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20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201A
KR20160132201A KR1020150063618A KR20150063618A KR20160132201A KR 20160132201 A KR20160132201 A KR 20160132201A KR 1020150063618 A KR1020150063618 A KR 1020150063618A KR 20150063618 A KR20150063618 A KR 20150063618A KR 20160132201 A KR20160132201 A KR 201601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data
signal
drive mod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556B1 (ko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556B1/ko
Priority to US14/850,842 priority patent/US20160329014A1/en
Publication of KR201601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스캔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는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일반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적어도 2개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면적이 용이하고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한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표시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구동부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화소는 서브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화소는 스캔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부마다 위치하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는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각각 종속적으로 연결된 제1 스테이지 그룹 또는 제2 스테이지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테이지 그룹은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홀수 번째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테이지 그룹은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짝수 번째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K-1) 스테이지(단, K는 1 이상 N/2 이하의 정수)와 제(2K)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스테이지는 제1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스테이지는 제2 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시 신호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2 개시 신호와 다른 시점에서 출력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2 개시 신호와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개시 신호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와 동일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개시 신호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상기 스캔 라인들 중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스캔 라인들 중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상기 스캔 라인들 중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스캔 라인들 중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 및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은 화소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구동 모드 선택부, 및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어 신호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해상도를 도출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드 선택부는 상기 해상도가 기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해상도가 상기 기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일반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드 선택부는 절전(power-sav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신호 제공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스캔 클럭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공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 스캔 클럭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1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보다 2배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 및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은 화소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반 표시 영역 및 부가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일반 스캔 라인들, 상기 부가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부가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일반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일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제1 스캔 구동부, 상기 부가 스캔 라인들에 상기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하는 제2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캔 구동부, 상기 제2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은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2K-1) 부가 스테이지(단, K는 1 이상 N/2 이하의 정수)와 제(2K)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일반 스테이지들 중 마지막 스테이지로부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부가 스테이지로부터 제2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하거나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 간에 데이터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캔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b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스캔 구동부 및 제2 스캔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8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A)는 표시 패널(100), 스캔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교차부마다 위치되는 n*m 개의 서브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200)는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부(200)는 제1 제어 신호(CTL1)에 기초하여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일반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적어도 2개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2개의 스테이지들이 그룹화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스테이지들은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스캔 구동부(2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2 제어 신호(CTL2)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공유된 스캔 신호에 상응하여 인접한 스캔 라인들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평균값을 출력하거나, 홀수 스캔 라인들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 및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3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00)는 구동 모드 선택부(540)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A)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A)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0A)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제어부(500)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패널 구동 모드로서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기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500)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패널 구동 모드로서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캔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CTL1 및 CTL2)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00A)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A)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하거나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 간에 데이터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A)는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520), 구동 모드 선택부(540), 및 제어 신호 제공부(56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분석부(52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분석부(520)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로부터 해상도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분석부(520)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 분포에 기초하여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계조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기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기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tra High Definition(UHD)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가 Full High Definition(FHD) 해상도를 갖는 경우,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가 저전력 구동 모드로 구동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화질 저하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 분포가 기 지정된 분산값 보다 작은 경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분포가 기 지정된 분산값 이상인 경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 분포가 상대적으로 적은 분산값을 갖는 경우,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가 저전력 구동 모드로 구동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화질 저하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외부로부터 절전 정보를 수신하고, 절전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구동 모드 선택부(540)는 절전 정보를 수신하고, 패널 구동 모드로서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560)는 패널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560)는 패널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스캔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스캔 구동부에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구동 모드 신호, 스캔 클럭 신호들, 수직 개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 제공부(560)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스캔 클럭 신호를 스캔 구동부에 제공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 스캔 클럭 신호를 스캔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는 제1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보다 2배 클 수 있다. 이 경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클럭 주파수를 반으로 줄임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스캔 클럭 신호와 제2 스캔 클럭 신호를 동일한 경우, 충전 시간을 확보하거나 표시 장치를 고주파로 구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깜빡임(flicker)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560)는 패널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데이터 구동부에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는 구동 모드 신호, 로드 신호, 수평 개시 신호,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560)는 저전력 구동 모드로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로드 신호의 주기를 조정하거나 영상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캔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캔 구동부(200)는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STG1 내지 STG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STG1 내지 STGn)은 각각 종속적으로 연결된 제1 스테이지 그룹(220) 또는 제2 스테이지 그룹(240)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테이지 그룹(220)은 종속적으로 연결된 홀수 번째 스테이지들(STG1, STG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 그룹(240)은 종속적으로 연결된 짝수 번째 스테이지들(STG2, STG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STG1 내지 STGn)은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들(S1 내지 Sn)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STG1)는 제1 개시 신호(SSP1)를 수신하고, 제2 스테이지(STG2)는 제2 개시 신호(SSP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개시 신호(SSP1)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2 개시 신호(SSP2)와 다른 시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2 개시 신호(SSP2)는 제1 스테이지(STG1)의 출력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스캔 구동부(200)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표시 패널에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들(S1 내지 Sn)을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K-1) 스테이지(단, K는 1 이상 N/2 이하의 정수)와 제(2K) 스테이지는 제(2K-1) 및 제(2K) 스캔 신호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STG1 내지 STGn)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2개의 스테이지들이 그룹화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스테이지들은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개시 신호(SSP1)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 개시 신호(SSP2)와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개시 신호(SSP1) 및 제2 개시 신호(SSP2)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구동부(2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a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b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일반 구동 모드에서 스캔 구동부는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스캔 구동부는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개시 신호(SSP1)는 제2 개시 신호(SSP2)와 다른 시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2 개시 신호(SSP2)는 제1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인 제1 스캔 신호(S1)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들(S1 내지 Sn)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N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들이 데이터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개시 신호(SSP1)는 제2 개시 신호(SSP2)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K-1) 스캔 신호와 제(2K) 스캔 신호는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들이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2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이 계산되고, 계산된 평균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가 제1 및 제2 스캔 신호들(S1 및 S2)이 인가되는 시점에 데이터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화면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스캔 라인들 중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스캔 라인들 중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캔 신호들(S1 및 S2)이 인가되는 시점에 제1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를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패널 구동 모드에 따라 스캔 구동부에 인가되는 스캔 클럭 신호들의 주기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는 일반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의 2배일 수 있다. 즉,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 구동 모드에서 스캔 구동부는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스캔 신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높이(HT1)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스캔 구동부는 인접한 2개의 스캔 신호들을 그룹화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스캔 신호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는 인접한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평균값을 출력하거나 홀수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높이(HT1)보다 작은 제2 높이(HT2)를 갖는 변경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구동부에 포함된 스테이지들이 2개씩 그룹화되는 경우, 제1 높이(HT1)는 제2 높이(HT2)의 2배일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하나의 프레임 당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크기를 줄임으로써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도 6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300A/300B)는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과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 버퍼부(320A/320B) 및 출력 단자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연결을 제어하는 라인 제어부(340A/340B)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A/300B)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A/300B)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선택 출력 단자에 연결된 엠프(amplifier)들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고,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 간에 데이터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는 적색 서브 화소(PX(R)), 녹색 서브 화소(PX(G)), 및 청색 서브 화소(PX(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A)에는 적색 서브 화소들(PX(R)), 녹색 서브 화소들(PX(G)), 및 청색 서브 화소들(PX(B))이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4 데이터 라인들(DL1 및 DL4)에는 적색 서브 화소들(PX(R))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5 데이터 라인들(DL2 및 DL5)에는 녹색 서브 화소들(PX(G))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및 제6 데이터 라인들(DL3 및 DL6)에는 청색 서브 화소들(PX(B))이 연결될 수 있다.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선택 출력 단자들은 화소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버퍼부(320A)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출력 단자들(DT1 내지 DT3)은 항시 출력 단자이고, 제4 내지 제6 출력 단자들(DT4 내지 DT6)은 선택 출력 단자일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A)는 제1 내지 제6 출력 단자들(DT1 내지 DT6)을 통해 제1 내지 제6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6)에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A)는 제1 출력 단자(DT1)를 통해 제1 및 제4 데이터 라인들(DL1 및 DL4)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DT2)를 통해 제2 및 제5 데이터 라인들(DL2 및 DL5)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며, 제3 출력 단자(DT3)를 통해 제3 및 제6 데이터 라인들(DL3 및 DL6)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 제어부(340A)는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출력 단자(DT1) 및 제4 출력 단자(DT4)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출력 단자(DT2) 및 제4 출력 단자(DT4)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3 출력 단자(DT3) 및 제6 출력 단자(DT6)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선택 출력 단자인 제4 내지 제6 출력 단자들(DT4 내지 DT6)에 연결된 엠프(amplifier)들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가 라인 제어부(340A)에 인가함으로써 인접한 화소들 간에 데이터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버퍼부(320B)에 포함된 제1, 제2, 제3, 및 제5 출력 단자들(DT1, D2, DT3, 및 D5)은 항시 출력 단자이고, 제4 및 제6 출력 단자들(DT4 및 DT6)은 선택 출력 단자일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B)는 제1 내지 제6 출력 단자들(DT1 내지 DT6)을 통해 제1 내지 제6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6)에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B)는 제1 출력 단자(DT1)를 통해 제1 및 제4 데이터 라인들(DL1 및 DL4)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DT2)를 통해 제2 데이터 라인(DL2)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며, 제3 출력 단자(DT3)를 통해 제3 및 제6 데이터 라인들(DL3 및 DL6)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제5 출력 단자(DT5)를 통해 제5 데이터 라인(DL5)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 제어부(340B)는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들(T4 및 T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1)는 제1 출력 단자(DT1) 및 제4 출력 단자(DT4)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3 출력 단자(DT3) 및 제6 출력 단자(DT6)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선택 출력 단자인 제4 및 제6 출력 단자들(DT4 및 DT6)에 연결된 엠프(amplifier)들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가 라인 제어부(340B)에 인가함으로써 인접한 화소들 간에 데이터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처리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100B)은 펜타일(pentile) 구조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7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넓이(WD1)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는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넓이(WD1)보다 작은 제2 넓이(WD2)를 갖는 변경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시 출력 단자들의 개수와 선택 출력 단자들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제1 넓이(WD1)는 제2 넓이(WD2)의 2배일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하나의 프레임 당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크기를 줄임으로써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B)는 표시 패널(600), 제1 스캔 구동부(700), 제2 스캔 구동부(8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은 일반 표시 영역(620) 및 부가 표시 영역(6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표시 영역(640)은 스마트폰의 측면 표시 영역 또는 엣지 표시 영역과 같이 일반 표시 영역(620)과 구분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은 일반 표시 영역(620)에 위치하는 복수의 일반 스캔 라인들(SLA1 내지 SLAx), 부가 표시 영역(640)에 위치하는 복수의 부가 스캔 라인들(SLB1 내지 SLBn),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600)은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교차부마다 위치되는 (x+n)*m 개의 서브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캔 구동부(700)는 일반 스캔 라인들(SLA1 내지 SLAx)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일반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부(800)는 부가 스캔 라인들(SLB1 내지 SLBn)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은 일반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 중 적어도 2개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2개의 부가 스테이지들이 그룹화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부가 스테이지들은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스캔 구동부(8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인접한 부가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스캔 구동부(700) 및 제2 스캔 구동부(800)에 대해서는 도 9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구동부(30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500)는 표시 패널(600)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스캔 구동부(700), 제2 스캔 구동부(8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50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600)의 일부인 부가 표시 영역에 대해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부가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B)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부가 표시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스캔 구동부 및 제2 스캔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스캔 구동부(700)는 일반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일반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캔 구동부(700)는 종속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X 일반 스테이지들(STGA1 내지 STGA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X 일반 스테이지들(STGA1 내지 STGAx)은 제1 내지 제X 일반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스캔 구동부(700)는 제1 개시 신호(SSP1)를 수신하고,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로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부(800)는 부가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SB1 내지SB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는 일반 스테이지들 중 마지막 스테이지인 제X 일반 스테이지(STGAx)로부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부가 스테이지(STGB2)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로부터 제2 캐리 신호를 수신하고,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캔 구동부(800)는 제6 및 제7 트랜지스터들(T6 및 T7)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은 제X 일반 스테이지(STGAx) 및 제2 부가 스테이지(STGB2) 사이에 위치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은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 및 제2 부가 스테이지(STGB2) 사이에 위치하고, 구동 모드 신호(SMODE)에 응답하여 턴-오프될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STGB1 내지STGBn)은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는 일반 스테이지들 중 마지막 스테이지인 제X 일반 스테이지(STGAx)로부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부가 스테이지(STGB2)는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로부터 제2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캔 구동부(800)는 일반 구동 모드에서 표시 패널의 부가 표시 영역에 제1 내지 제X 일반 스캔 신호(SA1 내지 SAx)를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K-1) 부가 스테이지와 제(2K) 부가 스테이지는 제(2K-1) 및 제(2K) 부가 스캔 신호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1 부가 스테이지(STGB1) 및 제2 부가 스테이지(STGB2)는 일반 스테이지들 중 마지막 스테이지인 제X 일반 스테이지(STGAx)로부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STGB1 내지 STGBn)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2개의 부가 스테이지들이 그룹화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부가 스테이지들은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캔 구동부(800)는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인접한 부가 스캔 라인들 간에 스캔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서는 제2 스캔 구동부(800)가 제1 내지 제N 부가 스캔 라인들에 제1 내지 제N 부가 스캔 신호들(SB1 내지 SBn)을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STGB1 내지 STGBn)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2 스캔 구동부(800)는 제1 내지 제(N/2) 부가 스테이지들을 포함하고 제(K) 부가 스테이지는 제(2K-1) 및 제(2K)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스테이지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구동부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도 8의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일반 표시 영역(HR) 및 부가 표시 영역(LR)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부가 표시 영역(LR)은 스마트폰의 측면 표시 영역 또는 엣지 표시 영역과 같이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부가 표시 영역(LR)은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서, 표시 장치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 스캔 구동부는 인접한 2개의 스캔 신호들을 그룹화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스캔 신호들을 동시에 부가 표시 영역(LR)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는 인접한 부가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평균값을 출력하거나 홀수 부가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하나의 프레임 당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크기를 줄임으로써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표시 패널에 서브 화소들이 스트라이프 구조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0A, 1000B: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스캔 구동부 220: 제1 스테이지 그룹
240: 제2 스테이지 그룹 300: 데이터 구동부
320A, 320B: 출력 버퍼부 340A, 340B: 라인 제어부
500: 제어부 520: 영상 데이터 분석부
540: 구동 모드 선택부 560: 제어 신호 제공부

Claims (20)

  1.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은 각각 종속적으로 연결된 제1 스테이지 그룹 또는 제2 스테이지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 그룹은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홀수 번째 스테이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 그룹은 상기 제1 내지 제N 스테이지들 중 짝수 번째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제(2K-1) 스테이지(단, K는 1 이상 N/2 이하의 정수)와 제(2K)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제1 스테이지는 제1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스테이지는 제2 개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개시 신호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2 개시 신호와 다른 시점에서 출력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2 개시 신호와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시 신호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와 동일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개시 신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상기 스캔 라인들 중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스캔 라인들 중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모드에서 상기 스캔 라인들 중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스캔 라인들 중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 및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은 화소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구동 모드 선택부; 및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어 신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해상도를 도출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드 선택부는 상기 해상도가 기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해상도가 상기 기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드로서 상기 일반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선택부는 절전(power-sav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제공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제1 스캔 클럭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공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제2 스캔 클럭 신호를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1 스캔 클럭 신호의 주기보다 2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복수의 항시 출력 단자들 및 복수의 선택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 및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은 화소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 출력 단자들에 인접한 상기 항시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일반 표시 영역 및 부가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일반 스캔 라인들, 상기 부가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부가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일반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일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제1 스캔 구동부;
    상기 부가 스캔 라인들에 상기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단, N은 1보다 큰 정수)을 포함하는 제2 스캔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 모드로서 일반 구동 모드 또는 저전력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패널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캔 구동부, 상기 제2 스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부가 스테이지들은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2K-1) 부가 스테이지(단, K는 1 이상 N/2 이하의 정수)와 제(2K)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스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제1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일반 스테이지들 중 마지막 스테이지로부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부가 스테이지는 상기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캐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일반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부가 스테이지로부터 제2 캐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63618A 2015-05-07 2015-05-07 표시 장치 KR10233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18A KR102332556B1 (ko) 2015-05-07 2015-05-07 표시 장치
US14/850,842 US20160329014A1 (en) 2015-05-07 2015-09-1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18A KR102332556B1 (ko) 2015-05-07 2015-05-0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01A true KR20160132201A (ko) 2016-11-17
KR102332556B1 KR102332556B1 (ko) 2021-11-30

Family

ID=5722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18A KR102332556B1 (ko) 2015-05-07 2015-05-0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29014A1 (ko)
KR (1) KR102332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6250B (zh) * 2015-06-26 2018-03-0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显示装置
CN104933984B (zh) * 2015-07-20 2017-12-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和驱动模块
CN104952425B (zh) * 2015-07-21 2017-10-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以及显示基板分辨率调节方法
CN104992686A (zh) * 2015-07-21 2015-10-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驱动装置
CN107221277A (zh) * 2016-03-21 2017-09-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组件、终端以及显示屏控制方法
KR20180071896A (ko) 2016-12-2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20014389A (ko) * 2020-07-24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3176166A1 (ja) * 2022-03-18 2023-09-2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8173A1 (en) * 2001-11-30 2004-01-15 Kazuhiro Maeda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50582A (ko) * 2005-11-11 2007-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0739284B1 (ko) * 2006-05-16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70080161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90075517A (ko) * 2008-01-04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소 구동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00077472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20082660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86349A (ko) * 2009-12-14 2012-08-02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120825A (ko) * 2013-04-04 2014-10-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펄스 생성 회로 및 반도체 장치
KR20170050582A (ko) * 2015-10-30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6924B2 (ja) * 2004-10-07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322002B1 (ko) * 2008-11-27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76848B1 (ko) * 2010-12-14 2018-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 및 3차원 겸용 영상 표시장치, 및 2차원 및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KR20130100602A (ko) * 2012-03-02 2013-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I532032B (zh) * 2013-09-30 2016-05-0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省電方法及其相關削角電路
KR102273497B1 (ko) * 2014-12-24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8173A1 (en) * 2001-11-30 2004-01-15 Kazuhiro Maeda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50582A (ko) * 2005-11-11 2007-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20070080161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739284B1 (ko) * 2006-05-16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90075517A (ko) * 2008-01-04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소 구동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00077472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20086349A (ko) * 2009-12-14 2012-08-02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20082660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20825A (ko) * 2013-04-04 2014-10-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펄스 생성 회로 및 반도체 장치
KR20170050582A (ko) * 2015-10-30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556B1 (ko) 2021-11-30
US20160329014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556B1 (ko) 표시 장치
KR102286944B1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7056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878768B2 (en) Display device supporting normal and variable frame modes
JP5619119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フレームレ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US84932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53805B1 (ko) 표시 장치
JP5373209B2 (ja) 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KR10226852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80092819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36889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10192509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201322226A (zh) 應用於顯示面板的驅動方法
KR20150086772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JP2018041001A (ja) 表示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ドライバーの制御方法
JP200802057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21864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56039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3971943B (zh) 一种显示驱动方法及其装置、显示装置
US100899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467214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90007165A (ko)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80026718A (ko) 액정 표시 장치
US11030941B2 (en) Display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69700B1 (ko) 표시 장치 및 휘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