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997A -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997A
KR20160132997A KR1020167028865A KR20167028865A KR20160132997A KR 20160132997 A KR20160132997 A KR 20160132997A KR 1020167028865 A KR1020167028865 A KR 1020167028865A KR 20167028865 A KR20167028865 A KR 20167028865A KR 20160132997 A KR20160132997 A KR 2016013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evice
print data
information
controller
configurable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파이크
로저 애스트룀
곰 할버그-랑에
Original Assignee
레비,레이앤드쇼우프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비,레이앤드쇼우프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레비,레이앤드쇼우프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16013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Image pull arrangements, e.g. to a multifunctional peripheral from a networke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64Multi-address calling
    • H04N1/32069Multi-address calling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e.g. 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04N1/321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on the same paper sheet, e.g. a facsimile page h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프린팅 장치들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요구의 수신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S1),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형성하되,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2), 형성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는 단계(S4),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5), 상기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읽는 단계(S6) 및 헤더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상기 처리된 프린터 데이터로부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 및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터 구조 및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FER OF PRINT DATA, A CLIENT CONTROLLER ARRANGEMENT, A PRINT ARRANGEMENT AND A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들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들 및 프린팅 장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위한 프린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복수의 프린팅 장치 및 네트워크에서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들을 위한 일반적인 관리자 제어 프린팅 시스템은 프린트 서버를 통하여 프린트 작업들을 처리하고 라우팅하는 원리에 기초하는데, 이는 프린트 작업을 프린트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내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프린트 작업을 수신하고, 프린트 작업을 처리하고 나아가 프린팅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많은 클라이언트들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들을 포함하여, 많은 프린팅 장치들과 함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또한, 그 중에서도, 클라이언트들로부터 프린트 작업들을 모니터, 처리 및 제어하고, 그들을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많은 프린트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프린트 작업을 프린트 서버들 중 하나로 전송한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일반적으로 원래 파일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3배 크다. 상기 프린트 작업이 프린트 서버에 도착할 때 그것은 프린트 서버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상에 국부적으로 스풀되어, 저장 공간을 요구하고 서버 상에 프로세싱 파워를 요구한다. 상기 프린터 서버가 프린트 작업을 정확한 인쇄 큐(print queue) 내로(즉, 프린팅 장치용 큐 내에) 스풀하고 현재의 프린트 작업이 프린트되는 시간일 때, 상기 프린트 서버는 프린트 작업을 프린팅 장치로 전송한다. 프린트 작업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터로 직접 전송되지 않고, 프린트 서버를 통하여 우회를 만든다.
US 2012/0147417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로 작업의 전송을, 서버로부터,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목적은 네트워크 내에서 프린팅 유연성 및/또는 제어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프린팅 장치들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일 실시예와 부합한다. 프린터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의 수신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요구는 사용자 요구 또는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요구는 프린팅 장치(들)의 선택을 포함할 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에,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가 형성된다. 상기 헤더 정보는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기초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 정보는 프린터 데이터의 라우팅 및 처리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 데이터는 이후 상기 형성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수신된다.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헤더 정보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읽힌다.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헤더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제어는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프린팅 장치로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린트 데이터는 정상 프린팅 과정 내에 있는 프린팅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다른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라우트되고/되거나 스펀(spawn)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및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동일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이다.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효율성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증가된 유연성 및/또는 기능성이 얻어진다.
일 예에서, 상기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라우팅 타입 정보를 헤더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라우팅 타입 정보는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들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하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이후 상기 라우팅 타입 정보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방법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점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이고, 프린팅이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직접 전송 옵션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직접 전송 옵션은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프린트 데이터를 재구축하는 단계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포함한다.
상기 간접 전송은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수행된다.
상기 간접 전송은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로부터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로 수행된다.
일 예에서, 상기 간접 전송은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장치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일 예에서 프린팅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프린팅 장치로의 전송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상기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일 예로 스펀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스펀 옵션은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스퍼닝 단계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에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한 후에 만들어진 프린팅 장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피투피(peer-to-peer) 기술을 이용하여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에 전송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에 전송된다.
일 예에서, 상기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의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은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프린트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인코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원 및/또는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프린트 데이터 상에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팅 장치로 전송되기 전에 수행된다.
일 예에서, 상기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된다.
일 예에서,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S85)는 풀 프린팅과 함께 수행된다.
본 개시는 또한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프린팅 장치들 중 하나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구조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의 액세스를 갖는다.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내에 위치하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네트워크로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따라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가능 로직 수단 내의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형성하되, 프린팅 장치를 기초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형성하고, 형성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네트워크의 복수의 프린팅 장치 각각에 결합된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식별하는 설정들을 저장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의 설정들을 기초로 라우팅 타입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기 위하여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은 다음의 라우팅 타입 옵션들 중 적어도 2개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직접 전송 옵션,
-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및
- 스펀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은 다음의 2개의 조합가능한 옵션들을 포함한다: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및 프린팅 장치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스펀 라우팅 타입 옵션으로 사용을 위한 각각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을 식별하는 설정들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이후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프린트 데이터의 압축 및/또는 인코딩을 위한 설정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저장된 프린트 데이터의 압축 및/또는 인코딩을 위한 설정들을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형성하고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저장된 설정들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인코딩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는 프린트 데이터 상에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트 스풀링 서브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는 네트워크로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클라이언트들 및 프린팅 장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용 프린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린트 구조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및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호스팅하는 프린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읽고 헤더 정보에 따라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제어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헤더 정보를 기초한 포맷으로 재구축하고 헤더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장치 또는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헤더 정보를 기초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구조는 다기능성 프린팅 장치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구조는 프린터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구조는 네트워크 프린터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구조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의 액세스를 추가로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처리된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있는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포맷으로 재구축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플린터 구조에 배치되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은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제어 정보로의 액세스를 갖도록 하기 위해 다른 프린터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설정가능 유닛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구조는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트 스풀링 서브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는 또한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의 프린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 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들, 복수의 프린터 구조들 및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네트워크로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 구조들은 하나의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 의해 각각 호스트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 및/또는 네트워크에 노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설정가능 로직 유닛 및/또는 각각의 프린팅 구조에 결합된 하나의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은 네트워크 제어 정보를 관리하도록 배치된다. 모든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이 업데이트된 정보로의 액세스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 전체적으로 과련된 정보로의 액세스가 이후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은 대응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된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의 코디네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이에 대신하여 또는 추가로 하나의 옵션 암호화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이에 대신하여 또는 추가로 자동 리라우팅 규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하나의 옵션으로 스폰 기능들을 위한 정의된 컨트롤러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하나의 옵션으로 네크워크에 있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 중 설정가능 로직 유닛으로부터 비롯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클라이언트들 및 프린팅 장치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의 제1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클라이언트들 및 프린팅 장치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의 제2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클라이언트들 및 프린팅 장치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의 제3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프린터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클라이언트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1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2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3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4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5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6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7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네트워크로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컨텐츠의 제8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네트워크로 프린팅 작업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시 및 비제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기술, 방법 등과 같은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이 시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다른 실시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쉽게 드러날 것이다. 다른 예로 잘 알려진 방법, 프로토콜, 장치 또는 회로의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한 설명으로 본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100)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100)로 연결된 공유 프린팅 장치들로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클라이언트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구조(170)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구조(170)는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컴퓨터(110)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구조(17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110) 및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같이 위치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의 기능성은 부분적으로 원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들은 또한 작동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125a, 125b, 125c)에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클라이언트 네트워크(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130)를 포함한다. 프린팅 장치들(130) 각각은 대응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결합된다.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그것의 대응하는 프린팅 장치(130)와 같이 위치한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및 프린팅 장치는 프린터 구조(160)를 형성한다. 일 예에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프린터 구조(160)를 형성하는 그것의 결합된 프린팅 장치와 통합된다. 일 예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은 이에 추가로 작동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프린팅 장치(130a)에 연결된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이후 이 프린팅 장치 및/또는 추가적인 프린팅 장치(들)(130a)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프린팅 장치들(130) 및/또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140)은 또한 작동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125b, 125c)에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 또는 복수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에 의해 기능성이 실현되는 그것의 분배된 버전은, 네트워크 제어에 관련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중심적으로 인증, 공공/개인 키들 및/또는 규칙들 및/또는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은 일 예에서 다음 부분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의 기능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서, 프린터 구조(160)는 프린팅 장치(130) 및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b)의 기능성은 그것에 대신하여 또는 추가되어 복수의 프린트 구조(160)에 분배된다. 이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b)은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 내에 배치되거나 결합되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프린팅 구조(160)는 또한 선택적으로 프린트 작업을 스풀하도록 배치되는 스풀링 서브시스템(180)을 포함한다.
프린터 구조들(160)은 일 예에서 프린터, 팩시밀리 머신 등과 같은 프린팅 장치들(130)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프린터 구조들(160)은 프린팅 기능 및/또는 스캔 기능 및/또는 팩시밀리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기능성 프린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아래의 설명에서, 프린팅 장치들은 프린터들과 관련되어 설명된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일 예에서 내장된 수신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내장된 수신 에이전트는 프린터의 프린팅 코어 시스템 상에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장된 에이전트는 프린터에 부착되는 컨트롤러에 부착되거나 프린터에 물리적으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내장된 에이전트는 일 예에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 상에 추가되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에이전트이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읽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액션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가 스펀 타입 라우팅 옵션을 따라 전송되지 않을 때, 수신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재구축하도록 배치된다. 프린트 컨트롤러(140)는 이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재구축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재구축하고 또한 필요하다면 복원 및/또는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재구축 이후, 프린트 데이터는 원래의 제출된 포맷 상태가 된다.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 내의 정보에 따라 결합된 프린터에 제공된다.
스펀 라우팅 타입의 경우에,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은 라우팅 에이전트로서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데이터는 이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다중 엔드 포인트들(multiple end points)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회복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에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정의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프린트 컨트롤러 그룹 멤버들의 아이덴터티들(identities)은 일 예에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에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이 정보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을 통해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에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스펀 라우팅 타입의 경우, 프린트 데이터의 이용가능성이 증대된다. 추가로, 풀 프린팅 솔루션에 대한 성능이 가능해지거나 유용하게 된다. 풀 프린팅 솔루션들에 있어, 프린트 작업은 복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프린팅 작업은 이 특징을 지지하고 컨트롤러 그룹에 결합되는 임의의 프린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릴리스될 수 있다.
스펀 라우팅 타입의 경우, 다른 프린터로의 자동 리라우팅이 또한 가능하다. 요구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리라우팅이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리라우팅은 또한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이용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클라이언트 구조(170)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10) 및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구조(170)는 일 예에서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을 또한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구조(170)는 프린트 데이터를 스풀하도록 배치되는 스풀링 서브시스템(190)을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구조는 클라이언트의 작동 시스템에 따라 서로 클라이언트를 형성하는, 메인 프로그램 및 다수의 서브-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그램은 여러 프린트 작업들을 동시에 취급하는데, 그리고 정확한 프린팅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그램들은 정보와 함께 대화창(dialogue window)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능성을 갖는다.
클라이언트들(110)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랩탑 등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들(110)은 그것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SAP, Mainframes ERM 등과 같은) 호스트 백엔드(host backend)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들(110)은 그것을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스마트폰 및/또는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110)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들(130, 130a)로의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130, 130a)로 프린팅 작업을 전송하는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요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요구는 전송이 요구되는 프린팅 장치(130, 130a)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10)는 이 요구에 응답하여 프린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에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들(110)은 예를 들어 프린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한다. 프린트 데이터는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raw data stream)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것은 이후 스풀될 수 있다. 스풀링은 클라이언트 구조(170) 또는 프린터 구조(160) 중 하나 또는 양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 프린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110)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에 결합된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들(110)은 표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통한 표준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프린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들(120)에 제공한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TCP/IP 또는 WSAPI 또는 유사한 프로토콜들을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들인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네트워크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b) 및/또는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에 있는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네트워크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b) 및/또는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은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설정들은 네트워크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네트워크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 및 각각의 프린팅 장치에 결합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이후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을 위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라우팅 타입 옵션은 예를 들어 직접 전송 옵션 및/또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및/또는 스펀을 포함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하나 또는 복수의 압축 옵션에 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이후 하나 또는 복수의 압축 옵션에 대한 설정을 포함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코딩 옵션에 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이후 하나 또는 복수의 인코딩 옵션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하나 또는 복수의 보안 옵션에 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이후 하나 또는 복수의 보안 옵션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은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옵션에 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이후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적인 옵션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옵션은 예를 들어 다른 타입들의 프린팅 설정들을 포함한다.
헤더 정보는 프린팅 장치를 기초로 식별되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프린팅 장치(130, 130a)의 아이덴터티에 기초하여 식별되고, 헤더 정보에 포함된다. 헤더 정보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을 위한 다른 타입의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헤더 정보와 함께 프린트 데이터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될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125b/125c)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공될 것이다. 이 정보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이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또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형성된다.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프린팅 장치로 전송된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헤더 정보에 기초한 라우팅 및/또는 압축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된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이후 압축 및/또는 암호화 및/또는 라우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처리된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유닛(120)은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터로 라우트하도록 배치된다. 프린트 작업을 수행하는 요구를 만들 때 프린터 선택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선택된 프린터에 프린트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라우팅 옵션이 이용가능하다.
도 1은 직접 전송 옵션이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 유닛(120)은 이후 직접 전송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선택된 프린터에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이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수신지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지 정보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 또는 프린팅 장치(130)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이 경우에서, 프린팅 컨트롤러(140)는 프린팅 장치(130)과 함께 위치한다.
도 6은 직접 전송 옵션에 따라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는 프린트 데이터(480) 헤더 정보(470)를 포함한다. 헤더 정보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471) 또는 선택된 프린팅 장치에 결합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식별하는 다른 정보에 대한 필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헤더 정보는 사용되는 라우팅 타입 옵션을 식별하는 라우트 타입 데이터(472)에 대한 필드를 포함한다.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는 프린팅 장치 ID로 또한 대체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의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직접 전송 옵션으로, 즉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를 하나의 결합된 프린터 ID로,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를 결합시키기 위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예에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 중 하나는 프린팅 장치를 함께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프린터(130a)로 제공한다. 추가적인 프린터(130a)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되지 않는 단순한 프린팅 장치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프린팅 장치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라우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 및 프린팅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의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으로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를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된 프린터 ID들에 결합시키기 위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는 대안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이후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라우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 및 가능하게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은 프린팅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의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대하여,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가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전송되는 것을 통하여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를 결합시키기 위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으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성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는 프린트 데이터(480) 및 헤더 정보(470)를 포함한다. 이 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이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471) 및 프린팅 장치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식별하는 정보(473)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헤더 정보는 사용되는 라우팅 옵션을 나타내는 라우팅 타입 데이터(472)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3은 스펀 옵션이 설정될 수 있는 경우를 또한 나타낸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이후 하나 이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스펀에 의해 프린팅 장치 또는 다른 프린터에 프린트 데이터를 라우팅하도록 배치된다. 스펀 옵션이 설정될 때,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부터 스펀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멤버들에 관련된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의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설정들은,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에 대하여, 스펀 옵션으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부터 스펀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멤버들에 관련된 정보를, 결합시키기 위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스펀 옵션으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는 프린트 데이터(480) 및 헤더 정보(470)를 포함한다. 헤더 정보(470)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ID(471)를 포함한다. 그것은 프린팅 장치(473)를 식별하는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헤더 정보(470)는 사용되는 라우팅 옵션을 나타내는 라우트 타입 데이터(472)에 대한 필드를 포함한다. 추가로, 헤더 정보(470)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부터 스펀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멤버들에 관련된 정보(47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작업은 이후 예를 들어 피투피 기술을 이용하여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 간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송 이전에 적어도 프린트 데이터를 압축하도록 배치된다. 도 9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가 프린트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였을 때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프린트 데이터(480)가 압축된다.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헤더 정보(470)는 압축 정보(475)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압축 정보는 프린트 데이터가 압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이다. 이에 더하여, 압축 정보는 복원에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정보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에 이미 알려져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은 압축 정보(475)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전송 이전에 적어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프린트 데이터(480)를 인코딩하도록 배치된다. 도 10은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프린트 데이터의 수행된 인코딩을 갖는다. 이 경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프린트 데이터(480)는 인코딩된다.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헤더 정보(470)는 인코딩 정보(476)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인코딩 정보(476)는 프린트 데이터가 인코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이에 더하여, 인코딩 정보는 디코딩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정보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에 이미 알려져 있다.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125b 및/또는 125c)은 인코딩 정보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송 이전에 프린터 데이터에 관련된 보안 정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도 11은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헤더 정보(470)는 프린트 데이터에 결합된 보안 정보(477)를 포함한다. 보안 정보는 보안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보안 분류 레벨은 "오프(off)"가 될 수 있다. 하나의 보안 분류 레벨은 단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된 프린팅 장치가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트할 수 있다는 것이 될 수 있다. 하나의 보안 분류 레벨은 "노 스펀(no spawn)"이 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는 아이덴터티를 할당받는다. 고유한 아이덴터티(478)에 관련된 정보는 이후 프린트 데이터(400)의 헤더 정보(470)의 일부를 형성한다. 프린트 데이터의 고유한 아이덴터티의 포함에 의해, 프린트 데이터의 트래킹이 가능해진다. 고유한 아이덴터티는 카운터 값이 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추가적인 정보(479)는 프린트 데이터(400)의 헤더 정보(47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의 포함에 의해 프린팅을 위해 관련된 다른 타입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프린팅 작업이 복수의 프린트 데이터 패키지들로 분할된다면, 추가적인 정보는 서로 다른 프린트 데이터 패키지 간의 관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프린팅 장치들로 프린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프린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요구의 수신에 따라 제공된다(S1). 상기 요구는 사용자 요구일 수 있다. 상기 요구는 프린팅 장치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헤더 정보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데이터에 대하여 형성된다(S2). 상기 헤더 정보는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요구를 기초로 식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형성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처리된다(S3).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이후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전송된다(S4).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신된다(S5).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수신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읽고(S6), 헤더 정보에 따라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한다(S7).
제어는 헤더 정보를 기초로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신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2)는 헤더 정보에 라우팅 타입 정보를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라우팅 타입 정보는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에 대한 설정들을 포함하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부터 제공된다.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이후 라우팅 타입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라우팅 타입들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들은 설정에 기초하는데,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은 프린팅 장치 내에 위치하거나 프린팅 장치에 결합되고 대응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외부로서 간주되지만 이에 작동적으로 및/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터들이 있을 수 있다. 연결은 예를 들어 유선에 의해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일 예에서 직접 전송 옵션을 포함하는데, 이 옵션에서 프린팅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된다. 이 옵션에서,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일 수 있다. 만약 직접 전송 옵션이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된다면,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7)는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로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포함한다. 간접 전송은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수행된다. 다른 조합가능한 예에서, 간접 전송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수행된다. 상기 간접 전송은 이후 지정 프린팅 장치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로부터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로 수행될 수 있다.
간접 전송 옵션이 설정되고 전송이 프린팅 장치로 만들어질 때,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된다.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린팅 장치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되거나 또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프린팅 장치인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갖는 상기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추가의/외부 프린팅 장치 및/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프린팅 장치 및/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의 전송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수행된다. 추가적인/오부의 프린팅 장치 및/또는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글라이언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것은 클라이어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일 예에서 스펀(spawn)을 포함한다. 만약 스펀 옵션이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서 설정된다면, 스퍼닝 단계(S75)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송 이후에 만들어진 프린팅 장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사용자 선택 프린팅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결합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된다.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으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는 피투피 기술을 이용하여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로 전송된다.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는 풀 프린팅과 함께 사용을 위해 컨트롤러들에 전송된다.
일 예에서, 상기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2)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는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 예에서, 모든 이용가능한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식별된다. 각각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전송된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수신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프린트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인코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복원 및/또는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프린트 데이터의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S15, S85)를 포함한다. 프린트 스풀링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팅 장치로 전송 이전에 수행(S15)될 수 있고 프린트 스풀링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신 이후에 수행(S85)될 수 있다.프린트 스풀링은 프린트 데이터의 처리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 이후에 만들어진 프린트 스풀링은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린트 스풀링은 풀 프린팅과 함께 수행된다.
일 예로, 네트워크에 있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은 모든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이 관련된 정보로 업데이트되도록 하기 위해 네트워크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Claims (51)

  1. 네트워크(100)로 연결된 클라이언트들(110)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프린팅 장치들(130, 130a)로 프린트 데이터(480)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의 수신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480)를 제공하는 단계(S1),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되,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관련된 정보(471)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는 단계(S2),
    형성된 헤더 정보(470)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을 제공하도록 상기 프린트 데이터(480)를 처리하는 단계(S3),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는 단계(S4),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수신하는 단계(S5),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서 수신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의 헤더 정보(470)를 읽는 단계(S6) 및
    상기 헤더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상기 처리된 프린터 데이터로부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 및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를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2)는 라우팅 타입 정보를 헤더 정보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라우팅 타입 정보는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직접 전송 옵션을 포함하고, 상기 옵션에서 상기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는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이고 상기 옵션에서 프린팅은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전송 옵션은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터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전송은 상기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전송은 지정 프린팅 장치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로부터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로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전송은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장치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상기 프린팅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프린팅 장치로의 전송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관련된 정보를 프린트 데이터에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은 스펀(spawn)을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 옵션은 설정가능 로직 수단으로 설정되고,
    스퍼닝(spawning) 단계(S75)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으로 전송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S9)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한 후에 만들어진 프린팅 장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피투피(peer-to-peer) 기술을 이용하여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에 전송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5. 제2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과 함께 사용을 위해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에 전송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는 단계(S2)는 복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140)을 식별하는 정보(471)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전송하는 단계(S4)는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3)는 프린트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인코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S8)는 복원 및/또는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데이터 상에 프린트 스풀링(print spooling)을 수행하는 단계(S15, S85)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S15)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팅 장치로 전송되기 전에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S85)는 지정 또는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서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는 단계(S85)는 풀 프린팅과 함께 수행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있는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은 모든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이 관련된 네트워크 컨트롤러 정보로 업데이트되도록, 그들 사이에서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컨트롤러 정보를 전송하는, 프린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24. 네트워크(100)로 연결된 클라이언트(110)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프린팅 장치들(130, 130a) 중 하나로 프린트 데이터(480)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하고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으로의 액세스를 가지며,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20)는
    네트워크로 프린팅 장치(130, 130a)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따라 클라이언트(110)로부터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에 있는 정보를 기초로 프린트 데이터(480)에 대한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되, 프린팅 장치(130, 130a)에 기초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고,
    형성된 헤더 정보(470)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제공하기 위해 프린트 데이터(480)를 처리하고,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적어도 하나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네트워크의 복수의 프린팅 장치 각각에 결합된 하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식별하는 설정들을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복수의 라우팅 타입 옵션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의 설정에 기초하여 프린트 데이터에 라우팅 타입 정보를 더하기 위하여 프린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은 다음의 라우팅 타입 옵션들 중 적어도 2개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가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직접 전송 옵션,
    -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를 통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및
    - 스펀(spawn).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은 다음의 2가지의 조합가능한 옵션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 수신지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로의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및
    - 프린팅 장치로 간접 전송을 위한 옵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은 스펀 라우팅 타입 옵션으로의 사용을 위해 각각의 지정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을 식별하는 설정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 그룹의 컨트롤러들을 식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은 프린터 데이터의 압축 및/또는 인코딩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에 저장된 프린트 데이터의 압축 및/또는 인코딩에 대한 설정들에 기초하여 프린트 데이터에 대한 헤더 정보(470)를 형성하도록 또한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에 저장된 설정들에 따라 프린터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인코딩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32.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데이터 상에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트 스풀링 서브시스템(190)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33. 제24항 내지 제3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프린팅 장치로 프린트하는 요구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클라이언트(110)를 추가로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170).
  34. 클라이언트들(110) 및 프린팅 장치들(130, 130a)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00)용 프린터 구조(160)로서, 상기 프린터 구조(160)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 및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를 호스팅하는 프린팅 장치(1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헤더 정보(470)를 포함하는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헤더 정보(470)를 읽고 상기 헤더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의 제어는,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팅 장치들에 의해 읽을 수 있는 포맷으로 재구축하고 상기 헤더 정보(470)에 기초하여 프린팅 장치(130, 130a) 또는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에 재구축된 프린트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400)를 상기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린터 구조(160).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구조는 다기능성 프린터 장치인, 프린터 구조(160).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구조는 프린터인, 프린터 구조(160).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구조는 네트워크 프린터인, 프린터 구조(160).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으로의 액세스를 추가로 갖는, 프린터 구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140)는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125a, 125b, 125c) 내의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장치들에 의해 읽을 수 있는 포맷으로 상기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를 재구축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터 구조.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 로직 수단은 프린터 구조에 배치되는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은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제어 정보에 액세스를 갖도록 다른 프린터 구조(160)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설정가능 유닛(125b)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터 구조.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스풀링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프린트 스풀링 서브시스템(180)을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터 구조.
  42.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구조(1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
  43. 제40항에 있어서,
    제34항 내지 제41항 중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 구조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100).
  44. 제34항 내지 제41항 중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 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
  45. 복수의 클라이언트들, 복수의 프린팅 구조들 및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서, 상기 프린팅 구조는 각각 하나의 결합된 프린팅 장치에 의해 호스트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 및/또는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b) 및/또는 각각의 프린팅 구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은 네트워크 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모든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이 업데이트된 정보로의 액세스를 갖도록 정보가 설정가능 로직 유닛들 간에 교환되는, 네트워크.
  46. 제45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린터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c)은 대응하는 프린팅 장치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네트워크.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프린터 데이터의 전송의 코디네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자동 리라우팅(re-routing) 규칙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암호화 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50.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설정가능 로직 유닛(125a)으로부터 기인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정보는 스펀 기능을 위해 정의된 컨트롤러 그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KR1020167028865A 2014-03-17 2015-03-17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KR20160132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0294-2 2014-03-17
SE1450294 2014-03-17
PCT/SE2015/050302 WO2015142262A1 (en) 2014-03-17 2015-03-17 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fer of print data, a client controller arrangement, a print arrangement and a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997A true KR20160132997A (ko) 2016-11-21

Family

ID=5414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65A KR20160132997A (ko) 2014-03-17 2015-03-17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111522A1 (ko)
EP (1) EP3120237A4 (ko)
JP (1) JP2017514245A (ko)
KR (1) KR20160132997A (ko)
CN (1) CN106133678A (ko)
AU (1) AU2015232037B2 (ko)
CA (1) CA2942872A1 (ko)
SG (1) SG11201607172YA (ko)
WO (1) WO20151422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755A (en) * 1994-04-21 1997-11-18 Sharp Kabushiki Kaisha Distributed interconnected image forming system
JP2000284929A (ja) * 1999-03-29 2000-10-13 Ricoh Co Ltd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1092605A (ja) * 1999-09-21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制御装置及びインターネットプリンタ
JP2001306283A (ja) * 2000-04-20 2001-11-02 Nec Corp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
US6571871B2 (en) * 2001-06-20 2003-06-03 Weatherford/Lamb, Inc. Expandable sand screen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in a wellbore
JP2003150343A (ja) * 2001-11-15 2003-05-23 Ricoh Co Ltd 印刷装置
JP4601244B2 (ja) * 2002-08-13 2010-12-22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US20040181661A1 (en) * 2003-03-13 2004-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Print processor and spooler based encryption
US7283272B2 (en) * 2003-04-01 2007-10-16 Infoprint Solution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mote printer
US7468804B2 (en) * 2003-06-12 2008-12-23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printer-side network cluster printing
JP2005047264A (ja) * 2003-07-14 2005-02-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071240A (ja) * 2003-08-27 2005-03-17 Seiko Epson Corp 印刷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印刷装置ならびに印刷システム
US7619763B2 (en) * 2003-08-27 2009-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figuring printing device settings
JP3941794B2 (ja) * 2004-04-27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分散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ジョブ分散方法
US7506361B2 (en) * 2004-05-17 2009-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iscovering servers, spawning collector threads to collect information from servers, and reporting information
JP3936945B2 (ja) * 2004-06-16 2007-06-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44169A (ja) * 2004-08-06 2006-02-16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60050294A1 (en) * 2004-09-08 2006-03-0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print job files among shared printers on a computer network
KR100644637B1 (ko) * 2004-10-11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Smb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인쇄 장치 및 방법
JP4865296B2 (ja) * 2004-10-26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60279775A1 (en) * 2005-02-21 2006-12-14 Seiko Epson Corporation Distributed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print job distribution method
JP4432798B2 (ja) * 2005-02-24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JP2006289797A (ja) * 2005-04-11 2006-10-26 Canon Inc 印刷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4173A (ja) * 2005-06-10 2006-12-2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50158B2 (ja) * 2005-08-23 2011-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分散制御を実行するための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装置
JP2007072892A (ja) * 2005-09-08 2007-03-22 Techno Scope:Kk セキュア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セキュアプリント方法
US7999951B2 (en) * 2006-12-29 2011-08-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Direct print handling of native and non-native data formats
JP2008234111A (ja) * 2007-03-19 2008-10-0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
JP2008257445A (ja) * 2007-04-04 2008-10-23 Sharp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462292B2 (ja) * 2007-05-31 2010-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305613B2 (en) * 2008-01-09 2012-11-06 Ricoh Company, Limited Serv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for image processing in a thin client system
JP4609499B2 (ja) * 2008-02-19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認証印刷装置、認証印刷システム、認証サーバ、並びにそれら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38206A (ja) * 2008-03-07 2009-10-15 Ricoh Co Ltd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ホス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508292B2 (ja) * 2008-03-11 2014-05-28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無線マルチホップ・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ソシエーション、ルーティング、およびレート割当ての統合
US8553260B2 (en) * 2009-09-28 2013-10-08 Csr Imaging Us, Lp Preview and modification of printable components of a document at a printing device
JP2012064184A (ja) * 2010-09-20 2012-03-29 Brother Ind Ltd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
JP5721409B2 (ja) * 2010-12-02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1255B2 (ja) * 2011-04-15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924709B2 (en) * 2012-12-31 2014-12-30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 release with end to end encryption and print tracking
JP6193605B2 (ja) * 2013-04-12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3279720B (zh) * 2013-05-30 2016-05-04 北京立思辰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usb打印机安全打印监控及审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4245A (ja) 2017-06-01
EP3120237A1 (en) 2017-01-25
SG11201607172YA (en) 2016-09-29
AU2015232037A1 (en) 2016-09-15
CN106133678A (zh) 2016-11-16
CA2942872A1 (en) 2015-09-24
EP3120237A4 (en) 2017-10-18
US20170111522A1 (en) 2017-04-20
WO2015142262A1 (en) 2015-09-24
AU2015232037B2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0940B2 (en) Connection control system, management server, connection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connection support program
JP2014142720A (ja) 仮想マシン移動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452873B (zh) 软件定义网络中的控制方法,控制设备和处理器
US9007624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facsimil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of the same
US9118621B2 (en) Network controller, method, and medium
JP2009071576A (ja) 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画像配信システム
KR101809365B1 (ko) M2M/IoT 플랫폼에서 MQTT 프로토콜을 활용한 메시지 단편화 방법
KR101484933B1 (ko)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서버, 디바이스,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6153639B2 (ja) Plcシステムのプロトコル自動設定方法
US93172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6309352B2 (ja) 画像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の送信方法
US99776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n file or job
KR20160132997A (ko)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구조, 프린트 구조 및 네트워크
WO2018032499A1 (zh) 一种负载均衡的方法及相关装置
JP201318246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93848A (ko) 멀티 계층 프로토콜 부하 분산을 위한 패킷 처리 장치
KR101137069B1 (ko)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서버
JP68127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12904A (ja) 印刷システム
JP6331571B2 (ja) 情報通知装置及び情報通知方法、情報通知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474767B1 (en) Print from web services platform to local printer
KR101586720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표준 관리를 위한 프런트-엔드 어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설계
JP2018102008A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サーバ及び制御方法
JP6177710B2 (ja) イベント管理装置及びイベント管理方法
US20140330798A1 (en) VDI Fil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