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601A -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601A
KR20160128601A KR1020150060243A KR20150060243A KR20160128601A KR 20160128601 A KR20160128601 A KR 20160128601A KR 1020150060243 A KR1020150060243 A KR 1020150060243A KR 20150060243 A KR20150060243 A KR 20150060243A KR 20160128601 A KR20160128601 A KR 2016012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ttle
alignment groove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258B1 (ko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5006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58B1/ko
Priority to PCT/KR2015/007298 priority patent/WO2016175382A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01N21/9027Dirt detection in containers in containers afte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전체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서도 병의 공급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가 소개된다.
이 중에서 더블 스크류유닛은 병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와, 제 1 스크류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제 1 정렬홈과 연속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 2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와,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DOUBLE SCREW UNIT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SOLTION IN BOTTLE}
본 발명은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체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서도, 병의 공급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네크(neck)와, 네크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형의 몸통을 갖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용기는 위생적인 측면이 우선적인 고려 대상이 되므로, 용기의 내용물을 직접 마실 때 사람의 입이 닿게 되는 용기의 입구부와 캡에 대해서는,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용기는 용기 검사장치에 의해 네크 및 몸통의 이물이 검사되거나, 용기의 상단부, 바닥부 및 외측부에 대한 전영역이 검사되기도 한다.
한편, 용기에는 특정 성분의 충진액이 주입될 수 있다.
그런데, 용기에 주입되는 충진액에는 충진액의 제조 과정에서 또는 충진액의 주입 과정에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미세한 이물질이 충진액에 섞일 수 있는 바, 용액 내에 주입된 충진액 중에서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2002-0094581 (2002.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병의 공급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스크류유닛은, 병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정렬홈과 연속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 2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의 회전 위치를 상기 제 1 정렬홈 및 상기 제 2 정렬홈이 연속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영점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1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모터는 제 1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스크류모터; 및 제 2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 2 회전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스크류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스크류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스크류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핀과 상기 회전브라켓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는, 병을 연속적인 공급하는 인 레일; 상기 인 레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병을 공전시키는 터릿 조립체; 상기 터릿 조립체로 이송되는 상기 병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상기 인 레일과 상기 터릿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더블 스크류유닛; 상기 병 내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모듈; 및 상기 검사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병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아웃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블 스크류유닛은 상기 병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정렬홈과 연속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 2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릿 조립체에 의해 공전 중인 상기 병 내에 수용된 충진액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진액이 수용된 병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서도, 병의 공급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병 내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앙으로 수렴함으로써, 병 내 이물질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회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저면 검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측면 검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더블 스크류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스크류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더블 스크류유닛에서, 회전 상태의 제 1 스크류와 정지 상태의 제 2 스크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회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저면 검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측면 검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병 충진액 검사장치는, 병(B) 내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앙으로 수렴한 후, 병(B)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병 충진액 검사장치는 인 레일(110), 터릿 조립체(200), 더블 스크류유닛(300), 회전유닛(400), 검사모듈(500) 및 아웃 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 레일(110)은 병(B)을 별도의 병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받아, 병 충진액 검사장치 내로 병(B)을 투입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병(B)에는 특정 성분의 충진액이 인 레일(110)로 투입 전에, 미리 수용될 수 있다.
인 레일(110)은 장치 프레임(130)의 입구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프레임(130)은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강판, 유리 등의 판 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30)에는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구성들, 예를 들어, 인 레일(110), 터릿 조립체(200), 더블 스크류유닛(300), 회전유닛(400), 검사모듈(500) 및 아웃 레일(12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터릿 조립체(200)는 인 레일(110)로부터 공급받은 병(B)을 터릿 샤프트(210)를 기준으로 공전시킬 수 있다. 터릿 조립체(200)는 병(B)을 홀딩한 상태에서, 일시 정지 및 이동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터릿 조립체(200)에 의해 병(B)이 일시 정지되면, 병(B) 내 충진액의 이물질은 검사모듈(50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터릿 조립체(200)는 터릿 샤프트(210), 터릿 플레이트(220) 및 터릿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릿 샤프트(210)는 통상의 베어링을 매개로 장치 프레임(13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터릿 모터(23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터릿 모터(230)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터릿 플레이트(220)는 터릿 조립체(2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원반 형태의 회전 휠로 제공될 수 있다. 이 터릿 플레이트(220)의 회전 중심에는 터릿 샤프트(210)가 연결될 수 있고, 터릿 플레이트(220)의 외주연에는 병(B)의 넥부를 그립하기 위한 그리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 레일(110)로부터 이송된 병(B)은, 터릿 플레이트(220)의 그리퍼에 그립된 상태에서, 터릿 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터릿 플레이트(220)의 외주연에서 원주방향으로 공전될 수 있다.
터릿 모터(230)는 병(B)을 공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터릿 샤프트(21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병(B)의 일시 정지 및 이동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터릿 모터(230)는 터릿 플레이트(22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릿 모터(230)로는 원점 제어를 위한 서버모터(servo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서버모터에는 위치제어를 위한 엔코더가 내장될 수 있다.
더블 스크류유닛(300)은 인 레일(110)과 터릿 조립체(200) 사이, 보다 자세하게, 인 레일(110)에서 터릿 조립체(200)로 이송되는 병(B)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더블 스크류유닛(300)은 터릿 조립체(200)로 이송되는 병(B)을 선택적으로 단속함으로써,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을 멈추지 아니한 상태에서, 터릿 조립체(200)로 이송되는 병(B)의 유입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병(B) 내에 충진액을 수용하는 과정 또는 병(B)을 인 레일(11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은 유지한 상태에서, 더블 스크류유닛(300)은 터릿 조립체(200)로 공급되는 병(B)의 투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을 정지하지 않더라도,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전체 공정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 더블 스크류유닛(3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유닛(400)은 터릿 조립체(200)에 의해 공전 중인 병(B)을 자전시켜 병(B) 내에 수용된 충진액에 원심력을 제공함으로써,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병(B)의 중앙에 모을 수 있다. 이때, 터릿 조립체(200)의 그리퍼는 병(B)의 자전이 원활해지도록 병(B)의 넥부를 헐겁게 홀딩한 상태를 유지한다.
회전유닛(400)은 제 1 회전풀리(410a), 제 2 회전풀리(410b) 및 제 3 회전풀리(410c)로 제공되는 회전풀리(410)와, 적어도 일면이 병(B)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회전풀리(410)에 지지되는 회전벨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벨트(420)는 회전풀리(410)의 회전에 의해 고속 회전이 가능하므로, 터릿 조립체(200)에 의해 공전 중인 병(B)을 고속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검사모듈(500)은 병(B)의 자전에 의해 중앙으로 수렴된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모듈(500)은 병(B)의 하방향에서 병(B) 내 이물질을 검사하는 저면 검사기(510)와, 병(B)의 측방향에서 병(B) 내 이물질을 검사하는 측면 검사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면 검사기(510)는 조명 밝기를 달리하여, 병(B) 내 이물질을 검사하는 다수개의 검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저면 검사기(510)는 조명을 밝게 조사하여 병(B) 내 크기가 큰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1 저면 검사기(510a)와, 조명을 다크필드 방식과 동일하게 밝게 조사하여 병(B) 내 유리가루와 같은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저면 검사기(510b)와, 조명을 화이트필드 방식으로 밝게 하여 고무와 같은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3 저면 검사기(5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저면 검사기(510a), 제 2 저면 검사기(510b) 및 제 3 저면 검사기(510c)는, 병(B)의 측방향에서 병(B)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수평 램프(511)와, 미러(512)를 이용하여 병(B) 내 이물질을 검사하도록 병(B)의 하측에 마련되는 저면 카메라(513)와, 미러(512) 및 저면 카메라(513)가 구비되는 카메라박스(514)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 검사기(520)는 적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병(B)의 측방에서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검사기(520)는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 상에 위치되는 제 1 측면 검사기(520a)와, 병(B)의 전체 측면을 촬영하여 이물질을 검사하도록 아웃 레일(120) 상에 설치되는 제 2 측면 검사기(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면 검사기(520b)는 병(B)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적외선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판(521)과, 병(B)을 사이에 두고 병(B)의 타측 방향에서 조명판(521)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반사판(522)과, 반사판(522)을 통해 병(B) 내 이물질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측면 카메라(523)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측면 검사기(520b)는 병(B)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검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개의 제 2 측면 검사기(5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 2 측면 검사기(520b)는, 병(B)을 일측에서 병(B) 일측부의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 2 측면 검사기(520b)는, 병(B)의 타측에서 병(B)의 타측부의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더블 스크류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스크류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더블 스크류유닛에서, 회전 상태의 제 1 스크류와 정지 상태의 제 2 스크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더블 스크류유닛(300)은, 제 1 스크류(310), 제 2 스크류(320), 스크류모터(330), 위치센서(340) 및 컨트롤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크류(310)는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와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스크류(310)는 제 2 스크류(32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므로, 제 2 스크류(320)에 의해 이송된 병(B)을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스크류(310)의 외주면에는 병(B)을 제 2 스크류(320)에서 터릿 조립체(200)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정렬홈(311)은 제 1 스크류(310)의 외주면에서, 제 1 스크류(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 1 스크류(310)의 입구측에 위치한 병(B)은 제 1 스크류(310)의 회전에 의해 제 1 정렬홈(311)을 따라, 제 2 스크류(320)에서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이송될 수 있다.
제 1 스크류(310)는 제 1 회전축(3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360)은 제 1 스크류(310)에 고정되는 회전핀(361)과, 제 1 스크류모터(3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362)과, 회전핀(361) 및 회전브라켓(362)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36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브라켓(362)이 제 1 스크류모터(331)에 의해 회전되면, 회전브라켓(362)의 회전력이 조인트(363)를 통해 회전핀(361)에 전달되고, 회전핀(361)의 회전력은 제 1 회전축(360)을 통해 제 1 스크류(310)에 전달되므로,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에 위치한 병(B)은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스크류(310)는 제 2 스크류(320)의 제 2 회전축(370)이 관통되는 중공형 스크류일 수 있고, 제 1 회전축(360)은 제 2 회전축(370)이 관통되는 중공형 샤프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크류(320)의 제 2 회전축(370)은 제 1 스크류(310) 및 제 1 회전축(360)을 관통하여, 제 1 스크류모터(332)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스크류(320)는 인 레일(110)의 이동경로와 동일한 연장선상 위치될 수 있다. 제 2 스크류(320)는 제 1 스크류(31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인 레일(110)에서 이송된 병(B)을 제 1 스크류(3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 2 스크류(320)의 외주면에는 병(B)을 인 레일(110)에서 제 1 스크류(310)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정렬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정렬홈(312)은 제 2 스크류(320)의 외주면에서, 제 2 스크류(3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스크류(320)는 제 2 회전축(370)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스크류(320)의 일단은 제 1 스크류모터(332)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전축(370)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스크류(320)의 타단은 베어링축(37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회전축(370)이 제 1 스크류모터(332)에 의해 회전되면, 제 2 회전축(370)의 회전력은 제 2 스크류(320)에 제공되어, 제 2 스크류(320)의 제 2 정렬홈(312)에 위치한 병(B)은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으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는 별개로 구동되므로, 제 1 스크류(310)와 제 2 스크류(32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크류모터(331)만이 작동되고 제 1 스크류모터(332)가 정지되는 경우, 제 1 스크류(310)는 회전되는 반면, 제 2 스크류(32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에 위치한 병(B)은, 제 1 스크류(310)의 회전에 의해 터릿 조립체(200)로 이송될 수 있지만, 제 2 스크류(320)의 제 2 정렬홈(312)에 위치한 병(B)은 정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스크류모터(330)는 제 1 스크류(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스크류모터(331)와, 제 2 스크류(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스크류모터(3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스크류모터(331)는 제 1 구동벨트(333)를 통해 제 1 회전축(3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 1 스크류모터(332)는 제 2 구동벨트(334)를 통해 제 2 회전축(37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위치센서(340)는 제 1 스크류(310) 및 제 2 스크류(32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센서(340)는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의 회전 위치가 매칭되는 위치인 영점을 측정함으로써,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과 제 2 스크류(320)의 제 2 정렬홈(312)이 서로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점은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과 제 2 스크류(320)의 제 2 정렬홈(312)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위치로, 제 1 스크류(310) 및 제 2 스크류(320)의 영점은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작동 전에 미리 세팅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제 1 정렬홈(311) 및 제 2 정렬홈(312)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를 작동하여 제 1 스크류(310) 및 제 2 스크류(320)를 영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는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인 레일(110)에서 공급된 병(B)은 제 2 스크류(320) 및 제 1 스크류(310)를 거쳐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이동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에 연동하여 제 1 스크류(310)를 회전시키고, 제 2 스크류(3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병(B) 내에 충진액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또는 병(B)을 인 레일(11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터릿 조립체(200)와 터릿 조립체(200)에 연동하는 제 1 스크류(310)의 작동은 유지한 상태에서, 제 2 스크류(32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터릿 조립체(200)로 공급되는 병(B)의 투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후, 문제가 해소되면, 위치센서(340)는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의 회전 위치가 매칭되는 위치인 영점을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컨트롤러(350)에 제고하고, 컨트롤러(350)는 제 1 스크류모터(331) 및 제 1 스크류모터(33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제 1 정렬홈(311)과 제 2 정렬홈(312)이 서로 연속적으로 위치되도록 제 1 스크류(310) 또는 제 2 스크류(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특정 성분의 충진액이 수용된 병(B)은, 별도의 병 공급장치를 통해,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인 레일(110)로 투입된다.
인 레일(110)로 투입된 병(B)은, 인 레일(110)을 따라 더블 스크류유닛(300)으로 이송된다. 병(B)이 더블 스크류유닛(300)의 제 2 스크류(320) 입구측에 위치되면, 제 1 스크류모터(332)의 작동에 의해 제 2 스크류(320)가 회전되고, 병(B)은 제 2 스크류(320)의 제 2 정렬홈(312)을 따라,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으로 이송된다.
병(B)이 더블 스크류유닛(300)의 제 1 스크류(310) 입구측에 위치되면, 제 1 스크류모터(331)의 작동에 의해 제 1 스크류(310)가 회전됨에 따라, 병(B)은 제 1 스크류(310)의 제 1 정렬홈(311)을 따라,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이송된다.
만약, 병(B)이 인 레일(110)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은 유지한 상태에서, 더블 스크류유닛(300)은 터릿 조립체(200)로 공급되는 병(B)의 투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병(B)의 이송에 문제 발생시, 터릿 조립체(200)의 작동을 정지하지 않고서, 더블 스크류유닛(300)의 일부 구성만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병 충진액 검사장치의 전체 공정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병(B)이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로 진입되면, 병(B)은 터릿 조립체(200)의 그리퍼에 의해 홀딩된 상태에서, 터릿 조립체(200)의 공전경로(W)를 따라 공전된다. 이 과정에서, 회전유닛(400)은 병(B) 내에 수용된 충진액에 원심력이 제공되도록 병(B)을 고속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즉, 터릿 조립체(200)가 회전됨에 따라, 그리퍼에 의해 홀딩된 병(B)이 회전유닛(400)의 회전벨트(420)에 접촉되면, 병(B)는 회전벨트(420)의 회전에 의해 고속으로 자전될 수 있다. 이때, 그리퍼는 병(B)의 자전이 원활해지도록 병(B)의 넥부를 헐겁게 홀딩한 상태를 유지한다.
병(B)의 자전에 의해, 이물질이 병(B) 내 중앙으로 모여지면, 이물질에 대한 검사가 검사모듈(500)을 통해 이루어진다. 터릿 조립체(200)의 회전에 의해, 병(B)이 검사모듈(500)이 위치한 지점에 도달하면, 검사모듈(500)의 저면 검사기(510)는 조명 밝기를 달리하면서, 병(B) 내 이물질을 병(B)의 하측에서 검사한다.
예컨대, 제 1 저면 검사기(510a)는 병(B) 내 크기가 큰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고, 제 2 저면 검사기(510b)는 병(B) 내 유리가루와 같은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으며, 제 3 저면 검사기(510c)는 고무와 같은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다.
계속해서, 검사모듈(500)의 측면 검사기(520)는 적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병(B)의 측방에서 이물질을 검사하거나, 병(B)의 전체 측면을 촬영하여 이물질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모듈(500)을 통한 이물질의 검사가 완료되면, 병(B)은 아웃 레일(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진액이 수용된 병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서도, 병의 공급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병 내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앙으로 수렴하여, 병 내 이물질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인 레일 120 :아웃 레일
130 :장치 프레임 200 :터릿 조립체
210 :터릿 샤프트 220 :터릿 플레이트
230 :터릿 모터 300 :더블 스크류유닛
310 :제 1 스크류 311 :제 1 정렬홈
320 :제 2 스크류 321 :제 2 정렬홈
330 :스크류모터 331 :제 1 스크류모터
332 :제 2 스크류모터 333 :제 1 구동벨트
334 :제 2 구동벨트 340 :위치센서
350 :컨트롤러 400 :회전유닛
410 :회전풀리 420 :회전벨트
500 :검사모듈 510 :저면 검사기
520 :측면 검사기

Claims (9)

  1. 병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정렬홈과 연속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 2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를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의 회전 위치를 상기 제 1 정렬홈 및 상기 제 2 정렬홈이 연속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영점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1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모터는
    제 1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스크류모터; 및
    제 2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 2 회전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스크류모터를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스크류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스크류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핀과 상기 회전브라켓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6. 병을 연속적인 공급하는 인 레일;
    상기 인 레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병을 공전시키는 터릿 조립체;
    상기 터릿 조립체로 이송되는 상기 병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상기 인 레일과 상기 터릿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더블 스크류유닛;
    상기 병 내 충진액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모듈; 및
    상기 검사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병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아웃 레일을 포함하는 병 충진액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스크류유닛은
    상기 병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정렬홈과 연속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 2 정렬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를 포함하는 병 충진액 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병 충진액 검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릿 조립체에 의해 공전 중인 상기 병 내에 수용된 충진액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더블 스크류유닛.
KR1020150060243A 2015-04-29 2015-04-29 병 충진액 검사장치 KR10181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43A KR101815258B1 (ko) 2015-04-29 2015-04-29 병 충진액 검사장치
PCT/KR2015/007298 WO2016175382A1 (ko) 2015-04-29 2015-07-14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43A KR101815258B1 (ko) 2015-04-29 2015-04-29 병 충진액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01A true KR20160128601A (ko) 2016-11-08
KR101815258B1 KR101815258B1 (ko) 2018-01-05

Family

ID=5719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43A KR101815258B1 (ko) 2015-04-29 2015-04-29 병 충진액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5258B1 (ko)
WO (1) WO20161753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81A (ko) 2001-06-12 2002-12-18 송경화 병 내부의 이물질 제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708A (en) * 1989-09-11 1991-12-17 Shibuya Kogyo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s
JP3785123B2 (ja) * 2002-06-26 2006-06-1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容器制御装置及び製造関連設備
BRPI1003166B1 (pt) * 2010-08-04 2020-04-2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parelho e método para encaminhamento de uma mistura seca
KR101186255B1 (ko) * 2012-04-27 2012-09-27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검사장치
ITMI20130465A1 (it) * 2013-03-27 2014-09-28 I M A Ind Macchine Automatic He S P A Apparato di trasferimento e relativo metodo di trasferimen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81A (ko) 2001-06-12 2002-12-18 송경화 병 내부의 이물질 제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58B1 (ko) 2018-01-05
WO2016175382A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356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естирования для проверки контейнера
KR101701370B1 (ko) 병 충진액 검사장치
JP3351910B2 (ja) バイアル瓶の検査方法と装置
WO2005031328A1 (ja) 検査システム
CN103512897B (zh) 一种用于冻干西林瓶的无底座式灯检机
CN103512894B (zh) 一种用于水针安瓿瓶灯检机的异物检测装置
JP3601933B2 (ja) 非接触式検査装置
JP2008162805A (ja) 容器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CN108593677A (zh) 一种异形零件全自动视觉检测设备
JP4526961B2 (ja) 容器内の異物検査装置
JP2006258551A (ja) 液内異物検査装置
CN103499589B (zh) 一种用于灯检机的无底座夹爪式主轴装置
JP2021128139A (ja) 飲料瓶のリーク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815258B1 (ko) 병 충진액 검사장치
JP4813437B2 (ja) 容器内の異物検出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KR101760120B1 (ko) 병 충진액 검사장치
JP2005121592A (ja) ボトル液内異物検査システム
JP6897929B2 (ja) 透明物品の検査装置
JP4629122B2 (ja) 製品検査方法及び装置
JP4236886B2 (ja) 製品検査方法及び装置
CN103645196B (zh) 一种用于冻干西林瓶灯检机的异物及外观检测装置
CN208705244U (zh) 一种异形零件全自动视觉检测设备
JP2012103020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JP4177204B2 (ja) 容器充填液体の異物検査装置
JP6667016B2 (ja) 容器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