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744A - 셀카봉 - Google Patents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744A
KR20160123744A KR1020150054296A KR20150054296A KR20160123744A KR 20160123744 A KR20160123744 A KR 20160123744A KR 1020150054296 A KR1020150054296 A KR 1020150054296A KR 20150054296 A KR20150054296 A KR 20150054296A KR 20160123744 A KR20160123744 A KR 2016012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fixed housing
fixing
pip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941B1 (ko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9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휴대가 간편하며,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휴대기기를 손쉽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다단의 신축 파이프와, 신축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되는 힌지부와,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에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구가 절개되며, 착탈구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여, 신축 파이프를 휴대기기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에 접어서 넣을 수 있는 구조로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카봉 {Self Camera Stick}
본 발명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휴대가 간편하며,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휴대기기를 손쉽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는 셀프 카메라의 준말로 자신이 자신의 사진을 찍는 것을 말한다. 즉 촬영자가 소지한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의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이다.
종래에 셀카를 찍는 방법은 휴대기기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팔을 앞으로 뻗어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식이었다. 이는 촬영자가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없고, 자칫하면 휴대기기를 바닥에 떨어트릴 위험이 있었다.
최근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막대의 끝에 위치한 거치대에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로 셀카를 손쉽게 찍을 수 있도록 해주는 셀카봉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막대와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거치대의 벌어짐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휴대기기에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거치대를 휴대기기의 가로 폭 또는 세로 폭에 맞추어 벌려주면서 휴대기기를 탈착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KR 20-0475741 Y1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시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휴대기기를 손쉽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의 탈착이 간편한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가 신축되는 다단의 신축 파이프(100); 상기 신축 파이프(100)의 선단에 설치되는 힌지부(200); 및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에 상기 힌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구(310)가 절개되며, 상기 착탈구(31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10)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300);을 포함하되, 상기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200)로 상기 신축 파이프(100)을 상기 착탈구(310) 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착탈구(310) 사이에 상기 신축 파이프(100)를 끼워넣어 상기 고정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고정 하우징(300)은, 상기 착탈구(310)의 양옆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32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20)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를 탈착하되, 상기 고정편(320)으로 휴대기기를 견고하게 잡아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고정 하우징(300)은, 양끝단 중 상기 힌지부(200)가 설치된 끝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편(320)의 내측면에는 휴대기기가 끼워졌을 때, 상기 휴대기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322)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신축 파이프(100)를 휴대기기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300)에 접어서 넣을 수 있는 구조로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300)을 벌려서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휴대기기를 손쉽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휴대기기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휴대기기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은,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 파이프(100)와, 신축 파이프(100)의 선단에 설치되는 힌지부(200)와, 힌지부(200)에 설치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구(310)가 형성되며, 착탈구(31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아울러 착탈구(310)의 양옆에 각각 고정편(320)을 돌출 형성한다.
또한 고정 하우징(300)의 힌지부(200)가 설치된 끝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30)가 형성된다.
한편 고정편(32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신축 파이프(100)는 길이가 가변되는 다단의 파이프 조립체이다. 신축 파이프(100)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파이프(110)가 다단으로 결합되며, 후단에는 사용자가 사용 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0)가 구비되고, 선단에는 힌지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각 파이프(110)는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돌려, 길이를 조절하거나 조절된 길이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각 파이프(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체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최선단에 위치한 파이프(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부(200)에 결합된다. 결합부(130)는 힌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30)는 힌지부(200)의 절개홈(2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 몸체(132)와, 결합 몸체(132)의 양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힌지부(200)의 고정홀(2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 돌기(134)가 한 몸체를 이룬다.
결합부(130)는 힌지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돌기(134)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로써 결합부(130)와 연결된 신축 파이프(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30)는 힌지부(200)의 고정홈(210)에 결합 몸체(132)가 가이드 된 채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하로 흔들리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00)는 고정 하우징(300)의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고정 하우징(300)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할을 한다.
힌지부(200)는 고정 하우징(300)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한 몸체를 이룬다. 힌지부(200)는 전 길이에 걸쳐 중앙이 결합부(130)의 결합 몸체(132)와 대응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고정홈(210)이 형성된다. 힌지부(200)의 상하부에는 고정홈(21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부(130)의 결합 돌기(134)와 대응되도록 고정홀(220)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힌지부(200)의 하부에는 고정 하우징(300)의 힌지 고정홈(340)에 끼워지도록 고정 단턱(230)이 형성된다.
힌지부(200)의 고정홈(210)에는 결합부(130)의 결합 몸체(132)가 끼워지고, 고정홀(220)에는 결합부(130)의 결합 돌기(134)가 끼워진다. 이를 통해 결합부(130)의 결합 몸체(132)가 고정홈(210)에 가이드 되면서, 결합 돌기(134)가 고정홀(220)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부(130)에 연결된 신축 파이프(1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부(200)의 고정 단턱(230)이 고정 하우징(300)의 힌지 고정홈(3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신축 파이프(100)는 힌지부(200)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힌지부(200)는 고정 하우징(300)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들과 연결된 신축 파이프(10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300)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이다. 고정 하우징(300)은 개구된 양단 중 한쪽에는 힌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개방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300)은 길이 방향 전 길이에 걸쳐 일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개되어 착탈구(310)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되는 간격은 고정 하우징(300)에 착탈되는 휴대기기의 최소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착탈구(310)에는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용 게임기, 모바일 컴퓨터 등의 휴대기기가 탈착된다. 즉 고정 하우징(300)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착탈구(310)에 힘을 가해 일시적으로 벌릴 수 있고,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착탈구(310)가 원래 간격으로 돌아오면서 착탈구(310) 사이에 위치한 휴대기기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착탈구(310)는 양옆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고정편(320)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 하우징(300)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정편(320)에 힘을 가해 일시적으로 벌릴 수 있고,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고정편(320)는 원래 간격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편(320)에 휴대기기의 일정 부분을 파지하도록 해서, 휴대기기를 고정 하우징(3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편(320)의 내측 즉 휴대기기와 맞닿는 부분에는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돌기(322)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돌기(322)는 고정편(320)이 휴대기기와 맞닿았을 때 휴대기기가 미끄러져 고정편(3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으로 합성 고무 또는 고정편(3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고정 돌기(322)를 통해 휴대기기를 고정 하우징(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하우징(300)에서 힌지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에 착탈구(3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 하우징(300)의 일부가 절개된다. 절개부(330)는 고정편(320)을 벌릴 때 더욱 원활하게 벌려지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 하우징(300)에 절개부(330)가 없을 때는 고정 하우징(300)의 양쪽이 개구되어 있지만, 한쪽 끝단에 힌지부(2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만 개구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편(320)을 벌려주게 된다. 그러면 고정편(320)은 개구된 방향 쪽에서는 벌려짐이 원활하나 힌지부(200) 측에서는 벌려짐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고정편(320)에 휴대기기 착탈하기가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많은 힘을 소모하게 된다.
그에 반해 고정 하우징(300)의 힌지부(200) 측에 절개부(330)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편(320)을 벌릴 때 양방향에서 벌려짐이 원활하게 되고, 휴대기기를 적은 힘으로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를 파지하는 탄성력도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고정 하우징(300)의 절개부(330)에 앞서서 힌지 고정홈(340)이 형성된다. 힌지 고정홈(340)은 힌지부(200)의 고정 단턱(230)과 대응되는 홈으로, 고정 단턱(230)이 결합된다. 힌지부(200)는 힌지 고정홈(340)에 끼워져, 힌지 고정홈(340)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고정 하우징(300)의 절개부(330) 전방에는 가이드홈(350)이 절개된다. 가이드홈(350)은 신축 파이프(100)의 결합부(130)에 형성된 결합 몸체(132)의 간격만큼 절개되어, 신축 파이프(100)가 고정편(320)을 향해 접힐 때, 결함 몸체(132)의 움직임을 가이드 해주어 신축 파이프(100)가 고정편(320)을 향하여 일직선이 되도록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휴대기기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휴대기기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고정 하우징(300)의 고정편(320)을 손으로 잡아 벌려준다. 그러면 고정편(320)이 탄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벌어진다. 이때 휴대기기(10)의 하부를 밀어 넣어준다. 고정편(320)에 가했던 힘을 빼면, 탄성에 의해 고정편(320)이 원래 간격으로 복귀된다.
고정편(320)의 간격이 휴대기기(10)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휴대기기(10)의 하부를 꽉 잡아주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휴대기기(10)의 하부는 고정 하우징(300)의 내측 하부에 맞닿게 된다. 나아가 고정편(320)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322)가 휴대기기(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이 상태에서 휴대기기(10)의 카메라(12)로 셀프 촬영을 진행하면 된다.
한편 휴대기기(10)를 고정 하우징(300)에 고정한 후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 및 각도를 적절히 조절해서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셀카봉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a), (b), (c)로 나누어 도시하였다.
셀카봉의 사용을 마친 후 휴대할 때는, 고정 하우징(300)에서 휴대기기(10)를 빼낸 후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고정 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넣어준다.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신축 파이프(100)를 고정 하우징(300)의 착탈구(310)의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킨다.((a) 참조)
신축 파이프(100)을 고정 하우징(300)의 착탈구(310)을 향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정편(320)에 힘을 가하여 벌려준다. 고정편(310)은 탄성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벌어진다. 이때 신축 파이프(100)의 결합부(130)가 고정 하우징(300)의 가이드홈(350)에 안내되어 착탈구(310)을 향하여 일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b) 참조)
신축 파이프(100)을 고정 하우징(300) 내측으로 넣어준다. 신축 파이프(100)가 고정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휴대하기 간편하다.((c) 참조)
셀카봉을 다시 사용할 때는 고정 하우징(300)의 고정편(320)을 벌려서, 신축 파이프(100)를 외부로 꺼낸 후,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신축하여 사용하면 된다.
셀카봉의 사용중에도 신축 파이프(100)의 결합부(130)와 힌지부(200)를 통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10 : 휴대기기 12 : 카메라
100 : 신축 파이프
110 : 파이프 120 : 손잡이
130 : 결합부 132 : 결합 몸체 134 : 결합 돌기
200 : 힌지부
210 : 고정홈 220 : 고정홀 230 : 고정 단턱
300 : 고정 하우징
310 : 착탈구 320 : 고정편 322 : 고정 돌기
330 : 절개부 340 : 힌지 고정홈 350 : 가이드홈

Claims (4)

  1. 길이가 신축되는 다단의 신축 파이프(100);
    상기 신축 파이프(100)의 선단에 설치되는 힌지부(200); 및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에 상기 힌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구(310)가 절개되며, 상기 착탈구(31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10)를 탈착하는 고정 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파이프(100)의 길이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200)로 상기 신축 파이프(100)을 상기 착탈구(310) 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착탈구(310) 사이에 상기 신축 파이프(100)를 끼워넣어 상기 고정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셀카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300)은,
    상기 착탈구(310)의 양옆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32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20)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탄성에 의해 휴대기기를 탈착하되, 상기 고정편(320)으로 휴대기기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300)은,
    양끝단 중 상기 힌지부(200)가 설치된 끝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30)가 형성된 셀카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20)의 내측면에는 휴대기기가 끼워졌을 때, 상기 휴대기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322)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KR1020150054296A 2015-04-17 2015-04-17 셀카봉 KR10168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96A KR101682941B1 (ko) 2015-04-17 2015-04-17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96A KR101682941B1 (ko) 2015-04-17 2015-04-17 셀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44A true KR20160123744A (ko) 2016-10-26
KR101682941B1 KR101682941B1 (ko) 2016-12-06

Family

ID=5725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296A KR101682941B1 (ko) 2015-04-17 2015-04-17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214B2 (en) 2017-11-13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icrophone according to connection of external accessory
KR20200133147A (ko) 2019-05-18 2020-11-26 조현지 무선충전이 가능한 빛나는 셀카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607B1 (ko)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839A (ja) * 1989-12-20 1991-08-16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H03196962A (ja) * 1989-12-27 1991-08-28 Hitachi Ltd ワイヤソー
KR20140028892A (ko) * 2012-08-31 2014-03-10 김예지 전자기기 지지대
KR200475741Y1 (ko)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3183A1 (en) 1989-11-09 1991-05-09 Robert C. Richmond Audio tape operation on a data storage drive
JP3188839B2 (ja) 1996-04-02 2001-07-1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駆動ケーブルの防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839A (ja) * 1989-12-20 1991-08-16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H03196962A (ja) * 1989-12-27 1991-08-28 Hitachi Ltd ワイヤソー
KR20140028892A (ko) * 2012-08-31 2014-03-10 김예지 전자기기 지지대
KR200475741Y1 (ko)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오소니, 휴대성 강화한 폴더형 블루투스 셀카봉 출시(2015.02.04)"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99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214B2 (en) 2017-11-13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icrophone according to connection of external accessory
KR20200133147A (ko) 2019-05-18 2020-11-26 조현지 무선충전이 가능한 빛나는 셀카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941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3671B2 (en) Accessories for communication devices
JP3185803U (ja)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US20180088445A1 (en) Cell Phone Case with Extendable Remote Camera Control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KR101682941B1 (ko) 셀카봉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WO2016183655A1 (pt) Câmera portátil, pivotante, telescópica e integrada a tripé, método para travar um suporte pivotante, método para pivotar dois corpos de igual diametro, entre si, e método para alojar e desalojar um tripé em um corpo
KR20160129507A (ko)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JP2006090389A (ja) 一脚用筒体の補助三脚構造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5104939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92069Y1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101939390B1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N209991187U (zh) 自拍杆
JP2006238383A (ja) 手振れ抑制装置
WO2017117772A1 (zh) 便携式自拍杆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JP2006301547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の手ブレ防止具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KR200480830Y1 (ko) 휴대폰 보조장치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CN220016654U (zh) 瞄准摄影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