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580A - 화물창 - Google Patents

화물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580A
KR20160130580A KR1020150062491A KR20150062491A KR20160130580A KR 20160130580 A KR20160130580 A KR 20160130580A KR 1020150062491 A KR1020150062491 A KR 1020150062491A KR 20150062491 A KR20150062491 A KR 20150062491A KR 20160130580 A KR20160130580 A KR 2016013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argo
lifting
main body
loa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580A/ko
Publication of KR201601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창{CARGO TANK}
본 발명은 화물창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와 같은 대형 화물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에 의해 해상 수송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운반선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화물창이 제공되고, 상기 화물창 내 컨테이너를 하역(Loading and Unloading)하기 위한 크레인이 항만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적 시에는,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화물창 상측으로 인양한 후, 화물창 내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컨테이너가 화물창 바닥에 이를 때까지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테이너 양화 시에도, 화물창 내측에 위치한 컨테이너를 화물창 외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화물창의 대형화 등으로 인해, 화물창 내에서의 컨테이너 이동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크레인 운전의 정교함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크레인 운전 숙련도에 따라 컨테이너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0765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물의 하역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화물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승강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적재부의 둘레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승강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 및 상기 적재부 사이에는 상기 적재부의 하강 시 상기 적재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물의 하역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화물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물창이 부유식 구조물에 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물창 내부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화물창의 적재부가 승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물창이 부유식 구조물에 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물창 내부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은 화물(30,도 3)이 수용될 수 있는 화물창(10)이 제공된 부유식 구조물로, 화물창(10)에 수용된 화물(30)을 수송하기 위해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일 예로, 컨테이너선, 벌크 캐리어(Bulk Carrier)와 같이 컨테이너나 다양한 건조 화물(30)을 수송하는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으며, 액화가스 운반선과 같이 유체 화물(30)을 수송하는 부유식 구조물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유식 구조물(1)의 갑판(3)에는 화물창(10)에 화물(30)을 하역하기 위한 개방부로써 해치(Hatch) 및 상기 해치를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Hatch Cover)와, 화물(30)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1)에 제공되는 화물창(10)은 갑판(3) 하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물창(10)에 전술된 해치 및 해치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은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11), 상기 본체(11)에 설치되고 상면에 화물(30)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부(100) 및 상기 적재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200)를 포함한다.
화물창(10)의 본체(11)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체(11)의 양 측면을 가로지르는 횡경벽(12)이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1)의 수용 공간은 횡격벽(1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횡격벽(12)은 본체(11)의 바닥면(15)에서 본체(11)의 상면(13)까지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횡격벽(12)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31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바닥면(15)에는 적재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적재부(100)는 상면에 화물(30)이 적재될 수 있는 판재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15)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바닥면(15)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재부(100)는 중량이 큰 화물(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적재부(100)에는 승강부(200)의 연결 부재(220)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1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110)는 적재부(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체결 부재(110)는 연결 부재(220)와 체결될 수 있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부재(220)의 단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 부재(110)는 적재부(100)에 적재되는 화물(30)의 중량에 따라, 또는 체결 부재(110) 및 연결 부재(220)의 강성에 따라 적재부(100)에 제공되는 수량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물(30)이 적재부(100)에 적재되는 높이의 층을 '적재층'이라 명명한다. 화물(30)의 적재 시, 적재부(100)에 적재된 화물(30)이 없는 경우, 하역층은 적재부(100)의 바닥면이 되며, 적재부(100)에 화물(30)이 적재된 경우에는 적재된 화물(30)의 최상층이 적재층이 된다.
승강부(200)는 화물(30)의 적재층에 따라 적재부(10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적재층이 갑판(3)과 근사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적재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200)는 본체(11)의 상면(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적재부(100)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220), 상기 연결 부재(22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 부재(2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부재(220)를 드럼에 감거나 풀 수 있는 윈치(Winch)일 수 있으나, 윈치 이외에도 연결 부재(2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승강 장치일 수 있다.
연결 부재(220)는 승강 구동 부재(210)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 구동 부재(210)로부터의 길이가 증감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220)의 길이가 증감됨에 따라 적재부(100)가 승강될 수 있다. 연결 부재(220)는 적재부(100) 및 화물(30)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일 수 있으며, 단부가 적재부(100)의 체결 부재(1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20)의 단부에 볼트가 제공될 경우 연결 부재(220)는 체결 부재(110)와 볼팅 결합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연결 부재(220)를 통하지 않고 적재부(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은 승강 가이드부(300) 및 완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300)는 적재부(1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으며, 승강 가이드 레일(310) 및 승강 가이드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레일(310)은 본체(11)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횡격벽(1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레일(310)은 횡격벽(12)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이드 롤러(3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레일(310)의 간격은 컨테이너와 같이 규격화된 화물(3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서 화물(30)의 적재 위치 및 화물(30)의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승강 가이드 롤러(320)는 적재부(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적재부(100)의 승강 시 승강 가이드 레일(31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롤러(320)는 횡격벽(12)에 설치된 승강 가이드 레일(310)의 수량 및 폭에 대응되게 적재부(100)의 둘레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승강 가이드 롤러(320)가 승강 가이드 레일(310)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적재부(100)의 승강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완충부(400)는 적재부(100)의 하강 시 적재부(100) 및 화물(30)의 하중및 하강 속도로 인해 바닥면(15)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부(100) 및 바닥면(15)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완충부(400)는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면(15)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적재부(100)의 저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완충부(4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의 완충부(400)일 수도 있고, 평판 형태의 완충부(400) 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물창(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화물창의 적재부가 승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은 화물(30)이 수용될 수 있는 본체(11) 바닥면(15) 상측에 승강 가능한 적재부(100)가 제공되어, 실질적으로 본체(11) 바닥면(15)의 높이가 승강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크레인에 의해 화물(30)을 승강시키는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1)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화물 중 첫번째 화물(30)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경우, 승강 구동 부재(210)가 구동하여 연결 부재(220)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체결 부재(110)를 통해 연결 부재(220)와 연결되는 적재부(100) 역시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적재부(100)의 상승 시 적재부(100)에 장착된 승강 가이드 롤러(320)는 승강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적재부(100)의 상승이 승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100)의 상승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재부(100)는 화물(30)의 적재층의 높이가 일 예로 갑판(3)의 높이 또는 화물(30)을 인양하는 크레인의 설치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00)와 적재되는 화물(30) 간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30)이 적재부(100)에 적재될 때, 승강 구동 부재(310)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으며, 화물(30)은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레일(310) 사이에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가이드 레일(310)은 적재부(100)의 승강 운동뿐만 아니라 화물(30)의 적재 위치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두 번째, 세 번째 화물(31,32)이 본체(11)에 수용될 경우, 적재부(100)는 승강부(200)에 의해 적재층의 높이가 갑판 또는 크레인의 높이와 근사한 지점까지 하강할 수 있으며, 이때 역시 승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적재부(100)의 하강이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100)가 하강됨에 따라 화물(30,31,32)이 적재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은 적재부(100)가 승강됨에 따라 화물(30,31,32)이 적재되는 높이 및 수용 공간이 조절될 수 있어, 화물(30,31,32)의 하역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재시키고자 하는 화물(30,31,32)의 적재가 완료되면, 적재부(100)는 본체(11)의 바닥면(15)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 때 적재부(100)와 바닥면(15) 사이에 완충부(400)가 제공됨에 따라 화물(30,31,32) 및 적재부(100)의 하강으로 인해 본체(11)로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물창(10) 및 부유식 구조물(1)의 구조적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화물창(10)으로부터 화물(30,31,32) 을 꺼내기 위해 화물(30,31,32)을 인양시킬 때에도 적재층의 높이에 따라 적재부(100)를 상승시키면, 화물(30,31,32) 을 보다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은 화물(30,31,32)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부(100)의 높이가 적재층의 높이에 따라 승강될 수 있으므로 화물(30,31,32)을 인양시키는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에 의한 화물(30,31,32)의 인양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하역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적재부(100)의 승강 이동이 승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안내되므로 크레인 운전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도 적재부(100)의 승강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부유식 구조물 10: 화물창
11: 본체 12: 격벽
20: 바닥면 100: 적재부
110: 체결 부재 200: 승강부
210: 승강 구동 부재 220: 연결 부재
300: 승강 가이드부 310: 승강 가이드 레일
320: 승강 가이드 롤러 400: 완충부

Claims (5)

  1.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화물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화물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승강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적재부의 둘레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승강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화물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 및 상기 적재부 사이에는 상기 적재부의 하강 시 상기 적재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KR1020150062491A 2015-05-04 2015-05-04 화물창 KR20160130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91A KR20160130580A (ko) 2015-05-04 2015-05-04 화물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91A KR20160130580A (ko) 2015-05-04 2015-05-04 화물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80A true KR20160130580A (ko) 2016-11-14

Family

ID=5752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91A KR20160130580A (ko) 2015-05-04 2015-05-04 화물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7357A1 (de) 2016-10-10 2018-04-12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servolenk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656A1 (en) 2008-03-03 2011-01-13 Thomson Licensing Deterministic back-off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656A1 (en) 2008-03-03 2011-01-13 Thomson Licensing Deterministic back-off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7357A1 (de) 2016-10-10 2018-04-12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servolenk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8326B2 (e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CA29328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or shifting containers in high-bay warehouses
US20120321418A1 (en) Device for Coning and/or Deconing a Contain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JPS63307063A (ja) 金属ストリツプコイル格納用容器
JP2008080941A (ja) 貨物船
CN107381083B (zh) 一种港口冷链运输系统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KR20160130580A (ko) 화물창
RU180738U1 (ru) Съёмный модуль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а
KR101065389B1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101302998B1 (ko) 선박용 컨테이너 해치커버
KR20130091757A (ko) 운송 컨테이너
KR20110074385A (ko)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40009751A (ko) 선박 화물창
CN210456117U (zh) 一种自卸式货柜和包括该自卸式货柜的货柜系统
US20230399170A1 (en) Multi-level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high-bay container storage
WO2012064506A1 (en) Modular cell elevator for container ship
US20170036893A1 (en) Apparatus for moving a shipping container
JP6210622B2 (ja) 線材コイル用パレット
KR20080043690A (ko) 이동식 버퍼 플랫폼을 가진 컨테이너 크레인
JP2019019528A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CN109132256B (zh) 多层集装箱设施
JP5489933B2 (ja) 土砂搬出装置及び土砂搬出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