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701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701B1
KR100698701B1 KR1020060027824A KR20060027824A KR100698701B1 KR 100698701 B1 KR100698701 B1 KR 100698701B1 KR 1020060027824 A KR1020060027824 A KR 1020060027824A KR 20060027824 A KR20060027824 A KR 20060027824A KR 100698701 B1 KR100698701 B1 KR 10069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s
lines
icon
perio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아이콘부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소들과 접속되는 주사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세그먼트들의 양극들과 각각 접속되는 데이터선들과, 상기 세그먼트들의 음극과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공통선과, 상기 주사선들, 데이터선들 및 공통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세그먼트와 접속되는 데이터선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 : 아이콘부 4,24 : 화상 표시부
6,26 : 구동부 8,28 : 세그먼트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여기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핸드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등에도 장착되고 있다. 이중,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핸드폰 등에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소정 형태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부(2)와,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4)와, 주사선들(S1 내지 Sn), 데이터선들(D1 내지 Dm) 및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을 구 동하기 위한 구동부(6)를 구비한다.
아이콘부(2)는 휴대폰 등에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부(2)에서는 휴대폰의 수신감도 및 배터리 용량 등 다양한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아이콘부(2)에는 복수의 세그먼트(8)들이 포함된다. 세그먼트들(8)은 다수의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에 접속되어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로부터 공급되는 세그먼트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 형태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4)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 표시부(4)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화소들 각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되어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구동부(6)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부(6)는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그러면, 주사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로 데이터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구동부(6)는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로 소정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한다. 그러면, 아이콘부(2)에서 소정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부(6)와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에 의하여 패널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실제로, 세그먼트선들(Seg1 내지 Segj)이 형성된 영역은 데드 스페이스로써 휴대폰 등의 슬림화 추세에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아이콘부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소들과 접속되는 주사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세그먼트들의 양극들과 각각 접속되는 데이터선들과, 상기 세그먼트들의 음극과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공통선과, 상기 주사선들, 데이터선들 및 공통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한 프레임 기간 중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상기 공통선으로 하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나머지 기간인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공통선으로 로우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들로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 들을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한 프레임 기간 중 일부 기간인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아이콘부에 위치한 복수의 세그먼트들의 음극으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들을 비발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화상 표시부에 위치된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나머지 기간인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세그먼트들의 음극으로 로우상태의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들을 발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소정 형태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부(22)와,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24)와, 주사선들(S1 내지 Sn), 데이터선들(D1 내지 Dm) 및 공통선(CL)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6)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부(24)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 표시부(24)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화소들은 주사선(S1 내지 Sn)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선택되어 데이터선(Dm)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들 각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다.
아이콘부(22)는 휴대폰 등에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부(22)는 휴대폰의 수신감도 및 배터리 용량 등의 정보를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아이콘부(22)에는 복수의 세그먼트들(28)이 포함된다. 여기서, 세그먼트들(28) 각각의 음극은 하나의 공통선(CL)에 접속된다. 그리고, 세그먼트들(28) 각각의 양극들은 데이터선(D1 내지 Dm)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세그먼트(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의 데이터선들(D1 내지 D7)과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세그먼트(8)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7)로부터 공급되는 세그먼트 데이터(SD)에 대응하여 구동된다.
구동부(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 기간(1F) 중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부(26)는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DS)를 공급한다. 그러면, 주사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로 데이터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화상 표시부(24)에서 소정 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구동부(26)는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공통선(CL)으로 하이신호를 공급하고,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로우신호를 공급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구동부(26)를 하나로 도시하였지만, 주사선들(S1 내지 Sn)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한 프레임(1F) 중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DS)를 공급한다. 그러면,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화상 표시부(24)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공통선(CL)으로 하이신호가 공급된다. 공통선(CL)으로 하이신호가 공급되면 세그먼트들(28)의 음극으로 하이신호가 공급되어 세그먼트들(28)이 비발광 상태로 설정된다. 다시 말하여,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S)와 무관하게 세그먼트들(28)은 비발광 된다.
이후, 한 프레임(1F) 중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공통선으로 로우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세그먼트 데이터(SD)가 공급된다. 공통선으로 로우신호가 공급되면 세그먼트들(28)이 발광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세그먼트들(28)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부터 공급되는 세그먼트 데이터(SD)에 대응하여 발광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 프레임 기간 중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화상 표시부(24)에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고,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아이콘부(22)에서 소정의 아이콘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한 프레임 기간을 그래픽 표시기간 및 아 이콘 표시기간으로 나누어 구동하면 데이터선(D1 내지 Dm)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에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화소를 구동하고,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에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세그먼트 데이터(SD)를 공급하여 세그먼트들(28)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선들(D1 내지 Dm)를 이용하여 세그먼트들(28)을 구동하게 되면은 화상 표시부(24)의 외부 영역에서 세그먼트들(28)을 구동하기 위한 세그먼트선들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신호(S1 내지 Sn)가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휴대폰 등의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데이터선들을 이용하여 아이콘부에 형성된 세그먼트들을 구동하기 때문에 세그먼트들의 구동에 필요한 선들이 삭제되고, 이에 따라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아이콘부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소들과 접속되는 주사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세그먼트들의 양극들과 각각 접속되는 데이터선들과,
    상기 세그먼트들의 음극과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공통선과,
    상기 주사선들, 데이터선들 및 공통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한 프레임 기간 중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상기 공통선으로 하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나머지 기간인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공통선으로 로우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들로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들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한 프레임 기간 중 일부 기간인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아이콘부에 위치한 복수의 세그먼트들의 음극으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들을 비발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표시기간 동안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여 화상 표시부에 위치된 화소들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나머지 기간인 아이콘 표시기간 동안 상기 세그먼트들의 음극으로 로우상태의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선들로 세그먼트 데이터를 공급하여 상기 세그먼트들을 발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60027824A 2006-03-28 2006-03-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9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824A KR100698701B1 (ko) 2006-03-28 2006-03-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824A KR100698701B1 (ko) 2006-03-28 2006-03-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701B1 true KR100698701B1 (ko) 2007-03-23

Family

ID=4156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824A KR100698701B1 (ko) 2006-03-28 2006-03-2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3279A1 (en) * 2009-08-27 2011-03-09 Aussmak Optoelectronic Corp.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33B1 (ko) * 1991-11-07 1999-11-15 가와무라 요시부미 니트록시알킬아미드 유도체(Nitroxyalkylamide derivate)
KR102590623B1 (ko) * 2017-12-20 2023-10-17 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파스너 공급 헤드 및 파스너 설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33B1 (ko) * 1991-11-07 1999-11-15 가와무라 요시부미 니트록시알킬아미드 유도체(Nitroxyalkylamide derivate)
KR102590623B1 (ko) * 2017-12-20 2023-10-17 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파스너 공급 헤드 및 파스너 설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3279A1 (en) * 2009-08-27 2011-03-09 Aussmak Optoelectronic Corp.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JP2011048372A (ja) * 2009-08-27 2011-03-10 Aussmak Optoelectronic Corp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83B1 (ko) 양면 구동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5787431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3054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thereof
US88965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8070849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20162159A1 (en) Timing Controll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22031B1 (ko) 시야각과 멀티 뷰를 제어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
EP2209107A1 (en)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867477A (zh) 可实现双向驱动的栅极扫描移位寄存器
CN115223501B (zh) 驱动补偿电路、补偿方法以及显示装置
US11468812B2 (en) Display apparatus
KR10082668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50107140A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us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08268941A (ja) 電子システム
KR10069870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3928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52887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69507B1 (ko) 도스 환경의 화면이 최적화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99373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353177B1 (ko) 표시 패널
KR20110052298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2156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855499B2 (en) Back light unit using a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77149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1061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