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556A -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556A
KR20160128556A KR1020150060016A KR20150060016A KR20160128556A KR 20160128556 A KR20160128556 A KR 20160128556A KR 1020150060016 A KR1020150060016 A KR 1020150060016A KR 20150060016 A KR20150060016 A KR 20150060016A KR 20160128556 A KR20160128556 A KR 2016012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train
facility
con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636B1 (ko
Inventor
안태기
박기준
김주락
이호용
이안호
김주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역사(station)에 설치되는 역사설비부; 상기 역사에 정차하는 열차에 설치되는 열차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역사 및 상기 열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징수설비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를 관제하는 통합관제장치; 및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EAR SURFACE TRANSIT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관리시스템으로 운용되던 종래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관제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의 증가와 도로 시설 공급의 한계로 인하여 대도시의 교통난은 갈수록 심화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는데 매우 유용한 교통 수단으로 철도, 지하철 및 전철 등이 있다. 이러한 교통 수단은 많은 이용자들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 정확한 시간에 도착 가능하고, 빠른 시간 내에 이동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현재 이용되는 도시철도 등은 땅을 깊이 파서 굴착하는 도시철도로서 이를 시공하는 데에 있어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시공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사업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저심도 도시철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저심도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많은 이용자들을 확보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저심도 도시철도 역사는 편의성과 안정성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방송 시청할 수 있는 설비, 열차의 행선지나 도착예정정보를 알려주는 설비 등이 있다.
또한, 철도 역사에는 대고객 서비스 및 원활한 역사 운용을 위해서 내부 또는 외부에 다양한 통화 장치 또는 호출 장치가 설치된다. 이는 이용객에게 서비스 및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자와 역무원을 연결시키는데 매우 필요하다.
역사 내에 설치되는 설비뿐만 아니라, 열차의 객실에 발생하는 사고 등을 파악하기 위해 객실에는 CCTV카메라나 인터폰 등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심도 도시철도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설비들이 필요하고, 이러한 설비들을 운용하기 위해선 많은 역무원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철도 역사 내의 인력은 감축되고 있으며, 적은 수의 역무원들로 철도 역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다 보니, 증가되고 있는 이용자들에 대한 질적 및 양적인 서비스의 향상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저심도 도시철도의 개별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던 설비들을 기능별로 통합하고 기능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설비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심도 도시철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저심도 도시철도의 설비들을 기능별로 통합하고 기능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설비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무인역사 운용기술을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설비들을 하나의 관제장치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역사(station)에 설치되는 역사설비부; 상기 역사에 정차하는 열차에 설치되는 열차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역사 및 상기 열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징수설비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를 관제하는 통합관제장치; 및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역사 내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열차설비부는, 상기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및 상기 열차의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안내설비부는,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관제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역사 및 상기 열차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하며,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는, 상기 열차 이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차 요금이 징수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역사의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통화가능한 인터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폰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인터폰으로부터 기 설정 거리 내의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인터폰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열차와 상기 통합관제장치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열차의 행선지, 상기 열차의 현재위치 및 상기 열차의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안내설비부로 전송하며, 상기 안내설비부는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정보를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역사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역사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설비부는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이 기 저장된 이용객의 지문인 경우, 상기 요금징수설비부의 게이트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역사의 역무(驛務)기능을 수행하는 역무대행설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가 수행하는 역무기능은 매표기능, 역사 안내기능 및 안전재난 안내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통화가능한 통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화상통화 할 수 있도록 제 3 카메라 및 제 3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에서 상기 통합관제장치로 전송되는 제 1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상기 통합관제장치의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에서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로 전송되는 제 2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상기 제 2 데이터가 전송되는 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석하여, 상기 헤더와 페이로드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로토콜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제장치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역사의 구역별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열차의 구역별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방법은 역사설비부의 제 1 카메라가 승강장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가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역사설비부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고, 상기 열차설비부가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를 승객안내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승객안내설비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안내설비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심도 도시철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심도 도시철도의 설비들을 기능별로 통합하고 기능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설비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무인역사 운용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설비들을 하나의 관제장치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저심도 도시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사 내에 역사설비부의 인터폰과 제 1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사 내에 역사설비부의 인터폰 사용에 의해 제 1 카메라의 촬영영역이 전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열차에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 및 상태잠지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안내설비부가 승강장에 설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설비부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요금징수설비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역무대행설비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무대행설비부가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역사안내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통합관제장치의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역사정보와 열차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설비부,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및 통합관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심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저심도 도시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저심도 도시철도의 각 설비들이 개별관리시스템에 의해 각각 운용되었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어 많은 인력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은 역사설비부(100), 열차설비부(200), 안내설비부(300), 요금징수설비부(400), 역무대행설비부(500), 통합관제장치(600) 및 통신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역사설비부(100)는 역사(station)에 설치되어 역사 내의 상황 등을 통합관제장치(600)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장치(600)에 의해 제어되는 설비부로서, 제 1 카메라(110), 출입문(120) 및 인터폰(130) 등을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110)는 역사에 설치되어 역사 내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역사설비부(100)에 의해 제어되고, 역사 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는 역사설비부(100)와 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120)은 역사 자체의 출입문(120)으로서, 저심도 도시철도의 운행이 종료되는 시간동안 이용객 등이 역사 내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는 문이다. 출입문(120)의 개폐는 역사설비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인터폰(130)은 통합관제장치(600)와 통화할 수 있도록 역사 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인터폰(130)은 통합관제장치(600)를 사용하는 역무원을 호출하기 위해 호출 발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폰(130)은 이용객에게 문제가 생기거나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역무원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인터폰(130)은 음성신호만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통합관제장치(600)를 사용하는 역무원은 이용객이 처한 상황을 제대로 알기 힘들고, 장난전화의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1 카메라(110)의 동작이 역사설비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사 내에 인터폰과(130) 제 1 카메라(1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사 내에 인터폰(130) 사용에 의해 제 1 카메라(110)의 촬영영역이 전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카메라(110)와 인터폰(130)은 승강장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설치 장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역사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인터폰(130)이 사용되기 전에는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영역은 인터폰(13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도 4와 같이 인터폰(130)이 사용되거나 인터폰(130)의 호출 발생 버튼이 눌리면, 역사설비부(100)는 제 1 카메라(110)가 인터폰(130)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역사 내에 제 1 카메라(11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인터폰(130)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제 1 카메라(110)가 인터폰(130)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제 1 카메라(110)의 초점이 인터폰(130)을 사용하는 이용객에게 맞춰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인터폰(130) 주위의 제 1 카메라(110)가 복수개인 경우 인터폰(130)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되는 제 1 카메라(110)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카메라(110)가 제어되는 경우, 전술한 이용객의 상황 파악문제 및 장난전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차설비부(200)는 저심도 도시철도의 역사에 정차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열차의 상태 등을 통합관제장치(600)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장치(600)에 의해 제어되는 설비부로서, 제 2 카메라(210) 및 상태감지부(220) 등을 포함하여 제어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열차에 열차설비부(200)의 제 2 카메라(210) 및 상태감지부(22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카메라(210)는 열차의 각 객실에 설치되어 열차 내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열차설비부(200)에 의해 제어되고, 열차 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는 열차설비부(200)와 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태감지부(220)는 열차의 조종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열차의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열차설비부(200)로 전송하고 열차설비부(200)는 전송받은 정보를 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감지부(220)가 감지하는 정보는 열차의 행선지, 열차의 속도, 열차의 현재위치 및 열차의 도착예정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열차설비부(200)는 역사설비부(100)와 달리 움직이는 열차에 설치되므로 후술할 통신부(700)의 무선통신모듈(710)에 의해 통합관제장치(60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내설비부(300)는 역사에 설치되어 역사 및 열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통합관제장치(600)에 의해 제어되고, 제 1 음향출력모듈(310) 및 제 1 디스플레이부(320) 등을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안내설비부(300)는 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로부터 역사 및 열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음향출력모듈(310) 및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출력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안내설비부가 승강장에 설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설비부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안내설비부(30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장의 천장에 설치되거나, 역사 내의 벽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설비부(3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320)는 도 6a와 같이 진입하는 열차의 행선지와 현재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도 6b와 같이 이번열차와 다음열차의 행선지와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6c와 같이 이번열차의 객실별 혼잡도를 색깔로 나타낼 수 있다(빨간색은 혼잡, 노란색은 보통, 초록색은 비혼잡). 다만, 안내설비부(300)가 역사 및 열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및 방식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같은 정보를 제 1 음향출력모듈(310)을 이용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다.
안내설비부(300)는 전술한 열차정보뿐만 아니라 역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승강장의 위치별 혼잡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제장치(600)로부터 방송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및 방송을 제 1 음향출력모듈(3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요금징수설비부(400)는 역사에 설치되어 열차 이용 요금을 징수하는 구성으로서 통합관제장치(6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요금징수설비부(400)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요금징수설비부(400)는 요금징수부(410), 게이트(420) 및 지문인식모듈(430) 등을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요금징수부(410)는 이용요금을 징수하는 부분으로서, 교통카드 등이 접촉되어 열차 이용요금을 징수하는 부분이다. 또한, 게이트(420)는 요금이 징수되면 개방되고 요금이 징수되지 않으면 폐쇄되는 부분이다.
요금징수설비부(400)는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어른용 열차요금이 징수되었는지 어린이용 열차요금이 징수되었는지 여부, 열차 요금을 지불한 이용객의 수 등)을 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430)은 사람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문인식모듈(430)은 무임승차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지문인식 모듈이 지문을 인식하고, 요금징수설비부(400)는 인식된 지문이 기 저장된 이용객(노인, 장애인 등)의 지문인 경우, 요금이 별도로 지불되지 않더라도 게이트(4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역무대행설비부(500)는 역사에 설치되어 역사의 역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감소하는 역무원의 일을 대신하는 구성으로서 매표기능, 역사 안내기능, 안전재난 안내기능, 통합관제장치(600)와 통화기능 등을 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역무대행설비부(500)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도 8a를 참조하면, 역무대행설비부(500)는 통화장치(510), 제 3 카메라(520) 및 제 3 디스플레이부(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장치(510)는 통합관제장치(600)와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마이크(511)와 스피커(512)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3 카메라(520)는 통합관제장치(600)와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 3 카메라(520)는 역무대행설비부(500)의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역무대행설비부(500)와 역무통신부(700)를 통해 통합관제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 3 디스플레이부(530)는 역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제 3 디스플레이부(53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역무기능을 터치입력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역무기능 중 안내기능이 수행될 때 시각정보는 제 3 디스플레이부(530)에서 출력되고, 청각정보는 상기 통화장치(510)의 스피커(512)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역무대행설비부가 제 3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역사안내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역사 안내를 터치하면 역무대행설비부(500)는 역사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통합관제장치(600)로부터 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8b와 같이 제 3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역무대행설비부(500)는 역무기능 수행시 시각장애인을 위해 통화장치(510)의 마이크(511)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역무대행설비부(500)는 매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폐투입구, 표 출력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관제장치(600)는 역사설비부(100), 열차설비부(200), 안내설비부(300), 요금징수설비부(400) 및 역무대행설비부(500)를 관제하는 구성이다. 즉, 각 설비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각 설비부를 제어하여 각 설비부가 각 설비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합관제장치(600)는 각 설비부(100,200,300,400,5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 2 디스플레이부(6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통합관제장치(6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610)가 역사정보와 열차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디스플레이부(610)는 역사설비부(100)의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열차설비부(200)의 제 2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 열차설비부(200)의 상태감지부(220)가 감지한 정보 및 요금징수설비부(400)의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부(610)가 각종 정보를 표시할 때에는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 화면에 여러 가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 1 카메라(110)가 복수개인 경우 역사의 구역별로 복수의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고, 제 2 카메라(210)가 복수개인 경우 열차의 구역별로 복수의 제 2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제장치(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차설비부(200)로부터 열차의 상태감지부(220)가 감지한 열차의 주행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안내설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설비부(3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320)가 열차의 주행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역사의 구역별 혼잡도를 계산하고, 제 2 카메라(2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를 계산하여 통합관제장치(6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610)에서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내설비부(300)의 제 1 음향출력모듈(310) 및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역무기능을 수행하는 역무대행설비부(500)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700)는 통합관제장치(600)와 각 설비부(역사설비부(100), 열차설비부(200), 안내설비부(300), 요금징수설비부(400) 및 역무대행설비부(500))를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차는 이동하기 때문에 무선통신모듈(710)을 포함하여 열차설비부(200)와 통합관제장치(600)가 무선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무선연결은 열차설비부(200) 뿐만 아니라 다른 설비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기술로는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설비부(100,200,300,400,500)가 생성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은 각기 다를 수 있다. 종래에는 각 설비를 개별적으로 관리하였기 때문에 각 설비의 데이터 프로토콜이 다르다는 것이 문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통합관제장치(600)에서 모든 설비부(100,200,300,400,500)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부(700)는 인터페이스 미들웨어(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설비부,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및 통합관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720)는 각 설비부(100,200,300,400,500)와 통합관제장치(600) 사이에 위치하여 각 설비부(100,200,300,400,500)의 프로토콜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600)에서 사용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즉, 각 설비부(100,200,300,400,500)에서 생성한 데이터는 해당 설비부(100,200,300,400,500)의 프로토콜에 따르므로 이를 통합관제장치(600)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합관제장치(600)에서는 각 설비부(100,200,300,400,500)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통합관제장치(600)에서 각 설비부(100,200,300,400,50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인터페이스 미들웨어(720)는 표준 프로토콜 데이터를 해당 설비부(100,200,300,400,500)의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설비부(100,200,300,400,500)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터페이스 미들웨어(720)가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미들웨어(720)는 데이터의 헤더와 페이로드(실질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프로토콜 타입을 판단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들을 기초로 도 12를 참조하여 저심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심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역사설비부의 제 1 카메라가 승강장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가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한다(S110).
다음으로, 역사설비부가 제 1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고, 열차설비부가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한다(S120).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제 1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제 2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한다(S130).
역사설비부의 제 1 영상 데이터와 열차설비부의 제 2 영상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해 통합관제장치의 데이터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제 1 영상의 데이터 및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한다(S140).
다음으로, 통합관제장치가 제 1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승강장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제 2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한다(S150).
다음으로, 통합관제장치가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한다(S160).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제 1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제 2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를 승객안내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한다(S170).
S130단계에서 역사설비부와 열차설비부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 프로토콜을 변환한것과 마찬가지로 통합관제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승객안내설비부에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승객안내설비부로 전송한다(S180).
다음으로, 승객안내설비부가 제 1 혼잡도 및 제 2 혼잡도를 표시한다(190).
이 단계에서는 제 1 혼잡도 및 제 2 혼잡도를 표시할 때에는 구역별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역사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을 적용한 본 발명은 저심도 도시철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심도 도시철도의 설비들을 하나의 관리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무인역사 운용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설비들을 하나의 관제장치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역사설비부
110 : 제 1 카메라
120 : 역사의 출입문
130 : 인터폰
200 : 열차설비부
210 : 제 2 카메라
220 : 상태감지부
300 : 안내설비부
310 : 제 1 음향출력모듈
320 : 제 2 디스플레이부
400 : 요금징수설비부
410 : 요금징수부
420 : 게이트
430 : 지문인식모듈
500 : 역무대행설비부
510 : 통화장치
511 : 마이크
512 : 스피커
520 : 제 3 카메라
530 : 제 3 디스플레이부
600 : 통합관제장치
610 : 제 2 디스플레이부
700 : 통신부
710 : 무선통신모듈
720 :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Claims (18)

  1.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역사(station)에 설치되는 역사설비부;
    상기 역사에 정차하는 열차에 설치되는 열차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역사 및 상기 열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설비부;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열차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징수설비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를 관제하는 통합관제장치; 및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역사 내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열차설비부는,
    상기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및 상기 열차의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안내설비부는,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관제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역사 및 상기 열차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하며,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는,
    상기 열차 이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차 요금이 징수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열차 요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역사의 출입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통화가능한 인터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폰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역사설비부는 상기 인터폰으로부터 기 설정 거리 내의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인터폰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열차와 상기 통합관제장치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열차의 행선지, 상기 열차의 현재위치 및 상기 열차의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안내설비부로 전송하며,
    상기 안내설비부는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정보를 더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역사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역사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설비부는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이 기 저장된 이용객의 지문인 경우,
    상기 요금징수설비부의 게이트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역사의 역무(驛務)기능을 수행하는 역무대행설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가 수행하는 역무기능은 매표기능, 역사 안내기능 및 안전재난 안내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통화가능한 통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대행설비부는 상기 통합관제장치와 화상통화 할 수 있도록 제 3 카메라 및 제 3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에서 상기 통합관제장치로 전송되는 제 1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상기 통합관제장치의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통합관제장치에서 상기 역사설비부, 상기 열차설비부, 상기 안내설비부 및 상기 요금징수설비부로 전송되는 제 2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상기 제 2 데이터가 전송되는 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석하여, 상기 헤더와 페이로드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로토콜 타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장치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역사의 구역별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열차의 구역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16. 역사설비부의 제 1 카메라가 승강장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가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역사설비부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고, 상기 열차설비부가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를 승객안내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승객안내설비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안내설비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17.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역사설비부의 제 1 카메라가 승강장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가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역사설비부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고, 상기 열차설비부가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를 승객안내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승객안내설비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안내설비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역사설비부의 제 1 카메라가 승강장의 영상인 제 1 영상을 촬영하고, 열차설비부의 제 2 카메라가 열차 내의 영상인 제 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역사설비부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고, 상기 열차설비부가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를 통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1 혼잡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 2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열차의 구역별 혼잡도인 제 2 혼잡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제장치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의 프로토콜를 승객안내설비부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변환된 상기 제 1 혼잡도의 데이터 및 상기 제 2 혼잡도의 데이터를 상기 승객안내설비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안내설비부가 상기 제 1 혼잡도 및 상기 제 2 혼잡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60016A 2015-04-28 2015-04-28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67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16A KR101679636B1 (ko) 2015-04-28 2015-04-28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16A KR101679636B1 (ko) 2015-04-28 2015-04-28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56A true KR20160128556A (ko) 2016-11-08
KR101679636B1 KR101679636B1 (ko) 2016-11-29

Family

ID=5752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016A KR101679636B1 (ko) 2015-04-28 2015-04-28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69B1 (ko) 2018-10-30 2020-02-19 투아이시스(주)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231861B1 (ko) * 2020-01-30 2021-03-26 네이버시스템(주) 철도 통합 관제 방법 및 철도 통합 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69B1 (ko) 2018-10-30 2020-02-19 투아이시스(주)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231861B1 (ko) * 2020-01-30 2021-03-26 네이버시스템(주) 철도 통합 관제 방법 및 철도 통합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636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2579B (zh) 电梯系统、图像识别方法和运行控制方法
CN110342355A (zh) 一种智能楼宇电梯调度平台系统及其工作方法
JP5988472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混雑率算出方法
CN108597072B (zh) 一种基于双摄像头人脸锁的儿童监护管理方法及系统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10457306B2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platform dwell time of train
CN111583427A (zh) 基于端云的停车管理系统
KR20140096705A (ko) 버스 승하차 알림 장치 및 방법
AU2020239622B2 (en) Hybrid floor terminal for an elevator system
JP2019114110A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467624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CN104365029A (zh) 双通信接口设施监视与管理系统及方法
KR101679636B1 (ko) 저심도 도시철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0477262Y1 (ko) 정류장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내 탑승자 수 제공 시스템
KR20110075797A (ko) 지하철 환승역 기반의 승객 분산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5959120B2 (ja) エレベータ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
KR20160035274A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WO2019087242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KR102211855B1 (ko)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WO2015168976A1 (zh) 一种交通决策支持方法、装置及系统
WO2018018177A1 (zh) 无人驾驶汽车精确识别乘客系统
CN111614884A (zh) 人工智能摄像头及监控方法
KR10130059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KR102246925B1 (ko)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JP6068691B1 (ja) 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