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422A -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422A
KR20160128422A KR1020167029616A KR20167029616A KR20160128422A KR 20160128422 A KR20160128422 A KR 20160128422A KR 1020167029616 A KR1020167029616 A KR 1020167029616A KR 20167029616 A KR20167029616 A KR 20167029616A KR 20160128422 A KR20160128422 A KR 2016012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information
imaging
infrared cut
optical pa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219B1 (ko
Inventor
미츠오 니이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2)와, 촬상소자(6)와,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을 삽입/이탈하는 IRCF구동회로(24)와, IRCF(4)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와 IRCF(4)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촬상장치가, IRCF(4)을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IRCF(4)을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또는 해당 삽입 및 해당 이탈의 양쪽의 경우에, 통신회로(14)에서 수신된 부가 정보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통신회로(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IMAGING DEVICE, CLIENT DEVICE,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OF CLI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필터를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삽입/이탈하는 촬상장치, 해당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 및 해당 촬상장치와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로 구성된 촬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해당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차단 필터를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삽입/이탈하고, 가시광으로 촬영(가시광 촬영과 적외선으로 촬영(적외선 촬영)을 행할 수 있는 촬상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적외선 차단 필터를 촬상광학계의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에 가시광 촬영을 행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를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촬영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해당 촬상장치 자신이 외부 환경의 휘도를 판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의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의 삽입/이탈을 제어한다(특허문헌1).
또한, 네트워크 기술이 급속하게 보급되므로, 해당 촬상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서,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촬상장치를 제어하고 싶다고 하는 유저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그 니즈는, 적외선 차단 필터의 촬상광학계 광로에/로부터의 삽입/이탈 제어도 포함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를 촬상광학계 광로에/로부터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가 자동 제어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 가능하게 하는 유저의 요구들이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107355호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가 자동으로 행하도록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촬상장치가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자동 제어하게 하는 설정을 위해, 외부 환경의 휘도 레벨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지연시간을 부가적으로 설정하는 유저 니즈도 생각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 유저는,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대한 자동 제어 설정시에, 부가 정보로서, 외부 환경의 휘도의 레벨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지연시간에 관한 자동 제어를 설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유저의 조작이 번잡해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를 조작하는 유저는, 외부 환경의 휘도의 레벨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지연시간 등의 부가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유저의 조작이 번잡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해당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파악하고,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된 촬상장치이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해당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에 파악시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해당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파악시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 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유저가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촬상장치; 및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유저가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 시스템은,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촬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상기 촬상장치는,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상기 촬상 시스템은,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유저가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 모드를 흑백 모드와 컬러 모드 사이에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변경부에서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유저가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를 증가시키도록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유저가 정보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된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삽입에 관한 조정 정보와 상기 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해당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파악하고, 따라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해당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에 파악시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촬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를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해당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파악시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촬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촬상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부가정보로서, 상기 외부 환경의 휘도 레벨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지연시간에 대한 설정의 필요성을 감소시키므로, 유저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시간별 휘도를 나타내는 천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메시지 시퀀스 차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의 GUI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9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e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f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g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와 촬상장치가 송신하는 리스폰스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와 촬상장치가 송신하는 리스폰스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코맨드의 상세한 구성 예와 촬상장치가 송신하는 리스폰스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의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에 의한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에 의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 발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감시 카메라이며, 더 상세하게는, 감시에 사용된 네트워크 카메라인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2는 촬상광학계, 4는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이하, IRC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6은 촬상소자, 8은 영상신호 처리회로, 10은 부호화회로, 12는 버퍼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참조부호 14는, 통신회로(이하, I/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16은 통신 단자, 18은 휘도측정 회로, 20은 판정 회로, 22는 계시회로, 24는 적외선 차단 필터 구동회로(이하, IRCF구동회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한층 더, 도 1에 있어서의 참조부호 26은, 중앙처리회로(이하, CPU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참조부호 28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이하, EEPROM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촬상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선은, 촬상광학계(2)와 IRCF(4)를 통하여, 촬상소자(6)에 입사되어 광전변환된다. 적외선을 차단하는 IRCF(4)는, IRCF구동회로(24)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촬상광학계(2)와 촬상소자(6)와의 사이의 광로에 삽입되고 이 광로로부터 이탈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IRCF구동회로(24) 및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상기 구동기구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RCF(4)가 해당 광로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상의 촬영(가시광 촬영)이 행해지고, IRCF(4)가 해당 광로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경우에는, 적외선 촬영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소자(6)는, 전하결합형 소자(CCD)나 상보적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소자(6)는, 촬상광학계(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해서 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촬상부에 해당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통상의 촬영(가시광 촬영)이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IRCF(4)을 통하여, 촬상소자(6)에 입사되어서 촬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적외선 촬영이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IRCF(4)을 통하지 않고, 촬상소자(6)에 입사되어서 촬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외선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컬러 밸런스가 무너진다. 이 때문에, CPU(26)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흑백영상신호로 변환해서, I/F(14)가 송신하게 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의 촬영 모드는, 흑백 모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통상의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색채재현을 중시한다. 이 때문에, CPU(26)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컬러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I/F(14)가 송신하게 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의 촬영 모드는, 컬러 모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CPU(26)의 지시에 응답하여, 영상신호 처리회로(8)로부터는, 휘도신호만이 부호화회로(10)에 출력된다. 부호화된 휘도신호는 버퍼(12)에 출력되어, I/F(14)로 패킷화가 되고, 통신 단자(16)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도 1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송신된다.
한편, 통상의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CPU(26)의 지시에 응답하여, 영상신호 처리회로(8)로부터는, 휘도신호와 색차신호가 부호화회로(10)에 출력된다. 부호화된 영상신호는, 마찬가지로 버퍼(12), I/F(14), 및 통신 단자(16)를 통해 외부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통신 단자(16)는, 예를 들면, LAN케이블이 접속되는 단자(LAN단자)로 구성된다.
I/F(14)에는, 외부 클라이언트로부터, IRCF(4)의 삽입/이탈에 관한 설정 코맨드가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 및 외부 클라이언트는, 촬상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외부 클라이언트가, IRCF(4)을 상기 광로에의 삽입 지시 코맨드를 송신했을 경우, 해당 코맨드는, I/F(14)에서 적절한 패킷 처리로 처리되어, CPU(26)에 입력된다. 해당 삽입 지시 코맨드는, CPU(26)로 해독된다. CPU(26)는, IRCF구동회로(24)를 통하여, IRCF(4)를 상기 광로에 삽입한다.
이 삽입 지시 코맨드는, 예를 들면, (후술의)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으 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다.
이 외부 클라이언트가, 상기 광로로부터의 IRCF이탈 지시 코맨드를 송신했을 경우, 마찬가지로, 해당 코맨드는 I/F(14)에서 적절한 패킷 처리로 처리되어, CPU(26)에 입력된다. 해당 이탈 지시 코맨드는 CPU(26)로 해독되고, CPU(26)는, IRCF구동회로(24)를 통하여, IRCF(4)을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클라이언트는, 상기 IRCF(4)의 광로로부터의 이탈을,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가 결정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송부할 수 있다. 해당 코맨드는, 예를 들면 Auto설정의 코맨드라고 불린다.
또한, 이 Auto설정의 코맨드(Auto설정 코맨드)는, 예를 들면, (후술의)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IRCF의 삽입/이탈에 관한 생략 가능한 동작 파라미터를 부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략 가능한 파라미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피사체의 휘도(피사체 휘도)의 변화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가 상기 IRCF를 광로에 삽입할지 또는 광로로부터 이탈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휘도 역치다.
이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는, 예를 들면, (후술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다. 또한, 이 휘도 역치(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후술의) BoundaryOffset필드의 값이다.
해당 파라미터가, 상기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존재했을 경우, 도 1의 CPU(26)는, 해당 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휘도측정 회로(18)에서는, 영상신호 처리회로(8)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에 근거하여, 현재의 피사체 휘도를 측정해서 판정 회로(20)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휘도측정 회로(18)는, 피사체 휘도를 측광하도록 구성된 측광부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CPU(26)는,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역치정보의 값에 휘도역치 파라미터를 가산함으로써 역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EEPROM(28)은, 복수의 역치정보와, 이것들 복수의 역치정보에 각각 관련된 휘도역치 파라미터를 기억하기도 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의 CPU(26)는, 예를 들면, 휘도역치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역치정보를 EEPROM(28)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역치정보에 의해 표시된 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하여도 된다.
판정 회로(20)는, 상기 설정된 휘도역치와 휘도측정 회로로부터 출력된 현재의 휘도값을 비교하고, 판정 결과를 CPU(26)에 출력한다. 현재의 휘도값이 역치를 상회하고 있는 판정 결과이었을 경우, CPU(26)는, IRCF(4)를 광로에 삽입하고, 통상의 촬영을 행한다. 한편, CPU(26)에 입력된 판정 결과가, 현재의 휘도값이 역치이하라고 하는 판정 결과이었을 경우, CPU(26)는 IRCF(4)을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해서 적외선 촬영을 행한다.
상기 생략 가능한 피사체 휘도역치의 파라미터가, 상기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역치정보에 근거해 상기의 역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역치는, 예를 들면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CPU(26)는, 해당 역치를 EEPROM(28)로부터 판독해서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CPU(26)는,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휘도역치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휘도역치 파라미터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더 상세하게는, CPU(26)는, (후술의)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후술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가 포함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Adjustment필드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역치정보등의 데이터는, 제어 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역치정보는, 소정의 역치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Auto설정 코맨드에 있어서의 그 밖의 생략 가능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IRCF(4)의 삽입/이탈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시간이어도 된다. 해당 파라미터가, 상기한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존재했을 경우, CPU(26)는, 해당 지연시간 파라미터를 계시회로(22)에 설정한다. 이 지연시간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후술의) ResponseTime필드다.
계시회로(22)는, 시간을 계측하고,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시간경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CPU(26)에 출력한다. 해당 시간경과 신호가 입력된 CPU(26)는, IRCF구동회로(24)를 통해 IRCF(4)를 삽입/이탈한다.
상기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상기한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지연시간정보에 근거해 그 지연시간을 결정한다.
해당 지연시간은,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CPU(26)는, 해당 지연시간을 EEPROM(28)으로부터 판독해서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또한, 해당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상기한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즉시, IRCF의 삽입/이탈을 행하여, 그 지연시간은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CPU(26)는, Auto설정 코맨드내의 옵션 필드에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지연시간 파라미터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더 상세하게는, CPU(26)는, (후술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 ResponseTime필드가 포함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ResponseTime필드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상기의 IRCF(4)를 광로에 삽입/이탈하기 위한 코맨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오픈 네트워크 비디오 인터페이스 포럼(이하, ONVI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규격에 근거해서 정해져 있다. ONVIF규격에서는, 예를 들면, XML 스키마 정의 언어(이하, XS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사용해서 상기 코맨드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상기 ONVIF규격의 네트워크 비디오 트랜스미터(이하, NVT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 동작한다. 즉,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ONVIF사양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상기 XSD에 따라 상기 코맨드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정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서는, IrCutFilterMode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가, 데이터형 ImagingSettings(20)내에 정의된다. IrCutFilterMode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는, IrCutFilterMode형을 가지는 데이터이며, 해당의 데이터형은 도 2b에서 정의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Mode형은, ON, OFF, 또는 AUTO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취할 수 있는 데이터형이다.
또한, 도 2c는, IrCutFilterAutoAdjustment형의 IrCutFilterAutoAdjustment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데이터는, 상기 IrCutFilterMode형이 AUTO의 값을 가질 경우에, 옵션 필드에 설정된다. 이 데이터는, 예를 들면, 데이터형 ImagingSettings(20)내에 정의된다.
도 2d는, 상기 IrCutFilterAutoAdjustment형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해당 데이터형은, XSD의 complexType선언에 따라 복잡형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해당 데이터형 예에서는, sequence지정자에 의해 정의된 순서로 요소들이 출현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IrCutFilterAutoAdjustment형에 있어서, 제1요소인 BoundaryType는, (후술의) IrCutFilterAutoBoundaryType형을 가지는 데이터다. 해당 데이터 BoundaryType는, 반드시 한 개가,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형내에 출현되어야 한다.
다음 요소는, BoundaryOffset이며, 해당 데이터가 XSD에 있어서의 Primitive Datatype에 정의되어 있는 float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데이터형인 것을 가리킨다. 해당 BoundaryOffset는, 상기 휘도역치 파라미터다. 해당 데이터BoundaryOffset는, XSD의 minOccurs지정자에 의해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BoundaryOffset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설정 가능한 휘도역치의 범위를,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0으로부터 -1.0까지)의 값으로, 정규화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0(제로)의 상기 BoundaryOffset가 소위 디폴트 값을 나타내고, -1.0의 상기 BoundaryOffset가 가장 낮은 휘도값을 나타낸다. 또한, 1.0의 상기 BoundaryOffset가 가장 높은 휘도값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BoundaryOffset는, 휘도에 관한 휘도정보에 해당한다.
3번째의 요소는, ResponseTime이며, XSD에 있어서의 Primitive Datatype에 정의되어 있는 duration시간 간격 데이터형이다. 해당 데이터 ResponseTime도, XSD의 minOccurs지정자를 사용하여서 생략되어도 된다. 해당 데이터 ResponseTime은, 상기 지연시간 파라미터를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BoundaryOffset과 ResponseTime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의 삽입/이탈에 관한 부가 정보에 해당한다.
도 2e는, 상기한 IrCutFilterAutoBoundaryType형의 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해당 데이터형은, XSD의 simpleType선언에 따라 단순형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해당 데이터형에서는, restriction지정자에 의해 값이 제한된 문자열형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IrCutFilterAutoBoundaryType형에서는, 도 2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값이, Common, ToOff, ToOn, 및 Extended의 값을 취할 수 있는 문자열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IRCF의 삽입/이탈을 제어하기 위한 Auto설정 코맨드에, 옵션의 파라미터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옵션들이 제공되어도 된다.
옵션 1: 피사체 휘도가 고휘도로부터 저휘도로 변화되었을 경우에, IRCF를 이탈하기 위한 휘도역치
옵션 2: 피사체 휘도가 고휘도로부터 저휘도로 변화되는 동안, 상기 피사체 휘도가 상기 옵션 1의 휘도역치를 하회하고 나서, 실제로 IRCF를 이탈하는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의 지연시간
옵션 3: 피사체 휘도가 저휘도로부터 고휘도로 변화되었을 경우에, IRCF를 삽입하기 위한 휘도역치
옵션 4: 피사체 휘도가 저휘도로부터 고휘도로 변화되는 동안, 상기 피사체 휘도가 상기 옵션 3의 휘도역치를 상회하고 나서, 실제로 IRCF를 삽입하는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의 지연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XSD를 사용한 데이터 정의에 의해, 전술의 Auto설정 코맨드에 있어서의 상기의 옵션 1 내지 옵션 4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ONVIF규격에 의하면, 상기의 Auto설정 코맨드는, 예를 들면, SetImagingSettings코맨드로서 발행된다.
도 3a 내지 3f는,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상기 옵션 필드를 포함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있어서,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되어 있으므로, IRCF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지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는, IRCF구동회로(24)에 의한 IRCF(4)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의 경우, 그 후에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기술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는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의 내부에는, BoundaryType필드,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가 기술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상기 BoundaryType필드는, IRCF의 삽입 및 이탈 중 한쪽이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로 지정된 동작을 유효하게 하는 것인지를, 지정할 수 있다.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n의 경우, IRCF가 삽입될 때 동작이 유효해진다.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ff의 경우, IRCF가 이탈될 때 동작이 유효해진다.
한층 더,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의 경우, 삽입과 이탈의 양쪽의 경우에, 그 동작이 유효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에 따라 휘도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ResponseTime필드에 따라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BoundaryType필드는, I/F(14)에서 수신된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를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에 해당한다. 그 동작 정보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를 이탈하는 경우, 및 해당 삽입 및 해당 이탈의 양쪽의 경우 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 3b는, 상기 BoundaryType필드가 ToOn의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IRCF가 삽입될 때에,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 있어서의 BoundaryOffset의 값과, ResponseTime의 값이 유효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에 따라 휘도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ResponseTime필드에 의해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도 3c는, 상기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의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IRCF의 삽입 및 이탈 양쪽의 경우에, 상기 BoundaryOffset의 값 및 상기 ResponseTime의 값이 유효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에 따라 휘도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ResponseTime필드에 의해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도 3d는, 상기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생략했을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다음과 같은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 모든 IRCF삽입/이탈의 제어를 해당 촬상장치 자신이 결정한다. 상기 코맨드는,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가 생략된 IRCF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SetImagingSettings코맨드다.
도 3e는, 상기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일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f는, 상기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FF일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e 및 도 3f의 경우,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휘도역치와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설정되었을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101은, 피사체 휘도의 시간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102는 IRCF(4)을 삽입하기 위한 휘도역치, 103은 IRCF(4)를 이탈하기 위한 휘도역치다. 도 4는, 해질 무렵의 시간대등과 같이, 피사체 휘도가 시간적으로 저하되어 가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휘도역치의 값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대해 설정가능한 휘도역치를, -1.0로부터 1.0까지의 값으로 정규화해서 표현된다. 따라서, 해당 휘도역치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1.0로부터 1.0까지의 범위의 값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피사체 휘도가 저하해서 IRCF(4)를 이탈하기 위한 휘도역치(103)를 하회하면, CPU(26)는 계시회로(22)에 지연시간을 설정해서 시간 측정 동작을 시작한다. 도 4에서는, 점A에 있어서 피사체 휘도가 휘도역치(103)를 하회한다. 이때의 시각은 t1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26)는, 계시회로(22)에서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IRCF(4)을 이탈시키지 않는다. 이 동작에 의해, 피사체 휘도가 휘도역치(103)와 자주 교차할 때도, 통상의 촬영과 적외선 촬영간에 자주 전환하지 않는다. 그 후에, 해당 지연시간이 경과해서 시각t2에 도달하면, CPU(26)는 IRCF(4)을 이탈해서 적외선 촬영에 이행시킨다. 이 때의 피사체 휘도값은, 예를 들면 점B와 같이 휘도역치(103)를 안정적으로 하회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해당 동작은, 형광등등 조명에 의한 플리커의 영향이 있는 경우에도, 같게 행해진다.
이 동작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IRCF(4)의 삽입/이탈에 관련되는 상세한 설정을, 유저가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동작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역치부근이었을 경우에도, IRCF(4)의 삽입/이탈이 빈번히 행해지는 것을 막는다. 또한, 이 동작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의 플리커로 인해 촬상 피사체의 휘도값이 변화될 경우에도, IRCF(4)의 삽입/이탈이 빈번히 행해지는 것을 막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 휘도역치의 값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대해 설정 가능한 휘도역치를, -1.0로부터 1.0까지의 값으로 정규화되어서, 외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설정된다. 그렇지만, 외부 클라이언트의 결함 때문에, 상기의 범위외의 수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의 범위외의 수치가 설정되었을 경우, 설정 가능한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서 상기 수치를 둥글게 해서 설정한다.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으로서 -1.0보다 작은 값, 예를 들면 -2.5를 수신했을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해당 BoundaryOffset값을 -1.0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으로서 1.0보다도 큰 값, 예를 들면 3.1을 수신했을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해당 BoundaryOffset값을 1.0으로서 사용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으로서, 설정 가능한 범위외의 값이 설정되었을 경우, 설정 가능한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서 상기 값을 둥글게 한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외부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대하여 에러를 되돌려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로부터 되돌려진 SetImagingSettingsResponse에는, 상기 BoundaryOffset값이 부정한 것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코드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BoundaryOffset값이 부정한 것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코드가 기술된 SetImagingSettingsResponse는, 에러 정보에 해당한다. 에러 정보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대한 회신이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전형적인 코맨드 및 리스폰스의 송/수신 동작(코맨드 트랜잭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는, ITU-T Recommendation Z.120규격으로 정의된 메시지 시퀀스 차트를 사용해서 상기 코맨드 트랜잭션을 기술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는,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로 접속가능한 것으로 한다.
최초에, 도 5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클라이언트는 전술한 IRCF의 설정을 행하는 코맨드(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서 동작한다. 클라이언트는, GetServices코맨드를 촬상장치에 송신하고, Imaging Service의 유무를 조사한다. 도 5에서는, GetServicesResponse는, 해당 촬상장치가 Imaging Service를 서포트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그 후에, 클라이언트는, IRCF의 설정 가능한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조사하기 위해서, GetVideoSources코맨드를 송신한다.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GetVideoSourcesResponse로 상기 토큰을 되돌린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상기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포함하는 GetOptions코맨드를, 촬상장치의 Imaging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이것은, 상기의 IRCF의 설정을 행하는 코맨드의 유무, 및 IRCF의 설정을 행하는 코맨드에 관한 옵션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IrCutFilter필드와 그 옵션을 포함하는 GetOptionsResponse를 클라이언트에 되돌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GetOpsions코맨드 및 GetOptionsResponse는, 상기의 동작 정보에 해당하는 BoundaryType필드를,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현재의 IRCF의 상태를 문의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포함하는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의 Imaging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G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GetImagingSettingsResponse를 되돌린다. 상기 리스폰스는, 현재의 IRCF의 상태를, IrCutFilter필드 및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 포함시킨 GetImagingSettingsResponse다. 이 응답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현재의 촬상장치의 상태를 검지한다. 도 5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IRCF(4)는 광로에 삽입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GetImagingSettingsResponse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이 삽입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이 이탈되어 있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삽입/이탈상태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IRCF의 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포함하는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의 Imaging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클라이언트는 IrCutFilter필드에 AUTO의 값을 설정하고, 또한,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설정해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송신한다. 도 5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해당 SetImagingSettings코맨드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인수를 생략한 SetImagingSettingsResponse를 클라이언트에 되돌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내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서는, BoundaryOffset필드에 휘도역치를 설정할 수 있고, ResponseTime필드에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서는,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도 생략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해당 SetImagingSettings코맨드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므로, IRCF의 삽입/이탈제어를 해당 촬상장치가 결정하는 Auto설정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대해서,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IRCF의 제어를 Auto설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현재의 IRCF의 상태에 의하지 않고, IRCF의 설정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 GetImagingSettings코맨드와 GetImagingSettingsResponse의 코맨드 트랜잭션은 생략되어도 된다.
그 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클라이언트의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의 구성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참조부호 301은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타입 선택 페인(pane), 303은 Common선택 체크 박스, 305는 ToOn선택 체크 박스, 307은 ToOff선택 체크 박스다. 또한, 참조부호 309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 311은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 315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 317은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이다.
한층 더, 참조부호 319는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 321은 제1 지연시간설정 스케일, 323은 제2 지연시간설정 스케일, 325는 설정 버튼, 327은 캔슬 버튼이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의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315)에 있어서, 세로축은 휘도값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6a 및 도 6b의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315)에 있어서, 가로축상(시간축상)의 값은 휘도값 0(제로)을 나타내고, 상한값은 정규화된 휘도값 1.0을 나타내고, 또한, 하한값은 정규화된 휘도값 -1.0을 나타낸다. 또한, 도 6a 및 도 6b의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315)에 있어서, 좌측 한계는 지연시간 0(제로)을 나타낸다.
도 6a는, 휘도역치와 지연시간 파라미터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이탈과 삽입의 양쪽에 사용하는 경우의, 외부 클라이언트의 GUI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a는, 상기 BoundaryType필드에 Common을 설정하고 상기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시킬 경우에 사용된 GUI의 구성 예다.
도 6a에 있어서는, 유저에 의해,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체크되어 있다. 이 경우, 휘도역치, 및 지연시간 파라미터는, 적외선 차단 필터의 이탈과 삽입의 양쪽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및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은, 그레이아웃되어, 유저가 조작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및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은, 설정될 수 없다.
도 6a에 있어서,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BoundaryOffset의 값을 설정한다. 유저가,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을 조작하면,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에 상당한 부분(Common상당부)의 값이 그에 따라서 변화된다. 또한, 유저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직접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유저가,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 수치 박스에 수치를 입력하면, 이에 따라,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는, 설정하는 BoundaryOffset의 값을,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의 위치를 참조하여 대략 파악할 수 있다. 또한,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표시된 수치를 참조하여, 유저는 설정하는 BoundaryOffset의 값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a에 있어서,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을 가로축상(시간축상)에 배치하고, 설정 버튼(325)을 누르면,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BoundaryOffset필드를 생략하고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한다. 마찬가지로,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의 Common상당부에, 0(제로)을 입력하고 설정 버튼(325)을 누르면, BoundaryOffset필드를 생략한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을 가로축상(시간축상)에 배치함에 의해, 유저가 BoundaryOffset필드의 생략을 지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 상에, 별도의 GUI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나서서, BoundaryOffset필드의 생략을 지시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BoundaryOffset필드 생략용 체크 박스가 GUI에 배치되어도 되고, 유저가 해당 체크 박스를 체크한 경우에는, BoundaryOffset필드의 생략이 지시되어도 좋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을 좌우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ResponseTime의 값을 설정한다. 도 6a에 있어서, 유저가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을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면,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내의 Common상당부에 표시된 시간이 변경된다. 또한, 유저가,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내의 Common상당부에, 직접 시간을 입력하면, 해당 설정 값에 따라,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이 좌우로 이동한다.
도 6a에 있어서,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을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315)의 좌단에 배치하고 설정 버튼(325)을 누르면,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한다. 이 코맨드는, ResponseTime필드를 생략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다.
마찬가지로,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의 Common상당부의 모든 수치 박스에, 0(제로)을 입력하고 설정 버튼(325)을 누르면, ResponseTime필드를 생략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을,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페인(315)의 좌단에 배치함에 의해, ResponseTime필드의 생략을 지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다른 GUI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나서, ResponseTime필드의 생략을 지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ResponseTime필드 생략용 체크 박스를 GUI에 배치해두고, 유저가 해당 체크 박스를 체크한 경우에는, ResponseTime필드의 생략을 지시해도 된다.
도 6b는, 적외선 차단 필터의 이탈 및 삽입에 상이한 휘도역치와 지연시간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외부 클라이언트의 GUI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상기 BoundaryType필드에 ToOn 및 ToOff를 설정하고,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발행시킬 경우에 사용된 GUI의 구성 예다.
도 6b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가 체크되어 있다. 이 경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시에는,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로 설정되는 휘도역치 파라미터와,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로 설정되는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또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이탈시에는,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로 설정되는 휘도역치 파라미터와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로 설정되는 지연시간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b에서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가 체크되어 있으므로, 다음 스케일이 유효가 된다. 특히, 그 유효 스케일은,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이다.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만이 체크되어 있을 경우,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 및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이 유효가 된다. 이 경우,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및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은 그레이아웃되어, 유저가 선택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만이 체크되어 있을 경우,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및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이 유효가 된다. 이 경우,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 및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은 그레이아웃되어, 유저가 선택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와,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는, 동시에 선택될 수 없다.
예를 들면,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를, 유저가 선택할 수 없다. 또한, ToOn선택 체크 박스(305)와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 유저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를 선택할 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는, G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Response에 따라, GUI를 갱신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클라이언트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의 표시에 앞서서,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전술한 VideoSourceToken과 함께, 설정 대상이 되는 촬상장치에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해당 G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대하여, GetImagingSettingsResponse를 되돌린다. 이 GetImagingSettingsResponse는, 현재의 IRCF의 상태를 IrCutoFilter필드 및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 포함시킨 리스폰스다.
상기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에는,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대해서, 현재의 BoundaryType값, 현재의 BoundayOffset값, 및 현재의 ResponseTime의 값이 기술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는, 상기 BoundaryType값에 따라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와,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의 표시를 결정한다. 상기 BoundaryType의 값이 Common일 경우,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체크된다. 상기 BoundaryType에 ToOn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ToOn선택 체크 박스(305)가 체크된다. 상기 BoundaryType에 ToOff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ToOff선택 체크 박스(307)가 체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는, 상기 BoundaryType에 대응한 BoundayOffset값, 및 ResponseTime의 값에 의거하여 다음의 스케일들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특히, 그 스케일들은,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 및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유저가, 캔슬 버튼(327)을 누르면,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동작은 종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는, IRCutFilter필드와 그 옵션을 포함하는 GetOptionsResponse를 외부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이 송신된 GetOptionsResponse에 따라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도록, 외부 클라이언트를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장치로부터 수신한 GetOptionsResponse에 BoundaryType로서 Common이 포함될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GUI(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그 인터페이스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체크된 상태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다.
또한, 촬상장치로부터 수신한 GetOptionsResponse에 BoundaryType으로서 ToOn과 ToOff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그 인터페이스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가 체크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7에 있어서, 참조부호 408은 입력부, 414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이하, I/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416은 인터페이스 단자, 422는 표시부, 426은 중앙처리 유닛(이하, CPU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428은 메모리다.
도 7에 나타낸 클라이언트 장치는, 범용 컴퓨터, 또는 전형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다. 입력부(408)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표시부(422)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음극선관(이하, CRT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장치등이 사용된다.
전술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상기 표시부(422)에 표시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유저는, 상기 입력부(408)를 통하여, 도 6a 및 도 6b에 표시된 GUI를 조작한다. 상기 CPU(426)는 해당 GUI를 표시하고, 입력부(408)에서의 유저 조작의 검출을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CPU(426)에 있어서의 연산의 중간결과와, 후에 참조가 필요한 데이터 값은, 메모리(428)에 일시 기억되어, 참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작에 의해, 전술한 외부 클라이언트의 동작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를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BoundaryType필드를, 이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했다.
예를 들면,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도록 설정할 때에, 외부 환경의 휘도의 레벨과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지연시간등의 부가 정보가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는 부가 정보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설정된 촬상장치가 상정된다. 이 부가 정보는, 촬상광학계의 광로에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하는 경우 및 촬상광학계의 광로로부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이탈하는 경우의 양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촬상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이 양쪽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부가 정보를 설정하는 것은, 불충분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상이한 부가 정보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개별적으로 설정된 촬상장치가 상정된다. 이 부가 정보는, 촬상광학계의 광로에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하는 경우에 사용된 부가 정보와 촬상광학계의 광로로부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이탈하는 경우에 사용된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정에서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조작하는 유저는, 접속처로서 촬상장치에 의해 부가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 것인지를 거의 이해하지 못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조작성이 좋지 않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를 촬상장치가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BoundaryType필드를, 이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처인 촬상장치가 BoundaryOffset필드나 ResponseTime필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클라이언트 장치는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으로 설정된 SetImagings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으로 설정된 SetImagingsSetting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제1 게인으로서 파악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으로 설정된 SetImagingSett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제1 휘도의 레벨이 되게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FF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FF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제2 게인으로서 파악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2 게인은, 제1 게인보다도 작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으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가 출력한 영상신호가 제2 휘도의 레벨이 되게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1 휘도의 레벨은, 제2 휘도의 레벨보다도 높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를 삽입/이탈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한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촬상소자(6)가 출력한 영상신호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화상처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 입력부(408) 및 표시부(422)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는, 다음과 같은 선택부에 해당한다. 즉, 선택부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에 대응한 자동조정 정보와 이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응한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거나, 또는 이것들 양쪽의 경우에 대응한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한지를 선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는,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는,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의 데이터다.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은, XSD의 complexType선언에 따라 복잡형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은, 그 요소가 정의된 순서로 출현하도록(기술되도록), sequence지정자에 의해 지정된다.
예를 들면,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의 제1요소는, IrCutFilterAutoBoundaryType형의 BoundaryType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다.
또한,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의 제2요소는, float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데이터형의 BoundaryOffset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다. 이 데이터의 값의 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한층 더,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의 제3요소는, XSD에 있어서의 Primitive Datatype에 의해 정의된 duration시간간격 데이터형의, ResponseTime라고 하는 이름을 갖는 데이터다.
또한,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형에 있어서의 제2요소 및 제3요소는, XSD의 minOccurs지정자로 지정될 때, 생략되어도 된다.
한층 더,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포함하는 GetOptions코맨드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그 동작은,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GetOptionsResponse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클라이언트에 되돌려 놓는(송신하는) 중이다.
또한, 비디오 소스를 나타내는 토큰을 포함하는 G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촬상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그 동작은,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라고 하는 이름을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GetImagingSettingsResponse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클라이언트에 되돌려 놓는(송신하는) 중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BoundaryType필드의 값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의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로 설정되어 있다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는,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의 BoundaryType필드의 값에 "ToOn"로 설정되어 있다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는,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n"으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의 BoundaryType필드의 값에 "ToOff"로 설정되어 있다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는,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ff"로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BoundaryOffset 및 ResponseTime는, 자동조정 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체크(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불가능하게 하고,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가 체크(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거나, 입력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ToOff선택 체크 박스(307)가 체크(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GUI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에 대응하는 자동조정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거나, 입력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는, 예를 들면, Auto모드에서만 사용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전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선택적 파라미터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BoundaryType는, 예를 들면, BoundaryOffset과 ResponseTime 등의 파라미터가 어느 경계에서 사용되는 것인지를 특정한다. 특정되는 경계는, 예를 들면, 적외선 차단 필터를 자동으로 바꾸기 위한 경계다. BoundaryType의 값 "Common"은, 적외선 차단 필터를 유효하게 자동으로 바꿀 경우의 경계와, 적외선 차단 필터를 무효로 자동으로 바꿀 경우의 경계에도, 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BoundaryType의 값 "ToOn" 및 "ToOff" 각각은, 적외선 차단 필터를 유효하게 자동으로 바꾸기 위한 경계, 및 적외선 차단 필터를 무효로 자동으로 바꾸기 위한 경계 중 한쪽에, 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BoundaryOffset필드는, 예를 들면, 적외선 차단 필터의 유효(On)/무효(Off)를 바꾸기 위한 경계노광 레벨을 조정한다. 이 BoundaryOffset필드의 값은, 예를 들면, -1.0로부터 +1.0까지 정규화된 값이며, 단위는 없다. 한층 더, BoundaryOffset필드의 값은, 0이 초기값이며, 또한, -1.0이 가장 낮고(가장 어둡고), +1.0이 가장 높다(가장 밝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ResponseTime필드는, 예를 들면, 경계노광 레벨을 가로지른 후의, 적외선 차단 필터의 유효(On)/무효(Off)를 바꾸기 위한 지연시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ONVIF규격의 Network Video Receiver(이하, NVR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 동작한다. 즉, 본 실시예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ONVIF사양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대신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1 게인으로 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대신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2 게인으로 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2 게인은, 제1 게인보다도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함과 아울러,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1 게인으로 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함과 아울러,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2 게인으로 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대신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제1 휘도(의 레벨)가 되도록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대신에,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제2 휘도(의 레벨)가 되도록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1 휘도는, 제2 휘도보다도 높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함과 아울러,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제1 휘도(의 레벨)가 되도록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함과 아울러,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제2 휘도(의 레벨)가 되도록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의 GetOptionsResponse를 클라이언트 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GUI를 표시부(422)에 표시시키도록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즉, 도 5에 있어서,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n"또는/및 "ToOff"로 설정된 GetOptionsResponse를 클라이언트 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도 6b에 나타낸 GUI를 표시부(422)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G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설정 버튼(325)이 눌렸을 경우에는, 도 5에 있어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송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G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설정 버튼(325)이 눌렸을 경우에는, 도 5에 있어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에 대하여 스테핑 모터등의 동력원을 추가하고, 추가한 동력원은 촬상광학계(2)를 팬(pan) 방향 또는 틸트 방향으로 회전해도 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에 대하여, 반구형 모양으로 형성된 돔 커버를 추가해도 된다. 이 돔 커버는, 투명성을 가지고, 반구형 모양을 갖는다. 한층 더, 이 돔 커버는, 촬상광학계(2)를 덮는다.
본 실시예의 CPU(26)는, ResponseTime에 대응하는 시간(기간)동안 계속하여, BoundaryOffset에 대응하는 휘도보다 피사체 휘도가 하회하고 있을 경우에,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를 이탈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CPU(26)는, ResponseTime에 대응하는 시간(기간)동안 계속하여, BoundaryOffset에 대응하는 휘도를 피사체 휘도가 상회하고 있을 경우에,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작 정보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 및 해당 삽입의 경우와 해당 이탈의 경우 양쪽의 경우 중 하나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드의 값이란, 태그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의 값은,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면, BoundaryType필드의 값은, <BoundaryType>태그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ResponseTime필드의 값은,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는, Power Over Ethernet(등록상표, PoE)에 대응하고, LAN케이블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8에 있어서의 게인 설정 회로(7)는, CPU(26)의 지시에 따라,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게인 설정 회로(7)는, CPU(26)의 지시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에 사용하는 색신호 게인을 변경한다.
영상신호 처리회로(8)는, CPU(26)의 지시에 따라,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변경한다.
촬상소자 구동회로(23)는, CPU(26)의 지시에 따라, 촬상소자(6)를 구동한다. 예를 들면, 촬상소자 구동회로(23)는, CPU(26)의 지시에 따라, 촬상소자(6)의 전하축적 시간을 변경한다.
CPU(26)는, 화상처리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CPU(26)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를 증가시키도록 화상처리를 제공한다.
다음에, 도 9a 내지 도 9g는,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 예를 각각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9a는, 상기 옵션 필드를 포함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있어서,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이므로, IRCF의 삽입/이탈을 촬상장치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지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로 되어 있는 SetImagingSettings코맨드는,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에 해당한다. 또한,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는, IRCF구동회로(24)에 의한 IRCF(4)의 삽입/이탈을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지시다.
본 실시예에서는, IrCutFilter필드의 값이 AUTO의 경우, 그 후에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기술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의 내부에는, BoundaryType필드,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가 기술된다.
즉,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는, <BoundaryType>태그, <BoundaryOffset>태그 및 <ResponseTime>태그의 순서로 기술할 수 있다.
한층 더, 상기한 바와 같이, BoundaryOffset필드 및 ResponseTime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Type필드에 의해, IRCF의 삽입, 이탈의 어느 한쪽의 경우에, 해당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로 지정되는 동작을 유효하게 하는 것인지를, 지정할 수 있다.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n의 경우, IRCF가 삽입될 때 동작이 유효해진다.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ToOff의 경우, IRCF가 이탈될 때 동작이 유효해진다.
또한,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의 경우, 삽입 및 이탈 양쪽의 경우에, 동작이 유효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에 따라 휘도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ResponseTime필드에 따라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따라서, 값으로서 ToOn에 관련된 <BoudaryType>태그는, 삽입 지정 허용가능 정보에 해당한다. 이 삽입 지정 허용가능 정보는, 이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과 <ResponseTime>태그의 값에 근거하여, CPU(26)가 다음과 같은 판정을 행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값으로서 ToOff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는, 이탈 지정 허용가능 정보에 해당한다. 이 이탈 지정 허용가능 정보는, 이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과 <ResponseTime>태그의 값에 근거하여, CPU(26)가 다음과 같은 판정을 행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값으로서 Common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는, 공통 지정 허용가능 정보에 해당한다. 이 공통 지정 허용가능 정보는, 이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과 <ResponseTime>태그의 값을, CPU(26)가 다음과 같은 2개의 판정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다. 즉,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 및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다.
도 9b는, 상기 ResponseTime필드가 생략되었을 경우의,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ResponseTime필드가 생략되었을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지연시간 파라미터의 동작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지연시간이 EEPROM(2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CPU(26)는 해당 지연시간을 EEPROM(28)로부터 판독해서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또한, 도 9b에서는, IRCF가 삽입될 때에,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로 지정된 동작이 유효하게 되도록, BoundaryType필드의 값에 ToOn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
도 9c는, 상기 BoundaryType필드의 값이, Common일 경우에,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IRCF(4)의 삽입 및 이탈 양쪽의 경우에, 상기 BoundaryOffset의 값 및 상기 ResponseTime의 값이 유효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BoundaryOffset의 값에 따라 휘도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ResponseTime필드에 따라 지연시간이 설정된다.
도 9d는, 상기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를 생략했을 경우,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촬상장치가 다음과 같은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 모든 IRCF삽입/이탈의 제어를 결정한다. 그 코맨드는,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가 생략된 IRCF를 자동 설정하는 SetImagingSettings코맨드다.
도 9e는, 상기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N의 경우,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f는, 상기 IrCutFilter필드의 값이 OFF의 경우, 상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e와 도 9f의 경우에, IrCutFilterAutoAdjustment필드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도 9g는, IrCutFilter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AUTO의 경우,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는, 값으로서 "ToOn"이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대응하는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를 포함한다. 한층 더,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는, 값으로서 "ToOff"가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대응한,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도 포함한다.
따라서, CPU(26)는, IRCF(4)을 삽입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에,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Type태그에 대응한, BoundaryOffset태그 및 ResponseTime태그의 각각에 대한 값을 사용한다.
또한, CPU(26)는, IRCF(4)을 이탈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에,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Type태그에 대응한, BoundaryOffset태그 및 ResponseTime태그의 각각에 대한 값을 사용한다.
또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는, ToOn의 값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와, ToOff의 값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의 순서로 기술될 수 있다.(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는, ToOn의 값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와, ToOff의 값에 관련된 <BoundaryType>태그의 순서로 기술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있어서의 GetOptions코맨드 및 GetOptionsResponse에 대해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는, VideoSourceToken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0인 GetOptions코맨드를 나타낸다. 도 10b 및 도 10c 각각은, GetOptionsResponse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및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IrCutFilterAutoAdjustment를 공통으로 지정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상정한다. 도 10b는, 이러한 상정된 촬상장치가 송신하는 GetOptionsResponse다.
또한,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및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IrCutFilterAutoAdjustment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상정한다. 도 10c는, 이러한 상정된 촬상장치가 송신하는 GetOptionsResponse다.
도 10b에 있어서, <ImagingOptions20>태그에는, 3개의 <img20:IrCutFilterModes>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이 3개의 <Img20:IrCutFilterModes>태그의 각각은, ON, OFF 및 AUTO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b에서 상정되어 있는 촬상장치는, IrCutFilter필드의 값으로서 ON, OFF 및 AUTO가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있어서,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태그에는, 다음 3개의 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3개의 태그는, <img20:Mode>태그, <img20:BoudaryOffset>태그 및 <img20:ResponseTime>태그다.
여기에서, <img20:Mode>태그는, Common에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는,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즉, CPU(26)에서 사용한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의 정보를,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및 이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공통으로 지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img20:BoundaryOffset>태그는, 트루(true)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b에서 상정되어 있는 촬상장치는,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층 더, <img20:ResponseTime>태그는, <img20:Min>태그 및 <img20:Max>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b에서 상정되어 있는 촬상장치는, <ResponseTime>에 대응하는 값으로서, 0초부터 30분까지의 범위의 시간이 설정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있어서, (도 10b와 마찬가지로) <ImagingOptions20>태그에는, 3개의 <img20:IrCutFilterModes>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이 3개의 <Img20:IrCutFilterModes>태그의 각각은, ON, OFF 및 AUTO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도 10c에 있어서, <IrCutFilterAutoAdjustmentOptions>태그에는, 다음 4개의 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4개의 태그는, 2개의 <img20:Mode>태그, <img20:BoudaryOffset>태그 및 <img20:ResponseTime>태그다.
여기에서, 2개의 <img20:Mode>태그의 각각은, ToOn, ToOff에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GetOptionsResponse는,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즉, CPU(26)에서 사용한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의 정보를,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하는 경우 및 이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img20:Mode>태그는, 트루에 관련되어 있다. 한층 더, <img20:ResponseTime>태그는, <img20:Min>태그 및 <img20:Max>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도 10b 및 도 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img20:Mode>태그에 관련된 정보는,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의한 IRCF(4)의 삽입/이탈제어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의한 IRCF(4)의 삽입/이탈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도 10c에서 상정한 촬상장치인 것으로 한다. 한층 더, 이 촬상장치는, 도 9g에 도시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처리는,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수신한 후에, CPU(26)에 의한 실행이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스텝S1101에서는, CPU(26)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내에 IRCF(4)이 삽입되고 있는 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26)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내에 IRCF(4)이 삽입되고 있는 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내에 IRCF(4)이 삽입되고 있지 않는 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102에서는, CPU(26)는, 피사체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낮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와, 값이 ToOn으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한 값에 근거하여, 판정 회로(20)에 판정시킨다.
예를 들면, CPU(26)는, 값이 ToOn으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0.16)에 대응하는 역치정보를 EEPROM(28)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CPU(26)는, 판독한 역치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휘도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그리고, 판정 회로(20)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 의해 설정된 휘도역치보다도 낮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낮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낮지 않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1에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S1103에서는, CPU(26)는, 계시회로(22)에 지시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값이 ToOn으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값(1분 30초)을, 계시회로(22)에 설정하고,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스텝S1104는, 스텝S1102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105에서는, CPU(26)는, 스텝S1103에서 시간 측정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계시회로(22)로부터 시간경과 신호가 입력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26)는, 계시회로(22)로부터 시간경과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1103에서 시간 측정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하여, 스텝S11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계시회로(22)로부터 시간경과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S1103에서 시간 측정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 스텝S1104로 처리를 되돌아간다.
스텝S1106에서는, CPU(26)는, IRCF구동회로(24)에 지시하여,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 IRCF(4)을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IRCF구동회로(24)는, 촬상광학계(2)의 광로에/로부터 IRCF(4)을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CPU(26)는, IRCF구동회로(24)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에 해당한다.
스텝S1107에서는, CPU(26)는, 피사체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높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와, 값이 ToOff로 설정된 <Bounad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 회로(20)에 판정시킨다.
예를 들면, CPU(26)는, 값이 ToOff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0.62)에 대응하는 역치정보를 EEPROM(28)로부터 판독한다. 그 후, CPU(26)는, 판독한 역치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휘도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그리고, 판정 회로(20)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지 않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1에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S1108에서는, CPU(26)는, 계시회로(22)에 지시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값이 ToOff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값(1분 10초)을, 계시회로(22)에 설정하고,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스텝S1109는, 스텝S1107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110은, 스텝S1105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111에서는, CPU(26)는, IRCF구동회로(24)에 지시하여, 촬상광학계(2)의 광로로부터 IRCF(4)을 이탈한다.
다음에, 도 10b에서 상정한 촬상장치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일 경우에 관해서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도 8c에 도시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도 11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도 11의 설명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1102에서는, CPU(26)는, 피사체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낮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와,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 회로(20)에 판정시킨다.
예를 들면, CPU(26)는,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0.52)에 대응하는 역치정보를 EEPROM(28)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CPU(26)는, 판독한 역치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휘도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그리고, 판정 회로(20)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낮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낮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낮지 않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1에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S1103에서는, CPU(26)는, 계시회로(22)에 지시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값(1분 15초)을, 계시회로(22)에 설정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스텝S1107에서는, CPU(26)는, 피사체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높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와,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ad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 회로(20)에 판정시킨다.
예를 들면, CPU(26)는,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BoundaryOffset>태그의 값(-0.52)에 대응하는 역치정보를 EEPROM(28)로부터 판독한다. 그 후, CPU(26)는, 판독한 역치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휘도역치를 판정 회로(20)에 설정한다.
그리고, 판정 회로(20)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26)는, 휘도측정 회로(18)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휘도가 CPU(26)에서 설정한 휘도역치보다도 높지 않다고 판정 회로(20)가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101에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S1108에서는, CPU(26)는, 계시회로(22)에 지시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6)는,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값(1분 15초)을, 계시회로(22)에 설정하고,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의한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GUI표시 처리를 설명한다. 도 12는, 이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GUI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2에 도시된 처리의 실행은, 입력부(408)가 유저의 지시를 CPU(426)에 입력한 후에,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스텝S1201에서는, CPU(426)는, I/F(414)에 지시하여, GetOptions코맨드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송신시킨다.
스텝S1202에서는, CPU(426)는, GetOptionsResponse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426)는, GetOptionsResponse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로부터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2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GetOptionsResponse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로부터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20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203에서는,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의 <img20:Modes>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Common인지, 그렇지 않으면 ToOn 및 ToOff인지를 판정한다.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의 <img20:Modes>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ToOn 및 ToOff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21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214의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S1204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 GUI에 있어서,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를 체크(선택)한다.
스텝S1205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의 선택을 불가로 한다.
스텝S1206에서는,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의 <img20: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트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의 <img20: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트루일 경우에는, 스텝S120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의 <img20: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값이 트루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S121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207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과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스텝S1208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과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를 설정 불가능으로 한다.
스텝S1209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과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 및 ToOff상당부를 설정 불가능으로 한다.
스텝S1210에서는,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가 <img20:ResponseTime>태그를 포함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가 <img20:ResponseTime>태그를 포함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211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스텝S1202에서 수신했다고 판정된 GetOptionsResponse가 <img20:ResponseTime>태그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21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211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과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스텝S1212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과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를 설정불가능하게 한다.
스텝S1213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과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 및 ToOff상당부를 설정불가능하게 한다.
스텝S1214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의 선택을 불가로 한다.
스텝S1215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를 체크(선택)한다.
스텝S1216은, 스텝S1206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217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7)을 설정 가능하게 한다. 한층 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를 설정 불가능하게 한다.
스텝S1218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2 휘도역치 설정 스케일(319)과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 및 ToOff상당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스텝S1219는, 스텝S1208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220은, 스텝S1209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221은, 스텝S1210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222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1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1)과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 및 ToOff상당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스텝S1223에서는,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 제2 지연시간 설정 스케일(323)과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 및 ToOff상당부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스텝S1224는, 스텝S1212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225는, 스텝S1213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외부 클라이언트에 의한 SetImagingSettings발행 처리를 설명한다. 도 13은, 이 SetImagingSettings발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3에 도시된 처리의 실행은, 입력부(408)가 유저의 지시를 CPU(426)에 입력한 후에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CPU(426)는, 자동 적외선 차단 필터 설정GUI에 있어서의 설정 버튼(325)이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설정 버튼(325)이 눌려졌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처리를 시작한다. CPU(426)는, 설정 버튼(325)이 눌려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처리를 시작하지 않는다.
스텝S1301에서는, CPU(426)는, 도 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메모리(428)에 기억시킨다. 여기에서,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IrCutFilter>태그에 대응하는 값은, AUTO다.
스텝S1302에서는, CPU(426)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의 양쪽이 선택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정한다.
CPU(426)는, Common선택 체크 박스(303)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ToOn선택 체크 박스(305) 및 ToOff선택 체크 박스(307)의 양쪽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9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03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을 추가한다.
이에 따라,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값이 Comm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스텝S1304에서는,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5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05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다음과 같은 기술을 추가한다.
그 기술은, 스텝S1304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BoundaryTyp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스텝S1304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BoundaryOffset>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스텝S1306에서는,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Comm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07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다음과 같은 기술을 추가한다. 그 기술은, 스텝S1306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다음과 같은 기술(description)에 관련되어 있다. 그 기술은, 스텝S1306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기술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스텝S1308에서는, CPU(426)는, I/F(414)에 지시하여,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를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송신시킨다.
스텝S1309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다음과 같은 제1 및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의 기술을 추가한다.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값이 ToOn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를 포함한다. 또한,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 태그는, 값이 ToOff로 설정된 <BoundaryType>태그를 포함한다.
스텝S1310에서는,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1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11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포함되는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에, 기술을 추가한다. 이 기술은, 스텝S1310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다음과 같은 <BoundaryOffset>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이 태그는, 스텝S1310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BoundaryOffset>태그다.
스텝S1312에서는, CPU(426)는, Bounad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BoundaryOffset설정 수치 박스(309)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13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포함되는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에, 기술을 추가한다. 이 기술은, 스텝S1312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BoundaryOffset>태그에 대응한 기술이다.
스텝S1314에서는,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5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n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15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포함되는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에, 다음과 같은 기술을 추가한다. 이 기술은, 스텝S1314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한 기술이다.
스텝S1316에서는,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1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CPU(426)는, 지연시간 설정 수치 박스(311)에 있어서의 ToOff상당부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S13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S1317에서는, CPU(426)는, 스텝S1301에서 메모리(428)에 기억시킨 SetImagingSettings코맨드에 포함되는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에, 다음과 같은 기술을 추가한다. 이 기술은, 스텝S1316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기술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이 SetImagingSettings코맨드의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는, 다음과 같은 <ResponseTime>태그에 관련되어 있다. 이 태그는, 스텝S1316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값이 설정된 <ResponseTime>태그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의 XSD로 정의된 코맨드를, 파일 형식으로 보존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Imaging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는, 이 촬상장치의 Video Analytics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및 이 촬상장치의 팬 틸트 줌(PTZ) Service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같은 것으로 한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것들의 어드레스는, 서로 달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 및 제2 IrCutFilterAutoAdjustment태그의 순서로 SetImagingSetting코맨드에 기술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IRCF(4)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IRCF(4) 대신에, 뉴트럴 덴시티(ND) 필터 등의 광학필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ND필터는, 촬상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사체로부터의 광의 광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여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 처리는,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싱 유닛(MPU)등)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3년 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3-012311와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3-053595의 이점을 청구한다.
2: 촬상광학계
4: 적외선 차단 필터(IRCF)
6: 촬상소자
14: 통신회로
24: IRCF구동회로

Claims (25)

  1.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가 상기 서로 다른 조정 정보가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상기 서로 다른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시키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가 상기 조정 정보가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시키는, 클라이언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시킬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지정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지정 영역들을 지정 가능하게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시킬 경우에는, 공통으로 지정시키기 위한 공통 지정 영역을 지정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클라이언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로 다른 지정 영역들을 지정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킬 경우에는, 상기 공통 지정 영역을 지정 불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공통 지정 영역을 지정 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킬 경우에는, 상기 서로 다른 지정 영역들을 지정 불가능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클라이언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지정된 조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한, 클라이언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삽입/이탈부에 의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상기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를, 상기 조정 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삽입/이탈 지정 정보가 수신된 후에, 상기 조정 정보를 송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가 상기 광로에 삽입되고 있는 중인지,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가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되고 있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삽입/이탈 상태정보를, 상기 촬상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문의하는 문의부를 더 구비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정보는 상기 피사체의 휘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정보에 포함되는 휘도의 값의 범위는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되는, 클라이언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정보는, 상기 피사체의 휘도가 소정역치를 하회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과 시간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2.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 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지정된 조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삽입/이탈부에 의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을 상기 촬상장치에 자동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를, 상기 조정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촬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와 함께 조정 정보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조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동 삽입/이탈 제어 지시에 대한 회신으로서 에러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회신하는 회신부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16. 촬상장치; 및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 시스템.
  17.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18.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19.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 시스템은,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장치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21. 촬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장치는,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22.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 시스템은,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와,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삽입/이탈하는 삽입/이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삽입/이탈부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에 관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삽입/이탈 지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정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23.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 모드를 흑백 모드와 컬러 모드 사이에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변경부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
  24.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를 증가시키도록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
  25. 정보를 유저에 대해 지정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촬상장치로서,
    촬상광학계;
    상기 촬상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에/로부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삽입/이탈에 관한 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게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상기 조정 정보를 지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삽입/이탈 지정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이탈 지정 정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상기 조정 정보를 개별적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 또는 상기 조정 정보를 공통으로 지정 가능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촬상장치.


KR1020167029616A 2013-01-25 2014-01-20 촬상장치의 조작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조작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789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2311 2013-01-25
JPJP-P-2013-012311 2013-01-25
JP2013053595A JP6214178B2 (ja) 2013-01-25 2013-03-15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JP-P-2013-053595 2013-03-15
PCT/JP2014/000240 WO2014115529A1 (en) 2013-01-25 2014-01-20 Imaging device, client device,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of cli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707A Division KR101670702B1 (ko) 2013-01-25 2014-01-20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422A true KR20160128422A (ko) 2016-11-07
KR101789219B1 KR101789219B1 (ko) 2017-10-23

Family

ID=51227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707A KR101670702B1 (ko) 2013-01-25 2014-01-20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7029616A KR101789219B1 (ko) 2013-01-25 2014-01-20 촬상장치의 조작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조작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707A KR101670702B1 (ko) 2013-01-25 2014-01-20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27874B2 (ko)
EP (1) EP2949116B1 (ko)
JP (1) JP6214178B2 (ko)
KR (2) KR101670702B1 (ko)
CN (1) CN104956656B (ko)
BR (1) BR112015017520A2 (ko)
RU (1) RU2608321C1 (ko)
TW (1) TWI542214B (ko)
WO (1) WO2014115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1269B2 (ja) * 2013-03-15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525723B2 (ja) * 2015-05-19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7438151B (zh) * 2016-05-25 2019-12-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摄影方法、装置及系统
JP6685188B2 (ja) * 2016-06-29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968610B2 (ja) * 2017-08-01 2021-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67678B2 (en) * 2018-01-12 2020-02-18 Sentera, Inc. Multispectral camera replaceable filter array
US11523038B1 (en) 2019-07-24 2022-12-06 Sentera, Inc. Aerial vehicle with replaceable camera modu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355A (ja) 1993-09-30 1995-04-21 Victor Co Of Japan Ltd 低照度対応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589A (ja) 1997-07-18 1999-02-12 Fuji Electric Co Ltd 交通監視装置および交通監視方法
JP4926381B2 (ja) * 2004-04-14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管理サーバ及び通信確認方法
WO2005067263A1 (en) 2004-01-09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p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network system
JP2006005469A (ja) 2004-06-15 2006-01-05 Canon Inc 撮像装置
JP2006191418A (ja) * 2005-01-07 2006-07-20 Canon Inc 撮像システム
US7708479B2 (en) 2005-04-28 2010-05-04 Nidec Copal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4508010B2 (ja) * 2005-06-30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JP2007049222A (ja) * 2005-08-05 2007-02-22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202034A (ja) 2006-01-30 2007-08-09 Sony Corp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329533C2 (ru) 2006-03-15 2008-07-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фонин Способ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поиска в распределенных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сетях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поис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7885535B2 (en) * 2006-05-03 2011-02-08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on of visible light amount in a light source
JP2007306284A (ja) * 2006-05-11 2007-1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
EP1876828B1 (en) * 2006-07-03 2016-10-26 Axi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arameter values for cameras
US8159533B2 (en) * 2009-10-21 2012-04-17 Yi-Jen Cheng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recording color or monochrome images based on time settings
JP5287706B2 (ja) 2009-12-25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39079B2 (ja) 2010-07-15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4474B2 (ja) 2010-07-21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610926B2 (ja) 2010-08-26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515271B2 (en) 2010-08-30 2013-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method of selecting imaging mode, and recording medium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program
JP2012070336A (ja) 2010-09-27 2012-04-05 Nikon Corp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制御装置
JP2012119846A (ja) 2010-11-30 2012-06-21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JP5725979B2 (ja) 2011-06-03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71651B2 (ja) * 2012-05-21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025014B2 (en) * 2012-07-25 2015-05-05 Gopro, Inc. Device detection camera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355A (ja) 1993-09-30 1995-04-21 Victor Co Of Japan Ltd 低照度対応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6656A (zh) 2015-09-30
TWI542214B (zh) 2016-07-11
EP2949116A1 (en) 2015-12-02
BR112015017520A2 (pt) 2017-07-11
KR101670702B1 (ko) 2016-10-31
US20150358527A1 (en) 2015-12-10
EP2949116B1 (en) 2018-08-08
KR101789219B1 (ko) 2017-10-23
RU2608321C1 (ru) 2017-01-17
CN104956656B (zh) 2018-07-10
TW201436563A (zh) 2014-09-16
JP2014161000A (ja) 2014-09-04
WO2014115529A1 (en) 2014-07-31
JP6214178B2 (ja) 2017-10-18
US10027874B2 (en) 2018-07-17
EP2949116A4 (en) 2016-12-21
KR20150110706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702B1 (ko)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52304B1 (ko) 촬상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촬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2866434A1 (en) Imaging apparatus
JP6091269B2 (ja)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15716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479139B2 (ja)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
JP6305081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撮像システム
JP6355357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