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729A -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729A
KR20160134729A KR1020167028255A KR20167028255A KR20160134729A KR 20160134729 A KR20160134729 A KR 20160134729A KR 1020167028255 A KR1020167028255 A KR 1020167028255A KR 20167028255 A KR20167028255 A KR 20167028255A KR 20160134729 A KR20160134729 A KR 2016013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ixed
crane
leg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402B1 (ko
Inventor
마사노부 오가사와라
마사히로 마츠우라
테루유키 야마시타
히사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Abstract

다리 구조체(10)와 상가구조체(20)를 구비한 완성체의 크레인(1B)을, 수송처에서,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미리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가구조체(20)의 다리 구조체(10)에 대한 가고정을 해제하고, 이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할 때에, 다리 구조체(10)를 이 상가구조체(20)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여, 상가구조체(20)를 다리 구조체(10)의 상단부에 상가하여, 다리 구조체(10)와 접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장소에 상관없이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상가하여, 크레인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 제조비용과 수소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한 크레인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상가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METHOD FOR MANUFACTURING CRANE AND SYSTEM FOR MOUNTING SUPERSTRUCTURE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우팅 크레인이나 상가용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상가(上架)하는 것이 가능한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터미널 등의 항만에서 사용되는 안벽 크레인, 이동형의 지브 크레인, 언로더 크레인, 및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 크레인 등 대형의 다리(脚) 크레인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지상에서 붐(boom), 마스트(mast), 거더(girder), 트롤리(trolley), 및 기계실 등을 갖는 상가 구조체를 조립하고 나서, 그 상가 구조체를, 다리를 가지는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상가하여, 다리구조체와 맞대어 붙인다. 그러나 이 상가구조체는 수백 톤에서부터 천 톤을 넘는 것이고, 이 중량을 안전하게 들어올리는 것은 쉽지가 않다.
이것에 관해서, 천 톤급의 견인능력을 갖는 플로우팅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가구조체를 끌어올려, 다리 구조체와 접합하는 방법과 상가구조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상가용 구조체를 별도 설치하여, 그 상가용 구조물의 윗쪽의 4개의 구석에 센터 홀잭(center hole jack) 등의 끌어올림 장치를 설치하고, 그 끌어올림 장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 체인과 가이드 로드가 접속된 조구(hoisting accesory)에 의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고, 다리 구조체와 접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플로우팅 크레인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해상에서 육상의 구조물을 끌어올리기 때문에, 해상의 파도를 포함한 기상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에 의해, 상가구조체와 다리 구조체의 접합시의 위치결정이 곤란하고 위험성이 높다.
한편, 상가용 구조물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상가용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을 보강한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끌어올림장치가 상가용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면 끌어올림장치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형화에 수반되는 끌어올림장치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해 상가용 구조물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상가구조체를 다리 구조체를 이용하여 일체 상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법은, 다리 구조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플로우팅 크레인이나 상가용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수송원에서 완성체의 크레인을 조직하고, 그 완성한 크레인을 수송선으로 옮겨서 수송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완성체의 크레인은 중심이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완성체의 크레인을 수송선으로 수송하고자 하면, 수송선의 중심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동시수송할 수 있는 완성체의 크레인의 수를 늘리고자 하면, 수송선의 중심위치가 높아지게 되고, 동요하는 수송선의 복원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수송선이 전복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는, 한척의 수송선으로 동시수송하는 완성체의 크레인 대수를 줄여서, 수송선의 중심위치를 낮게 하여 수송하거나, 보다 대형 수송선으로 수송선의 부심(浮心)을 크게하여 수송하거나 했지만, 이들 방법으로는 수송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장치로서, 센터 홀 잭 등의 끌어올림장치를 이용하는 것에서,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무거워진 경우에는, 그 끌어올림장치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대형화에 동반하여 장치의 중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끌어올림장치를 다리 구조체의 상부에 설치한 구성에서는, 다리 구조체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체인과 가이드 로드에 의해 상가구조체를 끌어올리고 있지만,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면, 이 체인과 가이드 로드를 강화할 필요가 있어, 체인이나 가이드 로드 자체의 중량도 무거워 진다.
따라서, 상가구조체의 중량에 따라서는 끌어올림장치가 대형화하는 것과 그 대형화에 따른 중량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크레인을 제조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것과 함께, 대형화한 끌어올림장치를 다리 구조체에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또한, 이 체인과 가이드 로드는 취급하기 어렵고, 그것들을 수용하는 작업과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면, 체인의 경우에는 구부러지는 방향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감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끌어올림장치에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개 소 53-13625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장소에 상관없이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상가하여, 크레인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조비용과 수송비용을 내리는 것이 가능한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최적의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다리를 갖는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트롤리가 횡행하는 붐 및 거더를 갖는 상단구조체를 상가하여 접합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송처에서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미리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의 상기 다리 구조체에 대한 반고정을 해제하여, 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에, 직립한 상태의 상기 다리 구조체를 이 상가구조체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支持)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기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상가하여, 상기 다리 구조체와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크레인이라는 것은, 컨테이너 터미널 등의 항만에서 사용되는 안벽 크레인, 이동형의 지브 크레인, 언로더 크레인, 및 로우 프로파일 크레인 등 대형의 다리 크레인으로, 크레인에 따라서는 상가구조체에 붐 및 거더를 지지하는 마스트와, 트롤리의 횡행장치와 조구인 권상(卷上)장치 등을 수용한 기계실을 구비한 것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다리 구조체를 이용해서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 가고정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기 때문에, 플로우팅 크레인과 상가용 구조물 등을 이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송처에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완성체의 크레인과 비교하여 중심의 위치가 낮아지는 상가구조체를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 가고정한 상태를 수송해서, 수송선의 중심의 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 수송선을 이용하지 않고, 한척의 수송선으로 동시수송하는 대수를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송비용을 대폭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가구조체를 직립한 상태의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지지하여 반고정한 상가전(前) 구조물을 구축하고, 이 상가전 구조물을 상기 다리 구조체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송원에서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가고정하면서 상가구조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가구조체를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가고정하는 것으로, 수송할 때에 다리 구조체의 주행장치에 의해 수송선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가전 구조물을 상기 상가구조체가 내뻗은 방향을 수송선의 폭방향을 향하여 적재하여 수송하고, 이 수송선이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에서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상가구조체가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높이 위치에, 상기 상가구조체를 가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송시에 수송선이 기울어져도 상가구조체가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과 닿지 않기 때문에, 그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과 닿았을 때에 발생하는 상가구조체의 변형과 파손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송선의 복원력은, 중심과 부력의 작용선과 선체의 중심선의 교점을 메타센터와의 관계에 의해 정해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수송선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의 경사각이 30도~40도로 정해진 경우에는, 상가구조체를 지지하는 위치는, 수송선이 그 각도로 기울어져도 상가구조체가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리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지지하면서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를 조립하고, 상기 다리에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정활차(定滑車)와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된 적어도 한개의 동활차(動滑車)를 포함한 조합활차와, 그 조합활차에 돌려 감겨진 강삭(鋼索)과, 그 강삭을 당겨감는 권취(卷取)장치에 의해,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에, 상기 다리 구조체를 이 상가구조체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강삭은, 체인과 가이드 로드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은 와이어로프 등의 것을 말한다. 또한, 권취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어 로프를 당겨감는 것이 가능한 와이어 드럼, 감속기, 및 모터(전동기)를 구비한 장치를 말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지지부재로는, 상가구조체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과, 상가구조체와의 사이에 부재를 끼워서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첫째로, 조합활차와 강삭과 권치장치에 의해, 다리 구조체를 이용하여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플로우팅 크레인과 상가용 구조물 등을 이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소에 상관없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로, 상가구조체를 다리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의해 다리 구조체의 아래쪽에 또한 다리 사이에 지지하여, 지상부근에서 상가구조체를 조립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상가구조체를 지지부재로 지지해 두는 것으로, 상가구조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기 전 상태로 수송선으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로, 상가구조체를 다리 구조체의 위쪽에 상가할 때에, 조합활차와 강삭과 권취장치를 이용하는 것에서,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조합활차의 정활차와 동활차의 수를 늘려서, 조합활차에 감겨진 강삭의 걸이 개수를 늘리는 것 만으로, 강삭을 당겨감는 권취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는,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증가한 경우에 발생했던 장치의 대형화, 그 장치의 대형화에 동반하는 중량의 증가, 및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의 곤란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원과 수송처 등 장소에 상관없이 조합활차와 강삭과 권취장치를 설치 및 해체하는 것을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은, 복수의 다리를 갖는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트롤리가 횡행하는 붐 및 거더를 갖는 상가구조체가 접합된 크레인을 제조할 때에, 상기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수와 같은 수의 상가장치를 갖고, 상기 상가장치가 적어도 한개의 정활차와 적어도 한개의 동활차를 포함하는 조합활차와, 그 조합활차에 감겨진 강삭과, 그 강삭을 당겨감는 권취장치를 구비, 상기 정활차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활차가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강삭의 한쪽 단부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장치가 상기 다리에 고정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우팅 크레인과 상가용 구조물이 없어도, 상가구조체를 조합활차에 감겨진 강삭을 권취장치로 당겨감는 것으로, 다리 구조체를 이용하여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상관없이 크레인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무거워 진 경우에는, 조합활차의 정활차와 동활차의 수를 늘려서, 조합활차에 감겨진 강삭의 걸이 개수를 늘리는 것으로 권취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합활차를 갖는 상가장치에서는, 권취장치로 쉽게 당겨감는 것이 가능한 유연성을 갖고, 또한 가벼운 강삭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취급하기 어려운 체인과 가이드 로드에서 발생했던 작업의 곤란성을 피하여, 상가작업을 용이 또한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인과 가이드 로드와 비교해서 수납도 장소를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할 경우에 적당하다.
따라서, 크레인의 제조시에 상기의 상가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장소에 상관없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기 전의 상태로 수송해서, 수송처에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여, 완성체의 크레인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송에 드는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장치를 대형화하는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가 상기 상가구조체보다도 아래쪽에 고정되면,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의 하중을 다리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분산하는 것으로, 다리 구조체의 보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가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상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가장치가, 복수의 상기 정활차를 갖는 위쪽 활차와, 각 상기 정활차와 짝이 되는 복수의 상기 동활차를 갖는 아래쪽 활차를 구비하여, 상기 위쪽 활차체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아래쪽 활차체가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강삭의 한쪽 단부가 상기 위쪽 활차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활차를 직접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위쪽 활차체와 아래쪽 활차체를 크레인에 쉽게 설치 및 크레인으로부터 쉽게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해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상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활차와 상기 동활차가, 상기 위쪽 활차체와 상기 아래쪽 활차체의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면, 상가구조체의 중량에 따라서 조합활차의 정활차와 동활차의 수를 늘리기 때문에, 위쪽 활차체와 아래쪽 활차체를 하나하나 교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가구조체의 중심에 따라서는, 각 상가장치에 설치되는 조합활차의 정활차와 동활차의 수를 다르게 해서, 각 상가장치의 권취장치로 같은 형태의 당겨감는 힘이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상가장치의 권취장치의 당겨감는 힘을 같게 하는 것으로,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에, 수평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상가시스템에 의하면, 다리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 가고정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기 때문에, 플로우팅 크레인과 상가용 구조물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완성체의 크레인과 비교하여 중심의 위치가 낮게 되는 상가전 구조물 상태로 수송하여, 수송처에서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송선으로 수송하는 경우에, 수송선의 중심의 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의 수송선을 이용하지 않고, 한 척의 수송선으로 동시수송하는 대수를 많게 하는 것이 가능, 수송비용을 대폭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가구조체의 중량이 증가해도, 장치의 대형화, 그 장치의 대형화에 따른 중량의 증가, 및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의 곤란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원과 수송처 등 장소에 상관없이 조합활차와 강삭, 권취장치를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화살표(II)방향에서 본 실시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 상태의 크레인에, 본 발명의 상가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4는, 도 3의 화살표(IV)방향에서 본 실시도이다.
[도 5] 도 5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상가구조체를 상가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도 6은, 도 5의 화살표(VI)방향에서 본 실시도이다.
[도 7] 도 7은, 도 1에서 나타낸 상가장치의 조합활차를 나타낸 도이고, (a)는 강삭의 걸이 개수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강삭의 걸이 개수가 8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레인을 수송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도 9는, 도 5에서 나타낸 수송 중에 수송선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 도 10은,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레인을 수송하는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을 도로 예시한 실시형태를 토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 가고정한 상태를 상가전(前) 구조물(1A), 크레인의 상가구조체를 상가하고, 다리 구조체와 상가구조체를 접합한 상태를 완성체의 크레인(1B)라 한다. 또한 도 7의 (a)에서는, 각 정활차를 32A~32C, 각 동활차를 33A 및 33B로 하고, 도 7의 (b)에서는, 각 정활차를 32A~32E. 각 동활차를 33A~33D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각 정활차를 나타내는 경우는 부호 32를, 각 동활차를 나타내는 경우는 부호 33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다리 구조체(10)와 상가구조체(20)를 구비한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원에서 조립하고,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상가구조체(20)를 가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듯이, 그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시스템(30)을 설치하고, 도 8에서 나타내듯이,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선(2)으로 수송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수송처에서, 상가시스템(30)에 의해 다리 구조체(10)를 이용하여 상가구조체(20)를 다리 구조체(10)의 위쪽에 상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우선, 상가전 구조물(1A)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상가전 구조물(1A)은, 다리 구조체(10)와,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가구조체(20)를 구비한다.
다리 구조체(10)는, 크레인(1B) 사용시에 바다 쪽에 배치된 바다 쪽 다리(11a)와 육지 쪽에 배치된 육지 쪽 다리(11b)를 각각 2개씩 구비하고, 바다 쪽 다리(11a)와 육지 쪽 다리(11b) 각각에 주행장치(1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다리 구조체(10)는, 바다 쪽 다리(11a)끼리, 육지 쪽 다리(11b)끼리 각각 접속하는 실 빔(sill beam)(13)과, 마주보는 바다 쪽 다리(11a)와 육지 쪽 다리(11b)를 접속하는 포털 타이빔(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다리 구조체(10)는, 각 다리(11a), (11b)의 상단부에 상가구조체(20)와의 접합부가 되는 제 1 타이빔 부재(상량(上梁)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가구조체(20)는, 조구(吊具)를 갖는 트롤리(21)가 횡행하는 붐(22)과 거더(23)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마스트(24), 텐션 바(25), 백스테이(26) 및 기계실(27)을 구비하고, 기계실(27)에는 조구의 권상장치, 트롤리(21)의 횡행장치, 및 붐(22)의 기복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상가구조체(20)는, 다리 구조체(10)와의 접합부가 되는 제 2 타이빔 부재(상량부재)(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상가구조체(20)는, 마스트(24)의 주행장치(12)의 주행방향에서의 폭이, 도 2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각 바다 쪽 다리(11a)들 사이(각 육지 쪽 다리(11b)들의 사이)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듯이, 다리 구조체의 제 1 타이빔 부재(15)와 상가구조체의 제 2 타이빔 부재(28)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면 타이빔(29)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나타내듯이, 이 상가전 구조물(1A)은, 상가구조체(20)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들어올림(吊上) 부재(40)와 그 들어올림 부재(40)를 지지하는 브래킷(braket)(지지부재)(16)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16)은, 다리 구조체(10)의 각 바다 쪽 다리(11a)와 각 육지 쪽 다리(11b)의 각각에 설치되고,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서, 또한 각 바다 쪽 다리(11a)들, 각 육지 쪽 다리(11b)들 사이에, 상가구조체(20)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브래킷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들어올림 부재(40)를 사이에 두게해서, 간접적으로 상가구조체(2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브래킷(16)은, 상가구조체(20)의 하단면을 지상으로부터의 높이(h1)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각 다리(11a), (11b)에 고정되어있다. 또한, 수송원에서 상가구조체(20)를 가고정의 위치에서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 높이(h1)를 작게하면, 상가구조체(20)를 보다 지상에 가까운 곳에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 상가전 구조물(1A)에 설치된 도 3 및 도 4에서 예시하는 본 발명의 상가시스템(30)은, 다리 구조체(10)를 위쪽에서 봤을 때에, 다리 구조체(10)의 4개의 구석이 되는 위치에 상가장치(31A)~(31D)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각 상가장치(31A)~(31D)는, 도 7에서 나타내듯이, 정활차(32)와 동활차(33)를 포함하는 조합활차(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각 상가장치(31A)~(31D)는, 도 3및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조합활차(34)에 돌려 감긴 와이어 로프(35)와, 와이어 로프(35)를 당겨감는 권취장치(36)와, 정활차(32)를 갖는 위쪽 시브 블록(sheave block)(37), 정활차(32)와 짝이 되는 동활차(33)를 갖는 아래쪽 시브 블록(3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정활차(32)는, 위쪽 시브 블록(37)에 설치 및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위쪽 시브 블록(37)을 사이에 두고, 각 다리(11a), (11b)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정활차(32)를 갖는 위쪽 시브 블록(37)이, 각 다리(11a), (11b)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정활차(32)에 부하된 상가구조체(20)의 하중은, 각 다리(11a), (11b)의 연직방향(다리 긴쪽방향)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다리 구조체(10)의 각 빔 등에 과대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구조체(10)를 특별히 보강하지 않고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활차(33)는, 아래쪽 시브 블록(38)에 설치 및 해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아래쪽 시브 블록(38)과 들어올림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가고정된 상가구조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아래쪽 시브 블록(38)은 설치 및 해체가능하게 상가구조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동활차(33)를 갖는 아래쪽 시브 블록(38)은, 들어올림 부재(40)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다리 구조체(10)를 위쪽에서 봤을 때에, 다리 구조체(10)의 네모퉁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 들어올림 부재(40)의 단부를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위쪽 시브 블록(37)을 끼워서 정활차(32)를, 아래쪽 시브 블록(38)를 끼워서 동활차(33)를 고정하는 것으로, 정활차(32)와 동활차(33)의 각각을 직접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게 상가전 구조물(1A)에 설치 혹은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정활차(32)와 동활차(33)는, 상가구조체(20)의 중량에 따라서 각 위쪽 시브 블록(37)과 각 아래쪽 시브 블록(38)에 설치된 수를 증감하여,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를 증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서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위쪽 시브 블록(37)과 아래쪽 시브 블록(38)의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를 4개로 하는 경우에는, 위쪽 시브 블록(37)에 정활차(32A)~(32C)를, 아래쪽 시브 블록(38)에 동활차(33A) 및 (33B)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각 상가장치(31A)~(31D)의 들어올림 능력은 와이어 로프(35)의 장력의 4배가 된다.
또한, 도 7의 (b)에서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위쪽 시브 블록(37)과 아래쪽 시브 블록(38)의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를 8개로 하는 경우에는, 위쪽 시브 블록(37)에 정활차(32A)~(32E)를, 아래쪽 시브 블록(38)에 동활차(33A)~(33D)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각 상가장치(31A)~(31D)의 들어올림 능력은 와이어 로프(35)의 장력의 8배가 된다.
이와 같이, 상가구조체(20)의 중량에 걸맞는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가 되도록 정활차(32)와 동활차(33)의 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상가구조체(20)의 중량이 무거워진 경우에, 권취장치(36)를 대형화하지 않고,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상가장치(31A)~(31D)의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는, 상가구조체(20)의 중심위치에 따라서는, 각 상가장치(31A)~(31D)의 각각에서 다른 개수로 하면 좋다.
와이어 로프(35)는, 소선(素線)을 꼬아 합쳐진 것에 의해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삼심을 중심으로 그 스트랜드를 꼬아 합쳐져서 형성된다. 이 와이어 로프(35)는, 한쪽의 단부(35a)가 위쪽 시브 블록(37)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의 단부가 권취장치(36)에 고정되어, 조합활차(34)에 감겨져 있다. 이 와이어 로프(35)는, 종래의 상가방법에서 사용되었던 체인과 가이드 로드와 비교해서 가볍고, 또한 유연성이 높다. 따라서, 정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인과 가이드 로드와 비교해서 수납장소도 차지하지 않고, 수송하는 경우 등에도 적합하다.
권취장치(36)는, 와이어 로프(35)를 당겨감는 장치로,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와이어 드럼(36a), 감속기(36b)와 모터(36c)를 구비하고 있다.
이 권취장치(36)는 각 다리(11a), (11b)의 하단부, 바람직하게는, 가고정한 상가구조체(20)보다도 아래쪽의 위치,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 빔(13)과 동등의 높이의 위치가 되도록 권취장치용 브래킷(39)에 의해 각 다리(11a), (11b)에 고정된다. 권취장치(36)를 가고정한 상가구조체(20)보다도 아래쪽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할 때의 하중을 각 다리(11a) 및 (11b)의 위쪽뿐만 아니라 아래쪽으로도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리 구조체(10)를 여분으로 보강할 필요가 없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1B)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다리 구조체(10)를 조립하고, 다리 구조체(10)의 각 다리(11a), (11b)의 각각에 브래킷(16)을 접합한다. 다음으로, 이 브래킷(16)에 들어올림 부재(40)를 놓는다. 다음으로, 브래킷(16)과 들어올림 부재(40)로 지지되도록 상가구조체(20)를 조립하고,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상가구조체(20)를 가고정해서 상가전 구조물(1A)을 구축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 시스템(30)의 각 상가장치(31A)~(31D)를 다리 구조체(10)를 위쪽에서 보았을 때에 다리 구조체(10)의 네개의 구석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가장치(31A)~(31D)의 위쪽 시브 블록(37)을 다리 구조체(10)의 각 다리(11a), (11b)의 4개의 상단부에 고정한다. 또한, 아래쪽 시브 블록(38)을 두개의 들어올림 부재(40)의 4개의 단부에 고정한다. 또한, 권취장치용 브래킷(39)을 각 다리(11a), (11b)의 각 다리(11a), (11b)의 4개의 다리에 고정하고, 그 권취장치용 브래킷(39)에 권취장치(36)를 설치한다. 그리고, 권취장치(36)의 와이어 드럼(36a)으로부터 와이어 로프(35)를 풀어내고, 조합활차(34)에 감아서, 각 와이어 로프(35)의 단부(35a)를 각 위쪽 시브 블록(37)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한 상가전 구조물(1A)을,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수송선(2)에 싣는다. 이 때, 브래킷(16)과 들어올림 부재(40)에 의해 다리 구조체(10)와 상가구조체(20)가 일체화한 상가전 구조물(1A)을, 각 주행장치(12)에 의해 안벽에서부터 수송선(2)에 설치된 궤도상을 주행시켜서, 수송선(2)에 싣는다. 상가전 구조물(1A)은, 상가구조체(20)가 내뻗은 방향을 수송선(2)의 폭방향을 향해 적재하고, 복수의 상가전 구조물(1A)이 수송선(2)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놓인다.
여기에서, 도 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는, 상가전 구조물(1A)의 중심을 (Gc), 완성체의 크레인(1B)의 중심을 (Gc'), 상가전 구조물(1A)을 실은 경우의 수송선(2)의 중심을 (Gs), 부심을 (Bs), 메타센터를 (Ms), 크레인(1B)을 실은 경우의 수송선(2)의 중심을 (Gs')로 한다. 또한 수송선(2)에는 같은 수의 상가전 구조물(1A)과 크레인(1B)을 실은 경우로서 기재하고 있다.
도 8로부터, 상가전 구조물(1A)의 중심(Gc)이 크레인(1B)의 중심(Gc')보다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수의 상가전 구조물(1A)과 크레인(1B)을 각각 수송선(2)에 실은 경우에, 상가전 구조물(1A)을 실은 수송선(2)의 중심(Gs)은, 크레인(1B)을 실은 수송선(2)의 중심(Gs')보다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수송처에 수송된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선(2)에 실었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해서, 수송선(2)으로부터 내린다. 그리고, 상가구조체(20)의 상가작업을 행하는 장소까지 이동시켜서, 상가구조체(20)의 다리 구조체(10)에 대한 가고정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권취장치(36)의 모터(36c)를 구동해서 와이어 드럼(36a)을 구동하여, 와이어 로프(35)를 감는다. 와이어 로프(35)가 와이어 드럼(36a)에 감겨지면, 조합활차(34)의 동활차(33)가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게 되는 것에 의해, 아래쪽 시브 블록(38)이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따라서 각 아래쪽 시브 블록(38)과 각 들어올림 부재(40)로 지지되어 있는 상가구조체(20)가 각 다리구조체(10)의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다리구조체(10)를 이 상가구조체(20)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여, 상가구조체(20)를 다리 구조체(10)의 상단부로 상가한다.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할 때에는, 상가구조체(20)를 각 상가장치(31A)~(31D)로 균등하게 상가하지 않으면, 끌어올리는 힘이 균등하게 되지 않아서, 상가구조체(20)를 비트는 힘이 발생한다. 그래서, 복수의 상가장치(31A)~(31D)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할 때에, 각 상가장치(31A)~(31D)가 상가구조체(20)를 감아 올린 높이를 검출하여, 그 각각의 높이의 차를 최소로 하도록 각 상가장치(31A)~(31D)의 각 권취장치(36)를 피드백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각 상가장치(31A)~(31D)가 상가구조체(20)를 균등하게 상가하는 것이 가능, 상가구조체(20)를 비트는 힘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다리 구조체(10)의 제 1 타이빔 부재(15)의 위치와, 상가구조체(20)의 제 2 타이빔 부재(28)의 위치를 맞춰서, 제 1 타이빔 부재(15)와 제 2 타이빔 부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타이빔(29)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가구조체(20)에 고정되어 있는 들어올림 부재(40)를 해체하고, 들어올림 부재(40)를 감아내리고 나서, 각 상가장치(31A)~(31D)를 크레인(1B)에서 떼어낸다. 그리고 브래킷(16)을 각 다리(11a) 및 (11b)로부터 떼어 내고, 크레인(1B)의 제조방법은 완료한다.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선(2)으로 수송할 때에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상가구조체(20)의 하단면의 지상에서부터의 높이(h1)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높이(h1)는, 도 9에서 나타내듯이, 수송선(2)이 수송선(2)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기울어졌을 때에, 상가구조체(20)의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수송선(2)의 복원력은, 중심(Gs)과 부력(Bs)의 작용선과 선체의 중심선의 교점의 메타센터(Ms)와의 관계에 의해 정해져 있고, 이 실시의 형태의 수송선(2)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의 경사는 30도~40도로 정해져있다. 따라서, 상가구조체(20)를 지지하는 높이(h1)는, 수송선(2)이 30도~40도로 기울어졌을 때도 상가구조체(20)의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높이에 설정된다.
도 9에서는, 상가구조체(20)를 높이(h1)보다도 낮은 위치에 지지한 상가전 구조물(1A')을 점선으로 하고, 상가구조체(20)를 높이(h1)에 지지한 상가전 구조물(1A)을 실선으로 표시했다. 또한, 도 9에서의 수송선(2)의 경사(θ)는 약 20도이다.
상가구조체(20)를 높이(h1)보다도 낮은 위치로 지지한 상가전 구조물(1A')에서는, 수송선(2)이 경사(θ)로 기울어지면, 상기구조체(20)의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아버리게 된다. 이 때, 상가구조체(20)의 붐(22)의 선단은 강한 저항을 받아서 변형, 혹은 파손된다. 한편, 상가구조체(20)를 높이(h1)의 위치에 지지한 상가전 구조물(1A)은, 수송선(2)이 경사(θ)로 기울어져도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수송선(2)이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기울어졌을 때에, 상가구조체(20)의 해상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위치에, 브래킷(16)과 들어올림 부재(40)로 상가구조체(20)를 지지해서 가고정하는 것으로, 수송 중의 상가 구조체(20)의 변형과 파손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송선(2)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상가구조체(20)가 파도를 뒤집어쓸 확률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1B)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1B)의 상가구조체(20)의 상가 시스템(30)에 의하면, 도 1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상가구조체(20)를 각 다리(11a), (11b)에 설치한 브래킷(16)과 상가구조체(20)에 고정한 들어올림 부재(40)에 의해, 다리 구조체(10)의 아래쪽에서 또한 바다쪽 다리(11a)들, 육지쪽 다리(11b)들 사이에 지지하여 가고정해서, 지상부근에서 상가구조체(20)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상가구조체(20)를 조립하는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가구조체(20)를 브래킷(16)과 들어올림 부재(40)로 지지하여 가고정 해두는 것으로, 상가구조체(20)를 다리 구조체(10)의 하단부에 가고정한 상태의 상가전 구조물(1A)을, 다리 구조체(10)의 각 주행장치(12)에 의해 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장소가 한정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크레인(1B)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8에서 나타내듯이,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해서, 수송처에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여 크레인(1B)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상가구조체(20)를 각 다리 구조체(10)의 위쪽에 상가할 때에, 조합활차(34)를 갖는 각 상가장치(31A)~(31D)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가구조체(20)의 중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정활차(32)와 동활차(33)의 수를 늘리고, 조합활차(34)에 돌려 감긴 와이어 로프(35)의 걸이 개수를 늘리는 것 만으로, 와이어 로프(35)를 당겨 감는 권취장치(36)를 대형화하지 않고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체인과 가이드 로드와 비교해서, 가볍고 또한 유연성이 높은 와이어 로프(35)에 의해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 상가장치(31A)~(31D)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각 상가장치(31A)~(31D)를 다리 구조체(10)와 상가구조체(20)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가구조체(20)의 상가작업을, 장소에 상관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이유로, 이 크레인(1B)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리 구조체(10)를 이용하여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기 때문에, 플로우팅 크레인과 상가용 구조물 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상관없이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완성체의 크레인(1B)과 비교하여 중심의 위치가 낮아지는 상가전 구조물(1A) 그대로 수송하고, 수송처에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송선(2)으로 수송하는 경우에, 수송선(2)의 중심(Gs)의 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의 수송선을 이용하지 않고, 한척의 수송선(2)으로 동시수송하는 대수를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해서, 수송비용을 대폭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크레인(1B)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1B)의 상가구조체(20)의 상가 시스템(30)에 의하면, 상가구조체(20)의 중량이 증가해도, 장치의 대형화, 그 장치의 대형화에 동반하는 증량의 증가, 및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의 곤란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원과 수송처 등 장소에 상관없이 조합활차(34)와 와이어 로프(35)와 권취장치(36)를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을 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등의 항만에서 사용되는 안벽크레인을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동형 지브 크레인, 언로더 크레인, 및 로우 프로파일 크레인 등 대형 다리 크레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트롤리(21), 붐(22), 거더(23), 마스트(24), 텐션바(25), 백스테이(26), 및 기계실(27)을 구비한 상가구조체(20)를 예로 설명했지만, 크레인의 종류 등에 의해 이 구성은 변경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가전 구조물(1A)이 각 다리(11a), (11b)에 설치한 브래킷(16)과 상가구조체(20)에 고정한 들어올림 부재(40)에 의해, 상가구조체(20)를 가고정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브래킷(16)으로 상가구조체(2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아래쪽 시브 블록(38)을 상가구조체(20)의 제 2 타이빔 부재(28)의 단부를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브래킷(16)으로 상가구조체(2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의 개수를 적게하는 것이 가능, 또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한 후에 들어올림 부재(40)를 끌어 내리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브래킷(16)으로 직접적으로 상가구조체(20)를 지지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할 때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각 상가장치(31A)~(31D)의 조합활차(34)는, 일례이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활차와 두개의 동활차로 이루어진 조합활차에서, 정활차와 한쪽의 동활차에 의해, 다른 쪽의 동활차를 끌어올리는 것 같은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한 상태에서 수송선(2)에 의해 수송했지만, 도 10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수송처에서,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하고, 가고정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한다. 상가전 구조물(1A)에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하지 않고 수송하는 것으로, 상가 시스템(30)을 설치한 경우의 도 8과 비교해서, 수송선(2)의 중심(Gs)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선으로 수송하고, 수송처에서 가고정한 상가구조체(20)를 상가하는 제조방법을 예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수송원에서 상가구조체(20)를 다리 구조체(10)가 본고정하는 위치까지 상가하여, 완성체의 크레인(1B)을 조립하고, 동작의 체크 등을 행하고 나서, 다시 다리 구조체(10)와 상가구조체(20)를 분해해서, 상가전 구조물(1A)을 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A 상가전(前) 구조물
1B 크레인
2 수송선
10 다리 구조체
11a, 11b 다리
12 주행장치
13 실 빔(sill beam)
14 포털 타이빔(portal tie beam)
15 제 1 타이빔 부재
16 브래킷
20 상가구조체
21 트롤리(trolley)
22 붐(boom)
23 거더(girder)
24 마스트(mast)
28 제 2 타이빔 부재
29 타이빔
30 상가시스템
31A~31D 상가장치
32 정활차
33 동활차
34 조합활차
35 와이어 로프
36 권취장치
37 위쪽 시브 블록
38 아래쪽 시브 블록
40 들어올림 부재

Claims (8)

  1. 복수의 다리를 갖는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트롤리가 횡행하는 붐 및 거더를 갖는 상가구조체를 상가하여 접합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송처에서,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미리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의 상기 다리 구조체에 대한 반고정을 해제하여, 이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에, 직립한 상태의 상기 다리 구조체를 이 상가구조체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여,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기 다리구조체의 상단부에 상가하여, 상기 다리 구조체와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가구조체를 직립한 상태의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지지하여 가고정한 상가전 구조물을 구축하고, 이 상가전 구조물을 상기 다리 구조체에 의해 직립한 상태로 수송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가전 구조물을, 상기 상가구조체가 내뻗은 방향을 수송선의 폭방향을 향해 적재하여 수송하고, 이 수송선이 복원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상가구조체가 해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해수면에 닿지 않는 높이위치에, 상기 상가구조체를 가고정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
  4. 제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지지하면서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를 조립하여, 상기 다리에 고정된 적어도 한개의 정활차와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된 적어도 한개의 동활차를 포함한 조합활차와, 그 조합활차에 감겨진 강삭과, 그 강삭을 당겨감는 권취장치에 의해,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가할 때에, 상기 다리 구조체를 이 상가구조체의 중량을 부담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크레인의 제조방법.
  5. 복수의 다리를 갖는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트롤리가 횡행하는 붐 및 거더를 갖는 상가구조체가 접합 크레인을 제조할 때에, 상기 다리 구조체의 상단부에 상기 상가구조체를 상가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수와 같은 수의 상가장치를 갖고,
    상기 상가장치가, 적어도 한개의 정활차와 적어도 한개의 동활차를 포함한 조합활차와, 그 조합활차에 돌려감겨진 강삭과, 그 강삭을 당겨감은 권취장소를 구비,
    상기 정활차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활차가 상기 다리 구조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가고정된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강삭의 일단부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장치가 상기 다리에 고정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가 상기 상가구조체보다도 아래쪽에 고정된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상가장치가, 복수의 상기 정활차를 갖는 위쪽 활차체와, 각 상기 정활차와 짝이 되는 복수의 상기 동활차를 갖는 아래쪽 활차체를 구비하고, 상기 위쪽 활차체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아래쪽 활차체가 상기 상가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강삭의 일단부가 상기 위쪽 활차체를 통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활차와 상기 동활차가, 상기 위쪽 활차체와 상기 아래쪽 활차체의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크레인의 상가구조체의 상가시스템.
KR1020167028255A 2014-03-31 2015-03-31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KR101908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4537 2014-03-31
JP2014074537A JP6193170B2 (ja) 2014-03-31 2014-03-31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PCT/JP2015/060111 WO2015152235A1 (ja) 2014-03-31 2015-03-31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729A true KR20160134729A (ko) 2016-11-23
KR101908402B1 KR101908402B1 (ko) 2018-10-16

Family

ID=5424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255A KR101908402B1 (ko) 2014-03-31 2015-03-31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93170B2 (ko)
KR (1) KR101908402B1 (ko)
WO (1) WO201515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6041A (zh) * 2016-03-31 2016-07-20 济南大学 运载式压轨环行吊装装置
CN105712216A (zh) * 2016-03-31 2016-06-29 武夷学院 环绕厂房的压轨式起重装置
CN110539131B (zh) * 2019-08-16 2021-05-07 南通振华重型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吊小车建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6254A (en) * 1977-05-02 1978-11-2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of installing bridge-type crane
JPS62280194A (ja) * 1986-05-29 1987-1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ン輸送方法
JPH02310296A (ja) * 1989-05-23 1990-12-26 Komatsu Forklift Co Ltd 昇降台の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97U (ja) * 1992-03-02 1994-03-15 村田機械株式会社 重量物の昇降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重量物搬送車
JP3251495B2 (ja) * 1996-03-12 2002-01-28 山九株式会社 橋型クレーンの組み立て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6254A (en) * 1977-05-02 1978-11-2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of installing bridge-type crane
JPS62280194A (ja) * 1986-05-29 1987-1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ン輸送方法
JPH02310296A (ja) * 1989-05-23 1990-12-26 Komatsu Forklift Co Ltd 昇降台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402B1 (ko) 2018-10-16
JP2015196562A (ja) 2015-11-09
JP6193170B2 (ja) 2017-09-06
WO2015152235A1 (ja)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437B1 (en) Crane apparatus
CN100436300C (zh) 货物集装箱装卸门式起重机的钢索缠绕支撑系统和方法
KR19980086506A (ko) 컨테이너 크레인
JP5127535B2 (ja) シャトル式門型クレーン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JP6174510B2 (ja) クレーン
CN107406239B (zh) 用于iso集装箱的跨车装置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JP6380870B2 (ja) クレーン
JP2009091816A (ja) 橋梁の架設工法および架設装置
JPH01294121A (ja) コンテナ移載装置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7407650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CN213925880U (zh) 一种钢箱叠合梁桥梁节段及桥面板架设装置
JP2004115174A (ja) 部材架設用移動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部材架設方法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JP5555440B2 (ja) 岸壁クレーン
KR200402249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JP7430400B2 (ja) 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の嵩上げ工事方法、及び嵩上げ用ポスト
JP2011068441A (ja) 岸壁用橋形クレーン、及びその輸送方法
JP7120951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JP7070219B2 (ja) クレーン
JP6996695B2 (ja) トロリおよびトロリによる荷役方法
JP2015193466A (ja) 橋形クレーン
JP3298488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