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231A -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231A
KR20160125231A KR1020150056141A KR20150056141A KR20160125231A KR 20160125231 A KR20160125231 A KR 20160125231A KR 1020150056141 A KR1020150056141 A KR 1020150056141A KR 20150056141 A KR20150056141 A KR 20150056141A KR 20160125231 A KR20160125231 A KR 2016012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n
elastic member
del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길
최원영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231A/ko
Publication of KR2016012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사출성형된 성형물을 취출하는 밀핀과, 상기 밀핀이 장착된 밀판과, 상기 밀판에 지지되어 취출거리를 확보하는 리턴핀과, 상기 밀판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리턴핀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취출장치{A EJECT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성형기에 장착되어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금형조립체로서, 성형기의 가동측에 구비되는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에 구비되는 고정측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의 협력을 통해 제품을 만들어내는 금형조립체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출금형에는 밀핀이 구비되는데, 이때의 밀핀은 고정측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돌출되어 사출물을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취출하는 기능을 한다.
보통 플라스틱 사출 공정에서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밀핀을 이용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금형에서 밀어내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밀핀은 일정한 형상의 사출금형에서 형성된 사출품을 사출금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사출금형의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 사이의 캐비티 내에 주입된 용융 합성수지가 고형화되면,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이 분리된 이후 금형 상에서 고형화된 사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서 밀핀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밀어내게 되므로서,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R 1997-0014980 A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사출 성형물의 취출시 충분한 취출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밀판의 틸트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사출성형된 성형물을 취출하는 밀핀과, 상기 밀핀이 장착된 밀판과, 상기 밀판에 지지되어 취출거리를 확보하는 리턴핀과, 상기 밀판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리턴핀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사출성형된 성형물을 취출하는 밀핀과, 상기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의 취출거리를 확보하는 리턴핀과, 상기 밀핀 및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2 금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을 더 가하여 상기 제2 금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가 장착된 사출금형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b는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밀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리턴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성형물 취출시 밀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성형물 취출시 리턴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에서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가 장착된 사출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a 및 도 2b는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을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밀핀(130)과, 제1 탄성부재(160)와 리턴핀(150) 및 제2 탄성부재(1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밀판(140) 및 지연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출금형은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의 협력을 통해 성형물(P)을 사출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금형(110)은 예를 들어 이동가능한 가동측 금형으로 이루어져 사출금형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금형(120)은 예를 들어 위치가 고정된 고정측 금형으로 이루어져 사출금형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에서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의 종류와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금형(110) 상측부에 위치되는 제1 코어(111)와, 제1 코어(111)의 주변부에 위치되어 제1 코어(111)를 수용하는 제1 형판(113)과, 제1 코어(111) 및 제1 형판(113)을 지지하는 받침판(116)과, 제1 금형(110)은 하측부에 위치되는 제1 베이스 블럭(112)과, 받침판(116)과 제1 베이스 블럭(112) 사이에 위치되어 받침판(116)을 지지하는 스페이스 블럭(1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금형(110)에는 수용부(117)가 형성되어 밀판(140)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금형(120)은 상측부에 위치되는 제2 베이스 블럭(122)과, 하측부에 위치되는 제2 코어(121)를 포함한다. 이때, 제2 금형(120)은 제2 코어(121)의 주변부에 위치되어 제2 코어(121)를 수용하는 제2 형판(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금형(110)에는 가이드 봉(114)이 구비되고, 제2 금형(120)에는 가이드 봉(114)에 대응되는 형태로 가이드 홈(12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간의 이동이 가이드 봉(114)과 가이드 홈(12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밀판(140)은 제1 금형(110)에 구비되어 밀핀(130)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때, 밀판(140)은 제1 금형(110)의 수용부(117)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여기서, 밀판(140)은 하부에 제1 탄성부재(160)가 수용되어 제1 탄성부재(160)의 수축과 팽창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판(140)은 상부에 제1 안내홈(142a)에서 연장된 제1 안내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밀판(140)은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호 고정된 상부 밀판(141) 및 하부 밀판(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밀판(141)에 제1 안내홀(141a)이 형성되고 하부밀판(140)에 제1 안내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홀(141a)의 넓이는 제1 안내홈(142a)의 넓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밀핀(130)은 밀판(140)에 구비되어 성형물을 취출한다. 여기서, 밀핀(130)의 하측은 밀판(140)에 고정되고, 밀핀(130)의 상측 단부가 취출시 성형물(P)을 밀어서 제1 금형(110)으로 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밀핀(130)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60)는 밀핀(130)이 성형물(P)을 취출가능하도록 밀판(140)을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160)는 하측부는 제1 금형(110)의 제1 베이스 블럭(112)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16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의 제1 탄성부재(160)가 반드시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간에 서로 맞닿는 닫힘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은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간에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은 팽창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밀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리턴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지연핀(170)은 제1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을 밀판(140) 및 리턴핀(150)에 전달한다.
또한, 지연핀(170)은 상측부가 밀판(140)의 제1 안내홀(141a)에 삽입되고, 상측부 끝단은 리턴핀(150)의 하측면과 밀착된다.
아울러, 지연핀(170)은 중앙부에 측면으로 돌출된 지연핀 돌출부(171)가 형성되며, 하측부에 제1 탄성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지연핀 돌출부(171)가 반드시 지연핀(17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연핀 돌출부(171)의 넓이는 밀판(140)의 제1 안내홀(141a)의 넓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연핀 돌출부(171)와 상기 지연핀(170)의 일측 끝단 사이의 길이(b)는 상기 제1 안내홀의 길이(a) 보다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160)의 상단면은 지연핀 돌출부(171)에 밀착되고, 하단면은 제1 베이스 블럭(1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16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지연핀 돌출부(171) 및 제1 금형(110)의 제1 베이스 블럭(112)과 마주보며 접촉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160)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면, 지연핀(170)의 하측부 외주면에 코일 스프링의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제1 금형(110) 또는 제2 금형(120)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이동되면 제1 탄성부재(160)가 제1 베이스 블럭(112)의 지지를 받아 지연핀 돌출부(171)를 향해 상부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지연핀(170)이 제2 금형(120)이 위치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a를 참고하면, 지연핀 돌출부(171)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이격되기 전 금형 닫힘상태에서 상부 밀판(141)과 일정 거리(c) 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때, 지연핀(170)의 이동길이는 밀핀(130)의 이동길이 보다 크게된다.
따라서, 도 3a를 참고하면, 지연핀(170)이 제1 탄성부재(160)에 의해 상부로 이동시 먼저 리턴핀(150)을 밀어내고 그 다음 지연핀 돌출부(171)가 상부 밀판(141)과 밀착되며 상부 밀판(141)을 밀어낸다. 이에 따라, 먼저 밀어낸 리턴핀(150)이 제2 금형(120)을 밀어내어 밀핀(130)이 성형물(P)을 밀어낼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지연핀(170)은 금형이 일정거리 만큼 형개가 될때까지 밀판(140)의 취출작동을 지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성형물(P)이 취출장치가 포함된 가동측 금형인 제1 금형(110)에 고정되어 취출될 수 있어, 성형물(P)이 고정측 금형인 제2 금형(120)에 고정될 경우 취출 및 양산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제2 탄성부재(180)는 리턴핀(150)이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를 이격시키며 취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제2 탄성부재(180)는 상단부가 리턴핀 돌출부(151)에 밀착되고, 하단부가 밀판(140)의 상단면에 밀착된다.
아울러, 제2 탄성부재(180)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의 제2 탄성부재(180)가 반드시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간에 서로 맞닿는 닫힘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은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간에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은 팽창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밀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취출거리 확보시 리턴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는 금형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리턴핀(150)은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의 취출거리를 확보한다.
또한, 리턴핀(150)은 리턴핀 돌출부(151)가 측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 탄성부재(180)의 상단부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리턴핀 돌출부(151)는 리턴핀(150)의 중앙측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의 리턴핀 돌출부(151)의 위치가 중앙측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턴핀 돌출부(151)의 단면적은 받침판(116)의 제2 안내홀(116a)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리턴핀 돌출부(151)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이격되기 전 상태에서는 받침판(116)과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리턴핀(150)이 제2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며 제2 금형(120)을 제1 금형(110)에서 더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리턴핀(150)은 제2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으로 밀핀(130) 보다 더 제2 금형(120) 방향으로 이동되며 취출거리를 확보할 있다. 이때, 리턴핀(150)의 이동길이는 밀핀(130)의 이동길이 보다 크게된다.
결국, 밀핀(130)에는 제1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리턴핀(150)에는 제1 탄성부재(160)의 탄성력과 제2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밀핀(130)에 의해 성형물(P)의 취출시 충분한 취출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a를 참고하면, 금형의 닫힘 상태에서, 리턴핀 돌출부(151)와 제2 안내홀(116a) 간의 이격된 거리(d)는 지연핀 돌출부(171)와 제1 안내홀(141a) 간의 이격된 거리(c) 보다 크게된다.
한편, 받침판(116)은 하단부에는 리턴핀 돌출부(151)가 수용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제2 안내홈(116b)이 형성된다.
아울러, 받침판(116)은 밀핀(130)이 이동되는 밀핀홀(미도시) 및 리턴핀(150)이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홀(116a)이 각각 상,하 방향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이때, 제2 안내홀(116a)은 제2 안내홈(116b)에서 연장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하면, 지연핀(170), 제1 탄성부재(160), 리턴핀(150) 및 제2 탄성부재(180)는 각각 다수로 구비된다. 아울러, 다수의 지연핀(170), 제1 탄성부재(160), 리턴핀(150) 및 제2 탄성부재(180)에 각각 대응되도록 밀판(140), 제1 베이스 블럭(112) 및 받침판(116) 등에 홈 및 홀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밀판(140)은 하부가 다수의 제1 탄성부재(160)로 지지되어 밀판(140)의 틸트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밀판(140)은 상,하부가 제1 탄성부재(160) 및 제2 탄성부재(180)로 각각 지지되어 밀판(140)의 틸트 및 휨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지연핀(170), 제1 탄성부재(160), 리턴핀(150) 및 제2 탄성부재(180)는 4개로 구비되어, 4각형의 4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에서 지연핀(170), 제1 탄성부재(160), 리턴핀(150) 및 제2 탄성부재(180)의 갯수 및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제1 금형 111 : 제1 코어
112 : 제1 베이스 블럭 113 : 제1 형판
114 : 가이드 봉 115 : 스페이스 블럭
116 : 받침판 116a: 제2 안내홀
116b: 제2 안내홈 117 : 수용부
120 : 제2 금형 121 : 제2 코어
122 : 제2 베이스 블럭 123 : 제2 형판
124 : 가이드 홈 130 : 밀핀
140 : 밀판 141 : 상부 밀판
141a: 제1 안내홀 142 : 하부 밀판
142a: 제1 안내홈 150 : 리턴핀
151 : 리턴핀 돌출부 160 : 제1 탄성부재
170 : 지연핀 171 : 지연핀 돌출부
180 : 제2 탄성부재 P : 성형물

Claims (20)

  1.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사출성형된 성형물을 취출하는 밀핀;
    상기 밀핀이 장착된 밀판;
    상기 밀판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의 취출거리를 확보하는 리턴핀;
    상기 밀판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리턴핀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밀판 및 상기 리턴핀에 전달하는 지연핀을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제1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핀은 측면으로 돌출된 지연핀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연핀의 일측이 상기 제1 안내홀로 이동되며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이 전달되고, 상기 지연핀 돌출부를 통해 상기 밀판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판에 상기 제1 안내홀과 연결되고, 상기 지연핀 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 안내홈이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연핀 돌출부의 넓이는 상기 제1 안내홀의 넓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연핀 돌출부와 상기 지연핀 일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안내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턴핀은 측면으로 돌출된 리턴핀 돌출부가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지연핀 돌출부 및 상기 제1 금형의 제1 베이스 블럭과 마주보며 접촉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리턴핀 돌출부 및 상기 밀판과 마주보며 접촉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리턴핀이 이동되는 제2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핀 돌출부의 넓이는 상기 제2 안내홀의 넓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제1 코어를 지지하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리턴핀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홈과 상기 제2 안내홀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금형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리턴핀 돌출부와 상기 제2 안내홀 간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지연핀 돌출부와 상기 제1 안내홀 간의 이격된 거리 보다 크게 이루어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금형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연핀, 상기 제1 탄성부재, 상기 리턴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각각 다수로 구비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4. 제1 금형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사출성형된 성형물을 밀어서 취출하는 밀핀;
    상기 제1 금형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의 취출거리를 확보하는 리턴핀;
    상기 밀핀 및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2 금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을 더 가하여 상기 제2 금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밀핀을 지지하되,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밀핀에 전달하는 밀판을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밀판 및 상기 리턴핀에 전달하는 지연핀을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제1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핀은 측면으로 돌출된 지연핀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연핀의 일측이 상기 제1 안내홀로 이동되며 상기 리턴핀에 탄성력이 전달되고, 상기 지연핀 돌출부를 통해 상기 밀판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지연핀 돌출부와 상기 지연핀 일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안내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연핀이 상기 제2 금형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지연핀 돌출부가 상기 밀판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지연핀의 끝단이 상기 리턴핀에 먼저 접촉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리턴핀의 이동길이는 상기 밀핀의 이동길이 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연핀, 상기 제1 탄성부재, 상기 리턴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각각 다수로 구비되는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KR1020150056141A 2015-04-21 2015-04-21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KR20160125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41A KR20160125231A (ko) 2015-04-21 2015-04-21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41A KR20160125231A (ko) 2015-04-21 2015-04-21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31A true KR20160125231A (ko) 2016-10-31

Family

ID=5744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141A KR20160125231A (ko) 2015-04-21 2015-04-21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920A (ko) 2019-10-24 2021-05-04 이형훈 카운터와 리미트스위치가 통합화된 사출성형기용 컨트롤러
WO2021127924A1 (zh) * 2019-12-23 2021-07-0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模具的延迟合模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920A (ko) 2019-10-24 2021-05-04 이형훈 카운터와 리미트스위치가 통합화된 사출성형기용 컨트롤러
KR20230107507A (ko) 2019-10-24 2023-07-17 이형훈 카운터와 리미트스위치가 통합화된 사출성형기용 컨트롤러
WO2021127924A1 (zh) * 2019-12-23 2021-07-0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模具的延迟合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0509A (en) Forming apparatus
US8475156B2 (en) Injection mold
US8529244B2 (en) Injection mold
CN107672123B (zh) 模内成型模具及其顶出机构
KR101169680B1 (ko) 인서트 지지유닛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US20120213883A1 (en) Injection mold
JP7461061B2 (ja) ゲート切断機構及び成形用金型
KR20160125231A (ko)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US8465270B2 (en) Injection mold
KR101511278B1 (ko) 성형제품의 보스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지닌 사출성형금형
CN216465985U (zh) 新型塑模加速顶出机构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JP6259553B2 (ja) 射出成形用の型装置
KR102370936B1 (ko) 인서트 사출 성형장치 및 방법
KR101861808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 제작용 사출금형
KR100874974B1 (ko) 금형조립체
KR100530028B1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KR20100002974A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JP7260931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KR100874966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14660A (ko) 금형조립체
CN110039727B (zh) 一种头梳注塑模具
WO2023120278A1 (ja) 樹脂封止装置
CN214820430U (zh) 一种带折弯角度调整功能的模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