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821A -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821A
KR20160138821A KR1020150073183A KR20150073183A KR20160138821A KR 20160138821 A KR20160138821 A KR 20160138821A KR 1020150073183 A KR1020150073183 A KR 1020150073183A KR 20150073183 A KR20150073183 A KR 20150073183A KR 20160138821 A KR20160138821 A KR 2016013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reservoir
unit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133B1 (ko
Inventor
정지우
김택
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5007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 및 상기 제빙부에서 제빙된 얼음이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후 낙하하여 저장되는 얼음저장고를 포함하는 정수된 물의 저장 및 재사용이 없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제빙부에서 얼음 생성시 생성되는 잔수 및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해빙수가 배출되는 퇴수부를 포함하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은 퇴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for Preventing Inner Pollution }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분류되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저수조 없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직수형 정수기가 있다.
그리고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에 더하여 정수된 물로 얼음을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및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얼음 생성시 남은 잔수 또는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에서 생성된 얼음 녹은 물을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얼음 저장고는 배수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얼음 녹은 물이 배수구로 빠져나갈 때,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으면, 얼음 녹은 물은 얼음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얼음이 더욱 빨리 녹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정수기의 얼음 저장고를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할 때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살균수가 얼음 저장고를 넘쳐 외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7824호(2012.12.24. 온수조 및 그를 갖는 직수형 정수기)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3517(2013.02.06. 배수 기능이 향상된 얼음 저장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얼음 생성시 남은 잔수 또는 얼음 녹은 물이 얼음 저장고 외부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얼음 저장고 세척시 세척수가 배수구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 및 상기 제빙부에서 제빙된 얼음이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후 낙하하여 저장되는 얼음저장고를 포함하는 정수된 물의 저장 및 재사용이 없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제빙부에서 얼음 생성시 생성되는 잔수 및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해빙수가 배출되는 퇴수부를 포함하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은 퇴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에는 잔수 및 해빙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고는 내측 하부에 상기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후 얼음저장고로 낙하하는 얼음이 안착되는 판 형상의 유연재질로 형성되며 해빙수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안착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은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부의 4방 측면중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 측면을 제외한 3방 측면에 밀착되게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판과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은 서로 평행하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은 상기 얼음저장고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저장고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퇴수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에 형성된 퇴수구, 상기 퇴수구에 연결된 퇴수관, 상기 퇴수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퇴수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퇴수관의 펌프부 상측에는 상기 얼음 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는 잔수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수를 원활히 배출하여 얼음이 배출수와 접촉하는 녹거나 배출수가 얼음 저장고에 오래 잔류하여 얼음 저장고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얼음저장고에 안착판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얼음저장고로 낙하하는 얼음의 손상 또는 소음을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얼음저장고의 바닥면과 얼음을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저장하여 줌으로써 얼음의 배출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며 얼음의 오염 또한 더욱 방지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안착판을 탈부착 가능하게 하며 얼음저장고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얼음저장고 내부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퇴수부에 배출수를 임시 저장하는 퇴수통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세척수가 얼음저장고에 잔류 또는 역류하여 얼음저장고를 오염 또는 장치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또한 퇴수통을 구비하여줌으로써 소형의 펌프부로도 효과적으로 배출수를 배출하게 하여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얼음저장고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안착판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크게 정수부(1), 제빙부(2), 저장부(3), 배출부(4) 및 제어부(5)로 구성된다.
상기 정수부(1)는 수도관등과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은 후 이를 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유닛이다. 다음으로 제빙부(2)는 상기 정수부(1)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빙하는 유닛이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부(3)는 상기 제빙부(2)로부터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유닛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는 상기 정수부(1)로부터 정수된 물 또는 상기 저장부(3)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닛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에는 저장부로부터 나오는 배출수가 배출되는 퇴수부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는 상기 정수부(1), 제빙부(2), 저장부(3) 및 배출부(4)와 기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의 기타 구성요소 또는 전체 작동을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유닛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이와 같이 정수된 물, 제빙시 생성되는 잔수 및 해빙수를 보관하는 냉수조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잔수, 해빙수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세척수를 원활히 배출하는 구성이 핵심적인 구성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인 배출수의 배출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이와 같은 배출수의 원활한 배출 구조를 위하여 제빙부(2)로부터 탈빙된 후 낙하하여 저장되는 얼음저장고(100)에 있어서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이 퇴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얼음저장고(100)의 내측 하부에는 안착판(130)이 형성되며 퇴수부에는 배출수를 임시 저장하는 퇴수통(200)이 구비된 것을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의 얼음저장고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1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상측에는 제빙부(110)가 형성되고 제빙부(110) 하측에는 소정의 얼음 저장 공간부가 구비되어 제빙부(110)에서 제빙된 얼음이 제빙부(110)로부터 탈빙된 후 낙하하여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 공간부에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얼음 배출구(106)를 통해 제공하기 위하여 얼음을 이송하는 스크류부(12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102)에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가 퇴수되는 퇴수구(142)가 구비되며 퇴수구(142)에는 퇴수관(14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102)은 퇴수구(14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가 얼음저장고(100)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바로 퇴수구(142)를 통해 퇴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는 일반의 얼음 정수기들이 냉수조를 구비하여 냉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하며 잔수 및 해빙수를 냉수조로 다시 보내 재활용하는데 반해 이와 같은 냉수조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잔수 및 해빙수들을 바로 배출하여야 얼음저장고의 잔존수로 인한 오염 또는 얼음저장고(1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잔수 및 해빙수 접촉을 통한 얼음의 해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이와 같이 바닥면(102)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의 얼음저장고(100) 내 체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이에 더하여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의 배출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유로는 바닥면(102)을 따라 퇴수구를 향해 길게 연장된 홈, 돌기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102)과 측면에 같이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얼음저장고(100) 내부에는 상기 얼음저장고(100)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얼음저장고(10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104)가 구비된다. 세척수로는 원수를 직접 사용하거나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펌프, 분사노즐을 통해 얼음저장고(100)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줄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별도의 세척수를 사용하거나 세척수에 세정제를 첨가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는 얼음저장고(100)에 구비되는 안착판(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착판(102)은 얼음저장고(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제빙부(110)로부터 탈빙된 후 얼음저장고로 낙하하는 얼음이 안착되도록 판 형상의 유연재질로 형성되며 해빙수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부의 4방 측면중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 측면을 제외한 3방 측면에 밀착되게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낙하하는 얼음이 곡면을 따라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안착되기 위함이며 또한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102)으로 얼음(20)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130)은 얼음저장고(100)의 바닥면(102)과 서로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의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도 얼음저장고(100)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판(130)은 상기 얼음저장고(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안착판(130)의 탈부착을 통해 안착판(130)의 세척 및 얼음저장고(100)의 내부 세척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퇴수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퇴수부는 퇴수구(142), 퇴수관(140), 그리고 퇴수관(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퇴수관(14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부(300) 및 펌프부(3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저장고(100)에서 배출되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는 잔수통(20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잔수통(200)이 구비되는 이유는 잔수, 해빙수, 특히 세척수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즉, 세척부(104)를 통하여 얼음저장고(100) 내부 세척시 많은 양의 세척수가 분사되는데 펌프를 이용하여 배출시 용량이 큰 펌프가 필요하며 또한 퇴수관(140)의 지름 또한 충분히 큰 퇴수관(140)이 필요한데 용량이 큰 펌프를 설치하며 퇴수관의 지름을 크게 하는 경우 직수형 얼음 정수기(10)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내부에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는 퇴수통(2000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용량이 적은 펌프 및 지름이 작은 퇴수관(140)으로도 충분히 배수를 원활히 하여줄 수 있으며 직수형 얼음 정수기(10)의 구조를 단순히 하며 크기도 줄일 수 있다.
펌프부(300)는 모터와 전력장치로 이루어지며 퇴수관(140)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잔수 및 해빙수를 바로 얼음저장고(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며 또한 퇴수통(200)에 임시 저장되는 배출수들을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얼음 정수기(10)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배출수들이 얼음저장고(100) 내부에서 바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수들의 얼음저장고(100) 내부 잔존을 막아 얼음저장고(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잔수 및 해빙수와 얼음과의 접촉을 막아 얼음의 해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정수부 2: 제빙부 3: 저장부 4: 배출부 5: 제어부
10: 직수형 얼음 정수기 100: 얼음저장고 102: 바닥면
110: 제빙부 120: 스크류부 130: 안착판 140: 퇴수관
142: 퇴수구 200: 퇴수통 300:펌프부

Claims (9)

  1.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 및 상기 제빙부에서 제빙된 얼음이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후 낙하하여 저장되는 얼음저장고를 포함하는 정수된 물의 저장 및 재사용이 없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제빙부에서 얼음 생성시 생성되는 잔수 및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해빙수가 배출되는 퇴수부를 포함하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은 퇴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에는 잔수 및 해빙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내측 하부에 상기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후 얼음저장고로 낙하하는 얼음이 안착되는 판 형상의 유연재질로 형성되며 해빙수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안착판을 더 포함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부의 4방 측면중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 측면을 제외한 3방 측면에 밀착되게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과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은 서로 평행하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얼음저장고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면에 형성된 퇴수구, 상기 퇴수구에 연결된 퇴수관, 상기 퇴수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퇴수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관의 펌프부 상측에는 상기 얼음 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잔수, 해빙수 및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는 잔수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KR1020150073183A 2015-05-26 2015-05-26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KR10171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83A KR101711133B1 (ko) 2015-05-26 2015-05-26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83A KR101711133B1 (ko) 2015-05-26 2015-05-26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821A true KR20160138821A (ko) 2016-12-06
KR101711133B1 KR101711133B1 (ko) 2017-02-28

Family

ID=5757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183A KR101711133B1 (ko) 2015-05-26 2015-05-26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400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220100399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220100401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204U (ko) * 1999-02-19 2000-09-25 구자홍 냉장고 제빙기 구조
JP2005188868A (ja) * 2003-12-26 2005-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KR20120137824A (ko) 2011-06-13 2012-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조 및 그를 갖는 직수형 정수기
KR20130013517A (ko) 2011-07-28 2013-02-06 정휘동 배수 기능이 향상된 얼음 저장고
KR20130017802A (ko) * 2011-08-12 2013-02-20 정휘동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204U (ko) * 1999-02-19 2000-09-25 구자홍 냉장고 제빙기 구조
JP2005188868A (ja) * 2003-12-26 2005-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KR20120137824A (ko) 2011-06-13 2012-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조 및 그를 갖는 직수형 정수기
KR20130013517A (ko) 2011-07-28 2013-02-06 정휘동 배수 기능이 향상된 얼음 저장고
KR20130017802A (ko) * 2011-08-12 2013-02-20 정휘동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400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220100399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220100401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저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133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888B2 (en) Immediate cleaning and recirculation of cleaning fluid and method of using same
JP6465753B2 (ja) スケール除去装置及び給湯器
CN201041443Y (zh) 一种用于制冰机的水循环利用装置
KR101711133B1 (ko)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US9273894B1 (en) Auxiliary water reservoir for ice makers
CA2790107C (en) Microbubble cleaning system for a large product such as a vehicle
KR101026909B1 (ko) 제빙장치
CN103764871B (zh) 用于处理塑料基底的方法及用于处理溶液的至少部分再生的装置
JP2009262066A (ja) 排水処理装置
JP2002350021A (ja) 冷蔵庫
JP4554923B2 (ja) 製氷機
JP7343325B2 (ja) 廃液処理装置
US20050161376A1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JP2009050249A (ja) 底面に傾斜を付け、排水装置を設けた水槽。
JP5277998B2 (ja) クーラント冷却装置
JP2005274020A (ja) 製氷機
JP2007040678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RU89520U1 (ru) Емкость для системы водоснабжения
KR200494403Y1 (ko) 정수기의 배수구조
JP3096941U (ja) クーリングタワー循環水の浄化装置。
CN218610625U (zh) 一种速冻熟面盛放模具的清洗系统
JPH10311635A (ja) 製氷水タンクの洗浄構造
JP2009016648A (ja) ガラス基板処理装置
JP2010105053A (ja) 複合加工装置
KR102190124B1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