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84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84B1
KR100739284B1 KR1020060043779A KR20060043779A KR100739284B1 KR 100739284 B1 KR100739284 B1 KR 100739284B1 KR 1020060043779 A KR1020060043779 A KR 1020060043779A KR 20060043779 A KR20060043779 A KR 20060043779A KR 100739284 B1 KR100739284 B1 KR 100739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data
lines
standby stat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상태인 경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모든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구동상태 및 대기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에서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대기상태 및 구동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대기상태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가 하나의 구동부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구동상태인 경우 화상 표시부의 영상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대기상태인 경우 화상 표시부의 영상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아이콘부 4,30 : 화상 표시부
6,60 : 구동부 8 : 세그먼트
10 : 주사 구동부 20 : 데이터 구동부
40 : 화소 50 : 타이밍 제어부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여기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핸드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등에도 장착되고 있다. 이중,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핸드폰 등에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부(2)와,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4)와, 주사선들(S1 내지 Sn), 데이터선들(D1 내지 Dm) 및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를 구비한다.
아이콘부(2)는 휴대폰 등에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부(2)에서는 날짜 및 시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아이콘부(2)에는 복수의 세그먼트(8)들이 포함된다. 세그먼트들(8)은 다수의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에 접속되어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로부터 공급되는 세그먼트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 형태의 정보를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4)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 표시부(4)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화소들 각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되어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구동부(6)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부(6)는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그러면, 주사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로 데이터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구동부(6)는 세그먼트선 들(Seg1 내지 Segj)로 소정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한다. 그러면, 아이콘부(2)에서 소정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화상 표시부(4) 이외에 별도로 설치되는 아이콘부(2)에 의하여 패널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콘부(2)를 구동하기 위한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에 의하여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패널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상태인 경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모든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구동상태 및 대기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에서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대기상태 및 구동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대기상태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기상태 동안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며 동일한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 화소들과 접속된 주사선들로는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구동상태인 경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화상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표시부에 포함된 주사선들 중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시브 매트릭스(PM)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패시브 매트릭스(PM)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AM)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 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가 휴대폰에 적용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접속된 복수의 화소들(40)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부(30)와, 주사선들(S1 내지 Sn)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10)와,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20)와, 주사 구동부(10) 및 데이터 구동부(2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50)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들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 및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50)에서 생성된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는 데이터 구동부(20)로 공급되고,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는 주사 구동부(10)로 공급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20)로 공급한다.
한편, 휴대폰이 대기상태에 있을 때 타이밍 제어부(50)로는 대기신호(WS)가 공급된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부(50)는 화상 표시부(30)에서 시간 및/또는 날짜 등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대기신호(WS)가 입력되지 않을 때 타이밍 제어부(5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표시부(30)에서 소정의 그래픽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50)로 대기신호(WS)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휴대폰이 구동상태인 경우 주사 구동부(10)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의 주사 구동제어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주 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화소들(40)이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타이밍 제어부(50)로 대기신호(WS)가 입력되는 경우, 즉 휴대폰이 대기상태인 경우 주사 구동부(10)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의 주사 구동제어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선들(S1 내지 Sn) 중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휴대폰이 대기상태인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휴대폰이 구동상태인 경우 데이터 구동부(20)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이 화상 표시부(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휴대폰이 대기상태인 경우 데이터 구동부(20)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에 대응하여 시간 및/또는 날짜 등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화상 표시부(30)에 포함된 화소들(40)은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선택되어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다. 데이터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들(40)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들(40) 각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사 구동부(10) 및 데이터 구동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60)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휴대용 기기에서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사 구동부(10) 및 데이터 구동부(20)는 하나의 구동부(60)로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부(60)는 도시되지 않은 패드들을 경유하여 외부의 타이밍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휴대폰이 구동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전화 번호부가 화상 표시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 구동부(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20)는 도 4a와 같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도 5a와 도시되는 바와 시계 등의 정보가 화상 표시부(30)에 포함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아이콘부가 제거되는 반면에 대기상태때 화상 표시부(3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 5a와 같이 화상 표시부(30)에 시계가 표시되는 경우 도 5b와 같이 일부 주사선들(Si 내지 Si+14)이 사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5c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한다. 다시 말하여, 동일한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은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즉,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며 동일한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 화소들과 접속된 주사선들로는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i번째 주사선(Si) 내지 i+2번째 주사선(Si+2)으로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때, 일부 데이터선들로 공급된 데이터신호가 i번째 주사선(Si) 내지 i+2번째 주사선(Si+2)으로 공급된 주사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40)로 공급된다. 이후, i+3번째 주사선(Si+3) 내지 i+5번째 주사선(Si+5)으로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된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소정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화상 표시부에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아이콘부가 제거되고, 이에 따라 패널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이콘부가 제거되는 경우 아이콘부와 연결되는 별도의 선들이 제거되기 때문에 패널 사이즈를 더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일부 주사선들로만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더불어,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설정되는 경 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3)

  1. 대기상태와 구동상태로 나누어 동작하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상태인 경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모든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구동상태 및 대기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에서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대기상태 및 구동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대기상태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동안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며 동일한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 화소들과 접속된 주사선들로는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대기상태와 구동상태로 나누어 동작하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유기전계발 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상태인 경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화상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 표시부에 포함된 주사선들 중 일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상태인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주사선들로 주사신호가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60043779A 2006-05-16 2006-05-1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3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779A KR100739284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779A KR100739284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84B1 true KR100739284B1 (ko) 2007-07-12

Family

ID=3850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779A KR100739284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201A (ko) * 2015-05-07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728150B2 (en) 2014-12-09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967029B2 (en) 2013-06-26 2018-05-08 Zte Corporation Visible-light communication MIMO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data transceiving theref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077A (ja) * 1994-02-16 1995-08-2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9243996A (ja) * 1996-03-11 1997-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1039842A (ja) 1996-07-23 1998-02-1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を有する端末
JP2000270053A (ja) 1999-03-16 2000-09-29 Kenwood Corp 移動体通信端末
JP2006039337A (ja) 2004-07-29 2006-02-09 Nec Electronic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077A (ja) * 1994-02-16 1995-08-2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9243996A (ja) * 1996-03-11 1997-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1039842A (ja) 1996-07-23 1998-02-1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を有する端末
JP2000270053A (ja) 1999-03-16 2000-09-29 Kenwood Corp 移動体通信端末
JP2006039337A (ja) 2004-07-29 2006-02-09 Nec Electronic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7029B2 (en) 2013-06-26 2018-05-08 Zte Corporation Visible-light communication MIMO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data transceiving therefor
US9728150B2 (en) 2014-12-09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60132201A (ko) * 2015-05-07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32556B1 (ko) * 2015-05-07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1074B2 (en) Displays with multiple scanning modes
US93966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in a standby mode
KR102058856B1 (ko) 액정표시장치
US10109240B2 (en) Displays with multiple scanning modes
JP2008070849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5326859A (ja) デュアルパネルの駆動システム及び駆動方法
EP228482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455045B1 (ko) 표시장치
US107484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EP2209107A1 (en)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13689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63366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2632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53647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73928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8268941A (ja) 電子システム
KR102623354B1 (ko) 멀티 비전 장치 및 멀티 비전 장치에 포함된 표시 장치
KR10069870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035625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53177B1 (ko) 표시 패널
KR10264952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2021007725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8167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79561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70081062A (ko) 표시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