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68A -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 Google Patents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68A
KR20160127668A KR1020160050726A KR20160050726A KR20160127668A KR 20160127668 A KR20160127668 A KR 20160127668A KR 1020160050726 A KR1020160050726 A KR 1020160050726A KR 20160050726 A KR20160050726 A KR 20160050726A KR 20160127668 A KR20160127668 A KR 2016012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ffuser
filaments
volume flow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045B1 (ko
Inventor
펠릭스 고레츠키
에민 왜즈괘렌
세바스티앙 좀머
데트레프 프레이
알렉산더 클라인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16012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01D5/092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in shafts or chimney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Abstract

필라멘트들로 구성되는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라멘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 디바이스에 의해 방사되고, 이어서 냉각되며 그리고 신장 디바이스를 통해 일차적 공기와 함께 유도된다. 일차적 공기는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으로 신장 디바이스로부터 나오며, 그리고 이어서, 필라멘트들이 신장 디바이스의 하류에서 확산기를 통해 유도된다.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에서, 이차적 공기가 확산기 내로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으로 도입된다. 필라멘트들은 이어서 확산기들(8) 중 하나에 인접한 부착 표면에 부착된다.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에 대한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의 비 또는 이차적 공기 비(VP/VS)는, 4.5 초과, 바람직하게 5 초과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5.5 초과이다.

Description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SPU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PUN-BONDED FABRIC FROM FILAMENTS AND SPUNBOND MADE THEREFROM}
본 발명은, 필라멘트로, 특히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또는 방사 접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라멘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 디바이스(spinning device)를 사용하여 방사되고, 이후 냉각되며, 그리고 이어서 신장 디바이스(stretching device)를 통해 일차적 공기와 함께 유도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필라멘트 또는 연속적인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및 방사 접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 설명된 유형의 방법 및 장치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실제로 알려진다. 방법에서, 신장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늘어나게 되는 필라멘트들은 부착 표면(부착 표면)으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를 통해 유도되며 그리고 이어서 다공형 부착 벨트(foraminous deposition belt) 상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방사 접합 직물은, 여러 방법으로 캘린더(calender)의 도움으로 사전 접합되거나 접합된다.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은, 한편으로 기계 방향(MD)으로의 그의 내구성 및 인장 강도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횡단 방향(CD)으로의 그의 내구성 및 인장 강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기계 방향(MD)은 부착되는 방사 접합 직물의 이동 방향과 동등하다. 언급되는 강도들은 또한, 길이 방향 강도 및 횡단 방향 강도로서 언급된다. 공지의 방법들에서, 방사 접합 직물들은 통상, 횡단 방향 강도에 대한 길이 방향 강도의 비가 1.5 내지 2의 범위 이내에 놓이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길이 방향 강도 또는 기계 방향(MD)으로의 강도가 횡단 방향(CD)으로의 강도 보다 더 높거나 상당히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높은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방사 접합 직물들에서, 심지어 이상에 언급된 것보다 더 낮은 비가 달성될 수 있다. 그의 길이 방향 강도 및 횡단 방향 강도에 관한 방사 접합 직물들의 등방성을 개선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 접합 직물들의 등방성의 또는 대략 등방성의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그로 횡단 방향으로 달성될 수 있는 상기한 유형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를 위해 적당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 및 횡단 방향에 관련되는 등방성 강도를 갖는 방사 접합 직물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적 문제점을 다룬다. 나아가, 등방성의 또는 대략 등방성의 강도 성질들에 부가하여, 필라멘트들의 균질의 부착이 또한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라멘트의,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방사 디바이스에 의해 방사되고, 이후 냉각되며 그리고 이어서 일차적 공기를 사용하여 신장 디바이스를 통해 유도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필라멘트의,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차적 공기는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으로 신장 디바이스에서 나오고, 필라멘트들은 신장 디바이스 하류의 확산기를 통해 유도되며,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에서,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의 이차적 공기가 확산기 내로 유도되고, 필라멘트들은 확산기에 인접한 부착 표면 상에 부착되며, 그리고 방법은,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에 대한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의 비 또는 이차적 공기 비(VP/VS)가, 4.5 초과, 바람직하게 5 초과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5.5 초과인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인, 방사 접합 직물 제조 방법을 교시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차적 공기 비(VP/VS)는 또한, 6 초과 또는 6.5 초과일 수 있을 것이다.
상응하는 필라멘트는 방사 접합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연속적인 필라멘트들이라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방사된 필라멘트들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가, 필라멘트들이 그 내부에서 냉각 공기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챔버를 갖도록 요구된다. 신장 디바이스 및 확산기가 생성 폭에 걸쳐 또는 생성될 방사 접합 직물의 폭에 걸쳐 기계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일차적 공기는, 신장 디바이스 또는 신장 챔버로부터, 신장 디바이스를 통해 확산기 내로 또는 신장 챔버를 통해 확산기 내로 유도되는 공정 공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일차적 공기는 또한 공정 공기로도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와 신장 디바이스 사이에서 확산기로 진입하는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VS)은, 신장 디바이스로부터 나오는 일차적 공기 유동 및 공정 공기 유동의 체적 유량(VP)의 20% 미만이다.
필라멘트들이 냉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냉각 챔버를 갖는 냉각 디바이스 내로 유도된 다음 신장 디바이스 내로 유도되는 것, 그리고 냉각 디바이스 및 신장 디바이스가, 냉각 공기 또는 공정 공기의 공급을 제외하고, 다른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폐쇄된 시스템이라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신장 디바이스의 신장 챔버가, 냉각 디바이스와 신장 디바이스 사이에서 다른 공기가 시스템 내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냉각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상기한 폐쇄된 시스템은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하며 그리고 그 자체가 본 명세서에서 증명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개방된 시스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천되는 실시예가, 제1 공기 유입구가 신장 디바이스 또는 신장 챔버와 확산기 사이에 제공됨과 더불어, 제2 공기 유입구가 제1 공기 유입구의 기계 방향 하류에 제공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공기 유입구의 높이 또는 수직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다른 공기 유입구와 상이한 부착 표면으로부터의 간격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1 공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VS1)은, 제2 공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VS2)과 상이하다. 2개의 공기 유입구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 폭에 걸쳐 또는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의 폭에 걸쳐, 기계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체적 유량들(VS1, VS2)에 대한 상기한 비대칭성은, 본 발명의 방법에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들(VS1, VS2)은, 전체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을 형성하도록 합쳐진다(VS = VS1 + VS2). 공기 유입구 또는 개구들의 개구 폭은, 장치의 폭을 가로질러 또는 생성될 직물의 폭을 가로질러 일관적일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 또는 개구들의 틈새 폭은 변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장치의 폭을 가로지르는 국부적 이차적 공기 유동이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개구 폭이 중간 영역에서의 개구 폭과 상이하다는 것 및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공기 유입구 또는 개구들의 개구 폭이 중간 영역에서의 개구 폭보다 작다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후에 개구 폭이 지칭될 때 중간 영역을 의미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이차적 공기 유동들을 구체화할 때, 각각의 경우에 평균 이차적 공기 유동을 의미한다. 적절하게, 제1 공기 유입구와 제2 공기 유입구의 틈새 폭은, 각각의 경우에, 0.8 내지 20 mm, 바람직하게 1 내지 15 mm, 그리고 더 양호하게 1 내지 10 mm이다.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틈새 폭은, 0.8 내지 4 mm, 바람직하게 1 내지 3 mm 이다.
따라서,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다른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보다, 더 낮은 이차적 공기 유량이 유동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은,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보다, 적어도 10%,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적어도 25%, 더 낮다. 따라서, 하나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은,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의 최대 90% 그리고 바람직하게 최대 8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공기 유입구의 틈새 폭은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적절하게, 공기 유입구의 틈새 폭은 다른 공기 유입구의 틈새 폭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
2개의 공기 유입구 및 그에 따라 2개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을 갖는 실시예는, 비교적 가벼운 단위 면적당 중량 및 1.5보다 높은 횡단 방향(C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에 대한 기계 방향(M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의 비의 균일한 방사 접합 구조물을 획득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방사 접합 직물들로 표준 위생 용도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는 따라서 극히 다용도이다. 단지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갖는 실시예가, 대략 40g/m2 초과의 기본 중량과 더불어 약 1의 인장 강도 비를 갖는 방사 접합 직물들의 생성을 위해 적당하다. 여기서, 4.5 초과의 이차적 공기 비(VP/VS)가 또한 적절하다.
본 발명의 매우 추천되는 실시예가, 하나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챔버가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공기 유입구 상류에 연결되고, 이러한 공기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유리하게 1개 내지 6개의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며, 그리고 이차적 공기 공급은, 공기 챔버의 적어도 단일 공기 유입구를 통해 또는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설정되거나 계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절하게, 모든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챔버는,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2개의 공기 유입구 각각에, 바람직하게 1개 내지 6개의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차적 공기 공급이 공기 챔버들의 공기 유입구들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어되는 것이 추천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현은,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공기 유입구들이 불순물들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전체 생성 범위에 걸친 이차적 공기 공급은 더 이상 일정하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이는 필라멘트들의 부착 공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공기 챔버들의 상류 연결은, 이차적 공기의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공급을 허용한다.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필터들이, 공기 챔버들에 또는 공기 유입구들에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쉽게 교체되거나 청소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이차적 공기를 위한 공기 유입구를 청소하는 것은 더욱 문제가 많으며 그리고 이와 같은 사항은 전체 장치에 걸친 필터들의 부착에 대해서도 진실이다. 공기 챔버들의 소수의 공기 유입구들은, 공급되는 이차적 공기의 매우 정밀한 조절을 허용한다. 신장 디바이스와 확산기 사이의 작은 또는 좁은 공기 유입구들은, 더 큰 공기 유입구와 비교하여 매우 정확하게 설정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류측 공기 챔버들을 사용하여, 비교적 매우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들이 실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차적 공기 공급은 대신에 공기 챔버들의 공기 유입구 포트에 대해 계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진입하는 이차적 공기를 설정하거나 계량하는 것은, 예를 들어 밸브들 및 유사한 제어 요소들을 사용함에 의해 신뢰할 수 있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압(subatmospheric pressure)이 공기 챔버들 내에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류측 필터에 의해 야기되는 증가된 압력이 보상될 수 있다.
적절하게, 공기 챔버들 내의 부압은, 상류측 밸브들 또는 유사한 제어 요소들을 사용하여, 측정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제어되거나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들의 오염 및 연관된 체적 유량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공기 챔버들의 상류의 공기 유입구들은, 본 발명의 토대 내에서 그 자체로 특히 좋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발명의 추천되는 실시예가, 신장 디바이스가 단지 부착 표면의 하류에 발산형 확산기 벽들을 갖는 하나의 확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발산은, 기계 방향에서 확산기의 상류측 단부의 폭이 기계 방향에서 확산기의 하류측 단부의 폭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산기 또는 그의 확산기 벽들이 전체 장치 또는 생성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의 바라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의 개방 각도(α)는 2°내지 4.5° 사이의 범위 이내, 적절하게 2.5°내지 4° 사이의 범위 이내이다. 기본적으로, 개방 각도(α)는 또한, 4°보다 더 크게 또는 4.5°보다 더 크게 조절될 수 있다. 확산기의 개방 각도(α)는, 신장 디바이스의 신장 챔버의 아래쪽 단부들의 그리고 확산기의 확산기 벽들의 아래쪽 단부들의 높이를 사용하는, 정중면(median plane)(M) 사이에서 측정된다. 이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확산기의 배출구의 폭(B)은 바람직하게, 기계 방향으로, 신장 디바이스의 신장 챔버의 배출구의 폭(b)의 적어도 250%, 바람직하게 300%이다. 폭(B)이 폭(b)의 250% 내지 450%, 바람직하게 300% 내지 400%인 것이 추천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폭(B) 또는 폭(b)은, 신장 챔버의 아래쪽 단부들 사이의 간격으로서 또는 확산기 벽들의 아래쪽 단부들 사이의 간격으로서 측정된다. 따라서, 확산기 벽들의 경사진 또는 둥근 아래쪽 단부들을 갖는 경우, 확산기 벽들의 최하 지점들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게 된다. 가장자리가 있는 확산기 벽들의 가장자리 각도가 약 90°인 경우, 구체적으로 가장자리 선들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게 된다. 확산기의 배출 개구의 면적이, 신장 디바이스의 신장 챔버의 배출 개구의 면적의 적어도 250%,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인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 있다. 여기서, 장치 또는 생성 범위의 폭에 걸친 신장 챔버 및 확산기 벽들의 아래쪽 단부들은 부착 표면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구비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표면은, 신장 챔버의 아래쪽 단부들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또는 확산기 벽들의 아래쪽 단부들 사이의 간격 및 신장 챔버와 확산기의 길이로부터 계산된다는 것이, 가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확산기의 발산형 확산기 벽들 또는 내벽들이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정중면(M)의 관점에서 비대칭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확산기 측부의 확산기 벽 또는 확산기 내벽이 정중면(M)에 더 가깝게 배열될수록, 확산기 내로의 이차적 공기 유동이 더 아래에 놓인다. 2개의 공기 유입구의 경우에, 확산기 벽이 정중면(M)에 더 가깝게 배치되거나 또는 확산기 내벽이, 틈새 폭이 다른 공기 유입구의 틈새 폭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더 작게 설정되는, 공기 유입구에 필연적으로 할당된다. 정중면(M)은 구체적으로, 기계 방향에서 볼 때, 신장 챔버 정중면(M)을 통과하는 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확산기 벽이 공기 유입구와 연관된다는 사실은, 기계 방향에서 보이는 확산기 벽이 기계 방향에서 보이는 제1 공기 유입구에 할당되며, 기계 방향에서 보이는 제2 확산기 벽이 제2 공기 유입구에 할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보다, 더 낮은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이, 제2 공기 유입구를 통해, 통과하면, 제2 확산기 벽이 제1 확산기 벽보다 정중면(M)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지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존재하는 경우, 정중면(M)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확산기 벽은, 자체에 할당되는 단일 공기 유입구를 구비할 것이다. 적절하게, 확산기 벽들 또는 확산기 내벽들의 정중면(M)에 대한 간격들 간의 차이는, 하나의 수평 높이 위치에 대해 최소,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5mm이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들 또는 방사 접합 직물을 위한 부착 표면은, 공기 투과 가능하며, 그리고 공기 투과 가능한 증착 스크린이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라 부착 표면으로서 사용된다. 필라멘트들을 바라보는 부착 표면의 아래측으로, 흡입 공기가 부착 표면을 관통하여 유도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흡입 공기는, 한편으로 공정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증착 표면 상에 또는 다공형 부착 벨트 상에 접합되지 않은 스트랜드들(strands)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배기 팬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공정 공기 또는 일차적 공기와 이차적 공기 또는 주변 공기의 혼합물이 통상, 부착 표면을 관통하여 또는 다공형 부착 벨트를 관통하여 이끌리게 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가, 확산기의 배출 개구 아래이자 부착 표면의 바로 위 또는 다공형 부착 벨트의 바로 위에서의 흡입 공기의, 흡입 공기 속도(VL) 또는 평균 흡입 공기 속도(VL)가, 5 내지 25 m/sec, 바람직하게 5 내지 20 m/sec,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m/sec 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 공기의 평균 흡입 공기 속도(VL)를 결정하기 위해, 체적 유량이 배출 개구(B) 아래의 면적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부착된 필라멘트들의 방사 접합 스트랜드들이 부착 이후에 예비 접합되거나 또는 접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예비 접합 또는 접합은,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를 사용하는 추천에 따라 일렬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캘린더는 2개의 캘린더 롤러를 구비하며, 2개의 캘린더 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가열된다. 캘린더는, 5 내지 22% 사이의, 바람직하게 15 내지 22% 사이의, 이완 표면(relief surface)을 갖는 것이 추천된다. 적절하게, 캘린더의 또는 캘린더의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러의 특성 밀도는, 35 내지 60 Fig./cm2 을 구비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필라멘트들의, 특히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필라멘트들의,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필라멘트들을 방사하기 위한 방사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방사된 필라멘트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냉각 디바이스 하류에 필라멘트들을 끌어당기기 위한 신장 챔버를 갖는 신장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필라멘트들은 신장 디바이스의 신장 챔버로부터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과 함께 나오는 것인, 방사 접합 직물 제조 장치에 있어서, 신장 디바이스 또는 신장 챔버는 하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와 연결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신장 챔버와 확산기 사이에 이차적 공기를 위해 할당되고,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동하는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보다 더 크거나 상당히 더 크며, 그리고 확산기의 배출 개구의 폭(B)은, 신장 챔버의 배출 개구의 폭(b)의, 적어도 250%,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인 것인,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이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보다 상당히 더 크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이차적 공기 비(VP/VS)가, 4.5 초과, 바람직하게 5 초과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5.5 초과라는 것을 의미한다.
확산기의 배출 개구의 폭(B)은, 50 내지 170 mm, 바람직하게 60 내지 150 mm 그리고 유리하게 70 내지 140 mm인 것이 추천된다. 80 내지 100 mm의 확산기의 배출 개구의 폭(B)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출 개구의 폭(B)은 이미 이상에서 한정되었다. 이는 확산기의 확산기 벽들의 아래쪽 단부들 사이의 간격이다. 본 발명의 특히 신뢰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와 부착 표면 사이의 간격(a) 또는 수직 간격은, 30 내지 300 mm, 바람직하게 50 내지 250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70 내지 200 mm가 된다. 간격(a)은 편의상, 확산기 또는 확산기 벽의 가장 낮은 단부로부터 부착 표면 또는 사용되는 다공형 부착 벨트의 표면까지 측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특히 이상에 설명된 방법 또는 이상에 설명된 장치에 따라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을 포함한다. 이는 적절하게 캘린더 가공된 방사 접합 직물(calendered spun bonded fabric)에 관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사 접합 직물 또는 캘린더 가공된 방사 접합 직물에서, 횡단 방향(C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에 대한 기계 방향(M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의 추천되는 비는, 1.3 미만, 바람직하게 1.2 미만이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 이 비는 0.8 내지 1.2 사이에 놓인다. 인장 강도들은, 최대 인장력의 측정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인장 강도의 측정은, N/5 cm에서 DIN EN 29073-3에 따라 적절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사 접합 직물들은, 특히 15% 미만의, 바람직하게 10% 미만의 강도에 대한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를 갖는다. 변동 계수는, 표준 편차와 평균값의 몫으로부터 생성되고, 길이 방향 및 횡단 방향에 대해 별개로 개별적으로 결정되며, 그리고 이러한 2개의 값의 평균이다. 바람직하게, 그로 인해 방향 당 6개의 표본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들은 특히 균질의 부착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특히, 기본적인 중량의 변동 계수는, 15% 미만, 바람직하게 10% 미만이다. 변동 계수는 적절하게, 25 개의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들의 사용과 함께, 25 mm의 직경을 갖는 측정 표면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맥락 이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을 위한 필라멘트들로서, 단일 성분 필라멘트들 및 이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들 모두 사용된다. 이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들에서, 코어 쉘 구성(core shell configuration)이 가장 높게 추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접합 직물을 위한 방사 필라멘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다른 원재료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부착된 방사 접합 스트랜드들은, 캘린더에 의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사전 접합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방사 접합 직물은,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에서와 같이 횡단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후속 공정들에서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 이상의 특징들(특히 측정된 강도들 또는 인장 강도들) 및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MD/CD 비는, 심지어 필라멘트 방향성이,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신장 또는 횡단 방향 신장에 의해, 목표화된 방식으로 후속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사전 접합 또는 접합 이후의 방사 접합 직물의 상태를 반영한다.
본 발명은, 방사 접합 직물들이 비교적 높은 강도 및 횡단 방향(CD 방향)에 대한 인장 강도 갖도록 본 발명의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게 된다. 특히, 강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한편으로 기계 방향으로의 다른 한편으로 횡단 방향으로의 강도들 및 인장 강도들 사이의 주된 차이들이 발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0.8 내지 1.2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0.9 내지 1.1의 인장 강도 비가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러한 설정은,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재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매우 균질의 그리고 균일한 필라멘트들의 부착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방사 접합 직물의 최적의 분포 범위(coverage) 또는 불투명함(opacity)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라멘트 부착물 내의 결함들 또는 구멍들이 쉽게 방지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한편으로 균형 잡힌 강도 비(MD/CD) 및 다른 한편으로 극히 균질의 부착 사이의 최적의 타협이, 간단하게 그리고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위생 용도를 위해 주로 사용될, 40 g/m2 이하의 기본 중량들을 갖는 방사 접합 직물들에서, 방사 접합 직물의 양호한 분포 범위 및 불투명함이 특히 중요하다. 지금까지 공지된 방사 접합 직물들에서의 이러한 유리한 성질들의 달성은 일반적으로, 횡단 방향 강도(CD 강도)를 훼손시키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양호한 분포 범위 또는 불투명함 뿐만 아니라 충분한 횡단 방향 강도 모두가 이러한 가벼운 방사 접합 직물에 대해 달성될 수 있다. 40 g/m2 초과의 기본 중량들을 갖는 방사 접합 직물들에서, 높은 횡단 방향 강도는 본질적이다. 앞서 공지된 방법들과 연관되었던 이러한 횡단 방향 강도의 실현은, 필라멘트 부착의 균질성을 훼손하면서 이루어진다. 특히 확산기의 더 큰 개방 각도에 의해, 받아들일 수 없는 불균질의 필라멘트 부착이 일어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높은 횡단 방향 강도(CD 강도) 뿐만 아니라 받아들일 수 있는 균질의 필라멘트 부착이 또한, 이러한 더 무거운 방사 접합 직물들에 대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예들과 같은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방사 접합 직물들이, 모든 방사 접합 직물들이, 19 g/min의 용융물 유동 지수(melt flow index)로, Borealis 사에 의한 동일한 폴리프로필렌의 연속적인 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예 1 내지 예 4에 따라 생성되었다. 모든 방사 접합 직물들은, 20%의 엠보싱 영역 및 155℃의 양쪽 롤러들의 롤러 온도를 갖는 을 갖는 2개의 캘린더 롤러의 캘린더에 의해 캘린더 가공되고 접합되었다. 모든 방사 접합 직물들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65 g/m2이었으며 그리고 필라멘트 굵기는 1.7 데니어(denier) 이었다. 예 1은, 4.5 보다 상당히 낮은, 말하자면 3.0의 이차적 공기 비(VP/VS)로, 최신의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의 생성에 관한 것이다. 대조적으로, 예 2 내지 예 4는, 4.5 보다 큰 이차적 공기 비(VP/VS)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방사 접합 직물의 생성에 관한 것이다. 표에서, 이차적 공기 비(VP/VS) 옆에, m3/h 단위의 전체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이, 제1 공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m3/h 단위의)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VS1) 및 제2 공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m3/h 단위의) 이차적 공기의 체적 유량(VS2)과 함께, 열거된다. 부가적으로, 확산기의 개방 각도(α) 및 확산기의 배출 개구 아래이자 부착 스크린 벨트 상부에서의 흡입 공기의 m/sec 단위의 평균 흡입 공기 속도(VL)가, 아래에 열거된다. 나아가, 횡단 방향(C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에 대한 기계 방향(M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의 인장 강도의 비가, MD/CD로서 나타나며 그리고 인장 강도의 변동 계수(CVT) 및 기본 중량의 변동 계수(CVFL)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예 3이 최상의 결과를 갖는다는 것이 여기에 나타난다. 여기서, 비대칭 이차적 공기 공급 체적 및 4.5 보다 큰 이차적 공기 비(VP/VS)가 사용되었다. 이 경우에 확산기의 개방 각도(α)는 3°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2.5° 내지 4°의 매우 바람직한 범위 이내이다. 체적 유량들은, 1.25m의 공기 유입구들의 폭들에 관련 있다. 예 4에서, 단지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제공되거나 활성화된다. 이는, 덜 균질한 방사 접합 부착물을 생성한다. 그렇더라도, 이러한 방사 접합 부착물은 다양한 용도를 위해 적당하다. 단지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갖는 장치가, 더 단순한 설계의 이점을 제공하며 그리고 설정 및 유지보수의 관점에서 덜 복잡하다.
Figure pat00001
지금부터 본 발명은 단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사용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개략적 도면으로 도시된:
도 1은 2개의 공기 유입구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는, 종래기술의 확산기 및 본 발명의 장치의 확산기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영역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특히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들(2)로 도시되는, 필라멘트들(2)로 이루어지는 방사 접합 직물(1)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필라멘트들(2)은 초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 디바이스(3)에 의해 방사된다. 필라멘트를 냉각하기 위해, 필라멘트들은 이어서 냉각 디바이스(4)를 관통하도록 유도된다.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냉각 디바이스(4)에 연결되는 중간 덕트(5)가, 냉각 디바이스(4)를 신장 디바이스(6)와 또는 신장 디바이스(6)의 신장 챔버(7)와 연결한다. 신장 디바이스(6)는, 필라멘트 이동 방향의 하류에서 확산기(8)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디바이스(4)와 신장 디바이스(6)의 조립체 또는, 냉각 디바이스(4)와, 중간 덕트(5)와 신장 디바이스(6)의 조립체는 폐쇄된 시스템이다. 냉각 디바이스(4)의 내로 냉각 공기의 공급을 제외하고, 어떤 부가적인 공기 공급도 이러한 조립체 내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신장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신장 챔버(7)를 통해 유도되는 공기는 여기에서 일차적 공기 또는 공정 공기로 지칭된다.
기계 방향(MD)에 대해, 2개의 대향하는 공기 유입구(9, 10)가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 또는 신장 챔버(7)와 확산기(8)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들(9, 10)로 인해,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이 확산기(8) 내로 도입된다. 그로 인해, 제1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1)이 제1 공기 유입구(9)를 통해 유동하는 가운데, 제1 공기 유입구(9)의 기계 방향으로 하류로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2)이 제2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유동한다. 신장 챔버(7), 공기 유입구들(9, 10) 및 확산기(8)가 장치 촉 및 생성 범위를 가로질러 횡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법은, 신장 챔버(7)로부터 나오는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이 전체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VS = VS1 + VS2)보다 상당히 더 큰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에 대한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의 비 또는 이차적 공기 비(VP/VS)는, 4.5 초과, 바람직하게 5 초과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5.5 초과이다. 본 발명의 특히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적 공기 비는 6을 초과하며 그리고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지어 6.5 초과이다.
제1 공기 유입구(9)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1)이 제2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2)과 상이하다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이차적 공기 유량들(VS1, VS2)의 비대칭성은 본 발명에서 그 자체로 특별히 증명되었다. 공기 유입구들(9, 10)의 개구 폭 또는 틈새 폭은, 5 내지 15 mm 사이에 놓인다. 본 발명의 특히 추천되는 실시예가, 하나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이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보다 적어도 10%,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적어도 25% 것을, 그리고 유리하게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의 최대 90%, 최상으로 증명된 가능성에 의해 최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공기 유입구(9, 10)를 통한 이차적 공기 유동의 양이 다른 공기 유입구(9, 10)를 통한 이차적 공기 유동의 양 보다 낮은 것이 적절하다. 적절하게, 신장 챔버(7)와 확산기(8)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공기 유입구(9, 10)의 개구 폭은,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그리고 본 발명의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공기 유입구(9, 10)의 개구 폭은 다른 공기 유입구(9, 10)의 개구 폭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가, 신장 챔버(7)와 확산기(8) 사이에서, 공기 유입구들(9, 10)이 각각 상류 공기 챔버를 구비하며, 공기 챔버는 유리하게, 공기 유입구들이 분포하게 되는 장치 폭 상에, 예를 들어 6개의,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유입구들(9, 10)을 통한 이차적 공기 공급은, 공기 유입구들에 의한 피드백에 의해 또는 피드백 없이, 또는 공기 유입구들에 의한 투입량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차적 공기 유량들(VS1, VS2)은 이때, 예를 들어, 플랩들, 슬라이드를, 송풍기들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공기 유입구들에서 제어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가, 진입하는 이차적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공기 챔버들 또는 공기 유입구들 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공기 유입구들(9, 10)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특히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표면(11)을 향해 발산하는 2개의 벽(12, 13)을 갖는 필라멘트들(2)을 위한 단지 하나의 확산기(8)가, 신장 디바이스(6)의 하류에 제공된다. 확산기(8)의 개방 각도(α)는, 2°초과 그리고 유리하게 2.5°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확산기(8)의 개방 각도(α)는 2.5°내지 4°사이의 범위 이내이다. 개방 각도(α)의 측정은 도 2에 예시된다. 이 경우에, 개방 각도(α)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장 챔버(7)의 배출 개구(14) 및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에서 측정된다. 더불어, 바람직하게,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의 폭(B)은, 신장 챔버(7)의 배출 개구(14) 폭(b)의 적어도 250%,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이다.
도 3a 및 도 3b는, 필라멘트들(2)로 형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1)을 위한 분류기(sorter)로서의 확산기(8)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라멘트들(2)의 부착을 도시한다. 여기서, 확산기(8)의 단면에 걸쳐 균일한 필라멘트 밀도가 확인된다. 대조적으로, 도 3b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필라멘트들(2)의 부착을 도시한다. 이 방법에서, 제1 공기 유입구(9)를 통해 그리고 제2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진입하는 이차적 공기 유량들(VS1, VS2)은 서로 상이하다(VS1 ≠ VS2).
도 3b의 실시예에서, 이차적 공기 유량(VS2)은 이차적 공기 유량(VS1)보다 더 크다. 이것은, 확산기의 좌측부에서의 필라멘트들(2)이 더 높은 필라멘트 밀도 및 균질의 부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균질의 좁은 부착은, 방사 접합 직물의 양호한 불투명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확산기(8)의 우측부에서, 낮은 필라멘트 밀도가 관찰되며, 그리고 필라멘트들은 넓은 간격으로 이러한 영역에 부착된다. 이는 유리한 높은 횡단 방향 강도로 이어진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 높은 횡단 방향 강도와 다른 한편으로 균질의 필라멘트 부착 사이의 양호한 타협을 달성한다.
추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특히 도 4 참조), 확산기(8)의 발산형 확산기 벽들(12, 13)은, 장치 중심 평면(M)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조절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중심 평면(M)은 바람직하게, 기계 방향에 대해 신장 챔버(7)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실시예(도 4)에서, 더 작은 진입하는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1)을 갖는 제1 공기 유입구(9) 아래에 놓이는 확산기 벽(12)은, 중심 평면(M)에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제1 공기 유입구(9)의 개구 폭은 제2 공기 유입구(10)의 개구 폭보다 더 작게 설정되며, 따라서 중심 평면(M)에 더 가까운 벽(12)은 좁은 공기 유입구(9)의 아래에 배치된다. 정중면(M)으로부터의 확산기 벽들(12, 13)의 간격의 차이가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5mm인 것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의 부착 표면(11)은, 공기 투과성 다공성 벨트(16)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의 추천되는 실시예가, 부착 표면(11) 또는 공기 투과성 다공성 벨트(16)의 방사 접합 직물(1)의 반대편의 하부 측면이, 부착 표면(11) 또는 부착 스크린 벨트(1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부압에 노출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 아래이자 부착 표면(11) 위 또는 부착 벨트(16) 위의 흡입 공기 속도(VL) 또는 평균 흡입 공기 속도(VL)는, 바람직하게 5 내지 25 m/sec, 바람직하게 5 내지 20 m/sec,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m/sec 이다. 흡기 공기 및 공정 공기는, 부착 표면(11)에서 여전히 용융된 방사 접합 직물과 함께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렇지 않으면, 공정 공기 또는 일차적 공기는, 부착 스크린(16)을 통해 이차적 공기와 주변 공기를 끌고 나간다.
적당하게, 필라멘트들(2)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 접합 직물은, 그들의 부착이후에,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캘린더 롤러(18, 19)에 의해 형성되는 캘린더(17)에 의해, 예비 고화된다. 유리하게, 이러한 캘린더 롤러들(28, 29) 중 하나는 가열된다. 그에 따라 준비되는 캘린더 가공된 방사 접합 직물(1)에서, 횡단 방향(C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1)의 인장 강도에 대한 기계 방향(MD)으로의 방사 접합 직물(1)의 인장 강도의 비는, 1.3 미만이다. 이러한 비(MD/CD)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0.8 내지 1.2 사이이다.
더불어, 바람직하게,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의 폭(B)은, 50 내지 170 mm, 바람직하게 60 내지 150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70 내지 140 mm이다. 바람직하게, 확산기(8)와 다공형 벨트(16) 사이의 간격(a)은 50 내지 150 mm 사이의 범위에 놓인다. 간격(a)은 편의상, 확산기(8)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또는 확산기 벽들(12, 13)의 하단부로부터 벨트(16)의 표면까지 측정된다.

Claims (18)

  1. 필라멘트들(2)로, 특히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들(2)로 구성되는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라멘트들(2)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 디바이스(3)에 의해 방사되고, 이후 냉각되며 그리고 이어서 신장 디바이스(6)를 통해 일차적 공기와 함께 유도되고, 일차적 공기는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으로 신장 디바이스(6)로부터 나오며 그리고 후속적으로 필라멘트들(2)은 신장 디바이스(6)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8)를 통해 유도되며,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에서,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을 갖는 이차적 공기가 확산기(8) 내로 유도되며 그리고 필라멘트들(2)은 후속적으로 확산기들(8) 중 하나에 인접한 부착 표면(11) 상에 부착되며, 그리고 방법은,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에 대한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의 비 또는 이차적 공기 비(VP/VS)가, 4.5 초과, 바람직하게 5 초과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5.5 초과인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들(2)은, 적어도 하나의 냉각 챔버를 갖는 냉각 디바이스(4)를 통해 유도됨에 의해 냉각되며 그리고 이어서 신장 디바이스(6)로 유도되며, 그리고 냉각 디바이스(4)와 신장 디바이스(6)는, 제공되는 냉각 공기의 공급을 제외하고 내부로 부가적인 공기가 관통하지 않는, 폐쇄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 공기 유입구(9)와 더불어 제2 공기 유입구(10)가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에 제공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제1 공기 유입구(9)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의 공기 체적 유량(VS1)은 제2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도입되는 이차적 공기의 공기 체적 유량(VS2)과 상이한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하나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은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보다 적어도 10% 더 적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더 적은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하나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은, 다른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의 최대 90% 그리고 바람직하게 최대 80%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의 2개의 공기 유입구(9, 10)의 개구 폭은 바람직하게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그리고 공기 유입구들(9, 10) 중 하나의 요구되는 개구 폭은 다른 공기 유입구(9, 10)의 개구 폭보다 더 작게 설정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공기 유입구(9 또는 10)가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에 제공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의 하나의 공기 유입구(9 또는 10)의 개구 폭은 조절 가능한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9, 10)가 신장 디바이스(6)와 확산기(8) 사이에 놓이며, 그리고 공기 챔버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바람직하게 1개 내지 6개의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공기 유입구(9, 10)를 통한 이차적 공기 공급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또는 복수의 공기 유입구들을 설정되거나 또는 계량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산기(8)의 개방 각도(α)는 2°보다 크게 그리고 바람직하게 2.5°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의 폭(B)은, 신장 디바이스(6)의 신장 챔버(7)의 배출 개구(14)의 폭(b)의 적어도 250%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산기(8)의 확산기 벽들(12, 13)은, 정중면(M)에 더 가까운 벽(12 또는 13)이 바람직하게, 확산기(8) 내로의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이 적거나 없는 확산기(8)의 측부에 놓이도록, 장치의 중심 평면(M)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비대칭으로 조절 가능한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들(2)을 위한 부착 표면(11)은 공기 투과 가능하며 그리고 흡입 공기가 필라멘트들(2)을 운반하는 부착 표면(11)을 관통하여 아래로 이끌리게 되며, 그리고 상기 흡입 공기의 흡입 공기 속도(VL) 또는 평균 흡입 공기 속도(VL)가, 대략 5 내지 25 m/sec, 바람직하게 5 내지 20 m/sec,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m/sec 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들(2)로 형성되는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은 그의 부착 이후에 예비 고화되거나 또는 고화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17)를 사용하여 예비 고화되거나 또는 고화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방법.
  15. 필라멘트들(2), 특히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필라멘트들(2)로 구성되는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필라멘트들(2)을 방사하기 위한 방사 디바이스(3)를 구비하고, 방사된 필라멘트들(2)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디바이스(4) 및 하류에 필라멘트들(2)을 끌어당기기 위한 신장 챔버(7)를 갖는 신장 디바이스(6)를 구비하고, 필라멘트들(2)은 신장 디바이스(6)의 신장 챔버(7)로부터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과 함께 나오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장 디바이스(6) 또는 상기 신장 챔버(7)는 하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8)와 연결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9, 10)가 상기 신장 챔버(7)와 확산기(8) 사이에 이차적 공기를 위해 제공되며, 일차적 공기 체적 유량(VP)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9, 10)를 통해 유동하는 이차적 공기 체적 유량(VS)보다 상당히 더 크며, 그리고 상기 확산기(8)의 배출 개구(15)의 폭(B)은, 상기 신장 챔버(7)의 배출 개구(14)의 폭(b)의, 적어도 250%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8)의 배출 개구의 폭(B)은, 50 내지 170 mm, 바람직하게 60 내지 150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70 내지 140 mm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8)와 부착 표면(11) 사이의 간격(a)은, 30 내지 300 mm, 바람직하게 50 내지 250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 70 내지 200 mm인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제조 장치.
  18. 특히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로서,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은 캘린더 가공되어, 캘린더 가공된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에서, 횡단 방향(CD)으로의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의 인장 강도에 대한 기계 방향(MD)으로의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1)의 인장 강도의 비가, 1.3 미만, 바람직하게 1.2 미만이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 0.8 내지 1.2의 범위 이내에 놓이도록 하는 것인, 방사 접합 부직포 직물.
KR1020160050726A 2015-04-27 2016-04-26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KR102481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5268.2 2015-04-27
EP15165268.2A EP3088585B1 (de) 2015-04-27 2015-04-2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pinnvlieses aus filamenten und spinnvl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68A true KR20160127668A (ko) 2016-11-04
KR102481045B1 KR102481045B1 (ko) 2022-12-23

Family

ID=5303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26A KR102481045B1 (ko) 2015-04-27 2016-04-26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982367B2 (ko)
EP (1) EP3088585B1 (ko)
KR (1) KR102481045B1 (ko)
CN (1) CN106192216B (ko)
AR (1) AR104414A1 (ko)
BR (1) BR102016009291B1 (ko)
DK (1) DK3088585T3 (ko)
ES (1) ES2639234T3 (ko)
MX (1) MX358520B (ko)
PL (1) PL3088585T3 (ko)
RU (1) RU2633245C1 (ko)
SI (1) SI3088585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7898B2 (en) * 2017-03-10 2023-07-11 Biome Bioplastics Limited Fabric
ES2751161T3 (es) * 2017-03-31 2020-03-30 Reifenhaeuser Masch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ón de material tejido de filamentos continuos
EP3382082B1 (de) * 2017-03-31 2019-08-0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aus endlosfilamenten
SI3575468T1 (sl) * 2018-05-28 2020-12-31 Reifenha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Naprava in postopek za proizvodnjo tkanih polsti iz brezkončnih filamentov
TWI827634B (zh) 2018-07-17 2024-01-01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用於從紡絲黏合織物之生產中的處理空氣分離溶劑之方法及裝置
TW202031950A (zh) 2018-12-05 2020-09-01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在纖維素紡黏非織物的製造中回收再利用溶劑及纖維素的方法
DK3771762T3 (da) * 2019-07-30 2021-08-30 Reifenhaeuser Masch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vliesstof af fibre
TW202136610A (zh) 2019-12-17 2021-10-01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製造紡黏非織物的方法
WO2021122378A1 (de) 2019-12-17 2021-06-24 Lenzing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
TW202140884A (zh) 2019-12-17 2021-11-01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製造紡黏非織物的方法
CN111139542A (zh) * 2019-12-18 2020-05-12 太仓荣文合成纤维有限公司 一种喷丝不对称冷却系统
TW202146719A (zh) 2020-02-24 2021-12-16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紡絲黏合不織布之方法
TW202136602A (zh) 2020-02-24 2021-10-01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紡絲黏合不織布之方法及裝置
TW202138647A (zh) 2020-02-24 2021-10-16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紡絲黏合不織布之方法
TW202138649A (zh) 2020-02-24 2021-10-16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複合式不織布布料及製造複合式不織布布料之方法
TW202138648A (zh) 2020-02-24 2021-10-16 奧地利商蘭仁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紡絲黏合不織布之方法及裝置
CN113755951A (zh) * 2021-09-14 2021-12-07 天津工业大学 一种一步成型的自加捻纳米纤维纱线的连续制备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988A (ko) * 1994-11-07 1996-06-17 고다 시게노리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3135498B2 (ja) * 1995-06-13 2001-02-13 ライフェンホイゼ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 熱可塑性樹脂の無端繊維からスピンフリースウェブ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20150091407A (ko) * 2012-12-03 2015-08-10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필라멘트로 스펀본디드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0483A1 (de) * 1968-05-25 1971-04-08 Lutravil Spinnvlies Fasern
DE19612142C1 (de) * 1996-03-27 1997-10-09 Reifenhaeuser Masch Anlage zur Herstellung einer Spinnvliesbahn aus Kunststoffilamenten
JP3550052B2 (ja) * 1999-06-28 2004-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2862A (ja) * 2001-04-06 2002-10-18 Mitsui Chemicals Inc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DE50211394D1 (de) * 2002-02-28 2008-01-31 Reifenhaeuser Gmbh & Co Kg Anlage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er Spinnvliesbahn
DK1340842T4 (da) * 2002-02-28 2011-03-28 Reifenhaeuser Gmbh & Co Kg Anlæg til kontinuerlig fremstilling af en fiberdugsbane
US20050217226A1 (en) * 2004-04-05 2005-10-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eated aligned web filter
DE102004040645A1 (de) * 2004-08-20 2006-03-02 REIFENHäUSER GMBH & CO.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er Spinnvliesbahn
PL1930492T3 (pl) * 2006-12-06 2011-03-31 Reifenhaeuser Masch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włókniny "spod filiery"
DE102008051836B4 (de) * 2008-10-17 2012-09-13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DE502012009274C5 (de) * 2011-10-22 2022-01-20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ühren und Ablegen von synthetischen Filamenten zu einem Vl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988A (ko) * 1994-11-07 1996-06-17 고다 시게노리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3135498B2 (ja) * 1995-06-13 2001-02-13 ライフェンホイゼ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マシーネンファブリーク 熱可塑性樹脂の無端繊維からスピンフリースウェブ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20150091407A (ko) * 2012-12-03 2015-08-10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필라멘트로 스펀본디드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8520B (es) 2018-08-24
DK3088585T3 (en) 2017-09-25
ES2639234T3 (es) 2017-10-25
EP3088585A1 (de) 2016-11-02
KR102481045B1 (ko) 2022-12-23
RU2633245C1 (ru) 2017-10-11
US20160312384A1 (en) 2016-10-27
MX2016005363A (es) 2017-10-24
BR102016009291A2 (pt) 2016-11-01
US9982367B2 (en) 2018-05-29
BR102016009291B1 (pt) 2022-06-28
CN106192216A (zh) 2016-12-07
AR104414A1 (es) 2017-07-19
CN106192216B (zh) 2018-09-04
SI3088585T1 (sl) 2017-10-30
EP3088585B1 (de) 2017-06-21
PL3088585T3 (pl)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668A (ko) 필라멘트로 방사 접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방사 접합 직물
US20230250558A1 (en) Methods of making a nonwoven from continuous filaments
RU26949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непрерывных элементарных нитей
KR20190135427A (ko)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40051259A1 (en) Spunbond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612807B1 (ko) 권축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S2887951T3 (es) Material no tejido hilado de filamentos continuos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ón del material no tejido hilado
CA3041248C (en) Apparatus for making spunbonded nonwovens from continuous filaments
CN110541206B (zh) 用于由连续长丝制造纺粘型非织造织物的设备和方法
JP2019504219A (ja) スパンボンデッド不織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CN108884618A (zh) 非织造布的制造装置、非织造布的制造方法及非织造布
KR20220037460A (ko) 권축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025187A (ja) 繊維から不織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