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903A - 화염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염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903A
KR20160138903A KR1020160061924A KR20160061924A KR20160138903A KR 20160138903 A KR20160138903 A KR 20160138903A KR 1020160061924 A KR1020160061924 A KR 1020160061924A KR 20160061924 A KR20160061924 A KR 20160061924A KR 20160138903 A KR20160138903 A KR 2016013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sensor
voltage
flame detection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632B1 (ko
Inventor
라이타 모리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F23N5/08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23M11/045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by observing the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9/00Flam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161Ratio method, i.e. Im/Ir
    • G01J2001/1621Comparing a duty ratio of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1673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a reference sam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광량을 보정할 수 있는 화염 검출 시스템을 과제로 한다.
광을 검출하는 화염 센서와 연산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염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염 센서를 구동시키는 펄스를 생성하는 인가 전압 생성부와,
상기 화염 센서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계측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화염 센서가 갖는 감도 파라미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감도 파라미터 중 기지의 수광량, 펄스 폭 및 방전 확률의 파라미터, 및 실제의 펄스 폭과 계측한 방전 횟수로부터 얻어지는 방전 확률을 이용하여, 그 화염의 수광량을 구하는 중앙 처리부를 구비하고,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와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로부터, 화염 센서의 개체간의 감도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염 검출 시스템{FLAM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는 화염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로 등에 있어서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에 기초하여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는 데 이용되는 전자관이 알려져 있다. 이 전자관은 소정의 가스를 충전 밀봉한 밀폐 용기와, 이 밀폐 용기를 관통하는 전극 지지 핀과, 이 전극 지지 핀에 의해 밀폐 용기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지지되는 2장의 전극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관에서는, 전극 지지 핀을 통해 전극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화염에 대향 배치된 한쪽의 전극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전 효과에 의해 그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고, 그 전자가 차례차례로 여기되어 다른쪽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자 사태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 전극 사이의 전압의 변화,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 등을 계측함으로써, 화염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래서,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적분하고, 이 적분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염 있음, 그 임계값에 차지 않는 경우에는 화염 없음이라고 판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2의 발명은 태양광 등의 주위 광의 변화의 여하에 구애받지 않고, 검출 대상의 불꽃을 항상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화염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태양광 등의 주위 광의 조도를 검출하고, 그 조도에 따라, 화염이 발하는 자외선의 검출 감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주위 광의 변화의 여하에 구애받지 않고, 화염을 확실하게 검지한다. 주위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12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6-76184호 공보
그러나, 화염 센서 자체는 수명이 있는 제품으로, 적절한 교환을 필요로 한다. 한편, 화염 센서에는 감도에 개체차가 있다. 그 때문에, 거래처에서 화염 센서를 교환한 경우에, 동등한 화염이어도 그 출력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화염 센서의 감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화염 신호에 대하여 화염 센서(UV 튜브)의 개체간 감도차를 보정한다.
본원 발명은 광을 검출하는 화염 센서와 연산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염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염 센서를 구동시키는 펄스를 생성하는 인가 전압 생성부와,
상기 화염 센서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계측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화염 센서가 갖는 감도 파라미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감도 파라미터 중 기지(旣知)의 수광량, 펄스 폭 및 방전 확률의 파라미터, 및 실제의 펄스 폭과 계측한 방전 횟수로부터 얻어지는 방전 확률을 이용하여, 그 화염의 수광량을 구하는 중앙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와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로부터, 수광량을 각각 구하여 그 수광량비를 계산하여, 화염 센서의 개체간의 감도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수광량비를 이용하여,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화염 유무 판단 임계값에 상기 수광량비를 곱하여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화염 유무 판단 임계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이다.
또는, 본원 발명은 상기 수광량비 대신에 펄스 폭비를 산출하여,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펄스 폭에 상기 펄스 폭비를 곱하여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펄스 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이어도 좋다.
본원 발명에 의해, 2개의 화염 센서에 따른 미리 기억한 기지 파라미터군과, 실제의 조작량과 계측량을 이용한 디지털 연산에 의해, 수광량비를 계산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 또한 신속하게 센서 개체간 감도차를 보정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검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방전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실시의 기본부인 중앙 처리부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실시의 양태인 중앙 처리부의 흐름을 나타낸다.
(1) 본원 발명의 구성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검출 시스템을 도 1에 나타내고, 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검출 시스템은 화염 센서(1)와, 외부 전원(2)과, 화염 센서(1) 및 외부 전원(2)이 접속된 연산 장치(3)를 구비한다.
화염 센서(1)는 양단부가 막힌 원통형의 외위기(外圍器)와, 이 외위기를 관통하는 전극 핀과, 외위기 내부에 있어서 전극 핀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지지된 2장의 전극을 구비한 전자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관은 전극이 버너 등의 화염(300)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외선이 전극에 조사되면, 광전 효과에 의해 그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고, 그 전자가 차례차례로 여기되어 다른쪽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자 사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극 사이의 전압, 전류, 임피던스가 변화하게 된다.
외부 전원(2)은 예컨대, 100 [V] 또는 200 [V]의 전압값을 갖는 교류의 상용 전원으로 이루어진다.
연산 장치(3)는 외부 전원(2)에 접속된 전원 회로(11)와, 이 전원 회로(11)에 접속된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 및 트리거 회로(13)와,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의 출력단(12a)과, 화염 센서(1)의 하류의 전극 핀에 접속된 분압 저항(14)과, 이 분압 저항(14)에 접속된 전압 검출 회로(15)와, 이 전압 검출 회로(15) 및 트리거 회로(13)가 접속된 샘플링 회로(16)를 구비한다.
전원 회로(11)는 외부 전원(2)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 및 트리거 회로(13)에 공급하며, 연산 장치(3)의 구동용 전력을 취득한다.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는 전원 회로(11)에 의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소정의 값까지 승압시켜 화염 센서(1)에 인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00 [V]의 전압이 화염 센서(1)에 펄스형으로 인가된다.
트리거 회로(13)는 전원 회로(11)에 의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소정의 값 점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샘플링 회로(16)에 입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리거 회로(13)는 전압값이 최소가 되는 최소값 점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교류 전압에 대해서 소정의 값 점을 검출함으로써, 그 교류 전압의 1주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분압 저항(14)은 화염 센서(1)의 하류의 단자 전압으로부터 참조 전압을 생성하여, 전압 검출 회로(15)에 입력한다. 여기서, 화염 센서(1)의 단자 전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400 [V]와 같은 고전압이기 때문에, 그대로 전압 검출 회로(15)에 입력하면 전압 검출 회로(15)에 큰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화염 센서(1)의 단자간 전압의 실제의 값이 아니라, 화염 센서(1)의 단자 전압의 시간 변화, 즉 단위 시간당 단자간 전압값의 펄스 파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분압 저항(14)에 의해, 화염 센서(1)의 단자간 전압의 변화가 표현되고, 또한, 전압값이 낮은 참조 전압을 생성하여, 이것을 전압 검출 회로(15)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15)는 분압 저항(14)으로부터 입력되는 참조 전압의 전압값을 검출하여, 샘플링 회로(16)에 입력한다.
샘플링 회로(16)는 전압 검출 회로(15)로부터 입력되는 참조 전압의 전압값과, 트리거 회로(13)로부터 입력되는 트리거 시점에 기초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한다. 화염이 발생하여 화염 센서(1)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경우에는, 자외선이 전극에 조사되어 광전 효과에 의해 그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고, 그 전자가 차례차례로 여기되어 다른쪽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자 사태가 형성되며, 이 전자 사태에 의해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발광을 수반하는 전자의 방출이 생긴다. 그래서, 샘플링 회로(16)는 그와 같은 펄스형의 전압 파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수광량을 계산으로 구한다. 이러한 샘플링 회로(16)는 입력되는 참조 전압을 A/D 변환함으로써 전압값 및 전압 파형을 생성하는 A/D 변환부(161)와, A/D 변환부(161)에 의해 생성된 전압값 및 전압 파형을 해석하여, 후술하는 연산을 행하는 중앙 처리부(163)와, 이 중앙 처리부(163)에 의한 수광량에 기초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164)를 갖는다.
(2) 화염 검출의 동작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검출의 개략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연산 장치(3)는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에 의해 화염 센서(1)에 대하여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 회로(13)는 외부 전원(2)으로부터 전원 회로(11)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 즉,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에 의해 화염 센서(1)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최소값 점으로부터 상승 트리거를 가한다.
인가 전압이 최소값 점을 통과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압값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 파형이 인가된다. 일례로서, 0.1 [msec]마다 전압값을 검출하면, 외부 전원(2)의 주파수를 60 [㎐]로 하면 1주기가 16.7 [msec]이기 때문에, 검출되는 전압값은 1주기에서는 167개 샘플이 되고, 그 데이터가 중앙 처리부(163)에 입력된다.
본 예에 있어서,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화염 센서(1)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파형[단자(12a)]은, 도 2의 부호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현파형의 완만한 형상(이하, 「통상 파형」이라고 함)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화염이 발생하여 화염 센서(1)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2의 부호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값이 플러스의 극치 근방에서 하강하고, 이 하강한 위치가 소정 시간 유지된 후에 정현파형으로 되돌아가는 특징적인 형상(이하, 「방전 파형」이라고 함)을 갖는다. 이 최대 전압 = 방전 개시 전압의 피크를 전압 검출 회로(15)로 포착하여 방전 횟수의 하나로 파악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도 2의 상부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펄스에서는, 화염 센서(1)를 구동하는 펄스 폭을 T로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의 회로 구성은 직류 형식으로 행하는 것이 상응하기 때문에, 전원 회로(11) 또는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는 AC/DC 변환기를 내장하고, 그 DC 전압 출력을 화염 센서(1)에 인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음 순서로 방전 확률을 구한다.
1. 중앙 처리부(163)로부터 폭(T)으로 제어된 직사각형의 트리거가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에 가해지면, 트리거에 동기하여 인가 전압이 화염 센서(1)에 인가된다.
2. 화염 센서(1)가 방전되지 않는 경우, 화염 센서(1)에 전류는 흐르지 않고, 그 하류의 저항(14)은 접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3. 화염 센서(1)가 방전된 경우, 화염 센서(1)에 전류가 흘러, 저항(14)의 양단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4. 화염 센서(1)의 하류에 전압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전압 검출 회로(15)로 검출한다.
5. 중앙 처리부(163)는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에 보낸 직사각형 트리거의 수와, 전압 검출 회로(15)가 소정의 전압을 검출한 횟수로부터 방전 확률을 계산한다.
(3) 본원 발명의 기본 원리
광전 효과를 이용한 화염 검출 시스템은 다음 동작 원리에 따라 수광량이 구해지기 때문에, 그 원리를 설명한다.
광전 센서에 광자가 1개 충돌하였을 때에 방전되는 확률을 P1로 하여, 광자가 2개 충돌하였을 때에 방전되는 확률(P2)을 생각한다. P2는 1개째의 광자여도 2개째의 광자여도 방전되지 않는 확률의 역으로 되기 때문에, P2와 P1의 관계는 수식 1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일반적으로, n개의 광자가 닿았을 때에 방전되는 확률과 m개의 광자가 닿았을 때에 방전되는 확률을, 각각 Pn, Pm으로 하면, 수식 1과 마찬가지로 수식 2와 수식 3이 성립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수식 2와 수식 3으로부터, Pn과 Pm의 관계로서, 수식 4로부터 수식 6을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그리고, 단위 시간당 전극에 날아오는 광자수를 E,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이하 「펄스 폭」이라고 부름)을 T라고 하면, 전압 인가 1회당 전극에 충돌하는 광자수는 E*T로 나타낸다.
따라서, 동일한 화염 센서를 조건 A와 다른 조건 B로 동작시켰을 때의, E, T 및 확률(P)의 관계는 수식 7과 같아진다. 또한, 여기서, 기준으로 하는 광자수를 E0으로 정하고, Q=E/E0이라고 하면, 수식 8이 유도된다. 이 Q를 수광량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조건마다의 수광량은 QA, QB이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예
다음에, 본원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수광량 연산 흐름을 중앙 처리부(163)의 동작으로 설명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163)는 CPU로 구성된다.
<실시예 1>
도 3의 흐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도면 중 단계를 Snn이라고 부름).
중앙 처리부(163)는 화염 센서(1)를 펄스 전압으로 구동시키고, 화염 센서(1)의 구동 결과로부터 화염의 수광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트리거를 받아 스타트한다(S00).
·화염 센서의 구동은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를 동작시켜, 소정 폭의 직사각형 펄스(T)로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의 전압을 화염 센서(1)에 대하여 인가한다(S01).
·소정 횟수 반복하여, 펄스(T)를 화염 센서(1)에 가함으로써, 화염 센서(1)가 방전된 횟수를, 전압 검출 회로(15)를 통하여 얻어진 신호에 의해, 카운트한다(S02).
·방전된 횟수와 가한 펄스수로부터 방전 확률(P)을 산출한다(S03).
·방전 확률로부터 수광량을 산출한다(S04). 또한, 방전 확률이 0 또는 1 이외인 경우는 하기의 수식 10에 의해 디지털 연산으로 구한다.
·방전 확률이 0인 경우는 수광량 0으로 한다. 1의 경우는 대상 외로 한다(S05).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위의 수식 9, 10에서는, 어떤 동작 조건에서의 수광량(Q0), 그때의 펄스 폭(T0)에 있어서의 방전 확률(P0)이 기지(旣知)라고 한다. 이것은, 예컨대 화염 센서(1)의 출하 검사시에, 정해진 수광량과 펄스 폭에 있어서의 방전 확률을 측정해 두고, 그것이 기억부(162)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수광량(Q), 펄스 폭(T), 방전 확률(P)의 관계는 수식 9로 구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Q0, T0, P0을 화염 센서(1)의 감도 파라미터라고 칭한다.
이제, Q0, T0, P0이 기지로 기억되어 있다. 펄스 폭(T)은 실제로 중앙 처리부(163)가 인가 전압 생성 회로(12)로부터 출력하는 펄스 폭이기 때문에 기지수이고, 실제로 복수회의 펄스를 부여하여, 그때의 방전 횟수를 세어 방전 확률(P)을 구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미지수인 수광량(Q)은 수식 10으로부터 일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는 어떤 기준으로 하는 화염 센서를 α라고 부른다. α는 교환 전에 화염 검출 시스템에 장비되어 있던 화염 센서여도 좋고, 혹은 가상의 화염 센서여도 좋다. 그리고, 다음에 동작시키는 화염 센서를 β라고 부른다. 각각의 화염 센서에 대해서, 기지인 수광량과 펄스 폭과 방전 확률의 조합을,
각각 (Qα0, Tα0, Pα0), (Qβ0, Tβ0, Pβ0)으로 한다. 수광량(Q)을 화염 센서(α와 β)로 측정하고, 각각의 방전 확률이 P일 때의 펄스 폭을 Tα, Tβ로 한다.
이들을 수식 9에 대입하면, 수식 11과 수식 12를 얻는다. 또한, 수식 11, 12로부터 수식 13으로부터 수식 15가 얻어진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밑을 변환하여, 수식 15가 구해진다.
Figure pat00015
이상의 수식 15로 구한 Qβ/Qα를 수광량비라고 부른다.
그러면, 이 수광량비를 이용하여 화염 센서의 개체간의 감도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도 4의 흐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도면 중 단계를 Snn이라고 부름).
본 조정 로직은 전술한 수광량 연산 처리의 종료 후에 동작하지만, 수광량비만을 미리 구해 두면 효율이 좋다. 중앙 처리부(163)가 실행하는 것에는 변함없다.
·보정 처리를 스타트한다(S10).
·조정하고자 하는 원하는 방전 확률(P)을 설정한다(S11).
·기억부(162)로부터 제1 화염 센서(β)에 따른 기지의 수광량(Q), 펄스 폭(T)과 방전 확률(P)의 감도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12).
·기억부(162)로부터 제2 화염 센서(α)에 따른 기지의 수광량(Q), 펄스 폭(T)과 방전 확률(P)의 감도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13)
·수광량비를 수식 15에 의해 구한다(S14).
·제2 화염 센서(β)를 이용하였을 때의 측정한 방전 확률로부터 산출한 수광량(Qβ)을 수광량비로 나눈다(S15).
이와 같이 하면, 2개의 화염 센서의 개체간 감도차를 해소할 수 있는 수광량이 구해진다.
혹은, 화염 유무의 판단 임계값은 수광량비를 곱하는(S15') 단계로 이행하면, 제1 화염 센서에서 설정한 값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그 임계값을 Qβ/Qα배하여도 좋고,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수광량(Qβ)에 대해서라면, 이전 임계값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그 외의 실시예>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도, 수광량(Q)을 화염 센서(α와 β)로 측정하고, 각각의 방전 확률이 P일 때의 펄스 폭을 Tα, Tβ로 한다.
이번엔 수광량(Q)은 화염 센서에서 공통으로 하여 펄스 폭(T)은 Tα, Tβ로 독립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식 16과 수식 17을 얻었다. 또한, 수식 16, 17로부터 수식 18 내지 수식 20이 얻어졌다.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이것을 펄스 폭비라고 칭한다. 더욱 전개하여 수식 20가 구해진다.
Figure pat00020
화염 센서(β)에 대하여, 펄스 폭을 수식 20에서 나타내는 값(Tβ)으로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수광량 시에 화염 센서(α)와 동일한 방전 확률(P)을 화염 센서(β)로 얻을 수 있다. 즉, 감도 보정된 화염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상기 예와 동일하다. 수광량비 대신에, 수식 19의 펄스 폭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소프트웨어 흐름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그 외,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는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화염 센서(1)의 바깥 둘레부에 셔터 기능을 마련하여 유사 화염을 검출하는 타입의 화염 검출 시스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설계 사항적인 변형을 행하였다고 해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화염 센서 2: 외부 전원
3: 연산 장치 11: 전원 회로
12: 인가 전압 생성 회로 13: 트리거 회로
14: 분압 저항 15: 전압 검출 회로
16: 샘플링 회로 161: A/D 변환부
162: 기억부 163: 중앙 처리부
164: 판정부 300: 버너 화염

Claims (3)

  1. 광을 검출하는 화염 센서와 연산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염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염 센서를 구동시키는 펄스를 생성하는 인가 전압 생성부와,
    상기 화염 센서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계측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화염 센서가 갖는 감도 파라미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감도 파라미터 중 기지(旣知)의 수광량, 펄스 폭 및 방전 확률의 파라미터, 및 실제의 펄스 폭과 계측한 방전 횟수로부터 얻어지는 방전 확률을 이용하여, 그 화염의 수광량을 구하는 중앙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와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로부터, 수광량을 각각 구해서 그 수광량비를 계산하여, 화염 센서의 개체간의 감도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량비를 이용해서,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화염 유무 판단 임계값에 상기 수광량비를 곱하여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화염 유무 판단 임계값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량비 대신에, 제1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와 제2 화염 센서에 따른 감도 파라미터로부터, 수광량을 각각 구하여 그 펄스 폭비를 계산하여, 화염 센서의 개체간의 감도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시스템.
KR1020160061924A 2015-05-26 2016-05-20 화염 검출 시스템 KR101860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6034 2015-05-26
JP2015106034A JP6508772B2 (ja) 2015-05-26 2015-05-26 火炎検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903A true KR20160138903A (ko) 2016-12-06
KR101860632B1 KR101860632B1 (ko) 2018-05-23

Family

ID=5739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924A KR101860632B1 (ko) 2015-05-26 2016-05-20 화염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9860B2 (ko)
JP (1) JP6508772B2 (ko)
KR (1) KR101860632B1 (ko)
CN (1) CN106197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4794B2 (ja) * 2017-03-17 2021-02-03 アズビル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8155443A (ja) * 2017-03-17 2018-10-04 アズビル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6889082B2 (ja) * 2017-09-29 2021-06-18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センサの駆動回路
KR102472134B1 (ko) 2018-03-29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심층학습을 기반으로 한 설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0648857B2 (en) 2018-04-10 2020-05-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ltraviolet flame sensor with programmable sensitivity offset
JP2020165830A (ja) * 2019-03-29 2020-10-08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システムおよび火炎レベル検出方法
JP2021131254A (ja) * 2020-02-18 2021-09-09 アズビル株式会社 光検出システム、放電確率算出方法および受光量測定方法
JP2021131249A (ja) * 2020-02-18 2021-09-09 アズビル株式会社 光検出システムおよび放電確率算出方法
JP2021131248A (ja) * 2020-02-18 2021-09-09 アズビル株式会社 光検出システム、放電確率算出方法および受光量測定方法
JP2021131253A (ja) * 2020-02-18 2021-09-09 アズビル株式会社 光検出システム、放電確率算出方法および受光量測定方法
US20230128530A1 (en) * 2021-10-06 2023-04-27 Scp R&D, Ll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flame rectifica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urner fl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184A (ja) 1992-08-26 1994-03-18 Tokyo Parts Ind Co Ltd 火炎検知装置
JP2011141290A (ja) 2011-03-25 2011-07-21 Yamatake Corp 火炎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245A (en) * 1982-09-03 1984-10-16 The Babcock & Wilcox Company Flame monitoring safety, energy and fuel conservation system
US4575333A (en) * 1984-05-02 1986-03-11 Bryant Jack A Flame monitor time delay control
US4736105A (en) * 1986-04-09 1988-04-05 Tri-Star Research, Inc. Flame detector system
JP2623381B2 (ja) * 1991-06-15 1997-06-25 ニッタン株式会社 炎感知装置
JPH0670588B2 (ja) 1991-12-05 1994-09-07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測光装置
JPH06325269A (ja) * 1993-05-18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式感知器
JPH06325273A (ja) * 1993-05-18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式感知器
DK0953805T3 (da) * 1998-04-24 2003-03-10 Siemens Building Tech Ag Flammedetektor
GB2344883B (en) * 1998-12-16 2003-10-29 Graviner Ltd Kidde Flame monitoring methods and apparatus
JP3569468B2 (ja) * 1999-08-03 2004-09-22 株式会社コロナ 燃焼制御装置
US7353140B2 (en) * 2001-11-14 2008-04-01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boiler flames
JP2003232677A (ja) * 2002-02-08 2003-08-22 Fuji Xerox Co Ltd Uv放射計及びその校正方法
JP2004041843A (ja) * 2002-07-09 2004-02-12 Ushio Inc 紫外線照射装置
JP2011043455A (ja) * 2009-08-24 2011-03-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度センサ及び照度センサ出力値調整システム
CN202281649U (zh) * 2011-09-27 2012-06-20 南京创能电力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等离子火焰检测装置
CN102367957B (zh) * 2011-09-28 2013-10-02 南京创能电力科技开发有限公司 一体化智能火焰检测装置
JP5845109B2 (ja) * 2012-02-23 2016-01-20 ホーチキ株式会社 炎監視装置
JP5922452B2 (ja) * 2012-03-19 2016-05-24 ホーチキ株式会社 炎監視装置
JP5832948B2 (ja) * 2012-03-30 2015-12-16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装置
CN103575390B (zh) * 2012-08-09 2015-04-22 上海宝信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多通道火焰检测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184A (ja) 1992-08-26 1994-03-18 Tokyo Parts Ind Co Ltd 火炎検知装置
JP2011141290A (ja) 2011-03-25 2011-07-21 Yamatake Corp 火炎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97663A (zh) 2016-12-07
JP6508772B2 (ja) 2019-05-08
US20160348906A1 (en) 2016-12-01
KR101860632B1 (ko) 2018-05-23
JP2016218002A (ja) 2016-12-22
US9879860B2 (en) 2018-01-30
CN106197663B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632B1 (ko) 화염 검출 시스템
KR101879491B1 (ko) 화염 검출 시스템
US9939317B1 (en) Flame detecting system
JP6782613B2 (ja) 火炎検出システム
US10415829B2 (en) Flame detecting system
KR101879492B1 (ko) 화염 검출 시스템
JP5832948B2 (ja) 火炎検出装置
US20200300694A1 (en) Flame detection system, discharge probability calculating method, and received light quantity measuring method
US11428575B2 (en) Flame detection system and received light quantity measuring method
US11346711B2 (en) Light detection system, discharge probability calculating method, and received light quantity measuring method
JP2023006136A (ja) 光検出システムおよび光子数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