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41A -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41A
KR20160122541A KR1020150052574A KR20150052574A KR20160122541A KR 20160122541 A KR20160122541 A KR 20160122541A KR 1020150052574 A KR1020150052574 A KR 1020150052574A KR 20150052574 A KR20150052574 A KR 20150052574A KR 20160122541 A KR20160122541 A KR 2016012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inclined surfac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태
김나근
Original Assignee
조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정 filed Critical 조혜정
Priority to KR102015005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541A/ko
Publication of KR2016012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B63B2704/00
    • B63B270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과, 상기 문틀프레임에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어 있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상·하부 후면에도 상기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문틀프레임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구동장치에 의해 도어가 슬라이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딩하다 도어의 경사면과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단계; 상기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에 도어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도어를 미는 힘이 문틀프레임에 전달되어 도어와 문틀프레임은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도어의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도어면의 경사면이 서로 엇각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이동시에는 실링이 문틀프레임에 접촉하지 않고 클램핑 되는 순간 실링이 압박되는 구조이기에 실링의 마모가 거의 없으며, 이로 인해 도어는 문틀프레임에 더욱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Driving method of watertight sliding door}
본 발명은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과, 상기 문틀프레임의 상·하부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도어가 슬라이딩 됨으로써 입구를 개폐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에서 사용되는 도어는 파도나 침수시 등에 대비하여 도어의 수밀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도어의 수밀성을 강조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2942호에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출입구를 형성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좌 또는 우로 슬라이딩(sliding)하는 도어(door);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프레임에 요철 형상으로 안착할 수 있게 하는 안착부; 및 상기 도어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러버실링(S)(rubber sealing)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에 겹쳐지며 수밀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9-0088036호에 도어판넬의 일측이 도어프레임과 힌지 결합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한 선박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은 일측에 핸들축을 설치하여 핸들이 조립되고 상기 핸들축의 상부 및 하부에 도그축을 이격 설치하여 도그가 장착되며 상기 핸들과 도그의 일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과 고정되도록 하는 클립바와; 상기 핸들과 도그를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작동바와; 상기 도어판넬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스스프링과; 상기 도어판넬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힌지대는 일측을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가스스프링으로 가압하여 타측에 장착된 롤러가 도어프레임과 밀착되면서 도어판넬이 당겨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수단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끼움 조립하여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도어가 열리 위치에서 닫히는 위치로 슬라이딩될 시 직선으로 움직이므로 닫힌 후, 상·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홈과 이격이 발생하며, 비록 닫힌 측 벽면에 클램프를 설치하여 도어 전면을 파지하더라도 클램프와 도어 전면 간의 틈이 남아 있어서, 도어가 상하로 흔들릴 수 있고, 따라서 충분한 수밀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과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 접촉하는 도어면에는 각각 경사면이 서로 엇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더욱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과, 상기 문틀프레임에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어 있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은 상기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상·하부 후면에도 상기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문틀프레임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구동장치에 의해 도어가 슬라이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딩하다 도어의 경사면과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단계; 상기 문틀프레임의 경사면에 도어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도어를 미는 힘이 문틀프레임에 전달되어 도어와 문틀프레임은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도어의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도어면의 경사면이 서로 엇각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이동시에는 실링이 문틀프레임에 접촉하지 않고 클램핑 되는 순간 실링이 압박되는 구조이기에 실링의 마모가 거의 없으며, 이로 인해 도어는 문틀프레임에 더욱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밀 슬라이딩 도어 사진.
도 2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레일과 문틀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문틀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홈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와 안착홈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수밀 슬리이딩 도어의 클램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에 따른 우측편에 장착된 클램프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에 따른 좌측편에 장착된 클램프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경사면과 수밀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3과 도 15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에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확대개요도.
본 발명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100)과, 상기 문틀프레임(100)에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어 있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은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200)의 상·하부 후면에도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구동장치(700)에 의해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다 도어(200)의 경사면과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단계;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도어(200)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구동장(700)의 도어(200)를 미는 힘이 문틀프레임(100)에 전달되어 도어(100)와 문틀프레임(100)은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고정된 브라켓(400)에 지지되어 있는 롤러(500)가 가이드레일(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상부측 전면 모서리에는 안착홈(310)이 형성되어서 도어(200)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 롤러(500)가 안착되며, 동시에 상기 롤러(500)가 가이드레일(300)의 안착홈(310)에 안착되는 순간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은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도어(200)의 좌우측 측면과 상기 도어(200)의 좌우측 측면에 대응하는 문틀프레임(100)의 좌우측 전면에는 도어(200)를 문틀프레임(100)에 고정하는 클램프(6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수밀 슬라이딩 도어사진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밀 슬라이딩 도어는 구동부에 의해 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입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즉, 힘이 전달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레일은 좌우방향으로 직선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어도 좌우방향으로 직선의 움직임을 가지기 때문에 도어로서 문틀프레임을 압박하여 수밀을 긴밀하게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상기 도어(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70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어(200)는 도어(200) 옆에 설치된 파워백(710)으로부터 전달받는 유압을 통해 구동하게 된다.
파워백(710)은 높은 압력의 기어펌프가 있으며, 구동모터(720)가 구동되면서 유압실린더(740)를 움직임으로써 도어(200)를 개폐시키게 된다.
기어펌프는 유압액을 유압실린더(740)에 전달하는 것으로, 파워백(7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은 유량분배기(730)에서 도어(200)의 상·하부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시켜 준다.
파워백(710)은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유압탱크이다.
유압액은 유압실린더에 전달되어 세 부분의 밸브가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제어된다.
또한, 매니폴더 브록에는 two-way 솔레노이드 밸브가 있는 데, 피딩 라인에 압력이 없을 때 백 플로우를 막아준다.
반대로 도어(200)를 열 때에는 유압액이 피스톤 측으로 흘러가고, 로드 측은 탱크 방향으로 되돌아 간다.
도어(200)를 닫을 때 유압액은 피스톤 측과 로드 측으로 양쪽으로 이동하고 유압실린더(740)는 닫히는 방향으로 다르게 이동한다.
유압실린더(740)는 도어(2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되, 유압분배기(730)의 용량의 1/2용량으로서 파워백(7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은 유량분배기(730)에 의해 도어(2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유압실린더(740)에 균등하게 분배됨으로써 개폐시 상·하부 간의 속도는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릴리프(relief)밸브의 세팅값은 210bar로 유압을 보호한다.
또한,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비상시는 비상작동레버(750)를 작동시켜 도어(200)를 개폐하게 되며, 도어(200)가 작동할 때에는 경광등(760)에 빛이 발생되어 주위에 경고를 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기계적 제어는 제어박스(77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레일과 문틀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문틀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홈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와 안착홈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는 문틀프레임(100)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직선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도어(200)가 슬라이딩 됨으로써 입구를 개폐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과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에 접촉하는 도어면에는 각각 경사면이 서로 엇각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도어(200)의 상·하부 후면에도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200)의 후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S)은 합성고무재질로서 실링(S)의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압착시 더욱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실링(S)의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동일한 재질의 격막을 형성하여 공간을 분할하거나 또는 격자형식으로 공간을 분할하였다.
따라서, 실링(S)의 일부 구간이 파손되어도 격막으로 인해 실링(S)의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모두 손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는 브라켓(400)이 상부방향으로 돌출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400)에 롤러(5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500)는 브라켓(400)에 지지되어 가이드레일(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어, 상기 롤러(50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도어(200)는 롤러(500)와 함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300)의 상부측 전면 모서리에는 도어(200)가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 롤러(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300)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에 의해 도어(200)가 슬라이딩 되어 입구를 막는 위치에 있게 되면, 롤러(500)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레일(300)의 상부측 전면 모서리에는 안착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310)에 의해 도어(200)가 안착되는 순간 도어(200)의 양측면과 상기 도어(200)의 좌우측 측면에 대응하는 문틀프레임(100)의 좌우측에는 도어(200)를 문틀프레임(100)에 고정하는 클램프(600)가 설치되어 있어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클램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로서, 도 7과 도 8은 각각 서로 다른 관점에서의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00)는 삽입부(610)와 파지부(620)로 이루어진 것으로, 닫히도록 진행하는 방향인 도어(200)의 우측면에는 삽입부(6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문틀프레임(100)의 우측면에는 상기 삽입부(610)에 대응하도록 파지부(620)가 설치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편의상 우측편의 삽입부와 파지부의 도면부호를 610과 620으로 표시하고, 좌측편의 삽입부와 파지부의 도면부호를 각각 610-1과 620-1로 표시하였다.
상기 삽입부(610)는 한 쌍의 블록(611)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도어(200)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한 쌍의 블록(611)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611)은 볼트(612)에 의해 도어(200)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620)는 상기 한 쌍의 블록(611)에 형성된 경사면에 모두 접하는 반구형의 고정돌기(622)와 상기 고정돌기(622)에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6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621)는 문틀프레임(100)의 우측면에 돌출형성된 고정체(623)에 볼트(623)로 체결함으로써 파지부(620)는 문틀프레임(10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도어(200)의 우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블록(611)은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도어(200)의 삽입부(610)가 문틀프레임(100)의 파지부(62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체결강도도 조절되게 된다.
즉, 블록(611)이 볼트(611)에 의해 체결되는 도어(200)의 우측면에는 볼트(612)에 체결되기 위한 볼트홈이 수직의 장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트(612)의 삽입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블록(611)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체(623)에도 볼트홈이 도어(200)의 전후방향으로 수직의 장홈으로 형성하고 볼트(624)로서 장홈의 볼트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몸체(6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200)의 삽입부(610)가 문틀프레임(100)의 파지부(62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체결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체결강도를 조절하는 블록(611)의 간격조절과 몸체(621)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은 동시에 구성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열리도록 진행하는 방향인 도어(200)의 좌측면과 문틀프레임(100)의 좌측면에도 삽입부(610-1)와 파지부(620-1)에 장착되는 것으로, 각각 우측편에 설치된 삽입부(610)와 파지부(620)의 위치를 바꾸어 설치함으로써 더욱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즉, 도어(200)의 우측면에는 삽입부(6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200)의 좌측면에는 파지부(620-1)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문틀프레임(100)의 우측에는 파지부(620)가 장착되고, 문틀프레임(100)의 좌측에는 삽입부(610-1)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0)의 좌측편에 장착된 파지부(620-1)와 문틀프레임(100)의 우측편에 장착된 파지부(620)의 돌출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문틀프레임(100)의 좌측편에 장착된 삽입부(610-1)와 도어(100)의 우측편에 장착된 삽입부(610)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문틀프레임(100)과 도어(200)는 서로 견고히 결속되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600)는 도어(200)의 양측면과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에 도어(200)는 문틀프레임(100)에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른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은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구동장치(700)에 의해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다 도어(200)의 경사면과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단계;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도어(200)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구동장(700)의 도어(200)를 미는 힘이 문틀프레임(100)에 전달되어 도어(100)와 문틀프레임(100)은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에 따른 우측편에 장착된 클램프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에 따른 좌측편에 장착된 클램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롤러(500)가 화살표방향처럼 이동하다가 가이드 레일(3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310)에 안착되는 순간 도어(200)의 우측면에 장착된 삽입부(610)는 문틀프레임(100)의 우측면에 장착된 파지부(6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동시에 문틀프레임(100)의 좌측면에 장착된 삽입부(610-1)가 도어(200)의 좌측면에 장착된 파지부(620-1)에 삽입되면서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은 서로 견고히 결속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상기 도어(200)의 후면 상·하부측 후면이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덜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20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S)은 도어(200)의 이동시에는 문틀프레임(100)에 접촉하지 않으며, 롤러(500)가 가이드 레일(300)의 안착홈(310)에 안착되어 클램프(600)에 의해 클램핑되는 순간 압착되면서 수밀이 되게 된다.
따라서, 실링(S)은 거의 닳지 않게 되므로 오랫동안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12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경사면과 수밀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도 12의 (a)는 종래의 도어와 문틀프레임의 접촉면이 평행할 때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2의 (b)는 도어와 문틀프레임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을 때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상 문틀프레임(100)은 벽면(W)에 고정되어 있고, 도어(200)는 일측면(본원에서는 좌측방향)에서 외부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되어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문틀프레임(100)에 결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2(a)의 화살표처럼 종래에는 구동장치(700)에 의해 도어(200)가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의 접촉면이 구동장치(700)의 힘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므로 구동장치(700)가 도어(200)를 미는 힘은 문틀프레임(100)에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못하고 클램프(600)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에만 클램프(600)의 클램핑력에 의해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이 결속하는 힘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100)의 전면에 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도어(200)의 후면에는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문틀프레임(100)과 도어(200)가 접촉하는 면에는 도어(200)로부터 문틀프레임(100)을 압박하는 힘이 골고루 전달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클램프(600)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만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의 결속하는 힘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어(200)의 전체면을 통해 문틀프레임(100)을 압박하는 힘이 전달되는 것이 약하지만, 본원발명에서처럼 힘의 진행바향에 대항하도록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도어(200)의 전체면을 통해 문틀프레임(100)에 압박하는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더욱 긴밀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구조보다는 클램프(6000의 클램핑력이 작아도 충분히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어(200)의 후면과 문틀프레임(100)의 전면은 클램프(600)에 고정되는 순간 서로 접촉하여 압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에 도어(200)가 슬라이딩 되면서 곧바로 문틀프레임(100)에 접촉하는 구조보다는 실링(S)의 마모도 덜하게 된다.
특히, 문틀프레임(100)과 도어(100)의 경사면이 급할수록 도어(200)로부터 압박되는 힘을 더 많이 전달받게 되는 것으로, 문틀프레임(100)과 도어(100)의 경사면은 구동장치(700)의 동력크기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경사면의 각을 계산하여 택할 수 있다.
이에, 클램프(600)에만 국한되어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이 결속되는 힘이 발생 되는 종래의 구조보다 훨씬 더 긴밀하게 수밀을 요할 수 있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 수밀 슬라이딩 도어에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확대개요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10)에 문틀프레임(100)의 방향으로 서브 안착홈(320)을 추가 형성하되, 상기 서브 안착홈(320)은 안착홈(320)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 안착홈(320)에 복수의 격판(330)이 문틀프레임(100)의 방향으로 적층시키며, 가이드레일(300)의 전면을 통해 복수의 격판(3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뒤, 상기 관통공을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로서 삽입하여 격판(330)이 서브 안착홈(320)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한다.
따라서,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 사이가 헐거워지거나 또는 빡빡한 상태로 있는 경우, 서브 안착홈(320)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격판(330)을 빼내거나 적층함으로써, 안착홈(310)에 안착된 롤러(500)와 문틀프레임(100) 간의 위치관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브 안착홈(320)에 삽입되어 있는 격판(330)은 클램프(600)의 조정과 연관하여 롤러(500)의 삽입깊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의 도시된 방향으로 기준으로 도어(200)의 개폐시 롤러(500)가 직접 접촉하는 안착홈(310)의 좌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도어(200)가 보다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르게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330)의 좌우 양측 전면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격판(300)을 제거하지 않고 조이고 있는 볼트를 풀고 격판(330)을 화살표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롤러(500)의 안착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서브 안착홈(320)의 바닥면에 문틀프레임(100)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격판(330)의 저면에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클램프(600)의 조정에 의해 도어(200)의 높낮이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서버 안착홈(320)의 경사면을 따라 롤러(500)의 이동도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의 상·하부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도어의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도어면의 경사면이 서로 엇각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이동시에는 실링이 문틀프레임에 접촉하지 않고 클램핑 되는 순간 실링이 압박되는 구조이기에 실링 마모가 거의 없으며, 이로 인해 도어는 문틀프레임에 더욱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문틀프레임 200. 도어 300. 가이드레일
400. 브라켓 500. 롤러 600. 클램프
700. 구동장치
310. 안착홈 320. 서브 안착홈 330. 격판
610. 삽입부 611. 블록 612. 볼트
620. 파지부 621. 몸체 622. 고정돌기
623. 고정체 624. 볼트
610-1. 삽입부 620-1. 파지부
710. 파워백 720. 구동모터 730. 유량분배기
740. 유압실린더 750. 작동레버 760. 경광등
770. 제어박스
S. 실링 W. 벽면

Claims (2)

  1. 내외부로 왕래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100)과, 상기 문틀프레임(100)에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어 있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상·하부 전면에는 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200)의 상·하부 후면에도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의 구동장치(700)에 의해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도어(200)가 슬라이딩하다 도어(200)의 경사면과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단계;
    상기 문틀프레임(100)의 경사면에 도어(200)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구동장(700)의 도어(200)를 미는 힘이 문틀프레임(100)에 전달되어 도어(100)와 문틀프레임(100)은 긴밀하게 수밀을 유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고정된 브라켓(400)에 지지되어 있는 롤러(500)가 가이드레일(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상부측 전면 모서리에는 안착홈(310)이 형성되어서 도어(200)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 롤러(500)가 안착되며,
    동시에 상기 롤러(500)가 가이드레일(300)의 안착홈(310)에 안착되는 순간 도어(200)와 문틀프레임(100)은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도어(200)의 좌우측 측면과 상기 도어(200)의 좌우측 측면에 대응하는 문틀프레임(100)의 좌우측 전면에는 도어(200)를 문틀프레임(100)에 고정하는 클램프(6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KR1020150052574A 2015-04-14 2015-04-14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KR20160122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74A KR20160122541A (ko) 2015-04-14 2015-04-14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74A KR20160122541A (ko) 2015-04-14 2015-04-14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41A true KR20160122541A (ko) 2016-10-24

Family

ID=5725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74A KR20160122541A (ko) 2015-04-14 2015-04-14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5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29A1 (ko) * 2020-08-28 2022-03-03 장재연 바퀴 장치
KR20220142104A (ko) * 2021-04-14 2022-10-21 (주)우남마린 선박용 슬라이딩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29A1 (ko) * 2020-08-28 2022-03-03 장재연 바퀴 장치
KR20220142104A (ko) * 2021-04-14 2022-10-21 (주)우남마린 선박용 슬라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862B2 (en) Multi-point door lock and offset extension bolt assembly
CN1663738B (zh) 线性驱动器
KR20160122541A (ko) 수밀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방법
EP2692566B1 (en) Dual end cap for a seal assembly
NZ609386A (en) Shower door assembly
JP2017535695A (ja) モジュール式エンクロージャ
WO2017088232A1 (zh) Led支架、led屏模块及led屏幕
CN102958725A (zh) 可打开的车辆顶棚的框架和安装可打开的车辆顶棚的框架的方法
US20180375314A1 (en) Transition for passage through a wall, and module
US20120204492A1 (en) Hardware for mounting glass panels or similar structures
KR20160122535A (ko) 수밀 슬라이딩 도어
US6305128B1 (en) Insulated bulkhead
RU266221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ерной коробки с держателем порога
CN101152882A (zh) 执行双轴运动的车门安装装置的夹具
CH711555A2 (en) Knife gate valve, preferably for shutting off a pipe carrying abrasive media.
JP6479565B2 (ja) 開口部の止水装置
GB2516638A (en) Hydraulic hinge buffer assembly for a door
JP3349152B2 (ja) 隔壁戸装置
HRP990330B1 (en) Coupling sleev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for pipes connection
JP2006241742A (ja) 扉枠調整具及び扉枠取付構造
US11376935B2 (en) Fully-embedded vehicle cover
CN209887168U (zh) 一种汽车天窗导轨铣削加工用夹具
JP6117539B2 (ja) 防水扉装置
JP5321054B2 (ja) 机のサイドパネル取付装置
JP4697975B2 (ja) リフォーム用サッシ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