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153A -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153A
KR20160127153A KR1020167029310A KR20167029310A KR20160127153A KR 20160127153 A KR20160127153 A KR 20160127153A KR 1020167029310 A KR1020167029310 A KR 1020167029310A KR 20167029310 A KR20167029310 A KR 20167029310A KR 20160127153 A KR20160127153 A KR 2016012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operation mode
mobile terminal
mod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네이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coustic signals, e.g. using a mic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auto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player, e.g. automatic braking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according to dedicated instructions from a player, e.g. using a secondary joystick to rotate the camera around a player's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04M1/7254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1Input via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 A63F2300/109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using 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6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4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mapp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arrangement into game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한쪽 손밖에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게임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로서,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휴대 단말의 방향에 따라, 게임의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PROGRAM}
본 발명은, 게임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이들 휴대 단말에서는, 게임 등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형의 게임 단말도 다양한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옥내뿐만 아니라, 외출한 곳에서도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는, 휴대 단말을 가로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십자키를 조작하고, 오른손으로 누름 버튼을 조작하는 등, 양손에 의한 조작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전차 내에서 가방을 갖고 있거나, 손잡이를 잡고 있거나 하여, 한쪽 손이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게임을 즐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83809호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대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쪽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임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로서,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휴대 단말의 방향에 따라, 게임의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휴대 단말의 방향에 따라, 게임의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한쪽 손밖에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평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도.
도 3a는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표시예(세로 방향)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표시예(가로 방향)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
도 5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외관도이다. 휴대 단말(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게임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이다. 한편, 도 1에는,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로서 스마트폰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스마트폰을 예로 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외의 휴대 단말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싱(110)에 표시 장치(120) 및 조작 버튼(130)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10)은, 수지나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표시 장치(120)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와 터치 패드 등의 위치 입력 장치를 조합한 이른바 터치 패널이다. 표시 장치(120)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휴대 단말(100)의 조작에 필요한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120)에 터치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조작이 가능하다. 조작 버튼(130)은, 전원의 ON/OFF 등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다.
도 2는,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휴대 단말(100)의 케이싱(110) 내에는, 안테나(101), 송수신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 검출부(105), 스피커(106), 마이크(107), 촬상부(108), 전원(109) 등 스마트폰으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이 수용되어 있다.
송수신부(102)는, 안테나(101)에서 수신한 신호(이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역부호화한 후,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102)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부호화한 후, 안테나(101)를 통해 송신한다.
제어부(10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이며, 조작 버튼(130) 및 표시 장치(12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안테나(101)를 통해 송수신부(102)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부(104)에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안테나(101)를 통해 송수신부(102)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스피커(106)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03)에 의한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의 전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억부(104)는, 예를 들어, SSD(Solid State Drive)나 HDD(Hard Disk Drive) 등, 개서(改書)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104)는, 제어부(10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의 기억이나 판독을 실행한다. 또한, 기억부(104)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프리인스톨이나 다운로드된 게임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4)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제1, 제2 조작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제1 조작 모드)
제1 조작 모드는, 게임을 자동 또는 반자동(이하, 자동 및 반자동을 총칭하여 「자동」이라고 한다)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1 조작 모드는, 예를 들어, 전차 내에서 가방을 갖고 있거나, 손잡이를 잡고 있거나 하여, 한쪽 손이 여유가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휴대 단말(100)이 세로 방향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이 제1 조작 모드로 설정된다. 도 3a는, 제1 모드, 즉 휴대 단말(100)을 세로 방향으로 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참고를 위하여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도 3a에 나타냈다.
*이 제1 조작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표시 장치(120)를 터치(탭)하여 표시 장치(120) 상의 위치를 지정하거나, 표시 장치(120)를 플릭하는 조작에 의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PG(Role Playing Game)를 플레이하는 경우, 게임의 캐릭터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황에 따른 동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지정 위치에 다른 캐릭터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캐릭터와 자동적으로 회화나 전투를 개시한다. 또한, 전투 개시 후에도 자동으로 전투가 계속된다. 또한, 지정 위치에 아이템(숨김 아이템을 포함한다)이 존재하는 경우, 아이템을 자동적으로 취득한다. 또한, 표시 장치(120)를 플릭한 경우, 게임의 시점(가상 공간 내에서의 카메라의 방향)이 변경된다.
(제2 조작 모드)
제2 조작 모드는, 게임을 수동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2 조작 모드는,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휴대 단말(100)이 가로 방향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이 제2 조작 모드로 설정된다. 도 3b는, 제2 모드, 즉 휴대 단말(100)을 가로 방향으로 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참고를 위하여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도 3b에 나타냈다.
이 제2 조작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표시 장치(120)에 표시되는 조작키를 양손으로 조작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PG를 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는, 왼손으로 십자키 등을 조작하여 게임의 캐릭터를 이동시키고, 오른손으로 게임의 시점(가상 공간 내에서의 카메라의 방향)이나, 상황에 따른 동작을 캐릭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 캐릭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왼손으로 캐릭터를 적 캐릭터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오른손으로 게임의 시점을 바꾸면서, 이야기하거나, 전투를 개시하는 것과 같은 조작을 행한다.
검출부(105)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이다. 검출부(105)는, 휴대 단말(100)이 움직일 때의 물리량(가속도나 각속도)의 변위로부터 휴대 단말(100)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계측한다. 검출부(105)는, 계측한 기울기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방향을 검출하여 제어부(103)에 입력한다. 한편, 검출부(105)에서 기울기만을 계측하고, 제어부(103)가, 검출부(105)에서 계측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00)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스피커(106)는,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107)는, 입력되는 소리(음성을 포함한다)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촬상부(108)는, 예를 들어, COM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이다. 촬상부(108)는,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원(109)은, 케이싱(110)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예를 들어, 송수신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 검출부(105), 스피커(106), 마이크(107), 촬상부(108)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이다. 이하,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도 2~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검출부(105)는,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로부터, 휴대 단말(100)이 세로 방향인지 가로 방향인지를 검출한다(단계 S101). 제어부(103)는,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휴대 단말(100)의 방향에 따라,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102).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도 3a의 상태), 제어부(103)는,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를 제1 조작 모드로 설정한다. 검출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도 3b의 상태), 제어부(103)는,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를 제2 조작 모드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3)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3).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3의 No), 제어부(103)는, 단계 S101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3의 Yes), 제어부(103)는, 그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휴대 단말(100)의 방향을 검출하여, 검출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게임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조작시키는 제1 조작 모드로 전환하고, 검출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 게임을 수동으로 조작시키는 제2 조작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쪽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 검출부(105)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 버튼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조작 버튼은, 휴대 단말(100)의 케이싱(110)에 설치해도 되고, 표시 장치(120)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버튼을 누르면서, 즉, 검출부(105)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이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을 바꾼 경우에만, 제어부(103)는,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도 5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이다. 이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검출부(105)는,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로부터, 휴대 단말(100)이 세로 방향인지 가로 방향인지를 검출한다(단계 S201). 다음으로, 제어부(103)는, 검출부(105)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이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방향의 변화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2).
검출부(105)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이 받아들여진 상태였을 경우(단계 S202의 Yes), 제어부(103)는,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휴대 단말(100)의 방향에 따라,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203). 전환 유효 조작이 받아들여진 상태가 아니었을 경우(단계 S202의 No), 제어부(103)는,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단계 S201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제어부(103)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4).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4의 No), 제어부(103)는, 단계 S201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종료된 경우(단계 S204의 Yes), 제어부(103)는, 그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는, 검출부(105)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 버튼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러누운 상태에서 게임을 즐기는 경우 등, 양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휴대 단말(100)이 세로 방향으로 되어 버려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휴대 단말(100)의 조작 모드가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100…휴대 단말 101…안테나
102…송수신부 103…제어부
104…기억부 105…검출부
106…스피커 107…마이크
108…촬상부 109…전원

Claims (5)

  1.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조작에 필요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케이싱을 세로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케이싱을 가로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제 2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출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이 받아 들여진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조작 모드 사이에서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은, 상기 조작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조작 모드 사이에서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유효로 하기 위한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버튼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유효로 하기 위한 조작이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을 세로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휴대 단말을 가로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제 2 조작 모드 사이에서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조작은, 상기 조작 버튼을 누르는 조작이고,
    상기 조작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방향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조작 모드 사이에서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조작 방법.
  5. 휴대 단말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67029310A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KR20160127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2983A JP5671768B1 (ja) 2014-01-28 2014-01-28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JP-P-2014-012983 2014-01-28
PCT/JP2014/070824 WO2015114860A1 (ja) 2014-01-28 2014-08-07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096A Division KR101669822B1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20A Division KR20170103038A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153A true KR20160127153A (ko) 2016-11-02

Family

ID=525738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20A KR20170103038A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KR1020167029310A KR20160127153A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KR1020157034096A KR101669822B1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20A KR20170103038A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096A KR101669822B1 (ko) 2014-01-28 2014-08-07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36575B2 (ko)
JP (1) JP5671768B1 (ko)
KR (3) KR20170103038A (ko)
CN (1) CN105377382B (ko)
WO (1) WO2015114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9712B2 (ja) * 2015-04-22 2019-01-09 株式会社ガスター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風呂給湯器
JP6673796B2 (ja) * 2016-09-30 2020-03-25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55695B2 (ja) * 2016-09-30 2018-07-11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66773B1 (ja) 2017-04-12 2018-08-01 株式会社テクテック 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の制御方法
JP7049968B2 (ja) * 2018-09-19 2022-04-07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568956B (zh) * 2019-01-10 2020-03-1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的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终端
US11590413B2 (en) * 2020-07-08 2023-02-28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ith changeable operation mode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GB2620773A (en) * 2022-07-21 2024-01-2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electing an interpretation of input act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ntroller
JP7429480B1 (ja) 2023-08-31 2024-02-08 アプリファクトリーはるni株式会社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809A (ja) 2010-10-06 2012-04-26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1347B2 (ja) * 2001-01-31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キー入力方法
JP2005318987A (ja) * 2004-05-07 2005-11-17 Sega Corp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WO2010060211A1 (en) * 2008-11-28 2010-06-0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a camera view into a three dimensional computer-generated virtual environment
CN102043572A (zh) * 2009-10-14 2011-05-04 三竹资讯股份有限公司 行动设备屏幕显示与操作的装置与方法
KR101670352B1 (ko) * 2009-12-03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2012253716A (ja) * 2011-06-07 2012-12-20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動画再生システム
JP5980570B2 (ja) 2012-05-23 2016-08-31 宏幸 山崎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809A (ja) 2010-10-06 2012-04-26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1768B1 (ja) 2015-02-18
JP2015139502A (ja) 2015-08-03
CN105377382A (zh) 2016-03-02
US9636575B2 (en) 2017-05-02
CN105377382B (zh) 2016-10-12
KR20170103038A (ko) 2017-09-12
KR101669822B1 (ko) 2016-10-27
WO2015114860A1 (ja) 2015-08-06
KR20150143862A (ko) 2015-12-23
US20160107081A1 (en) 2016-04-21
US20170151499A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22B1 (ko)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JP202114232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操作装置、および、付属機器
JP575594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9379485B (zh) 应用程序的反馈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70050114A1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laying game in chatting interface
EP3754476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erminal
WO2016112699A1 (zh) 切换显示模式的方法及装置
TW201337643A (zh) 具有輔助觸碰控制器的內容系統
CN10399567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254195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JP2013240000A (ja) 電子機器、録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録音制御方法
CN109771955B (zh) 邀请请求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TW201344513A (zh) 晃動解鎖之觸控型可攜式電子裝置及其晃動解鎖方法
CN111787347A (zh) 直播时长计算方法、直播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08184130B (zh) 模拟器系统、直播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CN109462770A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5139702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02585B2 (ja) 入力判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2095506A1 (zh) 直播方法及装置
CN11508673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4827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80708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KR10066353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56239B1 (ko)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1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30

Effective date: 201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