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470A -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470A
KR20160124470A KR1020150055106A KR20150055106A KR20160124470A KR 20160124470 A KR20160124470 A KR 20160124470A KR 1020150055106 A KR1020150055106 A KR 1020150055106A KR 20150055106 A KR20150055106 A KR 20150055106A KR 20160124470 A KR20160124470 A KR 2016012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pattern
pattern
release liner
concave
jo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182B1 (ko
Inventor
우진태
박대복
김학수
박신수
배현민
전일호
박미선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09J2201/16
    • C09J2205/10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 패턴, 및 제1 오목 패턴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 패턴을 포함하고, 제1 오목 패턴의 깊이는 제2 오목 패턴의 깊이보다 크고, 제1 오목 패턴의 폭은 제2 오목 패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MICROSTRUCTURED ADHESIVE TAPE, RELEASE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OF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이형라이너 및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 이다.
접합물품은 다양한 분야에서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광고용 필름, 건축마감용 필름, 인테리어 필름, 보호용 필름, 라벨 및 테이프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LED TV, OLED TV 등의 디지털 TV,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접합물품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자기기는 나노(nano) 내지는 마이크로(micro) 규모의 정밀 소자를 포함하며, 이에 사용되는 접합물품의 접합 특성은 전자기기의 성능 및 효과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특성이 보다 개선된 접합물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전자기기, 특히, 광학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피착 과정 중에 접합물품과 피착체 사이에 공기 등의 유체가 포집되면 광학 디스플레이 기기 완제품의 현격한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접합물품은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현저한 접합력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지면서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이형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지면서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상기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 패턴, 및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깊이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깊이보다 크고,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로서, 상기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볼록 패턴, 및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볼록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2 볼록 패턴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볼록 패턴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를 준비하는 단계,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표면 형상을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피착체와 피착 후 접합 테이프 표면 미세구조의 형상이 변형되어 접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 패턴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층은 소정의 쿠션기능을 수행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피착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표면 미세구조로 인한 접합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공기 배출 능력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접합 테이프 외부에서 공기배출터널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유체 분산성이 더욱 개선되며, 접합 테이프가 피착체에 부착되는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가접합된 상태에서 부착위치의 조정이 가능하여 부착위치 오류로 인한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은 이형라이너와의 박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접합 테이프 표면 미세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접합 테이프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합부재를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합부재 상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형라이너를 Ⅵ-Ⅵ'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들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X는 접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Y는 접합 테이프(100)의 너비 방향을, Z는 접합 테이프(100)의 두께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X가 접합 테이프의 너비 방향, Y가 길이방향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접합 테이프(100)의 일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평면상에서 확장된 시트(sheet) 형상이거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band)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띠 형상의 접합 테이프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를 포함한다.
접합부재(200)는 접합력을 가져 피착체와 접합이 가능하게 한다. 접합 테이프(100)에서 피착체와 접합되는 접합면은 접합부재(200)의 일면(상면) 및/또는 타면(하면)이다. 도 2에서는 접합부재(200)의 상면이 접합면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접합부재(200)의 상면은 요철면을 포함한다. 요철면은 접합 테이프(100)를 피착체에 접합할 때, 공기 터널을 형성함으로써 접합 테이프(100)와 피착체 간 들뜸 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합부재(200)의 상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접합부재(200)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 또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러버계, 폴리우레탄계, 변성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200)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접합부재(200) 자체에 우수한 복원력 및 충격흡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구성물질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점도는 10 내지 100,000 cps이거나, 500 내지 3,000 cps이거나, 1,000 내지 2,000 cps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두께는 목적 또는 용도를 고려하여 선택되며, 일반적으로 10 내지 7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부재(200)는 접착력이나 점착력을 갖는 물질 이외에 다른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전자파 차폐기능이나 방열기능 등을 수행하는 금속 입자 또는 탄소 소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입자로는 Ag, Al, BN, C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소재의 예로는 탄소섬유(carbon fiber),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접합부재(200)는 충전제, 가소제, 발포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난연제, 증점제, 착색제, 섬유상 강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접합 테이프(100)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빛 차단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접합부재(200)는 착색제로서 차광 물질, 예컨대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의 상면에 배치된 이형라이너(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500)는 수지층(500a) 및 지지층(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500)의 수지층(500a)은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에 형합하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형라이너(5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부재(200)의 하면에는 소정의 층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층,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접합부재(200)의 하면에는 또 다른 이형라이너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접합부재(200)의 하면도 접합면으로 사용 가능한 양면 접합 테이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합 테이프의 경우 접합부재의 하면 또한 상기 접합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하면의 요철구조는 상기 상면의 요철구조에 비해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으로 소정 거리만큼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합부재(200) 및 이형라이너(500)의 각 요철면에는 접합 테이프(100)의 너비 방향(Y)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요철구조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배열되어 있다. 상기 요철구조는 접합 테이프(100)의 너비 양 말단까지 이어진다.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 테이프 심(101)을 중심으로, 접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X)이 원주를 형성하며 감겨서 접합 테이프 하우징(102) 내에 수납되어 보관 및 제공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0)는 피착체에 부착 전에 피착체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요철구조의 연장 방향(Y)과 수직인 방향(X)을 따라 접합 테이프(100)가 감길 경우 상기 요철구조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접합부재(200)의 상면 구조와 이형라이너(5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접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합부재를 Ⅳ-Ⅳ'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합부재 상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합부재(200)의 상면은 하나 이상의 오목한 제1 오목 패턴(300), 및 하나 이상의 오목한 제2 오목 패턴(40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2개의 인접한 제1 오목 패턴(300) 사이에는 하나의 제2 오목 패턴(400)이 배치되고, 제1 방향(X)으로 2개의 인접한 제2 오목 패턴(400) 사이에는 하나의 제1 오목 패턴(300)이 배치된다.
제1 오목 패턴(300) 및 제2 오목 패턴(400)은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오목 패턴(300) 및 제2 오목 패턴(400)은 각각 선형음각패턴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방향은 제2 방향(Y)이다. 이 경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양 말단부는 접합 테이프(100)의 제2 방향(Y)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은 공기배출터널(air sweep tunnel)로써 역할을 하며, 접합 테이프(100)의 말단까지 이어진 공기배출터널을 통해 유체 등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제1 오목 패턴(300)과 제2 오목 패턴(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따라 인접하여 순차 배치되어 있는 제1 오목 패턴(300), 및 제2 오목 패턴(400)은 하나의 기본단위를 이룬다. 상기 기본단위는 제1 방향(X)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상기 기본단위는 반복되기 때문에, 제1 방향(X)으로 일정한 피치만큼 끊어서 다른 기본단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차 배치되어 있는 제2 오목 패턴(400), 및 제1 오목 패턴(300)이 하나의 기본단위를 이룰 수도 있고, 일측 제2 오목 패턴(400)의 절반, 제1 오목 패턴(300), 및 타측 제2 오목 패턴(400)의 절반이 하나의 기본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본단위의 피치(P)는 제1 오목 패턴(300)의 일단에서 제2 오목 패턴(400)의 타단까지의 수평거리로 표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치(P)는 600 내지 1,250㎛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이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되는 경우, 방향성에 따른 접합력의 편차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 테이프(100)가 피착체와 부착 후, 리워크(rework) 작업이 필요한 경우 접합력이 더 작은 방향으로 접합 테이프(100)를 박리함으로써 리워크를 더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이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되면, 접합 테이프(100)에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연장방향으로의 꺾임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테이프(100)가 각진 피착체와 부착되는 경우, 피착체의 각진 모서리가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접합 테이프(100)를 배치하면 부착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접합부재(200)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이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됨으로 인해, 접합 테이프(100)가 피착체와 부착 후 접합 테이프(100) 표면에서 시인되는 패턴의 형상이 균일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광학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이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면, 공기 배출의 경로 길이, 배출 단면적 및 공기 배출의 분산성 등이 최적화된 다중 공기배출터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연장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단면에서,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은 각각 중심부(기저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깊이는 각각 외측보다 중심부에서 더 깊을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의 단면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오목 패턴(300)의 연장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1 오목 패턴(300)의 단면에서, 제1 오목 패턴(300)은 제1 기저부(310), 및 제1 기저부(310)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일측의 제2 오목 패턴(400) 및 타측의 제2 오목 패턴(400) 방향으로 각각 상향 경사진 2개의 제1 경사부(3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오목 패턴(300)의 단면은 제1 기저부(310)를 중심으로 대칭형상이며, 제1 기저부(310)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2개의 제1 경사부(320)는 각각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제1 경사부(320)의 최상단에 이르는 제1 곡률반경(R0)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합부재(200) 상면의 미세구조 패턴이 상기와 같이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경우 공정이 간소화 되고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공정상의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미세구조 패턴의 단면 형상이 비교적 단순하며 표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형라이너(500)의 박리특성이 개선되어 박리 과정에서의 미세구조 패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합물품의 접합력 및 미세구조 패턴의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저부는 평탄한 면일 수도 있고, 2개의 제1 경사부는 타원, 또는 포물선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오목 패턴(300)의 깊이(d300)는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경사부(320) 최상단의 높이로부터 제1 기저부(310)에 이르는 수직거리로 정의된다. 제1 오목 패턴(300)의 깊이(d300)는 30 내지 50㎛일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300)의 폭(w300)은 제1 오목 패턴(300)의 2개의 제1 경사부(320) 최상단 사이의 수평거리로 정의된다. 제1 오목 패턴(300)의 폭(w300)은 100 내지 20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0)의 연장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2 오목 패턴(400)의 단면에서, 제2 오목 패턴(400)은 제2 기저부(410), 및 제2 기저부(410)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일측의 제1 오목 패턴(300) 및 타측의 제1 오목 패턴(300) 방향으로 각각 상향 경사진 2개의 제2 경사부(420)를 포함한다.
제2 오목 패턴(400)의 연장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2 오목 패턴(400)의 단면에서, 제2 오목 패턴(400)은 제2 기저부(410) 및 제2 기저부(410)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 경사진 2개의 경사부(4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오목 패턴(400)의 단면은 제2 기저부(410)를 중심으로 대칭형상이며, 제2 기저부(410)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2개의 제2 경사부(420)는 각각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제2 경사부(420)의 최상단에 이르는 제2 곡률반경(R0')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기저부는 평탄한 면일 수도 있고, 2개의 제2 경사부는 타원, 또는 포물선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제2 오목 패턴(400)은 접합부재(200)의 주된 접합면을 구성한다. 제2 오목 패턴(400)의 평면상 면적은 접합부재(200) 상면 전체 면적의 50% 이상일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400)의 깊이(d400)는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 최상단의 높이로부터 제2 기저부(410)에 이르는 수직거리로 정의된다. 제2 오목 패턴(400)의 깊이(d400)는 1 내지 45㎛일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400)의 폭(w400)은 제2 오목 패턴(400)의 2개의 제2 경사부(420) 최상단 사이의 수평거리로 정의된다. 제2 오목 패턴(400)의 폭(w400)은 500 내지 1,00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300)의 크기와 제2 오목 패턴(400)의 크기는 상호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목 패턴(400)의 깊이(d400)는 제1 오목 패턴(300)의 깊이(d30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 패턴(400)의 깊이(d400)는 제1 오목 패턴(300)의 폭(w300)의 1/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제2 오목 패턴(400)의 폭(w400)은 제1 오목 패턴(300)의 폭(w30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아울러,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곡률반경(R0')은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곡률반경(R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곡률반경(R0')은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곡률반경(R0)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경사부(320)의 최상단 일측과, 하나의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의 최상단 일측이 맞닿는 부분은 산부(450)를 정의한다. 산부(450)는 제1 오목 패턴(300)과 제2 오목 패턴(400)이 이루는 하나의 기본단위에서 가장 높이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경사부(320)는 산부(450)로부터 제1 기저부(3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되, 가파른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제1 기저부(310)에 이를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는 산부(450)로부터 제2 기저부(4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되, 가파른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제2 기저부(410)에 이를 수 있다.
산부(450)는 2개의 경사부, 즉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경사부(320)와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가 맞닿아 예리한 첨단(tip) 형상이거나, 일부 평탄면을 포함하는 뭉툭한 형상이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라운드 형상일 수도 있다.
접합부재(200)를 평면 상에 놓았을 때, 제1 경사부(320)가 평면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경사각(θ1)은 제2 경사부(420)가 평면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경사각(θ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평균경사각이란, 임의의 구간 내에서 기울기가 다른 여러 경사를 평균한 경사각을 의미하며, 경사부 전체에서 경사부 최하단(제1 및 제2 기저부)에서 최상단(산부)까지의 수평거리에 대한 고저차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부(320)가 평면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경사각은 15 내지 30°이고, 제2 경사부(420)가 평면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경사각은 5 내지 10°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기저부(310)에서 산부(450)에 이르는 직선거리는 제2 기저부(410)에서 산부(450)에 이르는 직선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이형라이너를 Ⅵ-Ⅵ'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500)는 수지층(500a)을 포함한다. 수지층(500a)은 그 자체로 이형라이너(500)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라이너(500)는 일체형 이형라이너이다.
이형라이너(500)는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물품을 만들거나, 접합물품을 사용하기 전에 접합물품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형라이너(500)는 접합부재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되, 이형라이너(500)가 취급 및 가공에서 통상 접하게 되는 힘에 의해 접합부재 표면으로부터 조기에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이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500a)의 재질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재질로 코팅된 층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형라이너(500)의 제조방법 및 구체적인 구조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5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은 요철면을 포함한다. 요철면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전사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며, 접합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 접합부재에 구조화된 패턴을 전사(transfer)하는 역할을 한다.
이형라이너(500)는 전사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 소정의 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50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500b)은 수지층(500a)을 지지하여 이형라이너(500) 전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층(500b)은 부직포 등의 섬유 기재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 코팅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는 전사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 소정의 표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물은 인쇄층일 수 있다. 상기 표시물은 문자, 도형, 문양, 또는 그림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물은 이형라이너의 상면에 형성된 전사패턴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의 타면이 상기 소정의 표시물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공정 시, 공정을 수행하는 기술자가 리워크가 용이하거나 꺾임 특성의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준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은 전술한 접합부재 상면에 형성된 접합패턴과 역상(reverse image)을 갖는 전사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패턴과 전사패턴이 맞물린 상태로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은 접합부재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역상이라 함은 상기 접합패턴과 전사패턴의 입체적 구조가 실질적으로 역상임을 뜻하는 것이지, 상기 양 패턴의 폭, 높이 및/또는 크기 등의 수치가 반드시 1:1로 대응됨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합부재의 제1 오목 패턴에 대응되는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에는 제1 정상부(610), 및 하향 경사진 2개의 제1 경사부(620)를 포함하는 이형라이너(500)의 볼록한 제1 볼록 패턴(600)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합부재의 제2 오목 패턴에 대응되는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에는 제2 정상부(710), 및 제2 정상부(710)로부터 하향 경사진 2개의 제2 경사부(720)를 포함하는 이형라이너(500)의 볼록한 제2 볼록 패턴(7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볼록 패턴(600)의 제1 경사부(620)의 최하단 일측과, 하나의 제2 볼록 패턴(700)의 제2 경사부(720)의 최하단 일측이 맞닿는 부분은 골부(750)가 정의된다. 골부(750)는 하나의 제1 볼록 패턴(600)과 하나의 제2 볼록 패턴(700)이 이루는 하나의 기본단위에서 가장 깊이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재의 상면과 이형라이너(500)의 상면은 서로 형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타 구체적인 제1 및 제2 볼록 패턴(600, 700)의 높이, 폭, 단면 형상, 및 배열 상태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와 부착하기 위해 이형라이너(500)를 먼저 제거한다. 이형라이너(500)를 제거하면,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이 노출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이 피착체(800)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접합부재(200)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착체(800)에 접촉시킨다. 이 때, 접합부재(200) 상면에서 산부(450)가 가장 돌출되어 있으므로, 산부(450)가 가장 먼저 피착체(800)에 접촉될 수 있다. 즉, 가압단계 전에 산부(450)가 피착체(800)와 약한 힘으로 가접합 될 수 있다.
피착체(800)와 접합부재(200)를 대면하여 배치한 후, 상기 가접합 공정을 수행하여 임시적으로 부착하고, 원하는 위치에 배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리워크를 통해 다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접합 상태에서는 피착체(800)와 접합부재(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력의 저하, 또는 공정상의 결함 발생 없이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부착위치 오류로 인한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이서,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를 가압하여 본접합, 즉 완전한 부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단계는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를 피착체(800) 측으로 눌러 가압할 수도 있거나, 피착체(800)를 접합부재(200) 측으로 눌러 가압하거나, 양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과정은 상기 접촉단계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가 가압되는 과정 중에 있어, 제1 오목 패턴(300)의 제1 기저부(310) 및 2개의 제1 경사부(320)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제1 공기배출터널(AT1)로써,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기저부(410) 및 2개의 제2 경사부(420)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제2 공기배출터널(AT2)로써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터널은 접합부재(200) 너비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피착 및 가압 과정 중에 포집될 수 있는 공기 또는 수분 등의 유체 물질은 제1 및 제2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고 그 결과, 공기 등으로 인한 기포층(air pocket)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터널(AT1, AT2)은 유체가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 사이에 갇히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통로(path)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두 가지의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구비하는 접합 테이프는 공기터널의 영역이 증가되므로, 공기배출 특성, 즉 유체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 특성 및 접합 테이프가 피착체(800)에 부착되는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가 가압되는 과정 중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통해 공기 등이 배출됨과 동시에 유동성을 갖는 산부(450)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부(450)는 피착체(800)에 의해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서,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한 제1 오목 패턴(300)측(A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꺾일 수 있다. 산부(450)가 꺾이는 정도의 한계는 산부(450)가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기저부(410)와 동일한 레벨이 되거나, 또는 그 이하가 될 때까지이다.
가압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 및 산부(450)가 제2 기저부(410)와 동일한 레벨까지 완전히 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가 부분적으로 피착체(800)에 맞닿지 않아 피착체(800)와의 접촉 면적은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공기배출터널은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경사부(320)와 제2 경사부(420)가 평면과 형성하는 평균경사각 간의 관계, 제1 오목 패턴(300)의 깊이/폭, 제2 오목 패턴(400)의 깊이/폭, 및/또는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 단면의 제1 및 제2 곡률반경을 일정한 관계에 있도록 설계하여 산부(450) 형상의 변형을 의도하는 대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가 가압되어 밀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접합부재(200)와 피착체(800)가 완전히 가압되면, 접합부재(200)의 제2 오목 패턴(400)이 피착체(800)의 표면에 맞닿게 펴지고, 이들 사이에 결합력이 부여된다. 도 9에서는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가 제2 기저부(410)와 동일한 레벨까지 펴져서 피착체(800)에 밀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된 하나의 산부(450)와 인접하는 다른 산부(450)는 상호 마주 보며 이격될 수 있다. 즉, 변형된 제2 오목 패턴(400)이 제1 오목 패턴(300)의 상부 일부만을 덮는 경우 피착체(800) 부착 후에도 잔존하는 제1 공기배출터널(AT1')은 잔존하는 기포, 또는 수분배출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습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접합 테이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변형된 하나의 산부와 인접하는 다른 산부는 상호 맞닿아 제1 오목 패턴의 상부를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배출터널을 통해 공기 등이 배출된 후 변형된 산부에 의해 제1 오목 패턴은 외부와 차단되고, 그 결과 제1 공기배출터널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견고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질적으로 접합에 기여할 수 있는 접합면적(S2, S2')은 접합부재(200) 상면 전체 면적에서 제1 오목 패턴(300)의 평면상 면적(S1, S1')을 제외한 면적이다. 제1 오목 패턴(300)은 피착체(800)와 직접 맞닿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것처럼 피착체(800)에 의해 압력을 받아 형상이 변형된 제2 오목 패턴(400)의 제2 경사부(420)는 피착체(80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피착체(800) 부착 후에 실질적으로 접합에 기여하는 접합면적(S2')은 본래의 접합면적(S2)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을 위한 미세구조가 형성된 접합 테이프는 상기 미세구조로 인해 현저한 접합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피착체와 부착 시 미세구조에 발생하는 변형을 통해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변형된 제2 오목 패턴(400)의 형상은 접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피착체(800)와 부착 후 접합 테이프 외부에서 제1 공기배출터널(AT1')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800) 부착 후에도 잔존하는 제1 공기배출터널(AT1') 영역은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층은 일종의 쿠션역할을 수행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피착체(800) 및 피착물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설명한다.
도 10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각각 제1 및 제2 오목 패턴의 연장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1 및 제2 오목 패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1)의 2개의 제1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1)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되, 소정의 높이에 다다른 후 수직경사를 이루며 제1 경사부의 최상단에 이르는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1)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1)보다 큰 제2 곡률반경(R1')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2 곡률반경(R1')은 제1 곡률반경(R1)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목 패턴(301)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1)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2)의 2개의 제1 경사부(322)는 각각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제1 경사부(322)의 최상단에 이르는 타원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인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제1 오목 패턴(302)의 단면은 제1 기저부(312)를 중심으로 대칭형상이며, 상기 대칭선은 상기 타원의 장축에 대응되고, 상기 타원은 제1 기저부(312)에서 측정하였을 때 제1 곡률반경(R2)을 갖는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2)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2)보다 큰 제2 곡률반경(R2')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2 곡률반경(R2')은 제1 곡률반경(R2)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목 패턴(302)의 제1 경사부(322)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2)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3)의 2개의 제1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3)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3)의 2개의 제2 경사부(423)는 각각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제2 경사부(423)의 최상단에 이르는 타원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인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제2 오목 패턴(403)의 단면은 제2 기저부(413)를 중심으로 대칭형상이며, 상기 대칭선은 상기 타원의 단축에 대응되고, 상기 타원은 제2 기저부(413)에서 측정하였을 때 제1 곡률반경(R3)보다 큰 제2 곡률반경(R3')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2 곡률반경(R3')은 제1 곡률반경(R3)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목 패턴(303)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3)의 제2 경사부(423)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4)의 2개의 제1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4)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고, 제2 오목 패턴(404)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4)보다 큰 제2 곡률반경(R4')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제1 오목 패턴(304)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4)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이 때, 제1 오목 패턴의 폭(w304)과 제2 오목 패턴의 폭(w404)이 동일한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5)의 2개의 제1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5)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되, 소정의 높이에 다다른 후 수직경사를 이루며 제1 경사부의 최상단에 이르는 형상이다. 제1 오목 패턴(305)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5)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5)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5)과 동일한 제2 곡률반경(R5')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고, 이 때, 제1 오목 패턴의 폭(w305)과 제2 오목 패턴의 폭(w405)이 동일한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6)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탄한 제1 기저부(316)를 포함하는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2개의 제1 경사부(326)는 각각 제1 곡률반경(R6)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한편, 제2 오목 패턴(406)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6)보다 큰 제2 곡률반경(R6')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2 곡률반경(R6')은 제1 곡률반경(R6)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목 패턴(306)의 제1 경사부(326)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6)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오목 패턴(307)의 2개의 제1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7)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고, 제2 오목 패턴(407)의 2개의 제2 경사부는 각각 제1 곡률반경(R7)보다 큰 제2 곡률반경(R7')을 갖는 원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제1 오목 패턴(307)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2 오목 패턴(407)의 제2 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다.
이 때, 제1 오목 패턴(307)의 제1 경사부의 최상단 일측과, 제2 오목 패턴(407)의 제2 경사부의 최상단 일측이 맞닿는 산부(457)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탄면을 포함하는 점이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이하,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형라이너(500)는 접합부재(200)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이형라이너(500)의 일면(상면)은 하나 이상의 볼록한 제1 볼록 패턴(600), 및 하나 이상의 볼록한 제2 볼록 패턴(700)을 포함한다.
기타 구체적인 이형라이너(500) 일면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500)의 일면과 동일한 미세구조를 갖는다.
한편, 접합부재(200)가 형성되어 준비된다. 이는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 일면에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부직포 등의 섬유기재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 코팅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면, 이형라이너(500)와 접합부재(200)는 가압수단을 통해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이형라이너(500)의 제1 볼록 패턴(600)이 접합부재(200) 일면을 통해 접합부재(200) 내측으로 침투하되, 접합부재(200) 타면까지 관통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 타면에 기재가 배치되는 경우, 이형라이너(500) 제1 볼록 패턴(600)의 정상부가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밀착시킨다. 한편, 이형라이너(500)의 제2 볼록 패턴(700) 역시 접합부재(200) 일면과 밀착되어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공정 단계에 있어서 가압의 정도 및 기타 공정 조건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접합부재(200) 일면에 이형라이너(500) 일면 미세구조의 역상(reverse image)을 구현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는 제1 오목 패턴(300) 및 제2 오목 패턴(4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라이너(500)의 제1 및 제2 볼록 패턴(600, 700)은 접합부재(200) 내측으로 침투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 제1 및 제2 오목 패턴(300, 400)을 전사하고, 유동성 있는 접합부재(200)는 이형라이너(500)의 골부(750)와 밀착하도록 변형, 예를 들어 융기(uplift)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는 제1 오목 패턴(300), 제2 오목 패턴(400), 및 산부(450)가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형라이너(500)의 표면 형상을 건조된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가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 이형라이너(500)는 박리(released)되어 제거되고, 이형라이너(500)가 제거된 상태의 접합 테이프를 제조 및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접합 테이프
200 : 접합부재
300 : 제1 오목 패턴
400 : 제2 오목 패턴
450 : 산부
500 : 이형라이너
600 : 제1 볼록 패턴
700 : 제2 볼록 패턴
750 : 골부
800 : 피착체

Claims (13)

  1.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상기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 패턴, 및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깊이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깊이보다 크고,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깊이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의 1/2 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폭은 100 내지 200㎛이고,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깊이는 30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폭은 500 내지 1,000㎛인 접합 테이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패턴 및 상기 제2 오목패턴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순차 배치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 및 제2 오목 패턴은 하나의 기본단위를 이루며,
    상기 기본단위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배치되는 접합 테이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곡률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대면하여 밀착되며,
    상기 접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형합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이형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의 타면은 상기 접합부재 일면과 동일한 형상을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8.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로서,
    상기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볼록 패턴, 및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볼록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2 볼록 패턴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볼록 패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이형라이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 패턴의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볼록 패턴의 제2 곡률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이형라이너.
  10. 제8 항 및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형라이너를 준비하는 단계;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표면 형상을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 일면에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제1 볼록 패턴의 정상부가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내측으로 침투하되,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제1 볼록 패턴의 정상부가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내측으로 침투하되,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제2 볼록 패턴을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KR1020150055106A 2015-04-20 2015-04-20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69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06A KR101694182B1 (ko) 2015-04-20 2015-04-20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06A KR101694182B1 (ko) 2015-04-20 2015-04-20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70A true KR20160124470A (ko) 2016-10-28
KR101694182B1 KR101694182B1 (ko) 2017-01-09

Family

ID=5724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106A KR101694182B1 (ko) 2015-04-20 2015-04-20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08B1 (ko) 2020-01-13 2020-12-03 이종환 물탱크 시일링용 일면 접합형 접합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모듈
KR102355090B1 (ko) 2020-04-10 2022-01-25 이종환 물탱크 실링용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단위 패널의 체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387A (ko) * 2005-01-28 2006-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KR20080049748A (ko) * 2005-08-22 2008-06-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 용품 및 이형 라이너
KR101281355B1 (ko) * 2009-12-28 2013-07-02 (주)엘지하우시스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387A (ko) * 2005-01-28 2006-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KR20080049748A (ko) * 2005-08-22 2008-06-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 용품 및 이형 라이너
KR101281355B1 (ko) * 2009-12-28 2013-07-02 (주)엘지하우시스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182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3555C (zh) 具有角锥体结构的胶粘剂层与可剥离衬里
US7413787B2 (en) Adhesive sheet
TWI627025B (zh) 磨料製品表面形成方法、研磨設備及其磨料製品
KR101694182B1 (ko)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JP2010033057A5 (ja) 光学シート
KR20100060016A (ko)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I832853B (zh) 基於膜之物品及將其施加至基材的方法
CN211497476U (zh) 一种强稳定性离型膜
KR101320300B1 (ko)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JP2009237577A (ja) 光学的構造体
KR20150041867A (ko)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US20220363956A1 (en) Adhesive sheet, device laminate, and method for peeling adhesive sheet
JP2003336018A (ja) 粘着シート
JP2009001667A (ja) 粘着シートの粘着剤層表面に凹部を形成するための剥離シート
KR101694181B1 (ko)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JP7262188B2 (ja) 接着剤シート
JP6644096B2 (ja) 装飾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2765U (ja) 画面保護フィルム
CN111954704A (zh) 具有流体排出通道的转移带
JP2009062454A (ja)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10969B (zh) 基板结构、显示装置及基板结构的制作方法
US20220251427A1 (en) Adhesive film having three-dimensional molded shape
TWI486421B (zh) 雙面膠及其製備方法
KR101659270B1 (ko) 접합 테이프
JP2015000915A (ja) 装飾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