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449A - 박형 에어 잭 - Google Patents

박형 에어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449A
KR20160132449A KR1020167028230A KR20167028230A KR20160132449A KR 20160132449 A KR20160132449 A KR 20160132449A KR 1020167028230 A KR1020167028230 A KR 1020167028230A KR 20167028230 A KR20167028230 A KR 20167028230A KR 20160132449 A KR20160132449 A KR 20160132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air supply
airtight
supply hos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426B1 (ko
Inventor
유타카 나가노
시게카즈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3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7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pneu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5Inflatable flexible elements,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2)와, 각각 기단부가 기밀체(2)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4)와, 선단부에 안전 밸브(5)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6)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2)를 상기 양 호스(4, 6)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7)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 등(2, 7)을 상기 양 호스(4, 6)의 각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수용하는 내장체(8)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9)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9)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9)는 상기 기밀체 등(2, 7, 8)을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및 안전 밸브(5)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9)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고,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박형 에어 잭{THIN AIR JACK}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리나 점검 등을 행하는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기거나, 또는 지진이나 태풍, 사고 등에 의해 무너진 건물 등의 소요 개소를 들어올려서 깔려있는 사람을 구조하거나 하는데 사용되는 박형 에어 잭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안정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매우 좁은 간극에도 삽입되어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수 있고, 또한 자전거의 공기 주입이나 콤프레서 등에서도 에어를 공급할 수 있어서 취급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박형 에어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하는 잭에는 종전부터 유압식 잭이나 기계식 잭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잭은 모두 수축되었을 때의 높이가 높아 좁은 간극에 삽입할 수 없는데다가, 무거워서 취급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포대 구조의 에어 잭 장치가 개발되어 일본 특허 공개 2000-247587호(참고문헌 1 참조)로서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고무 튜브(21)와, 나일론 직포 또는 아라미드 직포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고무 튜브(21)를 수용하는 외위체(22)와, 고무 튜브(21)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조인트(23)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무 튜브(21) 및 외위체(22)의 대향하는 한 세트의 변이 각각 금속판(24)과 나사(25) 및 너트(26)에 의해 협지됨과 아울러, 고무 튜브(21) 및 외위체(22)의 대향하는 다른 세트의 변이 각각 V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접어넣어져 있다.
또한, 고무 튜브(21)와 외위체(22)의 사이 및 외위체(22)의 표면에는 각각 외위체(22)를 사이에 두고 두 세트의 금속제 보강판(2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두 세트의 금속제 보강판(27)은 리벳(2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외위체(22)의 표면측의 금속제 보강판(27)에는 각각 고무판(29)이 고착되어 있으며, 이 고무판(29) 중, 상측의 고무판(29)에는 자동차 차체의 하부 프레임(30)이 들어가는 오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들어올리려고 하는 중량물의 하면에 배치한 후, 에어 조인트(23)로부터 압착 공기를 고무 튜브(21) 내에 주입하면 고무 튜브(21)가 팽창함과 아울러, 이것에 수반하여 외위체(22)도 팽창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 에어 잭 장치(20)는 고무 튜브(21) 및 직포제의 외위체(22)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 형상을 전체적으로 얇게 할 수 있어 좁은 간극에 삽입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직포제의 외위체(22) 내에 고무 튜브(21)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위체(22)와 고무 튜브(21)의 마찰 저항이 매우 커져서,외위체(22) 및 고무 튜브(21)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고무 튜브(21)가 팽창할 때에 고무 튜브(21)가 균등하게 팽창하지 않고, 고무 튜브(21)에 부분적으로 큰 부하가 걸려서 고무 튜브(21)가 파열될 우려가 있어 안전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고무 튜브(21)를 팽창시킬 때에 고무 튜브(21) 내에 압착 공기를 지나치게 주입하는 경우가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고무 튜브(21)가 파열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고무 튜브(21) 및 외위체(22)의 양단부를 금속판(24)에 의해 협지함과 아울러, 외위체(22)의 중앙부 표면측에 금속제 보강판(27) 및 고무판(29)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를 극단적으로 얇게 할 수 없어 최소의 두께가 6㎝ 정도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매우 좁은 간극에는 삽입할 수 없어 사용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 잭 장치(20)는 고무 튜브(21)를 팽창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수동식의 자전거의 공기 주입으로는 고무 튜브(21)를 팽창시키기 곤란하여, 사용시에는 에어 콤프레서가 필요하게 되어 취급성 및 조작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0-24758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안정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매우 좁은 간극에도 삽입하여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또한 자전거의 공기 주입이나 콤프레서 등에서도 에어를 공급할 수 있어, 취급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박형 에어 잭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안전 밸브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를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 및 커버체를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기밀체, 커버체 및 내장체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분기 이음매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와, 상기 분기 이음매에 각각 접속된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를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 및 커버체를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기밀체, 커버체, 및 내장체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2개의 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경사 자세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는 그 기단부가 기밀체의 각 호스 장착 통부 내에 각각 삽입되고 있으며, 호스 장착 통부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임 수단에 의해 기밀 형상으로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변에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경사 자세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 호스는 그 기단부가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호스 장착 통부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임 수단에 의해 기밀 형상으로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을 나일론 다층 필름으로 하고, 또한 단층 필름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6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각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는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는 기밀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7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는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어 공급 호스 선단부는 기밀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8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대향하는 두 개의 변을 각각 안쪽으로 접어넣은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9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에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0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에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1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주면의 사이에 각각 접착제층을 개재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2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주면의 사이에 각각 접착제층을 개재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외주연부 양면의 일부 또는 모두에 테이프제 또는 직물제 또는 수지 시트제의 보강편을 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합성 수지 튜브 또는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해 적어도 한 변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변에 인접하는 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측을 각각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구멍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6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합성 수지 튜브 또는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해 적어도 한 변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변에 인접하는 변에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측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 구멍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띠 형상의 직포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의 직포의 양단부를 겹쳐서 그 겹침 부분을 봉착 또는 접착함과 아울러, 내장체의 안쪽에 기밀체 및 커버체를 수용하여 내장체의 내면에서 기밀체의 양단부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8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날실과 합성 섬유제의 씨실을 통 형상으로 직성한 재킷의 내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을 형성한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이며,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기단부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소방용 호스 또는 원통 형상 직물의 양단부 개구를 금구, 용착, 및 봉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닫아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9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날실과 합성 섬유제의 씨실을 통 형상으로 직성한 재킷의 내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을 형성한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이며,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기단부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소방용 호스 또는 원통 형상 직물의 양단부 개구를 금구, 용착, 및 봉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닫아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0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일부분과 외장체의 일부분을 금속 링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한 것에 특징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필름에 의해 형성된 포대 형상의 기밀체를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된 포대 형상의 커버체에 수용하고, 이것들을 또한 합성 섬유제의 내장체 및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외장체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에 순차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체에 의해서 기밀체와 내장체의 마찰 저항이 대폭 저감되게 되고, 그 결과 박형 에어 잭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기밀체가 팽창할 때에 기밀체가 균등하게 팽창하여 기밀체에 부분적으로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일이 없고, 기밀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에 안전 밸브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를 팽창시킬 때에 기밀체 내에 압착 공기를 지나치게 주입해도 안전 밸브로부터 과잉의 압착 공기가 배출되므로 기밀체가 파열한다고 하는 일이 없어 보다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를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의 기밀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고, 또한 외장체에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체의 내구성 및 내파열성이 대폭 향상되게 되며, 사용 중에 에어가 빠지거나 외장체가 파열되거나 한다고 하는 일이 없어 보다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포대 형상의 기밀체, 포대 형상의 커버체, 포대 형상의 내장체 및 통 형상의 외장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을 편평 형상으로 했을 때에 그 두께를 매우 얇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매우 좁은 간극에도 삽입할 수 있어서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의 대향하는 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호스 장착 통부를 형성하고, 각 호스 장착 통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각 호스 장착 통부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임 수단에 의해 조여서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밀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가 기밀체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는데다가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서 기밀체로부터 에어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에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설치하고, 이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매개 호스를 바꿈으로써 수동식의 자전거의 공기 주입 또는 콤프레서 또는 족답식 펌프로도 에어를 공급할 수 있어 취급성 및 조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를 장착하는 각 호스 장착 통부가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의 팽창시에 각 호스 장착 통부가 외력을 받는 일이 없어 기밀체의 각 호스 장착 통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의 호스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2개의 변을 각각 안쪽으로 접어넣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가 팽창해도 상기 2개의 변이 무리하게 잡아늘려지는 일이 없어 밀봉체의 양단부(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2개의 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가 팽창되었을 때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일부분이 기밀체의 내압에 의해 외장체의 내주면측으로 강하게 압박되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가 기밀체로부터 빠지지 어려워져서 에어 공급 호스의 고정에 필요 이상의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로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가 기밀체로부터 보다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주면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개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가 기밀체로부터 보다 한층 빠지지 어려워짐과 아울러,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와의 기밀성이 보다 높아져서 기밀체로부터 에어가 보다 빠지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밀체의 외주연부 양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테이프제 또는 천제 또는 수지 시트제의 보강편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의 외주연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강되어 기밀체에 압착 공기를 주입해도 기밀체의 외주연부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내장체가 합성 섬유제의 띠 형상의 직포로 이루어지고, 띠 형상의 직포의 양단부를 겹쳐서 그 겹침 부분을 봉착 또는 접착함과 아울러, 내장체의 안쪽에 기밀체 및 커버체를 수납하여 내장체의 내면에서 기밀체의 양단부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가 팽창했을 때에 기밀체의 양단부가 내장체에 의해 유지되므로 기밀체의 양단부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외장체에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체의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이 향상됨과 아울러 외장체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에어 공급 호스의 일부분과 외장체의 일부분을 금속 링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가 보다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장착된 1개의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에 2갈래 형상의 분기 이음매를 장착하고, 이 2갈래의 분기 이음매에 각각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와 안전 밸브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 장착 호스를 생략할 수 있어 박형 에어 잭의 조립 작업의 간략화 및 조립 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또한, 이 박형 에어 잭은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안전 밸브, 에어 공급 호스, 분기 이음매가 외장체의 한쪽의 장변에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체의 다른쪽의 장변 부분은 기밀체, 커버체, 내장체 및 외장체만의 두께로 되므로 매우 좁은 간극에도 끼워넣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박형 에어 잭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박형 에어 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밀체로의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는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를 장착하기 전의 기밀체의 평면도, (b)는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를 장착한 평면도, (c)는 기밀체의 개구를 용착한 상태의 평면도, (d)는 기밀체의 양단부를 내부에 접어넣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를 장착한 기밀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버체 내에 기밀체를 수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내장체 내에 기밀체 및 커버체를 수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외장체 내에 기밀체, 커버체 및 내장체를 수용하고, 외장체의 양단부를 닫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박형 에어 잭을 팽창시킨 상태의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박형 에어 잭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분기 이음매,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를 장착한 에어 공급 호스를 기밀체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에어 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박형 에어 잭(1)을 나타내고, 상기 박형 에어 잭(1)은 보통 자동차나 특수 자동차 등의 자동차의 수리·점검 등을 행할 때에 자동차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해 무너진 건물 등의 소요 개소를 들어올려서 깔려있는 사람을 구조하거나 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박형 에어 잭(1)은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2)와, 기단부가 기밀체(2)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4)와, 기단부가 기밀체(2)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안전 밸브(5)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6)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2)를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7)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2) 및 커버체(7)를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8)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9) 또는 강도가 있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9)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9)는 상기 기밀체(2), 커버체(7), 및 내장체(8)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및 안전 밸브(5)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9)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체(2)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2장의 필름재를 겹치고, 2장의 필름재의 한쪽의 단변을 제외하고 2장의 필름재의 외주연부를 폭 수 ㎜에 걸쳐서 용착(2b)(열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 또는 고주파 용착)함으로써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장변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경사 자세의 호스 장착 통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2개의 호스 장착 통부(2a)는 각각 기밀체(2)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밀체(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상태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이란, 산소 투과도가 40cc/㎡·atm·day 이하이고 또한 투습도가 8g/㎡·day 이하인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을 말한다.
상기 기밀체(2)는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를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에 각각 삽입하여 기밀 형상으로 장착한 후, 기밀체(2)의 개구되어 있는 변(단변)을 용착(2b)(열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 또는 고주파 용착)하여 닫음으로써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밀체(2)의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장착하지 않은 2개의 변(단변)은, 도 3(d)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기밀체(2)의 안쪽으로 V자 형상(기밀체(2)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단면 형상 V자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접어넣어져 있으며, 기밀체(2)가 팽창해도 상기 2개의 변(단변)이 무리하게 잡아늘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밀체(2)의 양단부(호스 장착 통부(2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2개의 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밀체(2)의 2개의 변(단변)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밀체(2)의 안쪽으로 W자 형상(기밀체(2)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단면 형상 W자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접어넣어져도 좋다.
또한, 기밀체(2)의 단변측의 양단부 외면과,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에 대향하는 부분이고 또한 기밀체(2)의 장변측의 양단부 외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테이프제의 보강편(10)이 부착되어 있으며, 기밀체(2)의 외주연부의 일부를 보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에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유연성이 있는 3층 필름, 즉 MICS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의 트리플나일론(상품명)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밀체(2)는 직사각 형상의 2장의 필름재를 임펄스식 용착에 의해 용착(2b)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트리플나일론은 두께가 70㎛, 인장 강도가 45MPa, 인장 신도가 350%, 인열 강도가 140N/㎜, 충격 강도가 140N·㎝, 찌르기 강도가 5.0N, 산소 투과도가 40cc/㎡·atm·day, 투습도가 8g/㎡·day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의 길이는 약 56㎝로, 기밀체(2)의 폭은 약 28㎝로, 기밀체(2)의 용착부의 폭은 5㎜로,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의 길이는 약 5㎝~10㎝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를 3층 필름에 의해 형성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이나 폴리락트산 필름, PET·PEN·PB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EVOH·PVA·배리어 Ny 등의 배리어성 수지 필름 등의 단층 필름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또는 기밀체(2)를 4층 필름(예를 들면, 다이아미론 M-G708(상품명)), 5층 필름(예를 들면, 필믹스 HB(상품 명)나 파이브배리어(상품명))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의 외주연부 양면의 일부분에 보강편(10)을 부착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의 외주연부 양면의 전체에 보강편(10)을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에 덕트 테이프제의 보강편(10)을 부착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밀체(2)에 알루미늄 테이프제 또는 직물 점착 테이프제 또는 고무 테이프제의 보강편(10)을 부착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기밀체(2)에 직물제의 보강편(10)이나 합성 수지 시트제의 보강편(10)을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에어 공급 호스(4)는 특수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내압 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단부가 기밀체(2)의 한쪽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에 삽입되고,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임 수단에 의해 조임으로써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에는 에어 공급원(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임 수단으로서 실(11)(폴리에스테르사)이 이용되고 있다. 즉, 에어 공급 호스(4)의 기단부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체(2)의 바깥쪽으로부터 한쪽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에 삽입되고,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는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의 일부(또는 전부)에 실(11)(폴리에스테르사)을 긴밀하게 권취해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 공급 호스(4)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의 사이에는 접착제층(도시 생략)이 개재되어 있으며, 에어 공급 호스(4)의 기단부가 호스 장착 통부(2a)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에어 공급 호스(4)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에어 공급 호스(4)는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로의 삽입 길이가 수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으로 되도록 호스 장착 통부(2a)에 삽입되어 있으며, 에어 공급 호스(4)가 기밀체(2)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공급 호스(4)의 호스 장착 통부(2a)의 삽입 길이는 호스 장착 통부(2a)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에 설치된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는 소켓 타입이고 또한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이루어지고, 에어 공급원인 자전거의 공기 주입 또는 콤프레서 또는 족답식 펌프에 매개 호스(모두 도시 생략)를 개재해서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를 소켓 타입이고 또한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를 플러그 타입이고 또한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해도 좋다.
상기 밸브 장착 호스(6)는 특수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내압 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단부가 기밀체(2)의 다른쪽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에 삽입되고,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임 수단에 의해 조임으로써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에는 안전 밸브(5)가 호스 니플(12)을 개재해서 금속 링(13)(알루미늄 링)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임 수단으로서 실(11)(폴리에스테르사)이 이용되고 있다. 즉,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체(2)의 바깥쪽으로부터 다른쪽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에 삽입되고, 기밀체(2)의 안쪽에 위치하는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의 일부(또는 전부)에 실 (11)(폴리에스테르사)을 긴밀하게 권취해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의 사이에는 접착제층(도시 생략)이 개재되어 있으며,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가 호스 장착 통부(2a)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밸브 장착 호스(6)는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로의 삽입 길이가 수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으로 되도록 호스 장착 통부(2a)에 삽입되어 있으며, 밸브 장착 호스(6)가 기밀체(2)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장착 호스(6)의 호스 장착 통부(2a)로의 삽입 길이는 호스 장착 통부(2a)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에 설치된 안전 밸브(5)는 에어의 과잉 공급에 의해서 기밀체(2) 내의 압력이 최대 사용압(0.7MPa)보다 0.1MPa 높아졌을 때에 기밀체(2) 내의 에어를 자동적으로 배출시켜 기밀체(2) 내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되돌리고, 기밀체(2)의 파열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전 밸브(5)의 설정 압력은 0.8MPa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임 수단으로서 실(11)을 이용하여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에 실(11)을 긴밀하게 권취해서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각 호스 장착 통부(2a)로부터 고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임 수단으로서 금속 링(도시 생략)이나 열수축 튜브(도시 생략)를 이용해도 좋다. 즉,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각각 삽입한 각 호스 장착 통부(2a)를 금속 링(도시 생략)에 의해 코킹 가공하여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각 호스 장착 통부(2a)로부터 고정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각각 삽입한 각 호스 장착 통부(2a)를 열수축 튜브(도시 생략)에 의해 조임 고정하여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를 각 호스 장착 통부(2a)로부터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커버체(7)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 튜브(폴리에틸렌 튜브)에 의해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변(단변)에 인접하는 변(장변)에는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를 각각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구멍(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7)는 기밀체(2)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란 정지(靜止) 마찰 계수가 0.1~0.3, 동마찰 계수가 0.04~0.3인 합성 수지를 말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체(7)를 폴리에틸렌 튜브에 의해 형성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체(7)를 폴리에틸렌 시트에 의해 포대 형상 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는 커버체(7)를 불소 수지 등의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 튜브 또는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커버체(7)를 테프론 시트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상기 내장체(8)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도성 및 마모성이 우수하여 신장이 적은 아라마이드 섬유의 띠 형상의 직포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의 직포의 양단부를 겹치고, 그 겹친 부분을 봉착(8a)함으로써 환상이고 또한 평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장체(8)에는 기밀체(2) 및 커버체(7)가 수용되어 있으며, 내장체(8)의 양단의 폴딩 부분 내면에 의해 기밀체(2)의 양단부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장체(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양측변은 수납한 기밀체(2) 및 커버체(7)가 내장체(8)의 측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만 봉착(8b)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장체(8)를 아라미드 섬유제의 직포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장체(8)를 폴리에스테르 섬유제의 직포나 폴리프로필렌 섬유제의 직포, 폴리에틸렌 섬유의 직포, 폴리스티렌 섬유의 직포, 비닐론 섬유의 직포, LCP 섬유(젝시온)의 직포,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벡트란)의 직포, PBO 섬유(자이론)의 직포,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다이니마)의 직포 등에 의해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 형상의 직포를 봉착(8a)하여 내장체(8)를 형성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 형상의 직포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해서 내장체(8)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외장체(9)는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섬유제의 날실과 합성 섬유제의 씨실을 통 형상으로 직성한 재킷의 내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을 형성하여 이루는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라이닝층이 외측을 향하도록 호스를 뒤집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 호스에는 구조, 합성 수지의 성질, 밀착 강도, 기능,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 소방용 호스의 형식 시험(일본 소방검정협회가 행하는 형식 시험)에 적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합성 섬유제의 날실 및 씨실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나 아라미드 필라멘트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장체(9)는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와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와 안전 밸브(5)가 외장체(9)의 일단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기밀체(2), 커버체(7), 및 내장체(8)를 수용하고, 양단부 개구를 복수의 금구(14)(아일렛 금구)와 초음파 용착(9a)에 의해 닫음으로써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기밀체(2), 커버체(7), 및 내장체(8)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외장체(9)는 그 외면측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함과 아울러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폭 넓은 사용 온도에서 탄성이 있고, 또한 충격 강도가 강해서 저온 굴곡에 강하고, 내유성이나 내약품성, 내균성 등이 양호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장체(9)의 한쪽의 표면에는 박형 에어 잭(1)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환상의 중심 마크(15)와, 박형 에어 잭(1)의 주의사항 등을 기재한 주의 마크(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라이닝층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라이닝층을 다른 합성 수지,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9)에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을 사용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9)에 강도가 있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강도가 있는 원통 형상 직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범포제의 원통 형상 직물이 사용되고, 또한 도장에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규소 수지, 불소 수지 등이 사용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9)의 양단부를 금구(14)와 초음파 용착에 의해 닫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9)의 양단부를 금구(14)와 봉착(9a)에 의해 닫도록 해도 좋고, 또는 외장체(9)의 양단부를 용착(9a) 또는 봉착만에 의해 닫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박형 에어 잭(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한쪽의 단변이 개방된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기밀체(2)의 안쪽에 위치하는 각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의 일부에 실(11)을 긴밀하게 권취해서 접착제를 도포한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 때,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각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개재시킨다. 이것에 의해,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는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에 기밀 형상으로 장착된다.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를 각각 장착한 후, 기밀체(2)의 개구되어 있는 한쪽의 단변을 용착(2b)하여 기밀체(2)를 밀봉한다(도 3(c) 참조).
기밀체(2)를 밀봉 구조로 한 후, 기밀체(2)의 단변측의 양단부를 내부로 접어넣음과 아울러, 기밀체(2)의 단변측의 양단부 외면과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에 대향하는 부분이고 또한 기밀체(2)의 장변측의 양단부 외면에 덕트 테이프제의 보강편(10)을 부착한다(도 3(d) 및 도 4 참조).
기밀체(2)에 보강편(10)을 부착한 후, 기밀체(2)를 커버체(7) 내에 수용하고, 커버체(7)의 각 인출 구멍(7a)으로부터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를 각각 커버체(7)의 바깥쪽으로 인출한다(도 6 참조).
기밀체(2)를 커버체(7) 내에 수용한 후, 기밀체(2) 및 커버체(7)를 내장체(8) 내에 수용하고,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를 각각 내장체(8)의 바깥쪽으로 인출한다(도 7 참조).
최후로, 기밀체(2) 및 커버체(7)를 수용한 내장체(8)를 통 형상의 외장체(9) 내에 수용하고,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 부분과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와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에 설치된 안전 밸브(5)를 외장체(9)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외장체(9)의 양단부를 복수의 금구(14)(아일렛 금구)와 용착(9a)에 의해 닫음과 아울러, 에어 공급 호스(4)의 일부분과 외장체(9)의 일부분을 금속 링(13)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한다(도 8 참조).
이렇게 해서 제조된 박형 에어 잭(1)은 길이 약 60㎝, 폭 약 24㎝, 두께 약 6㎜(에어 공급 호스(4), 밸브 장착 호스(6),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및 안전 밸브(5)를 제외함)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최대 9,400kg 정도까지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박형 에어 잭(1)의 내압은 2.1MPa, 사용 온도 범위는 -20℃~80℃, 질량은 1m당 1,170g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박형 에어 잭(1)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박형 에어 잭(1)을 이용하여 중량물,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2장의 판재를 일정의 간격을 두고서 지면에 놓고, 그 위에 금속판을 쌓음과 아울러 금속판 위에 포크리프트를 쌓는다. 이어서, 지면과 금속판의 간극에 박형 에어 잭(1)을 삽입하고, 에어 공급 호스(4)를 상기 간극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한다. 그 후,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에 설치한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를 매개 호스를 개재해서 공기 공급원(자전거의 공기 주입 또는 콤프레서 또는 족답식 펌프)에 접속하고, 공기 공급원을 조작하여 기밀체(2)에 압착 공기를 주입해서 행한다. 그렇게 하면, 기밀체(2)가 팽창함과 아울러, 이것에 수반하여 외장체(9)도 팽창하여 포크리프트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술한 박형 에어 잭(1)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박형 에어 잭(1)은 필름에 의해 형성된 포대 형상의 기밀체(2)를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한 포대 형상의 커버체(7)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체(7)에 의해서 기밀체(2)와 내장체(8)의 마찰 저항이 대폭 저감되게 되고, 그 결과 박형 에어 잭(1)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기밀체(2)가 팽창할 때에 기밀체(2)가 균등하게 팽창하여 기밀체(2)에 부분적으로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일이 없어 기밀체(2)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2)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에 안전 밸브(5)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6)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2)를 팽창시킬 때에 기밀체(2) 내에 에어를 지나치게 주입해도 안전 밸브(5)로부터 과잉의 에어가 배출되므로 기밀체(2)가 파열된다고 하는 일이 없어 보다 안정성이 우수하다.
(3)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의 기밀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외장체(9)의 내구성 및 내파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에어가 빠지거나 또는 사용 중에 외장체(9)가 파열되거나 한다고 하는 일이 없어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4) 박형 에어 잭(1)은 필름제의 기밀체(2), 합성 수지 튜브제의 커버체(7), 합성 섬유제의 내장체(8),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외장체(9)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 형상으로 했을 때에 그 두께가 매우 얇아져서 매우 좁은 간극에도 삽입할 수 있다.
(5) 박형 에어 잭(1)은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에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매개 호스를 바꿈으로써 수동식의 자전거의 공기 주입 또는 콤프레서 또는 족답식 펌프로도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취급성 및 조작성이 우수하다.
(6)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의 양단부를 각각 내측으로 접어넣어 있기 때문에 기밀체(2)가 팽창해도 양단부가 무리하게 잡아늘려지는 일이 없어 밀봉체의 양단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에 형성한 2개의 통 형상의 호스 장착 통부(2a)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각 호스 장착 통부(2a)의 외주면에 실(11)을 긴밀하게 권취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2)에 에어 공급 호스(4)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밀체(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가 기밀체(2)로부터 빠지기 어려운데다가 호스 유지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4)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져서 에어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8) 박형 에어 잭(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체(2)가 팽창되었을 때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일부분이 기밀체(2)의 압력에 의해 외장체(9)의 내주면측으로 강하게 압박되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4)가 기밀체(2)로부터 빠지기 곤란해져서 에어 공급 호스(4)의 고정에 필요 이상의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9) 박형 에어 잭(1)은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로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하고, 또한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2)의 호스 장착 통부(2a) 내주면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개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가 기밀체(2)로부터 보다 한층 빠지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호스 장착 통부(2a)와 에어 공급 호스(4) 및 밸브 장착 호스(6)의 기밀성이 보다 높아져서 에어가 보다 빠지기 곤란해진다.
(10)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의 외주연부에 테이프제의 보강편(10)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2)의 외주연부가 보강되고, 기밀체(2)에 에어를 주입해도 기밀체(2)의 외주연부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11)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가 팽창했을 때에 기밀체(2)의 양단부가 아라미드 섬유의 직포로 이루어지는 내장체(8)에 의해 유지되므로 기밀체(2)의 양단부가 파손되기 곤란해진다.
(12) 박형 에어 잭(1)은 외장체(9)에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체(9)의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이 향상됨과 아울러 외장체(97)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3) 박형 에어 잭(1)은 에어 공급 호스(4)의 일부분과 외장체(9)의 일부분을 금속 링(13)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 호스(4)가 보다 빠지기 어려워진다.
(14) 박형 에어 잭(1)은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가 기밀체(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체(2)의 팽창시에 각 호스 장착 통부(2a)가 외력을 받는 일이 없어 기밀체(2)의 각 호스 장착 통부(2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형 에어 잭(1)을 길이가 약 60㎝m이고, 폭이 약 24㎝인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형 에어 잭(1)을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박형 에어 잭(1)을 나타내고, 상기 박형 에어 잭(1)은 보통 자동차나 특수 자동차 등의 자동차의 수리·점검 등을 행할 때에 자동차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해 무너진 건물 등의 요소 개소를 들어올려서 깔려있는 사람을 구조하거나 하는데에 이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박형 에어 잭(1)은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2)와, 기단부가 기밀체(2)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분기 이음매(17)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4)와, 상기 분기 이음매(17)에 각각 접속된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및 안전 밸브(5)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2)를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7)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2) 및 커버체(7)를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8)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9)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9)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9)는 상기 기밀체(2), 커버체(7), 및 내장체(8)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및 안전 밸브(5)의 선단부분이 외장체(9)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형 에어 잭(1)은 기단부가 기밀체(2)에 기밀 형상으로 장착된 일체의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에 2갈래 형상의 분기 이음매(17)를 장착하고, 이 2갈래의 분기 이음매(17)에 접속된 각각 별개의 접속용 호스(4a, 4b)의 선단부에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와 안전 밸브(5)를 장착한 것이며, 밸브 장착 호스(6)를 생략한 것이다.
또한,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 분기 이음매(17), 접속용 호스(4a, 4b), 및 안전 밸브(5)는 외장체(9)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온 상태로 되어 있으며,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된 경우에 교환 수리를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분기 이음매(17)의 위치는 외장체(9)의 일단으로부터 1㎝ 이상의 위치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접속용 호스(4a, 4b)의 길이를 변경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접속용 호스(4a, 4b)의 길이를 같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기 이음매(17)를 외장체(9)의 바깥으로 나오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기 이음매(17)를 외장체(9) 내에 수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박형 에어 잭(1)의 기타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과 마찬가지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과 같은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은 밸브 장착 호스(6)를 생략하고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과 비교해서 조립 작업의 간략화 및 조립 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은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 안전 밸브(5), 에어 공급 호스(4), 분기 이음매(17)가 외장체(9)의 한쪽의 장변에 치우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체(9)의 다른쪽의 장변 부분은 기밀체(2), 커버체(7), 내장체(8), 및 외장체(9)만의 두께로 되므로 매우 좁은 간극에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은 안전 밸브(5)의 선단 부분만을 외장체(9)의 바깥으로 나오도록 했지만, 밸브 장착 호스(6)의 선단부를 외장체(9)의 바깥으로 나오게 하고, 안전 밸브(5) 전체를 외장체(9)의 바깥으로 나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은 모두 에어 공급 호스(4)의 선단부를 외장체(9)의 일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 ㎝ 돌출시키도록 했지만, 에어 공급 호스(4)에 수 m의 길이의 것을 사용하고,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의 위치를 외장체(9)의 일단으로부터 크게 돌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박형 에어 잭(1)을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고, 지상에 위치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3)로부터 박형 에어 잭(1)에 에어를 공급하면, 예를 들면 수중에 가라앉은 자동차 등의 중량물을 움직이거나, 부유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에어 공급 호스(4)의 길이는 최대 길이로 5m 정도로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박형 에어 잭(1)을 수중에서 사용하는 경우, 밸브 장착 호스(6)를 에어 공급 호스(4)와 같은 정도의 길이로 하고, 안전 밸브(5)가 지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박형 에어 잭(1)을 수중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에어 공급 호스(4)의 길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이음매(도시생략)를 이용하여 별도의 에어 공급 호스(4)를 연결하면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박형 에어 잭(1)은 자전거 등의 중량물이나 무너진 건물 등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도록 했지만, 기밀체(2) 및 외장체(9)를 외관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되도록 크게 팽창시키고, 크게 팽창된 박형 에어 잭(1)을 병렬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롤러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1: 박형 에어 잭 2: 기밀체
2a: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2b: 기밀체의 용착
3: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4: 에어 공급 호스
4a, 4b: 접속용 호스 5: 안전 밸브
6: 밸브 장착 호스 7: 커버체
7a: 커버체의 인출 구멍 8: 내장체
8a: 내장체의 봉착 9: 외장체
9a: 외장체의 초음파 용착 10: 보강편
11: 실 12: 호스 니플
13: 금속 링 14: 금구(아일렛 금구)
15: 중심 마크 16: 주의 마크
17: 분기 이음매

Claims (20)

  1.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와, 기단부가 기밀체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안전 밸브를 설치한 밸브 장착 호스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를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 및 커버체를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기밀체, 커버체, 및 내장체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2.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기밀체와, 기단부가 기밀체 에 기밀 형상으로 삽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에 분기 이음매를 설치한 에어 공급 호스와, 상기 분기 이음매에 각각 접속된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와, 마찰 저항이 적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를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커버체와, 합성 섬유제의 직포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체 및 커버체를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하는 내장체와,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어서 형성한 통 형상의 외장체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통 형상의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기밀체, 커버체, 및 내장체를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일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수용함과 아울러, 양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2개의 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경사 자세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는 그 기단부가 기밀체의 각 호스 장착 통부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호스 장착 통부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임 수단에 의해 기밀 형상으로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 또는 단층 필름에 의해 밀봉 구조의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1개의 변에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경사 자세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 호스는 그 기단부가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호스 장착 통부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임 수단에 의해 기밀 형상으로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을 나일론 다층 필름으로 하고, 또한 단층 필름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각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는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는 기밀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와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는 기밀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어 공급 호스 선단부는 기밀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대향하는 2개의 변을 각각 안쪽으로 접어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로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로의 삽입 길이를 각각 수 ㎝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주면의 사이에 각각 접착제층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기단부 외주면과 기밀체의 호스 장착 통부 내주면의 사이에 각각 접착제층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의 외주연부 양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테이프제 또는 직물제 또는 수지 시트제의 보강편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를 원터치 조인트식의 체크 밸브 부착 커플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합성 수지 튜브 또는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해 적어도 한 변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변에 인접하는 변에 에어 공급 호스 및 밸브 장착 호스의 선단부측을 각각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박형 에어 잭.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합성 수지 튜브 또는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해 적어도 한 변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변에 인접하는 변에 에어 공급 호스의 선단부측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띠 형상의 직포로 이루어지고, 띠 형상의 직포의 양단부를 겹쳐서 그 겹쳐진 부분을 봉착 또는 접착함과 아울러, 내장체의 안쪽에 기밀체 및 커버체를 수용하여 내장체의 내면에서 기밀체의 양단부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날실과 합성 섬유제의 씨실을 통 형상으로 직성한 재킷의 내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을 형성한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이며,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기단부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소방용 호스 또는 원통 형상 직물의 양단부 개구를 금구, 용착, 및 봉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닫아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합성 섬유제의 날실과 합성 섬유제의 씨실을 통 형상으로 직성한 재킷의 내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제의 라이닝층을 형성한 소방용 호스와 같은 구조의 호스를 뒤집은 것 또는 원통 형상 직물에 도장을 실시한 것이며, 적어도 체크 밸브 부착 접속구 및 안전 밸브의 선단 부분이 외장체의 기단부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소방용 호스 또는 원통 형상 직물의 양단부 개구를 금구, 용착, 및 봉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닫아서 편평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호스의 일부분과 외장체의 일부분을 금속 링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에어 잭.
KR1020167028230A 2014-12-18 2015-11-24 박형 에어 잭 KR101755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6333 WO2016098144A1 (ja) 2014-12-18 2014-12-18 薄型エアージャッキ
JPPCT/JP2014/006333 2014-12-18
PCT/JP2015/005832 WO2016098285A1 (ja) 2014-12-18 2015-11-24 薄型エアージャッ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449A true KR20160132449A (ko) 2016-11-18
KR101755426B1 KR101755426B1 (ko) 2017-07-26

Family

ID=5612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230A KR101755426B1 (ko) 2014-12-18 2015-11-24 박형 에어 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6017103B1 (ko)
KR (1) KR101755426B1 (ko)
CN (1) CN108349716B (ko)
AU (1) AU2015365265B2 (ko)
MY (1) MY167908A (ko)
PH (1) PH12016502250B1 (ko)
SG (1) SG11201608346PA (ko)
TW (1) TWI572552B (ko)
WO (2) WO2016098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0626B1 (en) 2016-11-11 2021-11-04 Dissing As A device for positioning an object relatively to a support by inflatable air cushion members, a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and a method for moving an object
WO2018147374A1 (ja) *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横井製作所 膨張式構造体
CN106809760B (zh) * 2017-03-24 2022-08-26 青岛永泰船舶用品有限公司 一种轻质高压重物搬运气囊
US11814273B2 (en) 2019-05-09 2023-11-14 Dissing A/S Device for positioning an object relatively to a support by an inflatable air cushion member in combination with a support block
DE102022102687B3 (de) * 2022-02-04 2023-06-07 EMUK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sgleich von Höhenunterschieden an einem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587A (ja) 1999-02-26 2000-09-12 Molten Corp エアジャッ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7236B (sv) * 1974-04-01 1976-09-06 B E Ilon Skyddsanordning vid lyftkuddar
US4036472A (en) * 1976-11-09 1977-07-19 The B. F. Goodrich Company Pneumatic lifting device
JPS5816767U (ja) * 1981-07-22 1983-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エレベ−タ−
DE8406021U1 (de) * 1984-02-28 1984-08-02 Vetter, Manfred, 5352 Zülpich Hebekissen aus heissvulkanisiertem gummimaterial und in rechteckform
JPS6487499A (en) * 1987-09-28 1989-03-31 Toyo Tire & Rubber Co Elastic type fluid pressure jack
JP2566810B2 (ja) * 1988-04-05 1996-12-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製エアージヤツ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8379Y2 (ko) * 1989-04-26 1993-05-17
JP2991456B2 (ja) * 1990-05-09 1999-12-20 太陽鉄工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JP2528437B2 (ja) * 1994-03-03 1996-08-28 ジャテック株式会社 ジャッキ装置
JP3026155B2 (ja) 1996-03-06 2000-03-27 工業技術院長 4−クロロインドール−3−酢酸のエステル類
JP3410710B2 (ja) * 2000-06-09 2003-05-26 関島工業株式会社 エアジャッキ装置
CN201132749Y (zh) * 2007-11-06 2008-10-15 鲁敏洁 气垫式千斤顶
JP5995815B2 (ja) * 2013-10-15 2016-09-21 株式会社横井製作所 薄型エアージャッ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587A (ja) 1999-02-26 2000-09-12 Molten Corp エアジャッ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2552B (zh) 2017-03-01
KR101755426B1 (ko) 2017-07-26
AU2015365265B2 (en) 2017-04-20
MY167908A (en) 2018-09-26
PH12016502250A1 (en) 2017-02-06
JP6017103B1 (ja) 2016-10-26
CN108349716B (zh) 2019-08-13
JPWO2016098285A1 (ja) 2017-04-27
WO2016098285A1 (ja) 2016-06-23
TW201637984A (zh) 2016-11-01
AU2015365265A1 (en) 2016-10-27
PH12016502250B1 (en) 2017-02-06
WO2016098144A1 (ja) 2016-06-23
SG11201608346PA (en) 2016-11-29
CN108349716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426B1 (ko) 박형 에어 잭
ES2549103T3 (es) Tubo de revestimiento interior, tubo de presión saneado y procedimiento para sanear un tubo de presión
JP5916278B2 (ja) スクリム強化パイプライナー
ES2402599T3 (es) Cojín de elevación de material de goma en forma de tira, vulcanizado en caliente en una prensa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ZA200502547B (en) Multilayered pressure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124309C (en) Bag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2000146031A (ja) 非透過型複合ホース
EP0349508A1 (en) Jointing device for tents, covers, etc.
US7908851B2 (en) Hydraulic energy storage with reinforced layer
US6581334B2 (en) High strength T-joint for inflatable tube structures
KR20090054209A (ko) 공기식 폴리우레아 방충재의 제조방법
JP4247391B2 (ja) 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JP5995815B2 (ja) 薄型エアージャッキ
US10301073B1 (en) Robust soft textile transfer case for contaminated materials
US5546991A (en) Inflatable fabric bag plug
US4714178A (en) Collapsible storage and dispensing vessel
JP6630128B2 (ja) 細長袋状気密性構造体
CN220540872U (zh) 一种封堵气囊充放系统
JP4785291B2 (ja) 管路の閉鎖具
WO2018147374A1 (ja) 膨張式構造体
RU171752U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1182867A (ja) 低透過性ホース
JPH0637740U (ja) フランジ管接合部の耐圧試験装置
JPH11304049A (ja) バルブの安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781080A (zh) 一种用于管道的自适应软体机器人及其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