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251A -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251A
KR20160124251A KR1020167028961A KR20167028961A KR20160124251A KR 20160124251 A KR20160124251 A KR 20160124251A KR 1020167028961 A KR1020167028961 A KR 1020167028961A KR 20167028961 A KR20167028961 A KR 20167028961A KR 20160124251 A KR20160124251 A KR 2016012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receiving box
clos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237B1 (ko
Inventor
신이찌 에베
마꼬또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6Roll-up holders with pockets for separat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200)를 수용하는 수용 박스(1100)와, 수용 박스(1100)의 내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2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1120)와, 수용 박스(1100)의 복수의 면 중, 수용 박스(110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1200)를 고정하였을 때에 디스플레이(1200)의 화면이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창부(1110)와, 창부(1110)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1130)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DISPLAY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를 운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객처에서의 미팅이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를 운반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일광, 분진, 온도, 습도, 또는 낙하에 의한 충격 등의 외적 요인에 대해 반드시 강인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운반 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고무 등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로 덮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금속 등으로 형성된 수용 케이스에 수납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휴대용의 케이스 내에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확대 표시하기 위한 일체의 수단을 수납하는 기술에 관한 기재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모든 구성 기기, 구성 부품을 운용 가능 상태에서 설치하고, 접속하고, 조정한 후, 단일 랙에 절첩(포개) 수납함으로써, 시스템의 운반을 손쉽게 하는 기술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5-100314호 공보 실용 신안 제3087540호 공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경우, 조작성을 희생할 수는 없으므로, 통상, 표시 부분만은 노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지만, 분진이나 일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다.
한편, 상기 수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 전체를 수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외적 요인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수용 케이스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단순히 수납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외벽과 수용 케이스의 내벽이 스쳐, 디스플레이의 외벽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은, 화상을 확대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일습(일체)을 수납하기 위한 기술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수납하기 위한 기술은 아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수용한 경우,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외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는 없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랙 수납 대상은, 모든 구성 기기, 구성 부품을 운용 가능 상태에서 설치하고, 접속하고, 조정한 상태의 시스템(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아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수용한 경우,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즉,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외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 박스와, 수용 박스의 내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수용 박스의 복수의 면 중, 수용 박스의 내부에 디스플레이를 고정하였을 때에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창부와, 창부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종의 구성 요소는, 반드시 각각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1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떤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수용 박스 내에 디스플레이가 수납되고, 또한 창부가 폐색 부재로 폐색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3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수용 박스 내에 디스플레이가 수납되고, 또한 창부가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3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창부가 폐색 부재로 폐색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수용 박스 내에 디스플레이가 수납되고, 수용 박스가 세로 배치되고, 또한 창부가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지지 부재에 의한 폐색 부재의 지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
[구성의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1000)는 수용 박스(1100)와, 고정 부재(1120)와, 폐색 부재(1130)를 갖는다.
수용 박스(1100)는 표시 화면(1210)을 갖는 디스플레이(1200)를 수용한다. 고정 부재(1120)는 수용 박스(110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1200)를 고정한다.
수용 박스(1100)의, 고정된 디스플레이(1200)의 표시 화면(1210)과 대향하는 면에는, 외부로부터 표시 화면(1210)을 시인하기 위한 창부(1110)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1130)는 창부(1110)를 폐색한다.
디스플레이(1200)는, 예를 들어 패널 형상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이다. 표시 화면(1210)은 사각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박스(1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0)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창부(1110)는 통상, 표시 화면(1210)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크기[환언하면, 디스플레이(1200)를 출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박스(1100)의 소정 위치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노트북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인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114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박스(1100)의 내부에 있어서, 접속 커넥터(1140)와 디스플레이(1200)는, 직접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다.
고정 부재(1120)는 수용 박스(1100)의 중공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고정 부재(1120)는 수용 박스(110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는, 고정 부재(1120)는 수용 박스(1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조립 시에 있어서, 소정의 접합 방법으로 수용 박스(1100)에 접합되어도 된다. 디스플레이(1200)의 이면[표시 화면(1210)과 반대측의 면]은 소정의 접합 방법(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 부재(1120)에 접합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200)는 수용 박스(1100)의 중공 내부에 있어서 움직이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0)는 디스플레이(1200)의 외면이 수용 박스(1100)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부재(1120)의 상면은, 창부(1110)에 대해 평행은 아니고,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120)는 창부(1110)에 대해 표시 화면(1210)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되도록, 디스플레이(1200)를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폐색 부재(1130)는 1매의 플레이트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폐색 부재(1130)는 창부(1110)의 주위에 형성된 시일 부재(예를 들어, 고무 패킹)에 착탈 가능하다.
수용 박스(1100)의, 창부(1110)가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폐색 부재(113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15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50)는 수용 박스(1100)의 하면 4코너에 형성된다. 수용 박스(1100)를 세로 배치[창부(1110)가 대략 연직으로 되도록 배치]로 한 경우, 수용 박스(1100)의 배면에 있어서, 폐색 부재(1130)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있어서 슬라이드시켜 장착시키면 된다.
지지 부재(1150)는 창부(1110)로부터 제거한 폐색 부재(1130)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박스(1100)를 가로 배치[창부(1110)가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한 경우에 수용 박스(1100) 자체의 다리부로 된다.
수용 박스(1100) 및 폐색 부재(1130)를 고강성의 재료(예를 들어, 수지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하면 디스플레이(12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수용 박스(1100) 및 폐색 부재(1130)를 단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하면 디스플레이(12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적합하다.
[디스플레이의 수용으로부터 시인까지의 일련의 작업에 관한 설명]
폐색 부재(1130)가 제거되어 창부(1110)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디스플레이(1200)를 창부(1110)로부터 수용 박스(1100)의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 부재(1120)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창부(1110)를 폐색 부재(1130)로 폐색한다. 그러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0)는 수용 박스(1100) 및 폐색 부재(113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1000)에 의해 디스플레이(1200)를 운반할 수 있다.
운반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200)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고객처에서의 미팅이나 프리젠테이션을 행하는 경우), 창부(1110)로부터 폐색 부재(1130)를 제거한다. 창부(1110)가 대략 연직으로 되도록 수용 박스(1100)를 세로 배치로 한다(도 4 참조). 수용 박스(1100)의 창부(1110)에 디스플레이(1200)의 표시 화면(1210)이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등의 데이터 출력 장치의 플러그 케이블을 접속 커넥터(1140)에 접속하고, 데이터 출력 장치에 정보(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용자(예를 들어,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사람들)는 창부(1110)를 통해, 표시 화면(121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거된 폐색 부재(1130)는 도 2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박스(1100)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 부재(1150)에 의해 지지된다.
[효과의 설명]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1000)의 경우, 창부(1110)는 폐색 부재(1130)에 의해 폐색되므로, 수용 박스(1100)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200)를 외부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0)를 외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0)는 고정 부재(112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수용 박스(1100) 내에서 움직이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0)의 외벽과 수용 박스(1100)의 내벽이 스쳐 디스플레이(1200)의 외벽이 손상되는 위험성은 회피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0)를 그 외면이 수용 박스(1100)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하면, 운반 중에 수용 박스(1100)에 충격이 작용해도, 이 충격이 디스플레이(120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패널 형상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폐색 부재(1130)는 창부(1110)의 주위에 형성된 시일 부재(예를 들어, 고무 패킹)에 착탈 가능하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1130)의 설치/제거에 관한 작업성을 유지한 채, 수용 박스(1100) 내의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수용 박스(1100)로부터 디스플레이(1200)를 취출하는 일 없이 수용한 상태에서 표시 화면(121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부재(1120)는 창부(1110)에 대해 표시 화면(1210)이 경사진 상태로 디스플레이(120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박스(1100)를 세로 배치로 한 경우, 표시 화면(1210)은 후방 경사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표시 화면(1210)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창부(1110)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0)가 터치 패널 형식의 디스플레이이었던 경우, 이용자는, 표시 화면(1210)에 터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박스(1100)는 창부(1110)와 반대측의 면에, 폐색 부재(113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150)를 갖는다. 이로 인해, 창부(1110)로부터 제거한 폐색 부재(1130)가 방해되는 경우가 없고, 제거된 폐색 부재(1130)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박스(1100)를 가로 배치로 한 경우, 지지 부재(1150)는 수용 박스(1100)의 다리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형태에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1200)를 수용 박스(1100)에 수용하여 고정 부재(1120)로 고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1000)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전용의 디스플레이가 생산 시에 수용 박스(1100)에 수용되어 고정 부재(1120)로 고정되어 있는 가반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창부(1110)가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상 가시 창부가 글래스나 수지 등의 투광판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제2 실시 형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2000)의 사시도를 각각에 도시한다. 도 6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2000)를 세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2000)는 상하 한 쌍으로 되는 폐색 부재(2131, 2132)를 구비한다. 폐색 부재(2131)는 힌지 기구(2110)를 통해, 창부(1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폐색 부재(2132)는 힌지 기구(2110)를 통해, 창부(1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2000)는 좌우 한 쌍으로 되는 폐색 부재(2133, 2134)를 구비한다. 폐색 부재(2133)는 힌지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창부(1110)의 우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폐색 부재(2134)는 힌지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창부(1110)의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우 한 쌍의 폐색 부재(2133, 2134)의 설치 위치는, 상하 한 쌍의 폐색 부재(2131, 2132)의 설치 위치보다도 약간량[예를 들어, 폐색 부재(2131, 2132)의 판압분]만큼 안쪽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시, 폐색 부재(2131)는 좌우 한 쌍의 폐색 부재(2133, 2134)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수용 박스(2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폐색 시에 있어서 상하 한 쌍의 폐색 부재(2131, 2132)의 폐색을 유지하기 위해, 상하 한 쌍의 폐색 부재(2131, 2132)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2200)가 설치된다. 수용 박스(2100)의 하부에는, 스토퍼(2200)와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부(23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경우, 폐색 부재(2131, 2133, 2134)가 주위의 외광을 방지하는 차광 기구로서도 기능하므로, 표시 화면(1210)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폐색 부재(2131, 2132, 2133, 2134)는, 힌지 기구에 의해 수용 박스(2100)와 연결된 상태이며, 분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정리나 분실의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폐색 부재(2131, 2133, 2134) 및 수용 박스(2100)의 내벽에 대해 무반사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폐색 부재(2131, 2132, 2133, 2134) 및 수용 박스(2100)의 내벽에 있어서의 난반사가 방지되어, 표시 화면(1210)의 시인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폐색 부재를 복수(2131, 2132, 2133, 2134의 총 4개)로 하였지만, 힌지 기구를 통해 수용 박스(2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만 되어 있으면, 폐색 부재의 수는 1개이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3000)의 사시도를 각각에 도시한다. 도 8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3000)를 세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3000)의 구조는, 일부를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20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3000)에 있어서, 하측의 폐색 부재(3110)는 제1 폐색부(3111)와 제2 폐색부(3112)로 2분할되어 있다. 제1 폐색부(3111)와 제2 폐색부(3112)는, 힌지 기구(21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시, 제2 폐색부(3112)는 제1 폐색부(3111)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되고, 그 하단부는, 바닥면에 접한다. 이와 같은 폐색 부재(3110)에 의해, 수용 박스(2100)의 전방으로의 전도가 방지된다.
또한, 수용 박스(2100)의 배면 또는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좌우 한 쌍의 박스 지지 부재(3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좌우 한 쌍의 박스 지지 부재(3200)를 후방으로 개방함으로써, 수용 박스(2100)의 후방으로의 전도가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경우, 세로 배치한 수용 박스(2100)의 전도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400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창부가 폐색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창부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4000)를 세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4000)의 구조는, 일부를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30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 박스(4100)의 창부(4110)의 좌우 양단부에는, 힌지 기구(2110)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폐색 부재(4120)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폐색 부재(4120)의 하측 선단부에는, 박스 지지 볼록부(41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시, 각 폐색 부재(4120)의 박스 지지 볼록부(4121)가 바닥면에 접하므로, 수용 박스(4100)의 전방으로의 전도가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그 내용이 상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의 구조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구조 등은 본원 발명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각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의 일부 내지 모두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하의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화상 표시 화면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별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수용 박스와, 패널 수용 박스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 수단과, 패널 수용 박스의 내부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화면과 대향하여 화상 데이터를 가시로 하는 화상 가시 창부와, 패널 수용 박스의 화상 가시 창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지하는 창부 폐지 부재를 갖는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2)
패널 고정 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외면이 패널 수용 박스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3)
패널 고정 수단은, 패널 수용 박스의 화상 가시 창부에 대해 화상 표시 화면이 경사진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4)
창부 폐지 부재는, 화상 가시 창부를 폐지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에 창부 폐지 부재를 밀폐시키는 창부 폐지 수단을 갖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5)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와는 반대측의 외면에 창부 폐지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 지지 기구를 갖는 부기 4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6)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 표시 화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의 화상 가시 창부의 4변 중 적어도 1개에 적어도 1개의 창부 폐지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7)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창부 폐지 부재는, 대략 연직의 상태의 화상 가시 창부의 상측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화상 가시 창부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된 창부 폐지 부재를 지지하는 부재 지지 기구도 갖는 부기 6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8)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창부 폐지 부재는, 대략 연직의 상태의 화상 가시 창부의 양쪽 측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부기 6 또는 7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9)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3개의 창부 폐지 부재는, 대략 연직의 상태의 화상 가시 창부의 상측 테두리부와 양쪽 측연부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화상 가시 창부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된 창부 폐지 부재가 양측에 개방된 한 쌍의 창부 폐지 부재로 보유 지지되는 부기 7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0)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와,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의 패널 수용 박스에 수용되어 패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가반 디스플레이 장치.
(부기 11)
패널 수용 박스와 창부 폐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내면이 무반사로 형성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2)
패널 수용 박스와 창부 폐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내면이 흑색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기 11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3)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창부 폐지 부재는, 대략 연직의 상태의 화상 가시 창부의 하측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화상 가시 창부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된 창부 폐지 부재가 패널 수용 박스를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지지하는 부기 6 내지 9, 및 11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4)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창부 폐지 부재는, 대략 연직의 상태의 화상 가시 창부의 양쪽 측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양측에 개방된 창부 폐지 부재가 패널 수용 박스를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지지하는 부기 6 내지 9 및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5)
패널 수용 박스는,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재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 수용 박스의 화상 가시 창부와는 반대측의 외면에 적어도 1개의 박스 지지 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개방된 박스 지지 부재가 패널 수용 박스를 화상 가시 창부가 대략 연직의 상태로 지지하는 부기 1 내지 9 및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6)
패널 수용 박스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화상 가시 창부가 투광판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9 및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부기 17)
패널 수용 박스와 창부 폐지 부재가 단열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9 및 1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가반 장치.
이상, 다양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2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75420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장치의 운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00 :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1100 : 수용 박스
1110 : 창부
1120 : 고정 부재
1130 : 폐색 부재
1150 : 지지 부재
1200 : 디스플레이
1210 : 표시 화면
2000 :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2100 : 수용 박스
2110 : 힌지 기구
2131 : 폐색 부재
2132 : 폐색 부재
2133 : 폐색 부재
2134 : 폐색 부재
2200 : 스토퍼
2300 : 다리부
3000 :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3110 : 폐색 부재
3111 : 제1 폐색부
3112 : 제2 폐색부
3200 : 박스 지지 부재
4000 :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4100 : 수용 박스
4110 : 창부
4120 : 폐색 부재
4121 : 박스 지지 볼록부

Claims (9)

  1.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 박스와,
    상기 수용 박스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수용 박스의 복수의 면 중, 상기 수용 박스의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고정하였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창부와,
    상기 창부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
    를 갖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화면이 상기 창부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면이 상기 수용 박스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수용 박스에 대해 착탈 가능한 1매의 플레이트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창부를 폐색할 때, 상기 창부의 주위에 형성된 시일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박스의 상기 창부가 형성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창부로부터 제거된 상기 폐색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모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수용 박스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박스의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창부를 폐색할 때에 상기 폐색 부재의 폐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폐색 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가 연직이 되도록 상기 수용 박스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측이 되는 상기 창부의 주위 및 하측이 되는 상기 창부의 주위에, 한 쌍의 상기 폐색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와,
    상기 수용 박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가반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7028961A 2012-03-29 2013-03-22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KR101785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5420 2012-03-29
JP2012075420 2012-03-29
PCT/JP2013/001942 WO2013145664A1 (ja) 2012-03-29 2013-03-22 ディスプレイ運搬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420A Division KR20140129341A (ko) 2012-03-29 2013-03-22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251A true KR20160124251A (ko) 2016-10-26
KR101785237B1 KR101785237B1 (ko) 2017-10-12

Family

ID=492589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420A KR20140129341A (ko) 2012-03-29 2013-03-22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KR1020167028961A KR101785237B1 (ko) 2012-03-29 2013-03-22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420A KR20140129341A (ko) 2012-03-29 2013-03-22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89598B2 (ko)
EP (1) EP2833345B1 (ko)
JP (1) JP6201981B2 (ko)
KR (2) KR20140129341A (ko)
CN (1) CN104205195B (ko)
AU (1) AU2013238835B2 (ko)
CA (1) CA2868709C (ko)
HK (1) HK1205335A1 (ko)
RU (1) RU2578995C1 (ko)
WO (1) WO2013145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844A (zh) * 2018-12-18 2019-05-03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显示器开箱检测包装结构
CN110200378A (zh) 2019-05-21 2019-09-06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携带型保护箱及显示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314A (ja) 1991-07-19 1993-04-23 Ricoh Co Ltd 可搬式動画静止画表示装置
JP3087540U (ja) 2001-10-09 2002-08-09 健一 吉井 カメラ系を含んだ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収納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0641A (en) * 1941-05-28 1943-02-09 Bulova Watch Co Inc Display box
US3918577A (en) * 1973-08-29 1975-11-11 Motorola Inc Display packaging arrangement for articles of manufacture
US4255001A (en) 1978-12-14 1981-03-10 Akko, Inc. Display case
JPH0531315A (ja) 1991-07-30 1993-02-09 Fujitsu Ltd 排気処理装置
JP2580931Y2 (ja) * 1991-09-30 1998-09-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防水パック
US5383552A (en) * 1994-02-02 1995-01-24 E. Gluck Corporation Watch box
US5868268A (en) * 1997-02-20 1999-02-09 Walker; Jack A. Storage container with self-retaining lip
JP3871284B2 (ja) * 1997-06-24 2007-01-24 株式会社ソキア ペンタッチ入力式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用キャリングケース
JP3293063B2 (ja) 1997-12-08 2002-06-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蓋体の開閉構造
DE19828193C2 (de) 1998-06-24 2002-11-28 Stefan Worlitzer Schutzetui für Mobiltelefone
JP3816344B2 (ja) * 2001-03-16 2006-08-3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収納ケース
CN1211261C (zh) * 2002-05-22 2005-07-20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器面板的搬运设备
JP2004016360A (ja) * 2002-06-13 2004-01-22 Akihiko Maruko 携帯電話機用防水ケース
CN1605549A (zh) * 2003-10-06 2005-04-13 印帝派包装设计有限公司 显示器搬运装置
JP2005136580A (ja) * 2003-10-29 2005-05-26 Takara Co Ltd テレビジョン装置
EP1531088B1 (en) 2003-11-17 2006-09-20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ase for carrying and mounting an image system in a car
JP2005200058A (ja) 2004-01-15 2005-07-28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5217895A (ja) * 2004-01-30 2005-08-11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7575367B2 (en) * 2004-05-12 2009-08-18 Wolf Designs, Inc. Controllable watch winder for self-winding watches
US7464813B2 (en) * 2005-01-28 2008-12-16 Carnevali Jeffrey D Dry box with magnification window and punch-out
JP4814565B2 (ja) * 2005-07-20 2011-11-16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梱包箱
TWM295979U (en) * 2005-12-30 2006-08-21 Inventec Appliances Corp Display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227943A1 (en) * 2006-03-29 2007-10-04 Fred Foushee Product packaging
JP2008294179A (ja) * 2007-05-24 2008-12-04 Clarion Co Ltd 防水ケース
CN201019145Y (zh) * 2007-07-13 2008-02-13 林佐伟 手机套
JP5084414B2 (ja) 2007-09-12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の梱包構造
KR100998942B1 (ko) * 2007-10-26 2010-12-10 한 상 이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슬라이딩/회전 개폐모듈과그 부품
US20120043235A1 (en) * 2010-08-23 2012-02-23 James Robert Kleme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314A (ja) 1991-07-19 1993-04-23 Ricoh Co Ltd 可搬式動画静止画表示装置
JP3087540U (ja) 2001-10-09 2002-08-09 健一 吉井 カメラ系を含んだ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収納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5195A (zh) 2014-12-10
RU2578995C1 (ru) 2016-03-27
JPWO2013145664A1 (ja) 2015-12-10
WO2013145664A1 (ja) 2013-10-03
EP2833345B1 (en) 2019-10-16
US10189598B2 (en) 2019-01-29
EP2833345A4 (en) 2016-01-20
CA2868709A1 (en) 2013-10-03
KR20140129341A (ko) 2014-11-06
HK1205335A1 (en) 2015-12-11
US20150060325A1 (en) 2015-03-05
JP6201981B2 (ja) 2017-09-27
CN104205195B (zh) 2018-02-13
AU2013238835A1 (en) 2014-10-02
EP2833345A1 (en) 2015-02-04
CA2868709C (en) 2016-11-01
AU2013238835B2 (en) 2015-11-26
KR101785237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185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8393464B2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ckground
US8714347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stand
KR102107275B1 (ko)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접이식 쉘 커버
US969884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se and video picture display device case
US8954123B2 (en) Connector cover and mobile type electronic device
JP2011119830A (ja)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11119831A (ja)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11119831A5 (ko)
KR101785237B1 (ko) 디스플레이 운반 장치
US20110203956A1 (en) Multi-mode protective device for portable video players
JP2004260819A (ja) 額縁を兼ねる薄型映像設備用フレーム装置
US20110273364A1 (en) Device for portable viewable reflective display system
KR101775233B1 (ko) 휴대용 모니터
US8570447B2 (en) Digital picture display device
JP2006113501A (ja) 携帯用電子図書の構造
EP2317762B1 (fr) Ecran video à ouverture laterale et connexions intérieures
KR100644218B1 (ko)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TWM479681U (zh) 單邊開啟式相框
KR20140115669A (ko) 입체영상투영기
CN104811591A (zh) 可摄影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