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644A -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644A
KR20160132644A KR1020150065450A KR20150065450A KR20160132644A KR 20160132644 A KR20160132644 A KR 20160132644A KR 1020150065450 A KR1020150065450 A KR 1020150065450A KR 20150065450 A KR20150065450 A KR 20150065450A KR 20160132644 A KR20160132644 A KR 2016013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licon dioxide
minutes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447B1 (ko
Inventor
김경선
Original Assignee
김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선 filed Critical 김경선
Priority to KR102015006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4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1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팜 지방산 12~40중량부와, 토코페롤 5~10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중량부와, 유화제 4~17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중량부와, 트롤아민 8~10중량부, 및 첨가제 2~7중량부로 이루어진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에 있어서;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 10중량부와, 과탄산나트륨 70중량부와, 이산화규소 희석액 0.5중량부와, 탄산수소나트륨 5중량부와, 유용미생물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미생물은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함에 따라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세정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FOAMING DETERG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고세정력을 가진 발포성 세정제를 제조함으로써 세정 과정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피오염물로부터 오염물이 탈락, 제거되도록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정제는 물체(피오염물)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약제이다. 세정제의 주성분은 계면활성제와 세정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는 인산염, 착색제, 표백제, 효소제 등의 각종 조제로 구성된다.
세정제의 종류를 용도별로 분류하면 크게 가정용과 공업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가 흔히 접하는 가정용 세정제는 세부적으로 화장용, 의류용, 주방용, 주거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거에는 나무를 태운 재를 물에 우려낸 잿물을 세정제로 이용하였다. 이는 잿물의 주성분인 탄산칼륨(K2CO3)의 알칼리 성질을 이용하여 세정 작용을 하는 원리에 의한 것이다. 이후에는 양잿물로 불리는 가성소다(NaOH, 수산화나트륨)가 잿물 대신 세정제로 이용되었다.
한편, 비누는 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을 재료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유지를 수산화나트륨(NaOH)과 반응시켜 만들어진 지방산 나트륨염을 비누라고 한다. 이후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석유계 원료를 이용한 합성세제가 일반화되었다.
합성세제의 주성분인 계면활성제는 세정제의 세정 작용에 있어 피오염물로부터 오염물을 탈락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계면활성제 분자에는 물과 친화성이 큰 친수기(親水基)와 기름과 친화성이 큰 친유기(親油基)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상기 친수기는 극성을 가지는데 친수기가 물에 용해되었을 때 해리되는 이온의 형태에 따라서 음이온, 양이온, 중성, 양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세탁용 세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섬유유연제나 살균 및 소독용 세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이용되며 최근에는 거품을 적게 발생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오염물과 오염물의 계면(Surface)에 침투하여 흡착되는데 세정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계면장력이 약화되어 피오염물로부터 오염물이 탈락된다. 탈락된 오염물 입자는 재차 계면활성제가 흡착되고 계면장력이 약화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더욱 미세 입자로 작아져 물속에서 분산된다. 분산된 오염물 입자는 그 성질에 따라서 유화 또는 현탁되거나 가용화 상태가 되어 안정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계면활성제는 석유에서 추출한 탄화수소 등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되며 대부분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이다. 따라서 자연 분해가 불가능하고 특히 합성세제의 거품이 하천의 수면을 덮어 수중의 BOD(Biochemical Oxygen Demand)를 감소시키고 햇빛을 차단하여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수중에서 오염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번식을 방해하거나 부영양화를 촉진하는 등 수질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또한, 식기 등의 세정시 잔류하는 합성세제에 포함된 계면활성제 성분이 체내에 축적되어 각종 질병의 발생과 특히 발암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최근에는 천연 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무공해 세정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세정제의 주성분인 계면활성제를 천연의 원료로 제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므로 대표적인 예를 등록특허 제10-0710043호의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팜 지방산 12~40 중량부와 토코페롤 5~10 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 중량부와 유화제 4~17 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 중량부와 트롤아민 8~10 중량부 및 첨가제 2~7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15~26 중량부와 폴리에톡시알콜 2~8 중량부 및 스테아릴알콜 5~2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5~2 중량부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3 중량부 및 소듐 보레이트 0.5~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제 10 - 0710043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479499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366211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061445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산화 안정성이 높은 팜지방산과 항산화 기능에 의해 방부제 역할을 하는 토코페롤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팜지방산의 고형화 성질을 완화하여 세제를 콜로이드 상태로 조성하도록 유기용매 등 각종 조제를 첨가하여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기존의 합성세제와는 차별적으로 천연 원료만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를 제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화학 방부제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은 화학적 원료로 이루어진 합성세제에 비해 세정효과가 떨어져 세정 과정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요됨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세정제와 마찬가지로 피오염물에 세정제를 투여한 후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세정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손이나 세척기기에 의한 물리력이 미치기 힘든 오염 부위의 경우에는 효과적인 세정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주전자나 보온통과 같은 식기나, 작은 나사못, 볼트, 미세한 금속 부품과 같이 손으로 씻기 힘든 구조적 특성을 가진 피오염물의 경우 종래 기술의 세제 조성물로는 효과적인 세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등록특허 제10-0710043호의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이하,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일정량 배합하여 계면활성제로 이용하고, 세정력은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새로운 구성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제조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팜 지방산 12~40중량부와, 토코페롤 5~10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중량부와, 유화제 4~17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중량부와, 트롤아민 8~10중량부, 및 첨가제 2~7중량부로 이루어진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에 있어서;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 10중량부와, 과탄산나트륨 70중량부와, 이산화규소 희석액 0.5중량부와, 탄산수소나트륨 5중량부와, 유용미생물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미생물은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미생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세정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세정제를 제조함으로써 환경오염은 물론, 각종 알러지나 질병의 유발을 배제하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세정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천연 세정제에 비해 강력한 세정 효과를 발휘하여 피오염물에 물리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세정제와 가열된 물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발포체에 의해 피오염물로부터 오염물이 스스로 분리,제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손 또는 세척기기의 물리력이 미치지 못하는 부위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여 더욱 효과적인 세정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특히, 살균 및 탈취 기능성을 가진 이산화규소와, 발포 및 표백 기능성을 가진 과탄산나트륨 등의 첨가로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한 세정 및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여 예컨대, 기름기 등 각종 찌든 때가 눌러 붙은 후드나 누렇게 변색된 흰색 섬유 등에 적용시에도 뛰어난 세정 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실험 예시 이미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실험 예시 이미지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는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천연 콜로이드조성물 10중량부와, 과탄산나트륨 70중량부와, 이산화규소 희석액 0.5중량부와, 탄산수소나트륨 5중량부와, 유용미생물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미생물은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미생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에서 계면활성제 역할을 담당하는데, 종래 공지된 등록특허 제10-0710043호의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이하,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에서 팜 지방산 12~40중량부와, 토코페롤 5~10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중량부와, 유화제 4~17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중량부와, 트롤아민 8~10중량부, 및 첨가제 2~7중량부로 이루어진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한다.
세정제 내에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은 전술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상세히 기재한 바 있고 이미 널리 주지된 사실이므로 그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통상의 합성세제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의 5~60%까지 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의 낮은 세정력을 극복하여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의 배합비율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세정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수회에 걸친 실험을 통해서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10중량부로 배합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포체(거품)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거나 오히려 지나치게 많이 생성되어 목적하는 수준의 세정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과탄산나트륨(2Na2CO3·3H2O2)은 본 발명의 세정제가 물과의 조합시 발포체를 생성하도록 산소 발생률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과탄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Na2CO3)과 과산화수소(H2O2)를 반응시켜 제조되며 물에 용해시 다시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로 분해되면서 산소(기포)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함께 물에서 반응하여 발포체를 생성하고 거품에 침지된 피오염물에 작용하여 오염물이 탈락, 제거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과탄산나트륨은 표백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섬유, 가죽, 뼈, 나무, 산호나 진주, 밀짚 등의 가공시 표백 및 분석용 시약 등으로 이용되며 이외에도 병실이나 이산화탄소가 과포화된 공기의 정화에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과탄산나트륨이 생성한 발포체에 의해 오염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피오염물에 대한 표백효과 역시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SiO2)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수정석을 1650℃ 이상의 용광로에서 8시간 이상 가열하고 10여일 간을 숙성하여 제조된다. 항균 및 살균, 탈취, 정화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화학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을 정화시키는데에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진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이용한다. 이는 이산화규소 자체가 강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 직접 사용시 피오염물에 손상을 유발하는 등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pH조절을 위해 물에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는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0.5중량부로 배합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살균 및 탈취 등의 기능성을 보유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천연 세정제와는 현저히 차별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소다, 베이킹소다 등으로도 불리는데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오염물을 흡착시키거나 표백, 탈취 기능성이 있어 세제 대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알칼리성을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은 함께 배합되는 타원료 및 물과의 수차례에 걸친 반응 시험을 실시해본 결과, 배합비율에 따라 현저히 차별되는 반응성을 보였으므로 원활한 세정 작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탄산수소나트륨의 배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세정제의 경화현상이 발생하거나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생물 중 인간에게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 수십여종을 조합, 배양한 것으로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세균, 방선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유용미생물은 발효에 의한 항산화작용으로 부패를 억제하고 원료의 독성을 정화하는 것은 물론 탈취 기능성을 가지며 강력한 자정능력을 보유하여 환경 복원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배합비율에 따라 배합하며 콩의 발효에 따른 미생물의 배양에 관해서는 이미 다수의 기술이 주지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의 제조방법은 하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배합기에 상기 과탄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거쳐 교반된 결과물에 탄산수소나트륨를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거친 결과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하고 30~50분간 교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친 결과물을 30~60분간 숙성하고, 재차 30~50분간 교반하여 세정제를 완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은 등록특허 제10-0710043호에 공지된 종래 기술에 따라서 가열한 팜 지방산에 토코페롤, 유화제, 알카놀아미드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생성하고, 냉각된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트롤아민 및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된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단계에서는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미리 혼합하여 30~60분간 숙성한 후 투입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이 오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1단계에서 그대로 이용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단한 고형물로 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되는 과탄산나트륨 및 제2단계에서 혼합되는 탄산수소나트륨과의 교반시에도 고온 발열 반응이 유발되어 배합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함은 물론이고, 결과물이 경화되어 덩어리지거나, 반대로 크림타임으로 변성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은 숙성 과정을 거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통해 완성된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는 분말 형태로 형성되어 세정 과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이용하여 피오염물을 세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00℃로 가열된 물이 담긴 용기에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일정량 용해시킨다. 용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다량의 발포체(거품)가 생성되며 세정제는 수초 내에 가열된 물에 완전히 용해된다.
상기 세정제가 완전히 용해되어 적당량의 발포체가 생성되면 세정하고자 하는 피오염물을 발포체에 침지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발포체가 피오염물에 직접 작용하여 오염물을 탈락 및 분해하여 제거함으로써 강력한 세정 효과를 발휘하므로손이나 세탁기기의 사용과 같은 별도의 외부 물리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오염물의 성질이나 양에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피오염물을 꺼내면 오염물이 완전히 제거되어 세정이 완료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 예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 제조.
우선, 종래 등록특허 제10-0710043호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제조한다.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에 팜지방산을 투입하고 80~100℃로 가열한다.
상기 팜지방산에 토코페롤, 유화제, 알카놀아미드를 투입하고 1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하고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한다.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트롤아민 및 첨가제를 부가하여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제조하도록 하기와 같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실시한다. 각 원료의 배합비율은 아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원료 천연 콜로이드 조성물 과탄산나트륨 이산화규소 희석액 탄산수소나트륨 유용미생물
배합비율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한 중량부)

10

70

0.5

5

3
제1단계에서는 배합기에 과탄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미리 혼합하여 30~60분간 숙성한 후 투입한다.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를 거쳐 교반된 결과물에 탄산수소나트륨를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한다.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제2단계를 거친 결과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하고 30~50분간 교반한다.
제4단계에서는 상기 제3단계를 거친 결과물을 30~60분간 숙성하고, 재차 30~5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완성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이용하여 찬물에서 반응 실험.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찬물에 용해시 반응 실험 과정을 도시한 예시 이미지이다.
찬물 1L에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세정제를 10g 투입하고 발포 반응을 관찰한 결과, 세정제가 물에 완전히 용해 되기까지 2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느린 속도로 용해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세정제에 첨가된 과탄산나트륨이 찬물에서는 용해도가 낮은 특성을 가진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기포 역시 느린 속도로 생성되어 목적하는 수준의 발포체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인 물리력을 가하지 않고 발포체에 의해서만 세정력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찬물에 완전 용해된 본 발명의 세정제를 스프레이에 담아 찌든 때가 눌러붙은 타일, 싱크대 및 곰팡이가 핀 목욕탕과, 변색된 운동화 및 셔츠에 각각 분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결과물을 확인한 결과 오염물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록 본 발명의 세정제가 찬물에서는 용해속도가 느리고 발포체의 생성량이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세정제의 분사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일정 수준의 세정 효과는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3>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이용하여 가열된 물에서 반응 실험.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가열된 물에 용해하여 발포체(거품)을 생성한 후 피오염물(스푼)을 침지하여 발포체가 피오염물에 직접 반응,작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실험 과정을 도시한 예시 이미지이다.
100℃로 가열된 물 1L에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세정제를 10g 투입하고 발포 반응을 관찰한 결과, 세정제가 물에 완전히 용해 되기까지 3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가열된 물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용해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실시 예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제에 첨가된 과탄산나트륨이 가열된 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용해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진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 역시 오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찬물에 비해 가열된 물에서 더욱 활발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 2 내지 실시 예 3의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친환경 발포 세정제는 가열된 물과의 조합시 더욱 효과적인 세정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은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강력한 세정력을 가진 친환경 발포 세정제를 제공함으로써 인체나 환경에 무해하며, 특히 가열된 물과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발포체의 작용으로 피오염물에 별도의 물리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오염물이 스스로 탈락,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손이나 세척기기의 힘이 미치치 못하는 복잡한 구조의 물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강력한 살균 및 탈취, 표백 기능성을 보유하여 종래 세정력이 미약한 천연 세정제에 비해 현저한 세정효과를 발휘하므로, 궁극적으로 친환경적이면서 동시에 강력한 세정력을 보유한 세정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해당 없음.

Claims (5)

  1. 팜 지방산 12~40중량부와, 토코페롤 5~10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중량부와, 유화제 4~17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중량부와, 트롤아민 8~10중량부, 및 첨가제 2~7중량부로 이루어진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에 있어서;
    세정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 10중량부와, 과탄산나트륨 70중량부와, 이산화규소 희석액 0.5중량부와, 탄산수소나트륨 5중량부와, 유용미생물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미생물은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2. 가열한 팜 지방산에 토코페롤, 유화제, 알카놀아미드를 투입,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온으로 냉각된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트롤아민 및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된 천연 콜로이드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배합기에 과탄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상기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거쳐 교반된 결과물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거친 결과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하고 30~50분간 교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친 결과물을 30~60분간 숙성하고, 재차 30~50분간 교반하여 세정제를 완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천연 콜로이드조성물과 이산화규소 희석액을 미리 혼합하여 30~60분간 숙성한 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미생물은 콩을 발효하여 배양된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제조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규소 희석액은 이산화규소 100g당 0.5%로 희석한 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발포 세정제 제조방법.
KR1020150065450A 2015-05-11 2015-05-11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0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0A KR101705447B1 (ko) 2015-05-11 2015-05-11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0A KR101705447B1 (ko) 2015-05-11 2015-05-11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44A true KR20160132644A (ko) 2016-11-21
KR101705447B1 KR101705447B1 (ko) 2017-02-22

Family

ID=5753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50A KR101705447B1 (ko) 2015-05-11 2015-05-11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407A (ko) * 2019-08-23 2021-03-04 제너럴바이오(주)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102262517B1 (ko) * 2020-12-26 2021-06-09 씨앤에스테크 주식회사 친환경 세정제의 제조 방법
KR102324249B1 (ko) * 2021-07-05 2021-11-10 박주영 살균력이 개선된 친환경 미세 발포 세척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043B1 (ko) 2005-07-18 2007-04-20 (주)세이지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536948A (ja) * 2007-08-16 2010-12-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洗剤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1061445B1 (ko) 2010-12-01 2011-09-01 (주)보마코리아 생분해성이 우수한 무독성 친환경 수계 세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9741B1 (ko) * 2011-06-02 2012-02-22 김택진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211B1 (ko) 2011-10-13 2014-02-25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KR20140108129A (ko) * 2013-02-26 2014-09-05 청산화학(주)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KR101479499B1 (ko) 2013-03-11 2015-01-08 이장명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043B1 (ko) 2005-07-18 2007-04-20 (주)세이지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536948A (ja) * 2007-08-16 2010-12-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洗剤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1061445B1 (ko) 2010-12-01 2011-09-01 (주)보마코리아 생분해성이 우수한 무독성 친환경 수계 세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9741B1 (ko) * 2011-06-02 2012-02-22 김택진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211B1 (ko) 2011-10-13 2014-02-25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KR20140108129A (ko) * 2013-02-26 2014-09-05 청산화학(주)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류용 세제 조성물
KR101479499B1 (ko) 2013-03-11 2015-01-08 이장명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407A (ko) * 2019-08-23 2021-03-04 제너럴바이오(주)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102262517B1 (ko) * 2020-12-26 2021-06-09 씨앤에스테크 주식회사 친환경 세정제의 제조 방법
KR102324249B1 (ko) * 2021-07-05 2021-11-10 박주영 살균력이 개선된 친환경 미세 발포 세척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447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304B1 (ko)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160312B1 (en) Deter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ion thereof
JP4335995B2 (ja) 環境保全型粒状洗浄用組成物
CN105969552A (zh) 钙螯合组合物
KR101705447B1 (ko)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11811A (ko) 계면활성제 활성성분의 제조방법, 계면활성제 및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
KR20180007521A (ko)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34400B2 (ko)
KR102218534B1 (ko) 미네랄 이온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212B1 (ko) 친환경 세제 조성물
KR102324249B1 (ko) 살균력이 개선된 친환경 미세 발포 세척제
KR102265107B1 (ko) 실온 배합이 가능한 친환경 주방세제용 조성물
CN111635835B (zh) 一种消毒洗衣液及制备方法
CN106118908A (zh) 一种抗菌去污洗衣液
CN108410593A (zh) 一种多效型洗衣液及其制备方法
KR101926401B1 (ko) 유아 의류 또는 속옷용의 고형 세탁 비누 조성물
JPH01146998A (ja) 食器洗い機用洗剤
CN106520403A (zh) 一种羧甲基壳聚糖银抗菌增白洗衣液及其制备方法
JP6781006B2 (ja) 抗菌性液体洗浄剤、及び抗菌性洗浄剤用混合物の使用方法
RU2223308C2 (ru) Моюще-очища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олоч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RU2038366C1 (ru) Порошков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RU2811470C2 (ru) Биоразлагаемая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липазы для расщепления низкоплавких ацилглицеридов различной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и регуляции п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и гидрофилиз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ей
KR980009440A (ko) 의류세정을 위한 세탁볼의 조성물
KR20030061775A (ko)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959711B2 (ja) 殺菌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