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829A -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829A
KR20160119829A KR1020167024760A KR20167024760A KR20160119829A KR 20160119829 A KR20160119829 A KR 20160119829A KR 1020167024760 A KR1020167024760 A KR 1020167024760A KR 20167024760 A KR20167024760 A KR 20167024760A KR 20160119829 A KR20160119829 A KR 2016011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thickness
opening end
heating
annul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597B1 (ko
Inventor
요시유키 가세다
유타카 미카즈키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21D53/3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wheel 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1/00Pilgrim-step tube-rolling, i.e. pilg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 B21J9/08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equipped with devices for heating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28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 B21K1/38Making machine elements wheels; discs rims;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1/00Making hollow articl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sub-group
    • B21K21/12Shaping end portions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20Shaping
    • B60B2310/208Shaping by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4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a single disc body not integral with rim, i.e. disc body and rim being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then permanent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 second step, e.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이 휠 림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림 소재를 림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 전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림 소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두께 증가 공정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환상 홈을 갖는 금형의 상기 환상 홈 내에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에 대하여 상기 림 소재의 축선 방향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두께 증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WHEEL RIM MANUFACTURING METHOD AND AUTOMOBILE WHEEL RIM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휠 림의 제조 방법과,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3월 14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5143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휠 림의 일례로서, 도 12에 자동차용 휠 림을 도시한다. 자동차용 휠(1)은, 대략 원통형의 림(1a)과, 이 림(1a) 내에 고정된 디스크(1b)로 구성된다. 림(1a)에는, 드롭(2), 웰(3a, 3b), 렛지(4), 비드 시트(5a, 5b), 플랜지(6a, 6b) 등을 포함하는 림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림(1a)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언코일한 강대를 롤러로 평평하게 교정하는 공정과, 교정한 강대를 절단하여 평판을 얻는 공정과, 얻은 평판을 원통형으로 구부리는 공정과, 구부린 평판의 양쪽 단부 테두리를 서로 맞대어 용접함으로써 원통형의 림 소재를 얻는 공정과, 림 소재의 양쪽 개구 단부 테두리를 직경 확장시키는 플레어 공정과, 림 소재에 상기 림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롤 공정과, 림 직경을 맞추는 익스팬더 공정을 구비한다.
자동차용 휠(1)의 림(1a)에는, 경량임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림(1a)에 발생하는 응력의 정도는, 그 부위에 따라, 또한, 그 사용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정상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드롭(2)에서의 응력이 높아지고, 연석 충돌 시에는, 플랜지(6a 또는 6b)에서의 응력이 높아진다. 그러나, 림(1a) 중에서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응력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위도 있다. 그러한 부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림(1a)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연석 충돌 시에는, 림(1a)의 특히 외측을 향한 개구 단부 테두리[플랜지(6a 또는 6b)]에 높은 응력이 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위에 대해서는, 반대로 두께를 증가시켜 강화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림(1a)의 개구 단부 테두리는, 드롭(2) 등에 비하여 주위 길이가 길기 때문에, 롤 공정에 있어서 박육화되기 쉽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림을 제조하기 위해, 판 폭 방향으로 판 두께가 상이한 판재를 미리 제작하고, 림의 개구 단부 테두리에 상당하는 부위(특허문헌 1에서 「귀부」라고 칭해지고 있는 부위)의 판 두께를 기타 부위에 상당하는 부위(특허문헌 1에서 「저부」라고 칭해지고 있는 부위)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외주에 스피닝용 성형형부를 갖는 맨드럴의 단부면과, 상기 단부면에 대향되는 테일 스톡과의 사이에 원판 형상의 성형 재료를 끼움 지지하여 행해지는 자동차용 휠의 성형 방법이며, 상기 성형형부를 따라 이동되는 스피닝 롤러에 의해, 상기 성형 재료를 상기 성형형부에 가압하는 스피닝 공정과, 상기 성형형부에 대향되는 주위벽부와, 상기 맨드럴의 회전축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는 두께 증가 롤러를, 상기 맨드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성형형부의 내단부 내지 이 내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승되는 내측 단부면과, 상기 두께 증가 롤러의 주위벽부 내지 측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성형 재료의 주연부를 두께 증가 변형시켜서 휠 림의 외측 테두리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두께 증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의 성형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9-1094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1824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서는, 미리 판 폭 방향으로 판 두께가 상이한 판재를 제작하는 공정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림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압연 롤의 홈형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그 수고를 고려하면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는 변경하기 어렵다. 또한, 판 폭 방향으로 판 두께가 상이한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 그러한 판재로부터 원통형 림 소재를 얻을 때의 굽힘 성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제어가 곤란하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가 높은 원통형 림 소재를 얻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제조 방법과 같이, 두께 증가 롤러를 원판 형상 림 소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구 단부 테두리를 두께 증가시키는 방법에서는, 맨드럴의 외주면에 배치된 림 소재를 두께 증가 롤러로 국소적으로 반복해서 변형시키는 순차 가공을 주로 행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한 두께 증가에서는, 스피닝 가공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낮아,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 특히, 알루미늄 휠의 제조 공정 등, 이미 스피닝 가공기를 도입하고 있는 경우라면,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스틸 휠 림의 제조 공정, 기본적으로 롤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림의 경우에는, 별도로 스피닝 가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비용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한, 높은 치수 정밀도로써, 휠 림의 개구 단부 테두리의 두께 증가를 행할 수 있는,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통형의 림 소재를 제작한 후에, 상기 림 소재의 개구 단부 테두리를 좌굴 없이 두께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각 형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휠 림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림 소재를 림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 전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림 소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두께 증가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환상 홈을 갖는 금형의 상기 환상 홈 내에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에 대하여 상기 림 소재의 축선 방향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두께 증가부를 형성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두께 증가 공정이,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3) 상기 (2)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상기 가열한 후에, 상기 환상 홈 내에 삽입하여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해도 된다.
(4) 상기 (2)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상기 환상 홈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하면서,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해도 된다.
(5)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축선 방향의,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영역의 폭 치수를 Wh라 하고,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증가부의 폭 치수를 W라 했을 경우에, Wh>W여도 된다.
(6)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축선 방향의, 상기 환상 홈의 깊이 치수를 D라 하고,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영역의 폭 치수를 Wh라 했을 경우에, D>Wh여도 된다.
(7)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온도가, 450℃ ~ 850℃의 범위 내여도 된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두께 증가 중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내주면을 상기 환상 홈의 내벽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외주면을 상기 내벽보다도 폭이 넓은, 상기 환상 홈의 외벽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해도 된다.
(9)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상기 휠 림 내에 디스크를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10) 상기 (9)에 기재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상기 림 소재의 양쪽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자동차에 장비되었을 때 외부를 향하게 되는 쪽에 대하여, 상기 두께 증가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1)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생산 효율을 낮추는 일 없이, 또한, 치수 정밀도 높게, 자동차용 휠 림 등의 휠 림의 개구 단부 테두리의 두께 증가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휠 림의 경량화에 따라 림 소재가 박육화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개구 단부 테두리를 두께 증가시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2) 내지 (7)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개구 단부 테두리를 가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연화시킬 수 있으므로, 두께 증가 가공을, 보다 좌굴 없이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8)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경우, 개구 단부 테두리의 좌굴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막으면서 두께 증가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9) 및 (10)에 기재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1)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두께 증가 공정 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두께 증가 공정의 도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동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두께 증가 공정 전에 있어서의 도 3의 A부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 공정의 도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의 A부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c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 공정의 도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의 A부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d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 공정의 도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의 A부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의 A부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강재의 가열 온도와, 고온 시 및 가열 냉각 후의 각각에 있어서의 부재 강도인 항복 응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b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2.36㎜ 등 두께의 림 소재에 대하여 림 형상을 형성한 경우의 판 두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횡축이 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종축이 판 두께를 나타낸다.
도 9는 두께가 2.36㎜이고, 주연부를 2.6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경우의, 림 형상 형성 후의 판 두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횡축이 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종축이 판 두께를 나타낸다.
도 10은 두께가 2.36㎜이고, 주연부를 2.9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경우의, 림 형상 형성 후의 판 두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횡축이 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종축이 판 두께를 나타낸다.
도 11은 두께가 2.00㎜이고, 주연부를 2.6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경우의, 림 형상 형성 후의 판 두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횡축이 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종축이 판 두께를 나타낸다.
도 12는 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축선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본 경우의 자동차용 휠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휠 림의 제조 방법의 예시로서, 자동차용 휠 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각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자동차용 휠 림 이외의 각종 휠 림의 제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시에는, 먼저, 평판으로부터 원통형의 림 소재를 얻을 필요가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형상으로 감긴 강대를 언코일하여 롤러로 교정하는 공정 S1과, 교정한 강대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평판을 얻는 공정 S2와, 얻은 평판을 원통형으로 구부리는 굽힘 공정 S3과, 구부린 평판의 양쪽 단부 테두리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 공정 S4와, 용접 부분의 버 등을 제거하는 마무리 공정 S5에 의해, 원통형의 림 소재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림 소재로부터 자동차용 휠 림을 제조하는 방법의 각 실시 형태를, 이하에 계속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림 소재에는, 그 한 쌍의 개구 단부 테두리(이하, 「주연부」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도 2에 부호 21로 표시하는 한 쌍의 환상 부분임)의 적어도 한쪽을 두께 증가시키는 두께 증가 공정 S6과, 림 소재의 양쪽 개구 단부 테두리를 직경 확장시키는 플레어 공정 S7과, 림 소재에 림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롤 공정 S8과, 림 직경을 조절하는 익스팬더 공정 S9가 실시되고, 그 결과, 림이 완성된다.
상기 림 형상의 일례로서는, 도 12에서 설명한 상기 림(1a)과 마찬가지로, 드롭(2), 웰(3a, 3b), 렛지(4), 비드 시트(5a, 5b), 플랜지(6a, 6b) 등을 포함하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레어 공정 S7 및 상기 롤 공정 S8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고, 일반적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플레어 공정 S7은, 원통형의 림 소재의 주연부에 성형구를 가압함으로써, 림 소재의 주연부를 직경 확장시키는 공정이다. 또한, 롤 공정 S8에서는, 플레어링된 원통형의 림 소재를, 소정의 요철이 형성된 롤 쌍 사이에 끼우면서 압연하여, 상기 림 형상으로 성형한다. 롤 공정 S8에는, 예를 들어, 드롭 성형 공정, 플랜지 성형 공정, 마무리 성형 공정이 포함된다.
상기 두께 증가 공정 S6은, 림 소재(20)의 주연부(21) 내에, 미리 가열하여 변형 저항을 낮춘 가열 영역(22)을 형성해 두는 가열 공정과; 이 가열 공정 후에,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금형[10(10a, 10b)]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가열 영역(22)을 두께 증가시키는 프레스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 공정은, 상기 프레스 공정의 전처리로서 행해지는 것인데, 우선은 두께 증가 공정 S6의 기본인 프레스 공정의 설명을 먼저 행하고, 그 후에, 상기 가열 공정의 설명을 이어서 행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10)은, 환상 홈(11)을 갖는 프레스용 금형(10a)과, 림 소재(2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 금형(10b)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용 금형(10a)은, 림 소재(20)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원반 형상의 금형이며, 상기 환상 홈(11)을 경계로 하여 그 내측에 형성된 내측 볼록원부(10a1)와, 상기 환상 홈(11)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 볼록원부(10a2)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내측 볼록원부(10a1)의 외주면과, 외측 볼록원부(10a2)의 내주면과, 이들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 및 내주면의 안측에 형성된 저면에 의해, 상기 환상 홈(11)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11)은, 프레스용 금형(10a)의 중심과 동축을 이룸과 함께, 그 주위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같은 홈 폭 및 홈 깊이를 갖고 있다.
외측 볼록원부(10a2)는, 상기 환상 홈(11)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내측 볼록원부(10a1)의 높이 치수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볼록원부(10a2)에는, 환상 홈(11)의 상기 내주면에 원활하게 연속되도록, 단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의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림 소재(20)를 원활하게 환상 홈(11) 내에 유도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금형(10b)은, 원반 형상의 토대부(10b1)와, 이 토대부(10b1)와 동축을 이루도록 토대부(10b1) 위에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부(10b2)를 구비하고 있다. 원기둥부(10b2)의 외경 치수는, 상기 림 소재(20)의 내주면을 그 내측에 의해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림 소재(20)의 내주면의 내경 치수에 가깝고, 게다가, 림 소재(20)를 외부에서 끼우는 데 필요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게 정해져 있다.
또한, 원기둥부(10b2)의 높이 치수는, 림 소재(20)의 축 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이것은, 림 소재(20)의 두께 증가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두께 증가 공정 S6 중의, 상기 가열 공정을 거친 후의 상기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금형(10b)에 의해 림 소재(20)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그 위에 프레스용 금형(10a)을 씌워 간다. 그 때, 림 소재(20)의 한쪽의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수용하도록 씌워 간다.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금형(10b)의 원기둥부(10b2)에 림 소재(20)를 동축으로 외부에서 끼워 간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소재(20)의 하단부인 다른 쪽의 주연부(21)가 토대부(10b1)의 상면에 맞닿아, 림 소재(20)의 축 방향 하중을 토대부(10b1)의 상면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연부(21)가 원기둥부(10b2)의 상면보다도 소정 치수,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림 소재(20)가 배치된다.
계속해서, 림 소재(20)의 주연부(21)와 환상 홈(11)이 동축을 이루도록 프레스용 금형(10a)을 림 소재(20)의 상방으로부터 낮추어 가서,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동축으로 수용한다. 그리고, 림 소재(20)의 주연부(21)가 환상 홈(11)의 저면에 도달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고, 이 상태에서, 원기둥부(10b2)와, 림 소재(20)와, 상기 환상 홈(11)이 서로 동축을 이루고, 게다가, 프레스용 금형(10a)의 내측 볼록원부(10a1)의 하면과, 지지 금형(10b)의 원기둥부(10b2)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 g가 형성된다. 이 간극 g가, 압축 가공 여유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림 소재(20)의 주연부(21)가 환상 홈(11) 내에 수용된 도 3의 상태에서, 프레스용 금형(10a)을 림 소재(20)를 향하여 더 낮추어 감으로써, 림 소재(20)의 주연부(21)에 대하여, 그 축 방향(도 3 중의 윤곽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압축 하중이 가해지고, 주연부(21) 내의 특히 가열 영역(22)이 환상 홈(11) 내를 채우도록 두께 증가 변형해 가서, 상기 간극 g가 제로가 된 시점에서 압축 가공이 종료된다.
그 후, 프레스용 금형(10a)을 림 소재(20)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림 소재(20)를 지지 금형(10b)으로부터 분리하면, 림 소재(20)의 주연부(21)만이 다른 곳에 비하여 판 두께가 두껍게 되고, 두께 증가 공정 S6이 완료된다.
두께 증가 공정 S6 후의 림 소재(20)에는, 상기 플레어 공정 S7, 롤 공정 S8, 익스팬더 공정 S9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공된 림 내에 상기 디스크를 용접 고정(도 1의 공정 S10)함으로써, 자동차용 휠 림이 완성된다.
또한, 지지 금형(10b)은, 림 소재(20)의 휨을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금형이다. 이로 인해, 림 소재(20)의 내주면과 원기둥부(10b2)의 외주면의 사이에 있어서의 간극은 거의 없어도 되지만, 이 간극이 너무 좁으면 림 소재(20)의 삽입 발출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림 소재(20)의 내경과 원기둥부(10b2)의 외경의 치수 차는 1.0 ~ 3.0㎜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간극은 상기 치수 차의 대략 절반이 되므로, 0.5 ~ 1.5㎜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림 소재(20)의 내주면을 원기둥부(10b2)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 금형(10b)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형태에만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림 소재(20)의 외주면을 덮어서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 금형(도시하지 않음)이나, 림 소재(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양쪽을 지지하는 지지 금형(도시하지 않음)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 가공 S6은, 원통형의 림 소재(2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주연부(21) 중 한쪽에 대하여 행했지만, 양쪽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주연부(21) 중 한쪽에만 대하여 두께 증가 공정 S6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자동차용 휠 림을 자동차에 장착했을 때 외측이 되는 쪽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께 증가 공정 S6을 림 형상 가공보다도 전(롤 공정 S8보다도 전)에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만 한하지 않고, 먼저 림 형상가공을 행하고 나서 두께 증가 공정 S6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두께 증가 공정 S6을 2회로 나누어, 림 형상 가공의 전후에 1회씩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의 요지를 이하에 정리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림 소재(20)를 림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는 성형 공정(롤 공정 S8)과; 성형 공정 전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림 소재(20)의 적어도 한쪽의 주연부(21)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두께 증가 공정 S6을 구비한다. 그리고, 두께 증가 공정 S6에서, 주연부(21)의 판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환상 홈(11)을 갖는 프레스용 금형(10a)의 환상 홈(11) 내에, 가열 영역(22)을 미리 형성한 주연부(21)를 삽입한 상태에서, 주연부(21)에 대하여 림 소재(20)의 축선 방향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두께 증가부를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형(10)에 의한 압축 가공에서 두께 증가 가공을 행하기 때문에, 스피닝 가공기에 의한 두께 증가 가공과 비교하여 단시간에 림 소재(20)의 주연부(21)의 두께 증가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 증가 공정 S6의 전후에 있는 공정 S1 ~ S5, S7 ~ S9의 사이클 타임 내에서의 가공을 행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즉, 복수의 림 소재(20)를 차례 차례로 보내면서, 도 1에 도시한 각 공정 S1 ~ S9에 의해 가공해 나갈 경우, 이들 공정 S1 ~ S9 중에서 가장 긴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공정(예를 들어 롤 공정 S8)이, 단위 시간당 생산 개수, 즉 생산 효율을 결정짓는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께 증가 공정 S6을 본 경우, 두께 증가 공정 S6이 롤 공정 S8보다도 단시간에 가공을 종료할 수 있으면,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스피닝 가공기와 같은 고가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편한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께 증가 가공에 수반하는 제조 비용의 상승이 적다.
이상이, 두께 증가 공정 S6 중의 기본을 이루는 상기 프레스 공정의 설명인데, 림 소재(20)의 프레스 공정 시에, 주연부(21)만을 선택적으로 두께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주연부(21)의 변형 저항을 미리 낮추어 둘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한 전처리가 상기 가열 공정이며, 이하에, 상기 프레스 공정의 내용과 관련지어 그 상세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두께 증가 공정 S6을 행할 때,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소재(20)의 주연부(21) 내에, 미리 가열하여 변형 저항을 낮춘 가열 영역(22)을 형성해 둔다. 그 후,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영역(22)을 포함하는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수용하고, 그 상태에서 림 소재(20)의 축 방향(윤곽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가함으로써,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소재(20)의 주연부(21)만을 선택하여 두께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주연부(21)에 있어서의 가열 영역(22)의 가열 폭(Wh)은, 림 소재(20)의 주연부(21)에 형성되는 두께 증가부의, 예정되는 두께 증가 길이(W)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폭(Wh)이란, 주연부(21) 중의 가열 영역(22)의 길이를 의미하고, 가열 영역(22)이란, 예를 들어 450℃ 이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주연부(21)의 가열 온도는, 림 소재(20)의 변형 저항(강도)이 충분히 낮아져서 용이하게 두께 증가시킬 수 있고, 한편으로 냉각 후에는 충분한 강도를 회복할 수 있는 온도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열 방법에는 특별히 제약이 없고, 유도 가열, 복사 가열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양한 가열 방법 중에서도, 가열 효율이 좋은 점이나 장치를 설치하기 쉽다는 등의 이유에서, 유도 가열이 특히 바람직하다.
림 소재(20)에 있어서의 주연부(21)[가열 영역(22)]가 환상 홈(11) 내에서 압축 하중을 받아서 두께 증가되는 과정의 상세를,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주연부(21) 중, 가열되어서 후술하는 온도 범위에 도달하고 있는 가열 영역(22)이 가열 폭 Wh로 나타내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 가열 영역(22)은, 압축 하중을 받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주연부(21)의 내주면측에서는 환상 홈(11)과의 사이에 간극 t1이 형성되고, 또한 주연부(21)의 외주면측에서는 환상 홈(11)과의 사이에 간극 t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영역(22)의 두께 치수를 t3이라 했을 경우, t1+t2+t3의 합계 치수가, 두께 증가 후에 있어서 요구되는 주연부(21)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등해진다. 실제로는, 냉각 후의 열수축에 의해 두께 치수 t3이 약간 얇아지는 것을 예측하여, 간극 t1, t2를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하는 가열 영역(22)은, 환상 홈(11)에 의해 지면 하방을 향하여 압축 하중을 받으면, 그 길이 치수가 서서히 짧아져 간다. 이 압축 변형에 수반하여, 가열 영역(22)의 두께 치수가 상하 방향의 각 위치에서 균등하게 두꺼워져 가고, 결국에는 환상 홈(11) 내를 채워 간다. 그 결과, 가열 영역(22)은 환상 홈(11)의 축선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균등한 두께로 두께 증가된다.
또한, 두께 증가의 방법으로서는, 주연부(21)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양쪽이 균등하게 두꺼워지도록 두께 증가시켜도 되고, 또는,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한쪽만이 두꺼워지도록 두께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가열 영역(22)의 가열 온도가 적절한 범위에 대해서는, 림 소재(20)의 가열 시의 항복 응력이 가열 전의 항복 응력의 절반(50%)이 되는 온도 이상이며 또한, 가열하여 냉각한 후의 항복 응력이 가열 전의 항복 응력의 90%가 되는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림에 사용하는 강재로서 상정되는 가열 영역(22)의 가열 온도는, 450 ~ 85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항복 응력 800N/㎟인 고장력강판을 가열하고, 그 가열 시 및 냉각 후의 항복 응력을 측정한 일례를 도시한다. 동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온도가 450℃에서는, 항복 응력을 400N/㎟ 이하(원래의 항복 응력의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없어, 변형 저항의 저하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가열 온도가 450℃ 이상이면, 가열에 의해 항복 응력을 400N/㎟ 이하로 낮출 수 있고, 게다가, 냉각 후의 항복 응력을 원래의 항복 응력에 가까운 값까지 회복할 수 있다. 한편, 가열 온도를 과도하게 너무 올리면, 냉각 후의 항복 응력의 회복이 불충분해져, 자동차용 휠 림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예를 들어, 800℃에서는, 냉각 후의 항복 응력이 450N/㎟까지 저하됨). 따라서, 가열에 의한 항복 응력의 저감과 냉각 후의 항복 응력의 복귀와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가열 온도로서는, 림 소재(20)의 재질에 따라 상이하지만, 고장력강의 경우, 450℃ ~ 8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말하자면, 이 온도 범위 중에서도 500℃ ~ 7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증가 공정 S6이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는, 두께 증가부가 환상 홈(11)의 벽면에 접촉되어 있지만, 냉각이 진행되면, 열팽창되어 있었던 두께 증가부의 두께가 약간 얇아지기 때문에, 환상 홈(11)으로부터 용이하게 뺄 수 있다.
환상 홈(11)의 깊이(도 4a의 부호 D)는, 주연부(21)의 가열 폭 Wh(도 4a 및 도 5 참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주연부(21)가 좌굴하여, 최종 제품의 치수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원통형의 림 소재(20)의 적어도 한쪽의 주연부(21)를 두께 증가시키는 것인데, 특히, 자동차용 휠 림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적어도 외측 주연부가 되는 쪽의 주연부에 대하여 두께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자동차용 휠 림의 외측 주연부가, 연석과의 충돌 시에 있어서 높은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의 충돌 강도가 높아지면, 그 다른 부분에 대하여 박육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용 휠 전체적인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그 결과, 이 자동차용 휠을 복수개 구비한 자동차의 차중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연비 향상, 나아가 환경 오염 대책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다양한 재질의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강제 휠 림의 제조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고장력강제 휠 림의 제조에 최적이다.
이상에 상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서는, 두께 증가 공정 S6이, 주연부(21)를 가열하는 상기 가열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즉, 주연부(21)를 가열한 후에, 환상 홈(11) 내에 삽입하여 압축 하중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림 소재(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주연부(21)의 가열 영역(22)의 폭 치수를 Wh라 하고,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부의 폭 치수를 W라 했을 경우에, Wh>W로 되어 있다.
또한, 림 소재(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환상 홈(11)의 깊이 치수를 D라 하고,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주연부(21)의 가열 영역(22)의 폭 치수를 Wh라 했을 경우에, D>Wh로 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21)의 가열 온도가, 450℃ ~ 850℃의 범위 내이다.
또한, 두께 증가 공정 S6에서, 림 소재(20)의 양쪽 주연부(21) 중, 적어도, 자동차에 장비되었을 때 외부를 향하게 되는 외측 개구 단부 테두리에 대하여, 상기 두께 증가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상당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주로 설명하고, 기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열 영역(22) 내의 가열 온도에 대해서, 도 5의 지면 상하 방향[림 소재(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온도 구배를 부여하고 있다.
즉, 가열 영역(22) 내에서, 환상 홈(11)에 맞닿아서 가장 먼저 압축 하중을 받는 개구처 단부 테두리에서 가장 온도가 높고, 이 개구처 단부 테두리로부터 안측으로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온도가 낮아지는 온도 구배를 부여하여 가열하고 있다. 단, 가열 영역(22) 내의 온도로서는, 어느 개소에 있어서도, 상술한 온도 범위인 450℃ ~ 850℃(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750℃)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온도 구배를 부여함에 따라, 가열 영역(22) 내에서, 상기 개구처 단부 테두리로부터 가장 안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구처 단부 테두리를 향하여 서서히 변형 저항(강도)이 낮아지는 변형 저항 분포(강도 분포)를 주연부(21)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형 저항 분포(강도 분포)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두께 증가 공정 S6에 있어서의 주연부(21)의 두께 증가 변형이, 가열 영역(22)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형 저항(강도)이 낮은 상기 개구처 단부 테두리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시작되고, 그리고 이 국소적인 변형이 서서히 안측 위치를 향하여 진행되어 가서, 결국에는 가열 영역(22)의 전부에 있어서 두께 증가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두께 증가 가공 중의 가열 영역(22) 내에 있어서의 두께 증가 변형을, 항상 상기 가공처 단부 테두리의 위치에 한정하여 행하게 함으로써, 주연부(21)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방지하고, 주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조 대상을 자동차용 휠 림으로 했지만, 본 발명의 제조 대상은 자동차용 휠 림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럭이나 농기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동차용 휠 림의 소재가 고장력강이었지만, 이것에만 한하지 않고,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을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하여 자동차용 휠 림을 제조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두께 증가 공정 S6에 있어서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삽입하기 전에 가열하고, 그 후에 주연부(21)에 대하여 압축 가공에 의한 두께 증가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열과 압축 가공에 의한 두께 증가를 동시에 행해도 된다.
즉, 두께 증가 공정 S6에서 설명한 도 4a ~ 도 4d의 각 공정 중,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삽입하기 전의 도 4a의 단계에서는 주연부(21)의 가열을 행하지 않고, 주연부(21)를 환상 홈(11) 내에 삽입한 도 4b의 상태에서 주연부(21)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리고, 그대로 주연부(21)의 가열을 계속하면서, 도 4c ~ 도 4d에 도시하는 압축 가공을 동시에 행한다.
또한, 이 경우의 가열 방법으로서는, 유도 가열에 의한 가열 외에, 프레스용 금형(10a) 자체를 가열하여, 프레스용 금형(10a)과 주연부(21)의 맞닿음에 의한 열전달로 주연부(21)를 그 개구 단부 테두리부터 가열하는 방법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환상 홈(11)이, 프레스용 금형(10a)에 형성되며 또한 서로 동축을 이루는 환상의 내벽면 및 환상의 외벽면과, 이들 내벽면 및 외벽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저벽면에 의해 형성되고; 림 소재(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면으로부터의 상기 외벽면의 높이 치수를 H1이라 하고, 상기 저벽면으로부터의 상기 내벽면의 높이 치수를 H2라 했을 경우에, H1=H2로 했었지만, 이 형태에만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1>H2가 되는 프레스용 금형(10a)을 사용하여 두께 증가 가공을 행해도 된다.
즉, 두께 증가 공정 S6에서, 두께 증가 중의 주연부(21)의 내주면을 환상 홈(11)의 내벽면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연부(21)의 외주면을 상기 내벽보다도 폭이 넓은, 환상 홈(11)의 외벽면으로 지지하면서, 압축 가공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열 공정을 행함으로써 국소적으로 변형 저항을 낮추었지만, 변형 저항을 낮출 수 있는 것이라면, 가열 이외의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그러나, 각종 수단 중에서도, 적용 용이성 등의 관점에 의해, 가열이 가장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강대의 상태 또는 강대로부터 분리된 평판의 상태에서, 주연부(21)가 되는 부분에 어닐링 등의 가공을 해 둠으로써, 미리 국소적으로 변형 저항을 낮추어도 된다.
[실시예]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에 의한 이하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먼저, 고장력강의 평판(두께 2.36㎜ 및 2.00㎜의 2종, 항복 응력은 모두 800N/㎟)을 복수매 준비하고, 이들 평판 각각을, 원통형으로 구부려서 양쪽 단부 테두리를 맞대어 용접하여, 2종의 원통형 림 소재(각각, 외주면의 반경이 170㎜이고, 원통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폭 치수가 202㎜)를 얻었다.
계속해서, 각각의 원통형 림 소재의 주연부를 두께 증가시켜, 플레어링한 후, 롤 공정에 의해 림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주연부를 두께 증가시키는 상기 두께 증가 공정 S6에서는, 주연부를 700℃로 미리 가열한 후, 도 4a ~ 도 4d에 도시한 프레스용 금형(10a) 및 지지 금형(10b)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가열 폭 Wh는, 20㎜인 경우의 것과 28㎜인 경우의 것의 2종을 준비하였다. 프레스용 금형(10a)의 환상 홈(11)의 깊이는 30㎜로 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일부, 주연부를 두께 증가시키지 않은 원통형 림 소재를 준비하고, 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플레어링한 후, 롤 공정에 의해 림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이상 설명의 각종 케이스의 결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2.36㎜ 등 두께의 림 소재를 사용했지만 두께 증가 가공을 행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작된 림의 주연부가 2.22㎜까지 얇아졌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2.36㎜이고, 주연부를 2.6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림 형상을 성형한 후의 상태에서, 림 주연부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비교예와 동등했지만, 림 주연부의 두께를 2.43㎜까지 두께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2.36㎜이고, 주연부를 2.9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림 형상을 성형한 후의 상태에서, 림 주연부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비교예와 동등했지만, 림 주연부의 두께를 2.71㎜까지 두께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2.00㎜이고, 주연부를 2.60㎜까지 두께 증가시킨 림 소재를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림의 주연부 이외의 부위는 1.91㎜ ~ 2.06㎜의 범위인 것에 반해, 림 주연부의 두께를 2.46㎜까지 두께 증가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효율을 낮추는 일 없이, 또한, 치수 정밀도가 높게, 자동차용 휠 림 등의 휠 림의 개구 단부 테두리(주연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 증가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휠 림의 경량화에 수반하여 림 소재의 개구 단부 테두리(주연부)가 박육화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개구 단부 테두리를 두께 증가시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고장력강을 사용한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에 유용하다.
1: 자동차용 휠 림(휠 림)
1a: 림
1b: 디스크
2: 드롭
3a, 3b: 웰
4: 렛지
5a, 5b: 비드 시트
6a, 6b: 플랜지
10: 금형
10a: 프레스용 금형
10b: 지지 금형
11: 환상 홈
20: 림 소재
21: 림 소재의 주연부, 개구 단부 테두리
22: 가열 영역

Claims (10)

  1. 원통형의 림 소재를 림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 전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림 소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두께 증가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판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환상 홈을 갖는 금형의 상기 환상 홈 내에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에 대하여 상기 림 소재의 축선 방향의 압축 하중을 가하여 두께 증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증가 공정이,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상기 가열한 후에, 상기 환상 홈 내에 삽입하여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를 상기 환상 홈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하면서,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의,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영역의 폭 치수를 Wh라 하고,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증가부의 폭 치수를 W라 했을 경우에, Wh>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의, 상기 환상 홈의 깊이 치수를 D라 하고,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영역의 폭 치수를 Wh라 했을 경우에, D>W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가열 온도가, 450℃ ~ 85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두께 증가 중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내주면을 상기 환상 홈의 내벽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의 외주면을 상기 내벽보다도 폭이 넓은, 상기 환상 홈의 외벽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압축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림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 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상기 휠 림 내에 디스크를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증가 공정에서, 상기 림 소재의 양쪽의 상기 개구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자동차에 장비되었을 때 외부를 향하게 되는 쪽에 대하여, 상기 두께 증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의 제조 방법.
KR1020167024760A 2014-03-14 2015-03-12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 KR101927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1431 2014-03-14
JP2014051431 2014-03-14
PCT/JP2015/057362 WO2015137463A1 (ja) 2014-03-14 2015-03-12 ホイールリム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ホイールリ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829A true KR20160119829A (ko) 2016-10-14
KR101927597B1 KR101927597B1 (ko) 2018-12-10

Family

ID=5407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760A KR101927597B1 (ko) 2014-03-14 2015-03-12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1328B2 (ko)
JP (2) JP6304370B2 (ko)
KR (1) KR101927597B1 (ko)
CN (1) CN106102953B (ko)
MX (1) MX2016011780A (ko)
WO (1) WO2015137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2720B (zh) * 2017-04-12 2019-11-08 浙江金固股份有限公司 一种钢制车轮的制造方法及其采用该方法成型的车轮
MX2020000217A (es) 2017-08-08 2020-08-17 Vision Composite Products Llc Rueda de dos piezas.
USD962838S1 (en) * 2019-12-17 2022-09-06 Lawrence Leonard Jetson Automotive wheel rim
CN113319541B (zh) * 2021-07-09 2023-05-09 重庆市超群工业股份有限公司 汽车轮毂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404A (ja) 1982-12-14 1984-06-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ロ−ドホイ−ルリム
JPH06182471A (ja) 1992-12-18 1994-07-05 Aroo Enterp:Kk 自動車用ホイール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0186A (en) * 1941-02-17 1942-12-28 Thompson Pro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forming flanges at the ends of tubing
US4050135A (en) * 1975-07-11 1977-09-27 Grotnes Machine Works, Inc. Flat base truck rim forming system
DE2545935C2 (de) * 1975-10-14 1984-04-26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und Walzwerk zum Auswalzen einer Bramme, vorzugsweise einer Stranggußbramme, zu einem Knüppel mit quadratischem oder annähernd quadratischem Querschnitt
US4049184A (en) * 1976-06-07 1977-09-20 Jury Iosifovich Rozengart Method of manufacturing polymetallic pipes
JPS5510385A (en) 1978-07-11 1980-01-24 Hayashi Lacing:Kk Manufacture of flanged rim made of light alloy metal for automobile
DE2843728A1 (de) 1978-10-06 1980-04-24 Wheels Indi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elge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felge
US4842818A (en) * 1980-03-17 1989-06-27 Daido Tokushuk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tapered rods
JPS6224834A (ja) * 1985-07-26 1987-02-02 Isuzu Motors Ltd 金属軸と金属スリ−ブとの結合方法
WO1996025257A1 (en) 1995-02-13 1996-08-22 Hess Engineering, Inc. Method of forming vehicle wheel rims
JPH11333537A (ja) * 1998-05-27 1999-12-07 Dai Ichi High Frequency Co Ltd スラリー輸送用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05966A1 (en) * 2001-08-03 2004-10-21 Shinjiroh Ohishi Method of manufacturing turbine frame of vgs type turbo charger, turbine frame manufactured by the method, exhaust gas guide assembly of vgs type turbo charger using the turbine frame and vgs type turbo charger incorporating the exhaust gas guide assembly
JP2005349455A (ja) * 2004-06-14 2005-12-22 Work:Kk 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7360387B2 (en) * 2005-01-31 2008-04-22 Showa Denko K.K. Upsetting method and upsetting apparatus
BRPI0604498A (pt) * 2006-10-30 2008-06-17 Maxion Sist S Automotivos Ltda processo de fabricação de aro de roda sem cámara de veìculos fora de estrada, aro obtido pelo processo e roda de um veìculo fora de estrada
CN200984931Y (zh) * 2006-12-08 2007-12-05 长春一汽四环汽车股份有限公司车轮分公司 加强型轮辋
US8079621B2 (en) 2007-11-15 2011-12-20 Lincoln Brass Works, Inc. Reinforced bead tube design
CN101468370B (zh) * 2007-12-28 2012-03-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非晶合金热压成形装置及工艺
JP5749708B2 (ja) * 2010-04-06 2015-07-15 トピー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リムの製造方法
GB2503936B (en) * 2012-07-13 2020-03-04 Gkn Wheels Ltd Manufacture of wheels
JP6082967B2 (ja) * 2012-12-27 2017-02-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プラズマ切断機および切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404A (ja) 1982-12-14 1984-06-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ロ−ドホイ−ルリム
JPH06182471A (ja) 1992-12-18 1994-07-05 Aroo Enterp:Kk 自動車用ホイール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11780A (es) 2016-10-28
WO2015137463A1 (ja) 2015-09-17
CN106102953B (zh) 2019-06-07
CN106102953A (zh) 2016-11-09
US10661328B2 (en) 2020-05-26
KR101927597B1 (ko) 2018-12-10
US20160332210A1 (en) 2016-11-17
JPWO2015137463A1 (ja) 2017-04-06
JP6304370B2 (ja) 2018-04-04
JP2018051631A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597B1 (ko) 휠 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휠 림의 제조 방법
KR101419313B1 (ko) 차량용 휠림의 제조 방법
US5579578A (en) Method for producing a rim for a vechicle wheel
KR20130116961A (ko) 통 형상 부재의 제조 방법
CN108463296B (zh) 旋压装置以及旋压方法
KR20170036026A (ko) 프레스 성형 방법 및 프레스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JP6511556B2 (ja) 車輪の製造
US200301454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loy wheel for automobile
US4050135A (en) Flat base truck rim forming system
US851670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bearing ring member for rolling bearing unit
CN109715311B (zh) 用于制造深槽轮辋的方法、深槽轮辋以及具有深槽轮辋的商用车辆用车轮
JP2003211901A (ja) 自動車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5577323A (en) Method of manufactoring a race ring for a rolling bearing
CN107433426A (zh) 用于制造开缝的衬套式支承件套筒的方法
US2017033397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d article
JP6187213B2 (ja) 自動車用ホイールリムの製造方法
WO2016027209A1 (en) A forging process for manufacture of aluminium alloy wheel disc
JP2003019534A (ja) 円形材の鍛造方法
JP2003236637A (ja) 2ピース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91885A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타이어 휠 제조방법
JP4083002B2 (ja) ホイールのリム真円化成形方法とその装置
KR20190014201A (ko) 차량용 핫 스탬핑 부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120198A (ko) 적어도 하나의 보조 성형 요소를 갖는 부품의 최적화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