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711A -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 - Google Patents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711A
KR20160130711A KR1020160054578A KR20160054578A KR20160130711A KR 20160130711 A KR20160130711 A KR 20160130711A KR 1020160054578 A KR1020160054578 A KR 1020160054578A KR 20160054578 A KR20160054578 A KR 20160054578A KR 20160130711 A KR20160130711 A KR 2016013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magnetic
cobalt
alloys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탄조르 브이. 자야라만
Original Assignee
카펜터테크날러지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펜터테크날러지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카펜터테크날러지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4Making 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22C38/1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containing Co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66Fe-Si based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16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C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 철 합금 및 이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합금은 철,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을 포함한다. 상기 합금은 또한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ULTRA-LOW COBALT IRON-COBALT MAGNETIC ALLOY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연자성 합금(soft magnetic alloy), 특히 10 중량%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하는 철-코발트 합금에 관한 것이다.
철-코발트 합금은 고도의 자기 포화(magnetic saturation)를 제공하는 것으로 업계에 알려져 있다. 특히, 49Co-Fe-2V(Carpenter Technology Corporation으로부터 이용가능한 HIPERCO® 50 합금)는 가장 높은 자기 포화 유도를 제공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합금이며, 27Co-Fe(또한 Carpenter로부터 이용가능한 HIPERCO® 27 합금)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성(ductility) 및 인성(toughness)과 결부된 고도의 자기 포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각각의 합금은 다량의 코발트를 함유하고 있다(HIPERCO® 50의 경우 약 50%, 및 HIPERCO® 27의 경우 27%). 코발트는 고가의 금속이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항공 적용에서, 이러한 합금의 비용은 충분한 기계적 특성과 결합된 이들의 우수한 실온 및 고온 자기적 및 전기적 특성에 의해 정당화된다. 그러나, 토양 및 해양 적용을 위해서는, 적합한 기계적 특성과 결부된 우수한 자기적 및 전기적 특성 및 내식성을 보유한 덜 비싼 연자성 합금이 필요하다. 예시적인 토양 및 해양 적용은 플라이 휠(fly wheel), 기계적 베어링, 솔레노이드, 자기저항 모터, 발전기, 연료 분사기 및 변압기를 포함한다. 합금이 교류 및 직류 적용 모두에 적합하도록 더 큰 전기 비저항(resistivity)을 갖는 연자성 합금이 더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 및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 목적에 비추어, 본 발명은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철,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을 갖는 자성 철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합금은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40 μΩ㎝의 전기 비저항(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20 kG의 포화 유도(saturation induction)(B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약 2 Oe 미만의 보자력(H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주로 단일 알파 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는 철,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을 갖고; 적어도 약 40 μΩ㎝의 ρ, 적어도 약 20 kG의 Bs 및 약 2 Oe 미만의 Hc를 갖는 자성 철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합금은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주로 단일 알파 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일반적인 관행에 따르면, 도면의 다양한 특징들은 크기가 조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반대로, 다양한 특징들은 명확성을 위해 임의로 확장되거나 축소된다. 하기 도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HIPERCO® 27 및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10 중량%의 코발트(Co)를 갖는 하나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포화 유도(Bs), 보자력(Hc) 및 전기 비저항(ρ)을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HIPERCO® 27 및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8 중량%의 Co를 갖는 하나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Bs, Hc 및 ρ를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HIPERCO® 27 및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하나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Bs, Hc 및 ρ를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10 중량%의 Co, 약 8 중량%의 Co 및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3개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0.2% 항복 강도(yield strength)를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10 중량%의 Co, 약 8 중량%의 Co 및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3개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최대 인장 강도(ultimate tensile strength)를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약 10 중량%의 Co, 약 8 중량%의 Co 및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3개의 시리즈의 합금에 대한 연신율을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4개의 합금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묘사하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제1 합금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또 다른 합금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HIPERCO® 27 및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3개의 합금에 대한 코어 손실을 묘사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높은 자기 포화 유도, 높은 비저항, 낮은 보자력 뿐만 아니라, 연성 및 인성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코발트 및 망간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을 제공한다. 상기 합금은, 모터, 발전기, 로터, 고정자(stator), 자극편(pole piece), 계전기(relay), 자기 베어링 등과 같은, 우수한 기계적 인성, 우수한 연성, 높은 포화 유도 및 높은 전기 비저항의 조합을 필요로 하는 해양 및 토양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 높은 전기 비저항은 와전류 손실(eddy-current loss)을 감소시키므로, 합금의 높은 전기 비저항은 합금을 교류 적용에서 한층 더 사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구현예는 합금 뿐만 아니라 합금을 생산하는 공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합금"은 둘 이상의 금속의 균질한 혼합물 또는 고용체(solid solution)를 가리키며, 이는 하나의 금속의 원자들이 다른 금속의 원자 사이의 침입형(interstitial) 및/또는 치환형(substitutional) 위치를 대체하거나 차지한다. 용어 합금은 단일 고상 마이크로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완전 고용체(complete solid solution) 합금 및 둘 이상의 상을 제공할 수 있는 부분 용체(partial solution)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이며, 부가적인 언급되지 요소, 구성 성분,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어 "포함하는," 및 "갖는"은 보다 제한적인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및 "이루어지는"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모든 값은 주어진 끝점(endpoint) 이하를 포함하고, 조성물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성분의 값은 조성물 내의 각 성분의 중량 백분율 또는 중량%로 표현된다.
코발트, 망간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본 발명의 구현예는 코발트, 실리콘 및 망간을 갖는 자성 철 합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자성 철 합금은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Co),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Mn)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Co는 합금의 자기 포화 유도를 개선하지만, 소정의 기계적 특성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Mn 및 Si는 상대적으로 저가의 원소이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합금을 가공할 때 생기는 스크랩을 많은 등급을 위한 재활용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합금은 HIPERCO® 50 및 HIPERCO® 27과 같은 공지된 합금보다 훨씬 적은 Co를 함유하는 한편, 적합한 자기적,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은 여전히 유지한다.
자성 철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Co,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Co,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Co, 약 5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Co, 또는 약 8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Co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철 합금은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의 Co, 약 8 중량%의 Co, 또는 약 10 중량%의 Co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철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70 중량%의 Mn, 약 0.05 중량% 내지 약 2.20 중량%의 Mn, 약 0.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Mn,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Mn, 약 1 중량% 내지 약 2.70 중량%의 Mn, 약 1 중량% 내지 약 2.20 중량%의 Mn, 약 2.2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Mn, 약 2.20 중량% 내지 약 2.70 중량%의 Mn, 또는 약 2.7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Mn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철 합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의 Mn, 약 2.2 중량%의 Mn, 또는 약 2.7 중량%의 Mn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철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3 중량%의 Si, 약 0.05 중량% 내지 약 1.3 중량%의 Si, 약 1.3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Si, 약 1.3 중량% 내지 약 2.3 중량%의 Si, 또는 약 2.3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Si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철 합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3 중량%의 Si 또는 약 2.3 중량%의 S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바람직한 자성 철 합금은 약 10 중량%의 Co, 약 2.7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자성 철 합금은 약 8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자성 철 합금은 약 5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자성 철 합금은 약 5 중량%의 Co, 약 1.0 중량%의 Mn 및 약 2.3 중량%의 Si를 포함한다.
자성 철 합금은 크롬, 바나듐, 니켈, 니오븀 및 탄소와 같은 다른 적합한 합금 원소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자성 철 합금은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각각의 구현예에서, 합금의 나머지(balance)(즉, Co, Mn, Si, 또는 다른 적합한 합금 원소로 구성되지 않은 합금의 백분율)는 철(Fe)이다. 상기 합금은 또한 합금의 자기적,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최소한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합금 원소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은 단일 알파(α), 페라이트 체심입방 상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자성 철 합금은 주로 또는 실질적으로 α-상(예컨대, > 95%)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성 철 합금은 대부분 α 상(예컨대, > 99%)을 포함하고, 2차 상은 거의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α-상 합금은 최소 코어 손실 및 상대적으로 높은 연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성 철 합금은 우수한 전기 비저항 및 자기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성 철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 킬로가우스(kG)의 높은 자기 포화 유도(Bs), 또는 유속 밀도; 약 2 에르스텟(Oe) 미만의 낮은 보자력(Hc) 및 적어도 40 μΩ㎝의 높은 전기 비저항(ρ)을 갖는다. 포화는 인가된 외부 자기장(H)의 증가가 물질의 자화(magnetization)를 더 증가시킬 수 없어서, 총 자속 밀도(B)가 거의 변동이 없을 때 도달되는 상태이다. 포화는 강자성 물질의 특징이다. 물질의 보자력은 샘플의 자화가 포화된 후 상기 물질의 자화를 0까지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인가된 자기장의 세기이다. 따라서, 보자력은 탈자화되는 것에 대한 강자성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한다. 보자력은 B-H 분석기 또는 자력계 또는 보자력계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전기 비저항은 주어진 물질이 전류의 흐름을 얼마나 강하게 방해하는지를 정량화하는 고유의 특성이다. 낮은 비저항은 전하의 이동을 쉽게 허용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하기에 제공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Co, Mn 및 Si의 농도를 갖는 합금의 집단의 경우, Bs는 Co 농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하지만 Mn 및 Si 농도의 증가에 의해 감소하며; Hc는 Co 및 Mn 농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하지만 Si 농도의 증가에 의해 감소하며; ρ는 Si, Co 및 Mn 중 어느 것의 농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성 철 합금은 낮은 수준의 Co를 유지하여 합금의 비용을 절감하면서, 광범위한 원하는 자기적 특성으로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합금을 생산하는 공정
본 발명의 구현예는 전술한 코발트, 망간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합금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으로 제조되고, 가공되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금 원소는 전기로(electric arc furnace) 및 진공 유도 용해(VIM), 진공 아크 재용해(VAR), 일렉트로슬래그 재용해(ESR) 등과 같은 진공 용해 기술을 이용하여, 공기 또는 적합한 분위기에서 용해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ESR 또는 VAR에 의해, 합금을 정제함으로써 더 높은 순도 또는 더 우수한 결정 구조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합금은 잉곳 형태로 주조될 수 있고, 이는 이후에 빌렛(billet), 바(bar), 슬라브(slab) 등으로 열간 가공된다. 노내 온도(furnace temperature)는, 예를 들면 약 1,000℉(538℃) 내지 약 2,150℉(1,177℃)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형태는 디스크, 저널 및 자기 베어링용 샤프트와 같은, 유용한 부분 및 부품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합금은 원하는 두께의 와이어, 막대, 또는 스트립으로 추가로 열간 압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막대, 또는 스트립은 또한 더 작은 단면적 치수로 냉간 가공될 수 있고, 이로부터 그것은 완성된 부분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 상기 합금은 또한 분말 야금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합금의 성질을 계속해서 미세 조정하기 위해, 상기 공정은 포화 유도, 전기 비저항 및 기계적 수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열 처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합금은 단일 단계 또는 다중 단계 열 처리 사이클에서 열 처리될 수 있다. 단일 단계 열 처리에서, 합금은 제1 온도로 가열된 다음, 주어진 속도로 원하는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다중 단계 열 처리 사이클에서, 합금은 제1 온도로 가열되고, 주어진 온도로 냉각되고, 제2 온도로 가열되고, 주어진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어느 가열 또는 냉각 단계에서, 온도가 주어진 지속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단계 열 처리는 적용에 필요한 원하는 결과 및 특성(예컨대, 자기적, 전기적 및 기계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열 처리 온도, 조건 및 지속시간은 합금에 대해 요구되는 적용 및 특성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금 또는 부분은 건조 수소 또는 진공에서 약 1,300℉(704℃) 내지 약 1,652℉(90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어닐링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합금은 약 572℉(300℃) 내지 약 600℉(316℃)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당 약 144℉(62℃) 내지 약 540℉(282℃)로 냉각된 다음, 임의의 적합한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적 성질은 개선되는 반면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는 감소한다. 연자성 특징은 오스테나이트 상(austenitic phase)의 형성으로 인해 하락하기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는 약 1,652℉(90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기적 특성은 또한 합금의 표면 상에 얇은 옥사이드 층을 생성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표면 옥사이드 층은, 예를 들면, 약 600℉(316℃) 내지 약 900℉(482℃)의 범위의 온도에서 약 30 내지 약 60분의 시간 동안, 산소-함유 분위기에서 가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발명의 전반적인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VIM 로(furnace)에서 주조하여 35 lb.(16 kg) 잉곳을 형성하여 다양한 수준의 Co, Mn 및 Si를 포함하는 많은 샘플을 제조하였고, 이후 이를 2인치(5 ㎝) 정사각형 바(bar)로 열간 단조하였다. 각 샘플의 화학 조성이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에서의 각각의 값은 중량 퍼센트이다. 각각의 샘플의 경우, 합금의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Fe이다. 샘플을 다양한 Co 농도의 3개의 시리즈로 분류하였다: 약 10 중량%의 Co를 갖는 제1 시리즈(샘플 1-3), 약 8 중량%의 Co를 갖는 제2 시리즈(샘플 4-8) 및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제3 시리즈(샘플 9-13). 샘플 14를 대조군으로서 실질적으로 코발트를 포함하지 않도록 제조하였고, 이는 Carpenter로부터의 Silicon Core Iron에 거의 상응한다.
샘플 Co Mn Si Cr C P S Ni Mo
1 10.00 2.71 0.25 0.09 <0.001 <0.005 0.0012 <0.01 <0.01
2 10.00 2.73 0.75 0.09 <0.001 <0.005 0.0013 <0.01 <0.01
3 9.98 2.73 1.23 0.09 <0.001 <0.005 0.0011 <0.01 <0.01
4 8.00 2.70 0.26 0.29 <0.001 <0.005 0.0012 <0.01 <0.01
5 8.00 2.21 0.26 0.29 <0.001 <0.005 0.0012 <0.01 <0.01
6 7.97 2.22 0.74 0.29 <0.002 <0.005 0.0012 <0.01 <0.01
7 7.99 2.22 1.25 0.29 <0.001 <0.005 0.0011 <0.01 <0.01
8 7.97 1.70 0.26 0.29 <0.001 <0.005 0.0010 <0.01 <0.01
9 5.05 2.66 0.21 0.28 0.011 <0.005 0.0015 <0.01 <0.01
10 5.00 2.21 0.26 0.29 <0.001 <0.005 0.0013 <0.01 <0.01
11 4.98 2.22 0.75 0.29 <0.001 <0.005 0.0012 <0.01 <0.01
12 4.97 2.21 1.32 0.29 <0.001 <0.005 0.0013 <0.01 <0.01
13 4.99 1.03 2.31 0.29 <0.001 <0.005 0.0010 <0.01 <0.01
14 0.02 0.22 2.48 <0.01 0.002 <0.005 0.0007 <0.01 <0.01
그 후, 각각의 2인치(5 ㎝) 정사각형 바를 2개의 상이한 가공 루트에 의해 가공하였다. 첫 번째로, 각각의 2인치(5 ㎝) 정사각형 바의 일부를 열간 단조시켜 0.75 인치(1.9 ㎝) 정사각형 바를 생산한 후, 어닐링하여 자기적 특성을 향상시켰다. 각각의 바를 2,156℉(1,180℃)에서 건조 수소(H2) 중에서 어닐링하고, 시간당 200℉(93℃)의 속도로 1,290℉(699℃)로 냉각하고, 1,290℉(699℃)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바를 보자력(Hc), 250 Oe(B250)에서의 자기 유도, 자기 유도 포화(Bs), 전기 비저항(ρ), 경도(Rockwell B)(RB), 항복 강도(YS), 최종 인장 강도(UTS), 연신율(EI) 및 면적 감소(RA)에 대해 특성을 규명하였다. 상기 결과가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샘플 H c
( Oe )
B 250
( kG )
B s
( kG )
ρ
( μΩ㎝ )
R B YS
( ksi )
UTS
( ksi )
El
(%)
RA
(%)
1 1.43
(±0.09)
20.7
(±0.1)
21.3
(±0.1)
34.8
(±0.1)
67
(±1)
33.7
(±0.1)
58.2
(±1.5)
44
(±1)
83
(±3)
2 1.30
(±0.02)
20.5
(±0.1)
21.1
(±0.1)
40.9
(±0.7)
74
(±1.5)
40.9
(±0.2)
65.2
(±0.2)
42
(±1)
81
(±4)
3 1.36
(±0.02)
20.3
(±0.1)
20.9
(±0.1)
45.3
(±0.6)
82
(±1.5)
48.9
(±0.2)
69.7
(±0.1)
40
(±1)
76
(±3)
4 1.27
(±0.05)
20.7
(±0.2)
21.2
(±0.3)
32.2
(±1.4)
64
(±1)
30.2
(±0.1)
53.2
(±0.3)
47
(±1)
84
(±3)
5 0.97
(±0.05)
20.5
(±0.1)
21.1
(±0.1)
29.9
(±0.6)
60
(±1)
26.2
(±0.1)
52.5
(±0.2)
49
(±4)
85
(±4)
6 0.90
(±0.02)
20.3
(±0.2)
20.8
(±0.3)
38.8
(±0.6)
69
(±1)
35.2
(±0.1)
60.3
(±0.1)
45
(±1)
85
(±1)
7 1.00
(±0.01)
20.6
(±0.3)
21.1
(±0.3)
43
(±0.5)
76
(±3)
44.6
(±0.2)
67.5
(±0.1)
43
(±1)
81
(±1)
8 0.79
(±0.05)
20.7
(±0.2)
21.3
(±0.2)
28.7
(±0.6)
55
(±1)
22.6
(±0.1)
49.2
(±0.1)
51
(±1)
83
(±2)
9 1.12
(±0.05)
19.8
(±0.2)
20.4
(±0.2)
29.4
(±0.5)
57
(±2)
23.0
(±0.1)
52.1
(±0.4)
48
(±1)
84
(±2)
10 0.84
(±0.02)
20.2
(±0.1)
20.8
(±0.1)
28.5
(±1.1)
51
(±1)
25.3
(±0.9)
50.8
(±0.1)
48
(±2)
86
(±3)
11 0.84
(±0.02)
20.0
(±0.1)
20.6
(±0.1)
38.4
(±0.5)
63
(±1)
33.4
(±0.7)
56.2
(±0.1)
46
(±1)
83
(±6)
12 0.73
(±0.03)
19.8
(±0.1)
20.3
(±0.1)
42.2
(±0.5)
72
(±1)
39.8
(±0.9)
63.8
(±0.1)
44
(±1)
84
(±1)
13 0.35
(±0.01)
19.8
(±0.1)
20.4
(±0.1)
48.1
(±1.1)
81
(±2)
44.9
(±0.1)
68.2
(±0.5)
32
(±3)
51
(±7)
14 0.42
(±0.02)
19.8
(±0.1)
20.3
(±0.1)
39.2
(±0.7)
78
(±2)
37.6
(±0.1)
53.9
(±0.1)
34
(±3)
68
(±2)
도 1a 내지 도 1c는 샘플의 각 시리즈에 대한 Hc, Bs 및 ρ를 묘사하는 그래프이다. 도 1a는 약 10 중량%의 Co를 갖는 제1 시리즈(샘플 1-3)를 묘사하고, 도 1b는 약 8 중량%의 Co를 갖는 제2 시리즈(샘플 4-8)를 묘사하며, 도 1c는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제3 시리즈(샘플 9-13)를 묘사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각 기포의 크기는 그의 보자력에 비례하고, 각각의 샘플은 또한 2개의 합금, Carpenter로부터의 HIPERCO® 27 및 또한 Carpenter로부터의 Silicon Core Iron에 거의 상응하는 대조군 샘플 14와 비교된다. HIPERCO® 27은 약 20.0 kG의 Bs 및 약 1.7 내지 약 3.0 Oe의 Hc를 갖지만 단지 19 μΩ㎝의 ρ를 가지며, 이는 20 kG를 초과하는 Bs, 40 μΩ㎝를 초과하는 ρ 및 2 Oe 미만의 Hc의 요구된 특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대조적으로, 대조군 샘플 14는 40 μΩ㎝의 ρ 및 0.7 Oe의 Hc를 갖지만, 단지 19.8 kG의 Bs를 가지며, 이는 또한 원하는 특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도 1a는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와 비교하여 약 10 중량%의 Co를 갖는 3개의 샘플(샘플 1-3)을 묘사한다. 3개의 샘플 각각은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이고 20 kG의 원하는 Bs를 초과하는 Bs를 가지고 있었다. 3개의 샘플 각각은 또한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의 Hc를 가지고 있었고, 2.0 Oe 미만의 원하는 Hc를 충족시켰다. 그러나, 샘플 3(Co = 9.98 중량%, Mn = 2.73 중량% 및 Si = 1.23 중량%)만이 40 μΩ㎝를 초과하는 원하는 ρ를 가지고 있었다. 이 시리즈에서의 합금 중에서, Si 함량의 증가(다른 원소들의 조성은 일정하게 유지됨)는 ρ를 증가시키고, Hc를 감소시키며, Bs를 감소시킨다.
도 1b는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와 비교하여 약 8 중량%의 Co를 갖는 5개의 샘플(샘플 4-8)을 묘사한다. 3개의 샘플 각각은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이고 20 kG의 원하는 Bs를 초과하는 Bs를 가지고 있었다. 3개의 샘플 각각은 또한 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의 Hc를 가지고 있었고, 2.0 Oe 미만의 원하는 Hc를 충족시켰다. 그러나, 샘플 7(Co = 7.99 중량%, Mn = 2.22 중량% 및 Si = 1.25 중량%)만이 40 μΩ㎝를 초과하는 원하는 ρ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합금을 합금의 제1 시리즈와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n 함량의 감소(다른 원소들의 조성은 일정하게 유지됨)는 ρ 및 Hc를 감소시키지만 Bs에 대해 미미한 효과만을 갖는다.
도 1c는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와 비교하여 약 5 중량%의 Co를 갖는 5개의 샘플(샘플 9-13)을 묘사한다. 3개의 샘플 각각은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이고 20 kG의 원하는 Bs를 초과하는 Bs를 가지고 있었다. 3개의 샘플 각각은 또한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 사이의 Hc를 가지고 있었고, 2.0 Oe 미만의 원하는 Hc를 충족시켰다. 그러나, 샘플 12(Co = 4.97 중량%, Mn = 2.21 중량% 및 Si = 1.32 중량%) 및 샘플 13(Co = 4.99 중량%, Mn = 1.03 중량% 및 Si = 2.31 중량%)만이 40 μΩ㎝를 초과하는 원하는 ρ를 가지고 있었다
샘플 내의 Co, Mn 및 Si의 농도와 이들이 Bs, Hc 및 ρ에 대해 미치는 효과 사이의 관련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관계는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식에서 XCo는 Co 농도이고, XMn은 Mn 농도이며, XSi는 Si 농도이다:
Bs = 20.7 + 0.153×XCo - 0.322×XMn - 0.318×XSi (R2 = 0.86; p = 0.00) (식 1);
Hc = -0.209 + 0.062×XCo + 0.317×XMn - 0.096×XSi (R2 = 0.86; p = 0.00) (식 2); 및
ρ = 13.4 + 0.557×XCo + 0.451×XMn + 12.2×XMn (R2 = 0.86; p = 0.00) (식 3).
이들 식으로부터, 조사된 합금의 범위에 대하여, Co 농도의 증가가 Bs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반면, Mn 농도 및 Si 농도의 증가는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Bs에 대한 Mn 및 Si 농도의 부정적인 효과는 거의 동일하고 Si 농도의 긍정적인 효과의 거의 2배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증가하는 Co 농도는 Hc를 증가시키고, 증가하는 Mn 농도는 Hc를 증가시키며, 증가하는 Si 농도는 Hc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증가하는 Co 및 Si 농도가 Hc에 미치는 효과는 증가하는 Mn 농도의 효과와 비교하여 작다. 또한, Co, Mn, 또는 Si 농도 중 어느 것을 증가시키면 ρ가 증가하지만, Si 농도의 효과는 Mn 농도의 효과보다 약 2.7배 더 크며 Co 농도의 효과보다 약 22배 더 크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항복 강도(도 2a), 인장 강도(도 2b) 및 연신율(도 2c)을 포함하는, 대조군 샘플 14(즉, 실질적으로 Co가 없는 대조군 샘플)와 비교하여 합금의 각 시리즈(즉, 약 10 중량%의 Co, 약 8 중량%의 Co 및 약 5 중량%의 Co)의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묘사한다. 각 시리즈의 경우, 기계적 성질은 연자성 적용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시리즈 내에서, Si 농도의 증가는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강도의 증가를 야기하고, 연신율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연성의 미미한 감소를 야기하는 반면, Mn의 증가는 강도의 미미한 증가 및 연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도 3a는 4개의 예시적인 합금, 구체적으로 샘플 3, 7, 12 및 13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를 묘사한다. 각 합금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는 이들이 단일 상 합금이며, (110), (200), (211) 및 (220) 회절 피크가 페라이트 또는 α 상(BCC)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샘플 [12] (도 3b) 및 [13] (도 3c)의 광학 현미경 사진은 단일 상의 존재를 확인시켜준다.
두 번째 가공 경로에서, 각각의 2인치(5 ㎝) 정사각형 바의 일부를 2,200℉(1,204℃)로 가열하고 0.25인치(0.64 ㎝)의 두께를 갖는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트립을 샌드블래스트하여 스케일(scale)을 제거하고, 0.080인치(0.2 ㎝)의 두께로 냉간 압연하고, 건조 H2 중에서 2시간 동안 1,300℉(704℃)에서 어닐링하고, 약 0.045인치(0.11 ㎝)의 두께로 다시 냉간 압연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링을 찍어내고, 이를 2,156℉(1,180℃)에서 건조 수소(H2) 중에서 어닐링하고, 시간당 200℉(93℃)의 속도로 1,290℉(699℃)로 냉각하고, 1,290℉(699℃)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링을 보자력(Hc), 200 Oe에서의 자기 유도(B200) 및 코어 손실(Pc)(60 Hz 및 15kG에서 측정됨)에 대하여 특성을 규명하였다. 상기 결과가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샘플 H c ( Oe ) B 200 ( kG ) P c (W/lb)
1 1.25 (±0.01) 20.5 (±0.4) 4.02 (±0.01)
2 1.22 (±0.01) 19.6 (±0.7) 4.36 (±0.01)
3 1.16 (±0.01) 19.7 (±0.1) 3.99 (±0.01)
4 1.15 (±0.01) 20.8 (±0.2) 4.22 (±0.01)
5 0.91 (±0.01) 19.1 (±0.1) 4.94 (±0.02)
6 0.98 (±0.01) 20.7 (±0.1) 4.81 (±0.01)
7 0.80 (±0.01) 20.7 (±0.1) 4.62 (±0.01)
8 0.79 (±0.01) 20.6 (±0.1) 5.30 (±0.01)
9 0.99 (±0.01) 19.8 (±0.1) 6.03 (±0.01)
10 0.74 (±0.01) 20.6 (±0.1) 4.37 (±0.01)
11 0.74 (±0.01) 19.9 (±0.1) 4.31 (±0.01)
12 0.60 (±0.01) 20.2 (±0.1) 4.18 (±0.01)
13 0.26 (±0.01) 19.8 (±0.3) 4.55 (±0.01)
14 0.39 (±0.01) 19.9 (±1.0) 3.75 (±0.01)
도 4는 HIPERCO® 27 및 대조군 샘플 14의 스트립과 비교하여 스트립으로 가공되기 전에 원하는 특성(20 kG를 초과하는 Bs, 40 μΩ㎝를 초과하는 ρ 및 2 Oe 미만의 Hc)을 만족하는 3개의 샘플(샘플 3, 7 및 12)의 Pc를 묘사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 3, 7, 12 각각은 코발트가 없는 대조군 샘플 14와 유사하지만, HIPERCO® 27의 Pc 값보다는 낮은 Pc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이 어떤 특정한 구현예 및 실시예를 참고하여 앞서 설명되고 기재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제시된 세부사항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청구항의 등가물의 범주 및 범위 내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진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세부 사항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범위하게 언급된 모든 범위는 이들의 범위 한도 내에서 더 넓은 범위에 속하는 더 좁은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히 의도된다. 또한, 상기 개시된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단계들은 어떤 특정한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히 의도된다.

Claims (20)

  1. 철(Fe);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Co);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Mn);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Si)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40 μΩ㎝의 전기 비저항(ρ)을 갖는 자성 철 합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20 kG의 포화 유도(Bs)를 갖는 자성 철 합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2 Oe 미만의 보자력(Hc)을 갖는 자성 철 합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40 μΩ㎝의 ρ, 적어도 약 20 kG의 Bs 및 약 2 Oe 미만의 Hc를 갖는 자성 철 합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주로 단일 알파(α) 상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95%의 알파 상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99%의 알파 상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Co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Co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10 중량%의 Co, 약 2.7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8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5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약 5 중량%의 Co, 약 1.0 중량%의 Mn 및 약 2.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6. 철;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코발트;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망간;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으로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40 μΩ㎝의 ρ, 적어도 약 20 kG의 Bs 및 약 2 Oe 미만의 Hc를 갖는 자성 철 합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최대 약 3 중량%의 크롬;
    최대 약 2 중량%의 바나듐;
    최대 약 1 중량%의 니켈;
    최대 약 0.05 중량%의 니오븀; 및
    최대 약 0.02 중량%의 탄소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95%의 알파 상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적어도 약 99%의 알파 상을 포함하는 자성 철 합금.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자성 철 합금:
    약 10 중량%의 Co, 약 2.7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합금;
    약 8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합금;
    약 5 중량%의 Co, 약 2.2 중량%의 Mn 및 약 1.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합금; 및
    약 5 중량%의 Co, 약 1.0 중량%의 Mn 및 약 2.3 중량%의 Si를 포함하는 합금.
KR1020160054578A 2015-05-04 2016-05-03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 KR20160130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2,933 2015-05-04
US14/702,933 US20160329139A1 (en) 2015-05-04 2015-05-04 Ultra-low cobalt iron-cobalt magnetic allo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711A true KR20160130711A (ko) 2016-11-14

Family

ID=5602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78A KR20160130711A (ko) 2015-05-04 2016-05-03 초저 코발트 철-코발트 자성 합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60329139A1 (ko)
EP (1) EP3093858B1 (ko)
JP (1) JP6929005B2 (ko)
KR (1) KR20160130711A (ko)
CN (1) CN106119719B (ko)
BR (1) BR102016009950A2 (ko)
CA (1) CA2928605C (ko)
ES (1) ES2886802T3 (ko)
TW (1) TWI6846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2387B2 (en) 2013-11-26 2017-10-31 Scoperta, Inc. Corrosion resistant hardfacing alloy
CA2997367C (en) 2015-09-04 2023-10-03 Scoperta, Inc. Chromium free and low-chromium wear resistant alloys
JP7217150B2 (ja) 2016-03-22 2023-02-02 エリコン メテコ(ユーエ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完全可読性溶射コーティング
KR102299835B1 (ko) * 2017-05-17 2021-09-10 씨알에스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Fe-Si 베이스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US11939646B2 (en) 2018-10-26 2024-03-26 Oerlikon Metco (Us) Inc. Corrosion and wear resistant nickel based alloys
DE102019110872A1 (de) * 2019-04-26 2020-11-12 Vacuumschmelze Gmbh & Co. Kg Blechpake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hochpermeablen weichmagnetischen Legierung
DE112020007531T5 (de) * 2020-10-15 2023-06-22 Cummins Inc. Kraftstoffsystemkomponenten
DE102020134300A1 (de) 2020-12-18 2022-06-23 Vacuumschmelze Gmbh & Co. Kg Wasserbasierte alkalische Zusammensetzung zum Bilden einer Isolationsschicht eines Glühseparators, beschichtete weichmagnetische Legier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schichteten weichmagnetischen Bandes
CN113564465A (zh) * 2021-07-05 2021-10-29 北京科技大学 一种兼具拉伸和冲击韧性的锻造FeCo合金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762A (fr) * 1972-02-22 1973-08-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lliages fer-cobalt ameliores
US3868278A (en) 1972-02-22 1975-02-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Doubly oriented cobalt iron alloys
WO1991001563A1 (en) * 1989-07-14 1991-02-07 Allied-Signal Inc. Iron-rich metallic glasses having high saturation induction and superior soft ferromagnetic properties at high magnetization rates
DE69004580T2 (de) * 1990-01-24 1994-03-10 Allied Signal Inc Eisenreiche metallische gläser mit hoher sättigungsinduktion und guten weichmagnetischen eigenschaften mit hohen magnetisierungsgeschwindigkeiten.
JP3374981B2 (ja) * 1992-09-11 2003-02-10 日立金属株式会社 短パルス特性に優れたナノ結晶軟磁性合金および磁心
JPH0790515A (ja) * 1993-09-16 1995-04-04 Kawasaki Steel Corp 磁束密度が高くかつ鉄損が低い鉄基非晶質合金
DE4444482A1 (de) 1994-12-14 1996-06-27 Bosch Gmbh Robert Weichmagnetischer Werkstoff
US5741374A (en) 1997-05-14 1998-04-21 Crs Holdings, Inc. High strength, ductile, Co-Fe-C soft magnetic alloy
JP2000129410A (ja) * 1998-10-30 2000-05-09 Nkk Corp 磁束密度の高い無方向性電磁鋼板
US20020062885A1 (en) * 2000-10-10 2002-05-30 Lin Li Co-Mn-Fe soft magnetic alloys
KR100910193B1 (ko) * 2001-03-27 2009-07-30 씨알에스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초고강도 석출 경화 스테인레스강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세장형 스트립
JP2005226126A (ja) * 2004-02-13 2005-08-25 Hitachi Metals Ltd 防振合金
JP4833523B2 (ja) * 2004-02-17 2011-12-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7221869A (ja) * 2006-02-15 2007-08-30 Hitachi Metals Ltd 積層体
ATE418625T1 (de) 2006-10-30 2009-01-15 Vacuumschmelze Gmbh & Co Kg Weichmagnetische legierung auf eisen-kobalt-basis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08129803A1 (ja) * 2007-03-20 2008-10-30 Nec Tokin Corporation 軟磁性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部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8012270B2 (en) 2007-07-27 2011-09-06 Vacuumschmelze Gmbh & Co. Kg Soft magnetic iron/cobalt/chromium-based allo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it
DE102008053310A1 (de) * 2008-10-27 2010-04-29 Vacuumschmelze Gmbh & Co. Kg Werkstück aus weichmagnetischem Werkstoff mit verschleißfester Besch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Werkstücks
JP2011084761A (ja) * 2009-10-13 2011-04-28 Sumitomo Metal Ind Ltd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8605C (en) 2024-01-16
US20160329139A1 (en) 2016-11-10
ES2886802T3 (es) 2021-12-20
CA2928605A1 (en) 2016-11-04
JP6929005B2 (ja) 2021-09-01
JP2017002395A (ja) 2017-01-05
TW201641716A (zh) 2016-12-01
EP3093858A1 (en) 2016-11-16
CN106119719B (zh) 2021-11-09
CN106119719A (zh) 2016-11-16
TWI684650B (zh) 2020-02-11
EP3093858B1 (en) 2021-08-18
US11114226B2 (en) 2021-09-07
US20200005975A1 (en) 2020-01-02
BR102016009950A2 (pt)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4226B2 (en) Ultra-low cobalt iron-cobalt magnetic alloys
US5501747A (en) High strength iron-cobalt-vanadium alloy article
JP2022081488A (ja) 磁性銅合金
US4933026A (en) Soft magnetic alloys
US11851735B2 (en) High-strength and ductile multicomponent precision resistance alloy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CN113897558B (zh) 一种高饱和磁感高磁导率铁基软磁材料及其制备方法
Jafari et al. Micro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study of Fe–P rolled sheet alloys
JP2004511658A (ja) Co−Mn−Fe軟磁性合金
JP2017128784A (ja) 軟磁性鋼部品の製造方法
JP2016183359A (ja) Fe系金属板
JP3939568B2 (ja) 加工性に優れた非磁性ステンレス鋼
KR20230118634A (ko) 실질적 등원자성 FeCo 합금 냉간압연 스트립 또는 시트의제조 방법, 실질적 등원자성 FeCo 합금 냉간압연 스트립 또는 시트, 및 그로부터 절취된 자성 부품
JPS6312936B2 (ko)
Sundar et al. High strength FeCo–V intermetallic alloy: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JP2021161469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14150247A (ja) Fe系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77631A1 (ja) 複合磁性材用素材及び複合磁性材
US20230257859A1 (en) Soft magnetic member and intermediate therefor, methods respectively for producing said member and said intermediate, and alloy for soft magnetic member
JPH06264195A (ja) Fe−Co系磁性合金
Ahmadnia et al. Optimizing magnetic performance of Fe–50Ni alloy for electric motor cores through LPBF: A study of as-built and heat-treated scenarios
JP5339009B1 (ja) 複合磁性材素材及び複合磁性部材
JP4188761B2 (ja) 回転子軸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超電導回転電機
JP2022107220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22056669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1026846A (ja) 複合磁性部材および複合磁性部材の強磁性部の製造方法ならびに複合磁性部材の非磁性部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