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892A - 전자기기 지지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892A
KR20140028892A KR1020120096245A KR20120096245A KR20140028892A KR 20140028892 A KR20140028892 A KR 20140028892A KR 1020120096245 A KR1020120096245 A KR 1020120096245A KR 20120096245 A KR20120096245 A KR 20120096245A KR 20140028892 A KR20140028892 A KR 2014002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upport
fixing member
present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지
Original Assignee
김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지 filed Critical 김예지
Priority to KR102012009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892A/ko
Publication of KR2014002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의 측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설치면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는 플랙시블 파이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지지대{stand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의 측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설치면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위와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전자기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장착하게 된다.
일 예로 종래의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영상출력장치 후면에 부착되어 미사용 시에는 접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거치대를 펼쳐 고정한 후 전자기기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용 지지대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44592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전자기기(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자기기(70)를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70) 또는 상기 거치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힌지블럭(30)과 상기 힌지블럭(30) 내부에 삽입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40)와 상기 힌지블럭(3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4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전자기기(70) 또는 상기 거치대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며, 일단에 상기 스토퍼(40)가 삽입되는 정지홈이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힌지블럭(30)과 상기 고정부재(20)를 힌지결합하는 회전축(60)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스프링(50)의 압축시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5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4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측면과 접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는 지지부재(1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944592호에 기재된 기술은 전자기기를 일정 각도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전자기기의 후면에 직접 부착 설치하여야 하므로 기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별로 구비하여야 하며,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단부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에 하나의 전자기기 지지대로 커버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쌍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측면 양측에 고정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플랙시블 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형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부릴 수 있어,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의 연결부재의 형상을 적절하게 절곡시켜,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플랙시블 파이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단부의 간격이 타측 단부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절곡부가 형성된 내측면에 걸림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고무 또는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단부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에 하나의 전자기기 지지대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쌍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측면 양측에 고정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플랙시블 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형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부릴 수 있어,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의 연결부재의 형상을 적절하게 절곡시켜,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기기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기기 지지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가 전자기기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가 전자기기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기기(400)에 설치되어 전자기기(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하는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전자기기(400)의 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상기 고정부재(10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자기기(400)의 측부에 삽입 고정되게 되는데, 전자기기(400)가 삽입되는 단부의 간격이 타측 단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재(200)의 양측 단부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하되, 전자기기(400)가 삽입 고정되는 부분의 간격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전자기기(400)를 보다 더 강한 압력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400)마다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전자기기(400)라도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4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는 전자기기(400)가 삽입되는 단부에 절곡부(1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절곡부(110)는 고정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전자기기(400)의 두께가 단부의 폭보다 두껍더라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400)는 전면에 화면(410)이 형성되는데, 화면(410)의 크기가 본체의 크기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화면(410)과 본체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420)에는 홈 또는 단턱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절곡부(110)가 형성된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 되도록 걸림돌부(120)를 형성하여, 전자기기(400)의 측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부(120)가 전자기기(400)의 화면(4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계부(420)에 걸리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전자기기(400)에 고정되게 되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전자기기(400)가 삽입되는 단부의 타측면에는 연결부재(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전자기기(40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전자기기(40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플랙시블 파이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으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전자기기(400)의 화면을 보기 편한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닥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전자기기(4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자기기(400)의 양측에 각각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대를 삽입 고정하고, 연결부재(200)를 적절하게 절곡시킴으로써, 높이가 다른 부분에서도 전자기기(4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전자기기(400)의 화면(410)을 볼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400)의 측면에 삽입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100)와 상기 고정부재(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300)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단부가 뾰족한 삼각뿔 형상이나 단부가 평평한 판 형상,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0)는 고무 혹은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와 같은 미끄러운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전자기기(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의 측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설치면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100 : 고정부재 110 : 절곡부
120 : 걸림돌부 200 : 연결부재
300 : 지지부재 400 : 전자기기
410 : 화면 420 : 경계부

Claims (7)

  1. 전자기기의 측부에 삽입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플랙시블 파이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단부의 간격이 타측 단부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절곡부가 형성된 내측면에 걸림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고무 또는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대.
KR1020120096245A 2012-08-31 2012-08-31 전자기기 지지대 KR20140028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45A KR20140028892A (ko) 2012-08-31 2012-08-31 전자기기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45A KR20140028892A (ko) 2012-08-31 2012-08-31 전자기기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92A true KR20140028892A (ko) 2014-03-10

Family

ID=5064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245A KR20140028892A (ko) 2012-08-31 2012-08-31 전자기기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44A (ko) * 2015-04-17 2016-10-26 아이투엠 주식회사 셀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44A (ko) * 2015-04-17 2016-10-26 아이투엠 주식회사 셀카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802B1 (en) Clamping device adapted to electronic product of different dimensions
KR100802558B1 (ko) 스텝 힌지
US20150320167A1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KR20090041540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US8590857B2 (en) Structure of support frame featuring fast warping and closing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US10459488B1 (en) Docking station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TWI564694B (zh) 一體機
US8164890B2 (en)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28892A (ko) 전자기기 지지대
WO2009056974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US20150334213A1 (en) Portable-terminal holder
KR100944592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041103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CN111123554B (zh) 穿戴式装置
KR20160001771U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KR200453372Y1 (ko) 휴대용화상표시장치 케이스
KR10175105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TWM534939U (zh) 掌上型電子設備
KR101563257B1 (ko) 스마트폰용 손받침 겸용 홀 폐쇄장치
CN106488349B (zh) 支架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