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43B1 -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43B1
KR100710043B1 KR1020050064939A KR20050064939A KR100710043B1 KR 100710043 B1 KR100710043 B1 KR 100710043B1 KR 1020050064939 A KR1020050064939 A KR 1020050064939A KR 20050064939 A KR20050064939 A KR 20050064939A KR 100710043 B1 KR100710043 B1 KR 10071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atty acid
tocopherol
palm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403A (ko
Inventor
최광화
Original Assignee
(주)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지 filed Critical (주)세이지
Priority to KR102005006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0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은, 팜 지방산 12~40 중량부와 토코페롤 5~10 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 중량부와 유화제 4~17 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 중량부와 트롤아민 8~10 중량부 및 첨가제 2~7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호모믹서가 설치된 용기에 팜지방산을 넣고 약 80~100℃로 가열하는 제 1단계와; 제 1단계를 거친 액상의 팜지방산에 알카놀 아미드와 토코페롤 및 유화제를 넣고 약 15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균일한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와;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상온의 상태로 냉각시키는 제 3단계와; 제 3단계를 거친 상온 상태의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약 10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와;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에 트롤아민과 첨가제를 부가하여 수용성 세제를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팜지방산, 토코페롤, 천연 세제

Description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lloid water-soluble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lm oleic acid and tocopherol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뛰어난 세정력을 나타내며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 보호 및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란 오염에 대한 효율적인 세정을 도와주는 혼합물질로서, 계면활성제와 조제로 구성되며, 세정 및 세척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세척제라고 하며, 세제의 세척작용은 계면활성제와 기타 조성물질의 역할에 의해 이 루어지는 것인데, 세제는 제조방법에 따라 비누와 합성세제로 구분되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세제는 일반적으로 탄화수소계의 지방분자로 구성된 유친화성구조와 황산염으로 구성된 수친화성구조의 양친화성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합성세제에 의한 세척작용은 유친화성 구조가 오물에 접촉하여 달라붙거나, 오물에 침투한 후 오물과 함께 세척대상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합성세제 분자가 세척 대상물에 붙어있는 오물과 접촉하고 침투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해의 주범인 거품이 많이 나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세제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세제류가 대부분이고, 부영양화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며, 세탁후 세탁물에 잔류물이 남아 피부에 강한 자극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율이 낮고, 세제의 경화현상이 발생하며, 찬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합성세제가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기술을 선행 기술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3-0035929에 게재되어 있는 “대두지방산과 레시틴을 이용한 활성 수용성 천연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하, 선행특허라 한다)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대두지방산과 레시틴을 함유하는 천연세제 조성물로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오염물질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천연세제조성물에 포함된 대두지방산은 산화 안정성(Oxidative stability)이 떨어져 온도의 변화에 따라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 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소첨가(Hydrogenation) 반응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나, 수소첨가 반응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고, 인체의 피부 보호 및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산화 기능을 가진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팜지방산의 성분비를 높일 수 있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은, 팜 지방산 12~40 중량부와 토코페롤 5~10 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 중량부와 유화제 4~17 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 중량부와 트롤아민 8~10 중량부 및 첨가제 2~7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15~26 중량부와 폴리에톡시알콜 2~8 중량부 및 스테아릴알콜 5~26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5~2 중량부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3 중량부 및 소듐 보레이트 0.5~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은, 팜 지방산 12~15 중량부와 토코페롤 1~3 중량부와 유기용매 8~20 중량부와 유화제 1~8 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1~4 중량부와 트롤아민 5~8 중량부 첨가제 0.5~3 중량부 및 증류수 50~6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호모믹서가 설치된 용기에 팜지방산을 넣고 약 80~100℃로 가열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액상의 팜지방산에 알카놀 아미드와 토코페롤 및 유화제를 넣고 약 15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균일한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상온의 상태로 냉각시키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를 거친 상온 상태의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약 10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를 제조하는 제 4단 계; 상기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에 트롤아민과 첨가제를 부가하여 수용성 세제를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써의 팜지방산은 팜오일을 가공하여 지방산화시킨 것으로 팜오일과 달리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팜오일은 종려 나무과에 속한 팜나무의 열매 송이에서 순수압착방식을 통해 위생적으로 추출된 순 식물성 천연오일로써, 식물 유래 지방이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의 염려가 전혀 없고, 수소첨가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 처리가 없이 최소한의 화학적 처리만으로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비타민 E와 카로티노이드가 매우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 E에 포함된 토코페롤(Tocopherol)과 카로티노이드(Carotinoid)는 스트레스(Stress) 에 대응하는 항산화 기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액체 세정제는 일정한 용기에 담아 사용자가 일정량을 부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동성(Liquidity), 즉 흐름성을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팜지방산은 그 자체로 고형화하려는 경향을 띄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유용한 장점을 지니고도 천연 액체 세제의 조성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팜오일을 가공한 팜지방산의 성분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i)식은 팜지방산의 대표적인 화학식이며, 이와 같은 팜지방산은 올레익기, 팔미틱기, 리놀레인기, 카프릴기, 라우릴기, 스테아릭기, 카프로일기 등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5038804653-pat00001
여기서, 상기 팜지방산의 성분비는 12~4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12 중량부 미만으로 배합되면 세척력이 약해지고,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배합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조성물의 제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써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22~6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고, 이소프로필알콜, 폴리에톡시알콜 및 스테아릴알콜이 혼합되어 지방산에서 알킬기(Alkyl group)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15~26 중량부와 폴리에톡시알콜 2~8 중량부 및 스테아릴알콜 5~26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i)식은 유기용매로 사용되는 고급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의 대표적인 화학식이며, 그 예로는 이소프로필알콜, 폴리에톡시알콜, 스테아릴알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예로써의 고급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5038804653-pat00002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는 팜지방산의 고유한 특성인 고형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킬기를 분리하여 상기 (i)식에서 분자의 사슬 구조가 절단된 형태의 C10~C14의 탄소 개수를 가진 상태의 현탁액이 조성되도록 첨가된다.
알킬기가 분리된 형태의 지방산은 단량체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단량체로 된 지방산은 호모믹서에서 에멀젼화 되어 입자 크기가 약 0.4 ㎛이하로 작아지게 된다.
알카놀아미드는 6~1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알카놀아미드는 지방산과 축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보조 계면활성제이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써의 기능을 한다.
유화제는 지방산과 알카놀 아미드를 유화(emulsifying)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일 예로써의 유화제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트리글리세리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유화제 중 3~12 중량부의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촉진시켜 제품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어진다.
토코페롤은 5~10 중량부 범위에서 첨가제로써 사용되는데, 상기 토코페롤은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기능을 가진 물질로써 기존의 방부제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기존의 방부제는 부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일정량 이하 사용이 허용되지만 피부자극, 알레르기(Allergy),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로써 토코페롤을 사용함으로 인해 기존의 방부제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트롤아민 8~10 중량부가 전체 조성물에 혼합되어 사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롤아민은 비누화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첨가제는 지방산의 비누화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일 예로써의 첨가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및 소듐 보레이트가 사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5~2 중량부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3 중량부 및 소듐 보레이트 0.5~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ii)식은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나타낸 화학식이며, 대표식으로는 RCOOM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8804653-pat00003
여기서 M은 Ca2 +, Mg2 +, Na+, 또는 Zn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은 수분 및 pH 조절을 통하여 그 용도의 다양성을 이룰 수 있으며, pH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트르산 또는 유기아민을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호모믹서가 설치된 용기에 팜지방산을 넣고 약 80~100℃로 가열한다(S1).
팜지방산을 가열하여 액상 상태의 원료로 혼합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액상의 팜지방산에 알카놀 아미드와 토코페롤 및 유화제를 넣고 호모믹서에서 고속으로 교반하여 균일한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제조한다(S2).
팜지방산은 그 자체로 고형화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알카놀 아미드와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기능을 가진 물질로써 기존의 방부제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토코페롤 및 지방산과 알카놀 아미드를 유화시키는 유화제를 넣고 약 15분 동안 3,000 rpm이상 고속으로 교반을 하여 팜지방산의 알킬기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호모믹서 내부가 진공(약 10-3~ 10-4mmHg)이 될 수 있도록 진공시스템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모믹서에 의해 고속으로 교반되는 에멀젼상의 혼합물에는 다량의 기포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교반시에 발생하는 기포는 완제품인 천연 세제의 에멀젼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어 균일한 상태의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고 추가적으로 제조 시간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교반에 의해 알킬기가 분리된 팜지방산은 0.4㎛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에멀젼 형태로 생성된다.
이와 같이 다가 알콜을 첨가하여 C10~C14의 탄소 개수를 가진 현탁액을 제조하면, 팜지방산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화제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트리글리세리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상온의 상태로 냉각시킨다(S3).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상온의 상태로 냉각시키는 이유는 후술할 유기용매의 특성에 기인한다.
유기용매는 특성상 약 80℃ 정도에서 끓게 되며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온에서의 작업이 안전하고 효율이 높게 된다.
다음으로, 상온 상태의 에멀젼상의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넣어 고속으로 교반하여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를 제조한다(S4).
유기용매를 에멀젼상의 혼합물에 넣고 약 10분간 3,000rpm 이상 고속으로 호모믹서에서 교반하게 되면, 조성물의 성분비에 따라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가 제조된다.
이때, 교반시에 진공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소프로필알콜과 스테아릴알콜 및 폴리에톡시알 콜이 첨가되어진다.
유기용매에 의해 알킬기가 분리된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는 입자 크기가 0.1㎛이하가 된다.
마지막으로,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에 트롤아민 및 첨가제를 부가하여 콜리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조한다(S5).
트롤아민 및 첨가제를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에 넣고 약 10분간 3,000 rpm 이상 고속으로 호모믹서에서 교반하여 비누화를 시키게 되면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가 제조된다.
이때, 교반시에 진공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은 방부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 자극을 방지하고, 토코페롤과 팜지방산에 포함된 카로티노이드에 의한 보습,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예로써의 교반기는 호모믹서를 사용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아지호모믹서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호모믹서는 교반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진다.
교반기 사양
- 호모 또는 울트라 3,600 rpm
- 페들 아지테이터 750 rpm
- 스크레이퍼 페들 50 rpm
상기 호모믹서는 진공, 가열, 냉각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페들 아지테이터와 스크레이퍼 페들은 상기 호모믹서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설비로써 교반되는 제품이 고점도일 경우 충분히 교반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구비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페들 아지테이터와 스크레이퍼 페들을 고속 교반시에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입자크기를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실시예 1)
고속 호모믹서에 팜 지방산 40 중량부를 넣고 약 80 ~ 100℃까지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알카놀 아미드 6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4 중량부, 트리글리세리드 5 중량부, 토코페롤 5 중량부를 넣고 진공상태(약 10-3~ 10-4mmHg)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5분간 교반하여 0.4㎛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에멀젼 형태로 만든다. 이때 생성되는 제조물의 점도는 약 10,000cPs 정도이다.
냉각장치를 가동하여 상온의 상태로 한 후 유기용매인 이소프로필알코올 18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7 중량부, 폴리에톡시알코올 3 중량부를 넣고 상온(약 24 ℃), 진공(약 10-3~ 10-4mmHg)상태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0분간 교반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조물은 입자크기가 0.1㎛이하인 에멀젼 형태가 된다.
마지막 단계로 소듐보레이트 0.5 중량부,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1.5 중량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2 중량부, 트롤아민 8 중량부를 가하여 상온(약 24℃), 진공(약 10-3~ 10-4mmHg)상태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0분간 교반하며 비누화를 시키면 최종적으로 크림상의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이 완성된다.
최종 생성된 제조물은 입자크기 0.1㎛이하, pH6.5, 점도 약 7,000cPs의 성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크림상의 천연 세제는 피부, 두발, 의복 등에 사용할 경우 자극성이 없이 강력한 세정작용을 할 수 있고, 금속, 유리 및 바닥 등의 세척시에도 표면의 손상이 없이 원래의 색상을 되찾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고속 호모믹서에 팜 지방산 12 중량부를 넣고 약 80 ~ 100℃까지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알카놀 아미드 6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2 중량부, 트리글리세리드 10 중량부, 토코페롤 5 중량부를 넣고 진공상태(약 10-3 ~ 10-4mmHg)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5분간 교반하여 0.4㎛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 는 에멀젼 형태로 만든다. 이때 생성되는 제조물의 점도는 약 5,000cPs 정도이다.
냉각장치를 가동하여 상온의 상태로 한 후 유기용매인 이소프로필알코올 24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24 중량부, 폴리에톡시알코올 6 중량부를 넣고 상온(약 24℃), 진공((약 10-3 ~ 10-4mmHg)상태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0분간 교반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조물은 입자크기가 0.1㎛이하인 에멀젼 형태가 된다.
마지막 단계로 소듐보레이트 0.5 중량부,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1 중량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5 중량부, 트롤아민 8 중량부를 가하여 상온(약 24℃), 진공((약 10-3 ~ 10-4mmHg)상태에서 호모믹서를 3,000rpm의 회전속도로 약 10분간 교반하며 비누화를 시키면 최종적으로 점액상의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이 완성된다.
최종 생성된 제조물은 입자크기 0.1㎛이하, pH6.5, 점도 약 2,000cPs의 성상을 갖는다.
실시예 3)
주방 세제 및 세탁 세제에서 요구되는 실용적인 효능에 관해 실시예 1의 생성물을 시험 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물 33 중량부에 증류수 61 중량부를 가하고, pH 조정을 위해 트롤아민 6 중량부를 첨가하여 pH 8.0의 수용액으로 조성하여 후술할 세정력, 환경영향평가, 생분해도 측정 시험을 하였다.
<표 1>에서는 실시예 3에 따른 세정력 시험을 한(시험방법 KS M 2709:2001)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 세정력 시험결과
시료명 실시예 3
생분해도 99%
시험방법 KS M 2714:2002
평가점 기준:-2 세정력 없음, -1 세정력 미약, 0 보통, 1 우수, 2 매우 우수
상기 시험결과로 비추어 볼 때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은 세제로써의 실용적 가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세제의 환경영향 분석과 관련해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세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 <표 2>에서 조사ㆍ분석해 보았다.
<표 2> 환경영향평가 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유기인 mg/L 불검출 KS M 2709:2001
형광증백제 - 불검출 KS M 2709:2001
메틸알코올 wt% 불검출 KS M 2709:2001
비소 mg/L 불검출 KS M 2709:2001
Cr(6가, 2가 크롬) mg/L 불검출 KS M 2709:2001
pH(25℃) - 7.8 KS M 2709:2001
카드뮴 mg/L 불검출 ICP 분석
수은 mg/L 불검출 ICP 분석
총질소 mg/L 2.5 수질오염공정시허멉
총인 mg/L 불검출 수질오염공정시험법
페놀류 mg/L 불검출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천연 세제에는 총인, 페놀류, 형광증백제, 중금속등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대부분의 성분들이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인 환경보호차원의 세제를 제조하는데 뒷받침되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표 3>에서는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생분해시험(시험방법 KS M 2714:2002)을 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분해도는 99%로 나타났으며 자연 상태에서 수일내에 완전히 분해되고, 이 또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표 3> 생분해도 시험결과
시료명 실시예 3
생분해도 99%
시험방법 KS M 2714:200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천연 성분을 사용함으로 인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항산화 기능이 강화되어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비누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조 시간을 단축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토코페롤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부제를 대체하여 피부자극,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팜 지방산 12~40 중량부와 토코페롤 5~10 중량부와 유기용매 22~60 중량부와 유화제 4~17 중량부와 알카놀아미드 6~10 중량부와 트롤아민 8~10 중량부 및 첨가제 2~7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15~26 중량부와 폴리에톡시알콜 2~8 중량부 및 스테아릴알콜 5~2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5~2 중량부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3 중량부 및 소듐 보레이트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호모믹서가 설치된 용기에 팜지방산을 넣고 약 80~100℃로 가열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액상의 팜지방산에 알카놀 아미드와 토코페롤 및 유화제를 넣고 약 15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균일한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에멀젼상의 혼합물을 상온의 상태로 냉각시키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를 거친 상온 상태의 혼합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약 10분간 고속으로 교반하여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크림상 또는 점액상의 세제에 트롤아민과 첨가제를 부가하여 수용성 세제를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64939A 2005-07-18 2005-07-18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1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939A KR100710043B1 (ko) 2005-07-18 2005-07-18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939A KR100710043B1 (ko) 2005-07-18 2005-07-18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403A KR20070010403A (ko) 2007-01-24
KR100710043B1 true KR100710043B1 (ko) 2007-04-20

Family

ID=3801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939A KR100710043B1 (ko) 2005-07-18 2005-07-18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44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선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24249B1 (ko) 2021-07-05 2021-11-10 박주영 살균력이 개선된 친환경 미세 발포 세척제
KR102547304B1 (ko) 2022-12-28 2023-06-23 주식회사 더가넷 세정제 조성물 생성을 위한 혼합 장치, 이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60B1 (ko) * 1993-07-09 1996-11-01 이성훈 항진균제를 함유한 약용비누 조성물
JPH10121091A (ja) 1996-08-30 1998-05-12 Ajinomoto Co Inc 洗浄剤組成物
JP2001262187A (ja) 2000-03-23 2001-09-26 Nof Corp 洗浄剤組成物
US20050090412A1 (en) 2003-10-28 2005-04-2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Division Of Conopco, Inc. Process of making fatty alcohol based gel detergent compositions
US20050130859A1 (en) * 2003-12-05 2005-06-16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KR20050064939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 집진 필터의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60B1 (ko) * 1993-07-09 1996-11-01 이성훈 항진균제를 함유한 약용비누 조성물
JPH10121091A (ja) 1996-08-30 1998-05-12 Ajinomoto Co Inc 洗浄剤組成物
JP2001262187A (ja) 2000-03-23 2001-09-26 Nof Corp 洗浄剤組成物
US20050090412A1 (en) 2003-10-28 2005-04-2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Division Of Conopco, Inc. Process of making fatty alcohol based gel detergent compositions
US20050130859A1 (en) * 2003-12-05 2005-06-16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KR20050064939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 집진 필터의 고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64939 - 702863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44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선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05447B1 (ko) * 2015-05-11 2017-02-22 김경선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24249B1 (ko) 2021-07-05 2021-11-10 박주영 살균력이 개선된 친환경 미세 발포 세척제
KR102547304B1 (ko) 2022-12-28 2023-06-23 주식회사 더가넷 세정제 조성물 생성을 위한 혼합 장치, 이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403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9454T2 (de) Wässrig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r stabilität
WO2006024095A8 (en) Microemulsion &amp; sub-micron emulsion process &amp; compositions
KR100710043B1 (ko) 팜지방산과 토코페롤을 함유한 콜로이드 수용성 천연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69925377T2 (de) Vitaminzusammensetzung für topische anwendungen
KR100802568B1 (ko) 식물성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콜로이드성 세제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JP4148534B2 (ja) コポリマー柔和性活性剤を含む液体組成物
JP4195774B2 (ja) 安定なエマルジョン
JPH04100535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852249B1 (ko) 화장품용 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07078B1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US6380153B1 (en) Methods for producing surfactants with cellulose compositions
US5403506A (en) Deodorant detergent composition
DE69922644T2 (de) Stabile carbanilid enthaltende zusammensetzung
JP3353697B2 (ja) アミノ変性シリコーン乳化物の製造方法
KR102253878B1 (ko)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JP2015054966A (ja) 植物脂肪酸とレシチンを用いた新多機能コロイド状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の低コスト製造方法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435903B1 (en) Cleansing composition
AU2002353558A1 (en) The active soluble celaning composite of natural state using soybean fatty acids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KR20140021205A (ko) 흑모유발 및 모발생장촉진을 위한 콜로이드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3040281A1 (en) The active soluble cleaning composite of natural state using soybean fatty acids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CN116262886A (zh) 一种具有增强污渍剥离效果的清洁剂
CN117625313A (zh) 一种用于油包水粉底类化妆品的清洗剂及制备、清洗方法
CN109745236A (zh) 一种复合洁面膏及其制备方法
AU752893C (en) Stable emul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