 저해상도로 인해 노이즈를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노이즈의 표시 개소가 열람 영역의 가장자리나 그 근방일 경우에도, 조작자는 노이즈를 간과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8의 실시예를,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있어서 물체 표면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8a 및 1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한다.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표시된 대상으로서 설정된 물체(1801)는, 3D스캐너 등에 의해 취득된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점, 선 및 면을 포함하는 데이터(3D 스캐닝 데이터)이다.
도 7a에 도시된 단계S704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지시의 예들은, 물체(1801)의 이동, 물체(1801)의 회전, 물체(1801)의 확대/축소, 시점 1802 또는 1803의 이동, 시점 1802 또는 1803의 회전, 및 시점 1802 또는 1803의 화각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 지시의 예들은, 광원 등의 이동, 회전, 조도 및 확산각을 포함한다.
또한, 지시 실행부(152)는, 지시 방향 취득부로서 기능하고, 조작 지시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18a 및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시점 1802로부터 시점 1803으로의 이동 벡터(1804)를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이와 아울러, 지시 실행부(지시 방향 취득부)(152)는, 물체(1801)를 구성하는 면의 가운데 점에 대해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이동 벡터를 산출하고, 그 이동 벡터를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이에 따라, 물체(1801) 또는 시점 1802나 1803의 회전에 대해서도 지시 방향이 취득된다.
단계S705에서는, 조작 지시에 따라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지시 실행부(152)가, 표시 범위 이동부로서 기능하고, 표시부(102)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을 이동 벡터(지시 방향)(1804)를 따라 이동(스크롤)시킨다. 이에 따라, 열람 영역내의 물체(1801)의 표시 위치가 변경된다.
단계S706에서는, 지시 실행부(152)가,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의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 지시가 화상의 스크롤 시작 또는 스크롤중의 지시일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YES), 단계S707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707에서는,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가,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표시된 데이터(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 중 면 데이터를 대상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이때, 열람 영역에 포함된 면 데이터 및 열람 영역의 근방에 위치된 면 데이터가, 대상 데이터로서 추출된다.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는, 시점 1802 또는 1803으로부터 보여진 것처럼 숨겨진 면 데이터를 추출할 것인가 아닌가를, 그 시점 1802 또는 1803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하여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데이터 추출부(153)는, 시점 1802 또는 1803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위치된 면 데이터의 길이의 2배인 거리내에 위치된 숨겨진 면 데이터를 추출한다.
단계S708에서는, 상관도 취득부(154)가, 대상 데이터인 면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 벡터(지시 방향)와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상관도 취득부(154)는, 면 데이터(폴리곤 단위)의 법선 벡터(1805∼1809)를 산출하고, 법선 벡터(1805∼1809) 각각과 이동 벡터(1804)간의 코사인 값의 절대값을 상관도로서 산출한다.
법선 벡터(1805∼1807)는, 이동 벡터(1804)에 대략 수직하고, 그 상관도(코사인 값의 절대값)는 0에 가깝다. 한편, 그 법선 벡터가 이동 벡터(1804)와 보다 평행해질수록, 상관도(코사인 값의 절대값)는 커지므로, 법선 벡터(1808, 1809) 각각의 상관도는, 법선 벡터(1805∼1807) 각각의 상관도를 초과한다.
단계S709 및 단계S710에서는, 표시 변경부(156)가,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예를 들면, 0.3)이상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표시 변경부(156)는, 법선 벡터(1808, 1809)를 각각 갖는 면 데이터 1818, 1819를 선택하고, 면 데이터 1818, 1819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이 경우, 표시 변경부(156)는, 면 데이터 1818, 1819와 그 이외의 면 데이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도록, 면 데이터 1818, 1819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면 데이터 1818, 1819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또는, 표시 변경부(156)는, 면 데이터 1818, 1819를 구성하는 점의 좌표를 면 법선 벡터 또는 정점법선 벡터를 따라 이동시켜서, 면 데이터 1818, 1819의 표시 형식을 변경해도 좋다.
단계S713에서는, 상기한 처리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가 열람 영역에 묘화된다.
지시 실행부(152)는, 조작 지시를 받을 때마다 상기한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스캔시에 발생된 노이즈 등의 요철을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강조 표시할 수 있어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 결과, 데이터 열람 장치는, 유저 자신의 눈으로 검사하여서 수정 작업을 실시할 때의 노이즈를 감시자(206)가 간과하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표시 변경부(156)는, 표시 형식을 표준 표시 형식으로 복귀시키지 않고 그 변경된 표시 형식을 유지하거나, 트랜지션 효과 생성과 함께 표시 형식을 변경하여서,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감시자(206)가 노이즈를 간과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 이외에도, 입체 지형도에 있어서의 산이나 산골짜기의 표면 등의 면 데이터를 열람시에, 입체형상의 요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입체형상의 정점이나 경계선 등의 점 데이터와 선 데이터에도 적용가능하고, 그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9의 실시예를, 지도상의 점 데이터의 위치에 근거하여 데이터 방향을 취득하는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장치(100)의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9a, 19b, 19c, 1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 기능,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제1의 실시예와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서 설명한다.
대상 데이터 추출부(데이터 방향 취득부)(153)는, 소정의 기준점과 점 데이터의 선분방향 및 2점의 점 데이터의 선분방향 중 적어도 1개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한다. 이 경우, 점 데이터로서, 적어도 1점으로 이루어진 목적지나 랜드마크 등의 목적점(점 데이터)이 주어진다.
도 19a에서, 임의의 감시 공간에 있어서, 열람 영역(표시 범위)(1901)이 설정되고, 열람 영역(표시 범위)(1901)은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가능하다. 도 19a는, 조작자가, 지도나 플로어 플랜 등에 등록된 랜드마크(목적점)(1904)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면서 열람 영역을 열람한다고 가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다. 열람 영역(1901)의 중심점을 기준점(1902)으로서 설정한다. 열람 영역(1901)내에는 목적점(1903)이 위치된다. 또한, 열람 영역(1901)외에도 목적점(1903)이 위치된다.
이들의 목적점(점 데이터)(1903, 1904)이 감시 공간에 주어지는 것에 의해, 조작자는 열람 영역(표시 범위)(1901)의 스크롤 조작을 행한다. 도 19b에서는, 우상 방향으로 향한 스크롤 방향(지시 방향)이 조작 지시로서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S704, S705에서,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는, 표시부(102)의 열람 영역(1901)을 우상 방향(지시 방향)을 따라 열람 영역(1905)까지 이동시킨다.
단계S708에서는, 기준점(1902)으로부터 각 목적점(1903, 1904)에의 벡터 데이터(데이터 방향)와 스크롤 방향(지시 방향)간의 코사인 값이 상관도로서 산출된다.
예를 들면, 스크롤전의 열람 영역1901의 기준점1902로부터 스크롤중인 열람 영역1905에서의 기준점1906에의 벡터 데이터(1907)가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또한, 스크롤전의 기준점(1902)과 각 목적점(1903, 1904)에의 벡터 데이터(1917)가,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도 19c는, 목적점(1904)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전의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예를 도시한 도다. 기준점(1902)을 중심으로 각 목적점(1903, 1904)을 향하는 벡터 데이터(1917, 1918)가 표시되어 있다. 목적점(1904)을 향하는 벡터 데이터(1918)는, 스크롤전의 벡터 데이터이기 때문에, 표준 표시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을 요구하는 조작 지시가 입력되면, 단계S709, S710에서는, 상관도에 근거하여 데이터가 선택되고, 그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서 표시 형식이 변경된다.
도 19d는, 목적점(1904)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크롤중인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예를 도시한 도다. 기준점(1902)과 목적점(1904)간의 벡터 데이터(데이터 방향)1919와, 스크롤 방향(지시 방향)인 벡터 데이터1907간의 상관도에 근거하여, 벡터 데이터1919가 강조 표시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특정한 목적점까지 열람 영역(표시 범위)을 스크롤할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기준점에서 목적점에의 방향으로부터 일탈하는 스크롤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목적점을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열람 영역을 스크롤하는 조작이 입력되었을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표준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이동된 이동 거리보다도 짧은 이동 거리로 스크롤 함에 의해, 조작자에게 위화감을 주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특정한 목적점에 이르기까지의 경로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므로, 목적점에 이르기까지 조작자를 지원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조작자가 넓은 공간에서 열람 영역을 고속으로 스크롤 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렇게, 2점을 나타내는 점 데이터(기준점1902를 나타내는 점 데이터를 포함한다)간의 선분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설정하는 예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또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이하의 벡터 데이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직선 대신에 곡선을 사용하거나, 지도상에 있어서의 목적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사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잡한 데이터가 열람 영역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기준점을 소정의 시간동안 고정하여서 스크롤중에 있어서의 표시 형식의 극단적 또는 빈번한 변화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어서, 조작자의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때, 투명도나 폭 등의 도형속성을 사용한 트랜지션 효과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작자의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기준점은,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중심점이외에, 열람 영역(표시 범위)내외에 위치된 임의의 점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기준점은, 터치패널상에 입력된 탭 조작이나 클릭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목적점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자가 열차에서 하차하는 역부터 목적점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조작자가 열차에서 하차하는 역과 목적점을 지정한 후 데이터를 연결하는 경로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설정하면서 상관도를 산출함에 의해, 도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의 실시예의 단계S1110과 같이, 지시 실행부(표시 범위 이동부)(152)가 스크롤 속도의 가감속 또는 스크롤 정지를 행해도 좋다.
또한, 목적점으로서 지정된 점 데이터가 단일 점으로 구성되지 않고 복수의 점으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복수의 점을 샘플링하여 취득된 점 및 복수의 점의 평균 좌표를 목적점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열람 장치(100)가 지도와 함께 사용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아이콘이나 사진 데이터의 섬네일을 적어도 2차원으로 배치하면서 열람 영역(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열람 장치이여도 좋다. 본 실시예는, 아이콘이나 섬네일을 목적점으로서 취급하고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서 취급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열람 장치는, 목적지인 아이콘이나 섬네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크롤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포스터, 문서, 및 팜플렛 등의 문서 파일의 열람에도, 문서 파일내의 화상이나 단락 등의 오브젝트의 좌표값을 목적점으로서 취급하고, 열람 영역(표시 범위)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서 취급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열람 장치는, 목적지인 상기 오브젝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스크롤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내에 있어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기억부(109)에 기억된 데이터는, 단지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plane) 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데이터이기만 하면 된다. 또한, 점 데이터의 위치 방향, 선 데이터의 선방향, 및 면 데이터의 법선방향 중 적어도 1개가 단지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되기만 하면 된다.
표시부(102)에는,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이외의 데이터가 표시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3차원의 입체형상이 표시부(102)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 경우, 입체형상의 위치 또는 입체형상을 구성하는 점은 점 데이터다. 입체형상의 이동 방향 또는 입체형상을 구성하는 선은 선 데이터다. 입체형상을 구성하는 면은 면 데이터다. 또한, 면의 위치 및 면을 구성하는 점은 점 데이터이며, 면의 이동 방향 및 면을 구성하는 선은 선 데이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 데이터의 위치 방향, 선 데이터의 선 방향, 및 면 데이터의 법선방향 중 적어도 1개가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데이터 방향의 예들은, 인물 동선 검지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인물의 방향등의 방향속성값, 감시 대상 데이터의 임의점과 감시 기준점으로부터 도출되는 방향, 및 복수의 감시 대상 데이터의 임의점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취득된 방향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방향의 예들은, 동선 데이터 등의 계열값으로부터 도출된 방향, 및 3차원의 입체형상의 정점정보나 평면정보로부터 도출되는 방향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밖에, 데이터 방향은,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방향이 취득될 수 있고 데이터에 부가된 속성이 정량화되면,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방향의 예들은, 색정보 또는 휘도정보에 근거하여 색상 경사나 휘도 경사의 방향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렇게,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데이터 열람시의 여러 가지 속성의 변화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급하여서 상기 속성의 변화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향을 취득하기 위한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는, 표시부(102)에 표시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색정보 또는 휘도정보에 근거하여 색상 경사나 휘도 경사를 산출하고, 이것들의 경사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RAM(108) 또는 기억부(109)등의 기억부에 기억하면 좋고, 이것들의 경사방향은 표시부(102)에 표시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면 좋고, 소정의 경사방향을 갖는 영역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면 좋다. 달리 말하면,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 자체의 표시 형식을 변경해도 좋거나, 소정의 상관도를 갖는 데이터에 관련되는 데이터(영역 등)의 표시 형식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임의의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된다. 예를 들면, 버튼의 누름 조작이나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 등에 의한 스크롤 조작, 단수의 손가락 및 복수의 손가락의 터치 조작, 및 무인항공기 등의 감시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조작 지시가 입력된다. 이것들의 조작 지시에 의해, 회전, 확대, 축소, 표시 윈도우 변형, 표시 윈도우 면적 변화, 3D표시의 시점 변경, 및 자이로 센서의 변화 값 등에 근거하여, 지시 방향이 취득된다.
데이터 열람시의 표시 제어로서는, 데이터 방향과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에 따라서 표시 형식이 변경된다. 표시 형식의 변경의 예들은, 데이터에 관한 서식(예를 들면, 폭, 농담, 밝기, 색조, 및 투명도 등)의 변경, 스크롤 속도의 가감속, 스크롤 정지, 및 스크롤 방향의 변경을 포함한다.
이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데이터에 관한 서식의 변경 제어와 그 밖의 화상 데이터 제어(예를 들면, 시점이나 화각의 제어)를 동시에 행하여서, 대상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이러한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은, 데이터 열람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다차원 데이터를 열람할 때, 추적 대상인 데이터의 흐름이 다수의 그 밖의 데이터가 이 흐름을 통과하면서 표시되는 경우, 데이터 열람 장치(100)는, 추적 대상인 데이터를 강조 표시함으로써, 대상 데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의 데이터 방향을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도상의 목적점에의 경로, 동선 데이터, 및 컴퓨터 지원 설계(CAD) 데이터 등의 공간 데이터의 데이터 열람 장치가, 특정한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선 그래프, 소셜 맵, 마인드 맵 등의 데이터 열람 장치에, 특정한 선 그래프나 특정한 노드 링크 등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의 지형 데이터(폴리곤 데이터)등의 데이터 열람 장치가, 특정한 면 데이터(예를 들면, 요철면 등)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영부를 탑재한 무인항공기에 의해 촬영된 감시 대상의 이동 데이터(선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부의 팬(pan) 및 틸트 등의 시점의 이동 방향이,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시경 수술 등에 사용하기 위한 의료용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혈관 등의 화상 데이터(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웨어러블 바이스, HMD 및 타블렛 디바이스 등을 이용한 증강현실(AR)의 화상 데이터(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적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목적점까지의 경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여서 AR디바이스의 조작자를 특정한 목적점에 유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데이터 열람 장치에 의하면, 열람 화면중의 데이터 중에서 지시 방향과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대량의 열람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열람 장치에 의해, 유저가, 그것들의 상세도를 손상하지 않고, 또한 시인성을 확보한 채 적합하게 열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9)

  1. 경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나타낸 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방향 취득부;
    상기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지시 방향 취득부;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관계를 취득하는 관계 취득부; 및
    상기 관계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데이터간에 표시 내용에 차이가 있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 범위를 상기 지시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표시 범위 이동부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범위 이동부는, 상기 관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 범위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1개를 변화시키는, 데이터 열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향 취득부는, 점 데이터, 선 데이터, 및 면 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로부터, 상기 점 데이터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점 데이터가 나타낸 방향, 상기 선 데이터의 선 방향, 및 상기 면 데이터의 법선방향 중 적어도 1개를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향 취득부는, 상기 선 데이터의 접선방향,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선 데이터상의 임의의 2점 사이의 선분방향,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상기 선 데이터상의 점을 포함하는 상기 선 데이터상의 임의의 2점 사이의 선분방향, 복수의 상기 선분방향의 평균, 상기 선 데이터가 점 데이터의 이동일 경우에 임의의 이동 시간에 대응하는 2점 사이의 선분방향, 상기 선 데이터가 점 데이터의 이동일 경우에 임의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2점 사이의 선분방향, 상기 지시 방향의 시점과 종점의 근방에 위치된 상기 선 데이터상의 2점 사이의 선분방향, 소정의 기준점과 상기 점 데이터 사이의 선분방향, 및 2점의 상기 점 데이터 사이의 선분방향 중 적어도 1개를, 상기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취득부는,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 사이의 각도, 상기 데이터의 취득 위치와 상기 지시 방향의 취득 위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의 내적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관도가 소정의 역치이상 또는 이하인 상기 데이터를 표시부에 강조 표시시키는, 데이터 열람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관도가 가장 높은 데이터 또는 가장 낮은 데이터에서 시작하는 순서로 상기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데이터 열람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취득부는, 표시부의 표시 범위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상관도의 통계 값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관도의 통계 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관해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지시 방향의 취득 위치, 방향, 및 길이 중 적어도 1개를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하는 지시 방향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계 취득부는,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된 상기 지시 방향과 상기 데이터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취득부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지시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취득 위치에 따라, 상기 상관도에 가중을 행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 범위로부터 상기 표시 범위외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방향 취득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표시 범위외의 상기 데이터 방향을 취득하고,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상기 방향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관계 취득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범위외의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상기 촬영부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지시 방향을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표시부의 표시의 회전, 확대, 축소, 및 전환 중 적어도 1개로 인한 상기 데이터의 변화 방향을, 상기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터치, 멀티 터치, 클릭, 드래그, 회전, 각도, 각속도, 및 방위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상기 지시 방향을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스크롤에 근거하여 상기 지시 방향을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방향 취득부는, 표시 범위를 상기 지시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지 않고, 고정된 표시 범위내에서, 지시 방향을 취득하는, 데이터 열람 장치.
  18. 경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나타낸 방향을 데이터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향과 상기 지시 방향간의 관계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데이터간에 표시 내용에 차이가 있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열람 방법.
  19. 컴퓨터에 청구항 18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60065217A 2015-06-01 2016-05-27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60141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1787 2015-06-01
JPJP-P-2015-111787 2015-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57A true KR20160141657A (ko) 2016-12-09

Family

ID=5641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217A KR20160141657A (ko) 2015-06-01 2016-05-27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49972A1 (ko)
JP (1) JP2016224919A (ko)
KR (1) KR20160141657A (ko)
CN (1) CN106202140A (ko)
DE (1) DE102016109891A1 (ko)
GB (1) GB25400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5960B1 (ja) * 2015-04-17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動線分析システム及び動線分析方法
JP6558579B2 (ja) 2015-12-24 2019-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動線分析システム及び動線分析方法
US10497130B2 (en) 2016-05-10 2019-12-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ving information analyzing system and moving information analyzing method
KR102374404B1 (ko) * 2017-07-25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521557B1 (ko) * 2018-01-04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롤 입력에 기반하여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828708B2 (ja) * 2018-03-29 2021-02-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制御方法
US11341705B1 (en) * 2018-10-18 2022-05-24 Tableau Software, Inc. Animated transitions in data visualization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data visualizations
CN109492182B (zh) * 2018-11-05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页面生成方法、装置、页面显示系统和存储介质
CN110930506B (zh) * 2019-10-11 2022-09-09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股份有限公司 三维地图生成方法、移动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803A (ja) 1995-02-16 1996-08-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道路地図表示装置および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695864B2 (ja) * 2004-10-18 2011-06-0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データ配信装置、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445449B2 (ja) * 2005-10-04 2010-04-07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画像生成装置
KR100791287B1 (ko) * 2005-10-2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객체의 3차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5141984B2 (ja) * 2009-05-11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8413065B2 (en) * 2009-09-07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for ending an application
DE112010005192T5 (de) * 2010-01-29 201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arten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JP2011255119A (ja) * 2010-06-11 2011-12-22 Nintendo Co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TW201211572A (en) * 2010-09-06 2012-03-16 Asustek Comp Inc Method for retrieving object inform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739054B1 (ko) * 2010-09-08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상의 움직임 제어 방법 및 장치
EP2455841A3 (en) * 2010-11-22 2015-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tem using movement of object
US9535511B2 (en) * 2011-06-29 2017-01-03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US8885616B2 (en) * 2011-07-13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sounding reference signals (SRS)
EP2573666B1 (en) * 2011-09-21 2018-09-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1265428B2 (en) * 2011-12-21 2014-08-14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9106762B2 (en) * 2012-04-04 2015-08-11 Google Inc. Associating content with a graphical interface window using a fling gesture
JP2013250637A (ja) * 2012-05-30 2013-12-12 Toshiba Corp 認識装置
US9244549B2 (en) * 2012-06-28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JP2014010777A (ja) * 2012-07-02 2014-01-20 Fujitsu Ltd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099327B2 (ja) * 2012-07-26 2017-03-2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2915348B (zh) * 2012-09-27 2015-09-0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在地图中向用户推荐搜索信息的方法及系统
US9020664B2 (en) * 2013-04-15 2015-04-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procedure information on an aircraft display
US10620775B2 (en) * 2013-05-17 2020-04-14 Ultrahaptics IP Two Limited Dynamic interactive objects
KR20150002312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4346083A (zh) * 2013-07-25 2015-02-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触摸操作的显示控制系统及方法
US10549180B2 (en) * 2013-09-30 2020-02-04 Zynga Inc. Swipe-direction gesture control for video games using glass input devices
US10066959B2 (en) * 2014-09-02 2018-09-04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2140A (zh) 2016-12-07
DE102016109891A1 (de) 2016-12-01
GB201609330D0 (en) 2016-07-13
US20160349972A1 (en) 2016-12-01
GB2540032A (en) 2017-01-04
JP2016224919A (ja)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1657A (ko) 데이터 열람 장치, 데이터 열람 방법, 및 기억 매체
EP3050030B1 (en)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8963963B2 (en) Video-based image control system
JP6056178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4449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EP281400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063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navigation and visualization of medical images
US20170169595A1 (en)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ich records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program, and information superimposed image display method
US201903255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15039166A (zh) 增强现实地图管理
JP201902993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Xu et al. Improving indoor wayfinding with AR-enabled egocentric cues: A comparative study
US2022028369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order to browse through photos
CN111506280B (zh) 用于指示屏幕外兴趣点的图形用户界面
JP6487545B2 (ja) 認知度算出装置、認知度算出方法及び認知度算出プログラム
JP2000010693A (ja) 3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073310A (ja) 表示システム、表示プログラム
US20230196725A1 (en) Image annotation system and method
CN118447193A (zh) 虚拟内容的展示方法、系统、装置、介质和计算机产品
KR20220074543A (ko) 실감형 3차원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6991228A (zh) Vr系统的界面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8073147A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8032348A (ja) ポイン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タ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