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683A -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683A
KR20160116683A KR1020150044813A KR20150044813A KR20160116683A KR 20160116683 A KR20160116683 A KR 20160116683A KR 1020150044813 A KR1020150044813 A KR 1020150044813A KR 20150044813 A KR20150044813 A KR 20150044813A KR 20160116683 A KR20160116683 A KR 2016011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ective tube
tube
supply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422B1 (ko
Inventor
노의철
김무현
Original Assignee
한일튜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튜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튜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4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F16L58/105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 F16L58/1081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the coating being a preformed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 보호튜브가 권취된 복수 개의 언코일러, 이송되는 보호튜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보호튜브 절단부, 보호튜브의 이송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파이프를 나란하게 정렬하며 공급하여 이송되는 보호튜브를 나란하게 위치 정렬하고 절단된 보호튜브를 삽입 유도하는 파이프 공급부, 및 보호튜브를 삽입한 파이프를 배출시키는 파이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자동차의 브레이크 및 연료용 등의 파이프에 보호튜브의 삽입을 자동 설비로써 작업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파이프와 보호튜브를 동일한 복수 열로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며, 공급되는 보호튜브에 장력을 부여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파이프에 삽입된 후의 보호튜브의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AUTOMATIC CUTTING AND INSERTING APPARATUS FOR PROTECTION TUBE OF PIP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및 연료용 등의 파이프에 보호튜브의 삽입을 자동 설비로써 작업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파이프와 보호튜브를 동일한 복수 열로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며, 공급되는 보호튜브에 장력을 부여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파이프에 삽입된 후의 보호튜브의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에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금속 파이프 내지 유압호스로 이루어진 배관 라인들이 여러 가지 있다. 현재 진동 등의 이유로 유연성이 요구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금속재 파이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에어컨 라인 및 파워스터어링 일부 라인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어 있고, 그 밖에 다른 라인은 모두 금속재 파이프로 되어 있다. 금속재 파이프의 경우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판재에 구리도금을 한 후, 관 형태로 말아 용접하여 튜브를 만든 다음 불소수지 코팅을 통해 내식성을 부여하였다.
금속재 파이프의 경우, 자동차 주행시 연료 라인에 노면으로부터 튀어 오른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는 내치핑(chipping)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각종 배관을 엔진의 진동 및 차량의 떨림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노면에서 튀어 오른 작은 돌 등의 이물질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관의 도중에는 고무재의 보호 튜브("열수축튜브"라고도 함)가 사용된다.
특히,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4990호(2004.01.13. 발명의 명칭: 튜브삽입 장치)에는 수축튜브를 파이프에 삽입하는 설비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 튜브를 금속제 파이프의 일정한 위치에 열압착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롤형태로 권취된 보호튜브를 지정된 치수로 절단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보호튜브가 일정량만큼 적재된 후 필요시 열압착 전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나씩 파이프에 삽입 및 정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삽입 및 정렬에 따른 인건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및 연료용 등의 파이프에 보호튜브의 삽입을 자동 설비로써 작업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작업자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이프와 보호튜브를 동일한 복수 열로 나란하게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보호튜브에 장력을 부여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파이프에 삽입된 후의 보호튜브의 탄성 수축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는: 각각 보호튜브가 권취된 복수 개의 언코일러;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보호튜브 절단부; 상기 보호튜브의 이송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파이프를 나란하게 정렬하며 공급하여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를 나란하게 위치 정렬하고, 절단된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 유도하는 파이프 공급부; 및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한 상기 파이프를 배출시키는 파이프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언코일러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보호튜브를 각각 지지하여 공급 안내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보호튜브의 공급 상태에 따라 특정한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 정지시켜 해당 보호튜브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공급부는,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공급받는 공급바디; 공급되는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정렬 안내하는 정렬블록; 및 공급되는 상기 파이프의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배출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를 공급 대기시켜 놓는 파이프 공급거치대;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이송 안내하도록 병렬로 배치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정렬홈부를 갖는 피딩부재; 상기 파이프 공급거치대에서 최초로 공급되는 일측 최외측의 정렬홈부의 상기 파이프를 이웃한 정렬홈부로 순서대로 이동시키도록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가이드부재; 상기 피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딩작업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피딩작업대의 하강시 상기 파이프를 설정 위치로 배출 유도하는 배출유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의 산부는 상기 정렬홈부의 골부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배출부는,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한 상기 파이프를 배출 허용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를 공급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배출허용지그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디는 공급되는 상기 보호튜브의 장력을 유지하여 상기 보호튜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힌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동차의 브레이크 및 연료용 등의 파이프에 보호튜브의 삽입을 자동 설비로써 작업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작업자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이프와 보호튜브를 동일한 복수 열로 나란하게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보호튜브에 장력을 부여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인장된 상태로 파이프에 삽입된 후의 보호튜브의 탄성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보호튜브 이송부와 파이프 공급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보호튜브 이송부와 파이프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보호튜브를 파이프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파이프 배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파이프 배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배출부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가 삽입된 파이프의 완성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보호튜브 이송부와 파이프 공급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보호튜브 이송부와 파이프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의 보호튜브를 파이프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파이프 배출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중 파이프 배출부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배출부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튜브가 삽입된 파이프의 완성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10)의 삽입장치(100)는 언코일러(200), 보호튜브 이송부(300), 보호튜브 절단부(400), 파이프 공급부(500) 및 파이프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10)의 삽입장치(100)는 브레이크 및 연료 배관용 등의 금속 재질인 파이프(20)에 가열 압착하기 위한 고무재질인 보호튜브(10)를 전처리 과정으로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원하는 개수로 파이프(20)에 삽입 후 해당 파이프(20)를 정렬 배출시키는 설비이다.
이때, 보호튜브(10)는 고무재질로 구성되고, 파이프(20)에 삽입 고정되어 배관을 보호하는 부품으로서, 파이프(20)에 삽입시 외력에 의해서만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20)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형성한다.
또한, 언코일러(200)는 수십 미터 내지 수백 미터의 긴 고무재질의 보호튜브(10)가 권취되어 있다. 그래서, 언코일러(2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되며 보호튜브(10)를 공급한다. 특히, 언코일러(200)는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보호튜브(10)는 복수 가닥이 동시에 공급된다. 이때, 보호튜브(10)의 공급 가닥수는 보호튜브(10)를 삽입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파이프(20)의 개수와 동일하다.
언코일러(200)는 트레이(210), 플레이트(220) 및 브레이크(230)를 포함한다.
트레이(210)는 플레이트(220)와 브레이크(230)를 구비하거나 지지한다. 그리고, 트레이(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플레이트(220)는 트레이(210)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권취된 보호튜브(10)를 각각 지지하여 공급 안내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특히, 플레이트(220) 각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트레이(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편의상, 플레이트(220)는 2층으로 배치되고, 각 층에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플레이트(220)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플레이트(220)가 복수 개이고,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보호튜브(10)를 공급함에 따라 보호튜브(10)의 공급량이나 장력 상태가 다를 수 있다. 그래서, 브레이크(230)는 보호튜브(10)의 공급 상태에 따라 특정한 플레이트(220)를 회전 정지시켜 해당 보호튜브(10)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브레이크(220)는 보호튜브(10)의 공급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플레이트(220)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브레이크(220)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보호튜브 이송부(300)는 언코일러(200) 각각에서 공급된 보호튜브(10)를 나란하게 인입하는 역할을 하고, 보호튜브 절단부(400)는 이송되는 보호튜브(1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파이프 공급부(500)는 보호튜브(10)의 이송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파이프(20)를 나란하게 정렬하며 공급하여 이송되는 보호튜브(10)를 나란하게 위치 정렬하고, 절단된 보호튜브(10)를 삽입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파이프 배출부(600)는 보호튜브(10)를 삽입한 파이프(20)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보호튜브 이송부(300)는 보호튜브(10)를 일정한 길이로 이송하는 설비로서, 이송바디(310), 상부이송부재(320), 상부구동원(330), 하부이송부재(340) 및 하부구동원(350)을 포함한다.
이송바디(310)는 보호튜브 이송부(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부이송부재(320), 상부구동원(330), 하부이송부재(340) 및 하부구동원(350)을 연결하거나 지지한다. 그리고, 이송바디(310)는 나란한 다수 열의 보호튜브(10)를 공급받는다. 편의상, 보호튜브(10)는 2가닥이 보호튜브 이송부(300)로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송바디(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부이송부재(320)는 이송바디(310)에 무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호튜브(10)를 이송시키고, 하부이송부재(340)는 상부이송부재(320)의 하측에 위치하여 무한 회전되며 보호튜브(10)를 이송시킨다. 즉, 상부이송부재(320)는 무한 회전되며 보호튜브(10)의 상측면을 밀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하부이송부재(340)는 무한 회전되며 보호튜브(10)의 하측면을 밀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이송부재(320)와 하부이송부재(340)는 벨트로 도시하지만,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이송부재(320)는 상부구동원(330)에 의해 강제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부구동원(330)은 구동모터와 평기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하부이송부재(340)는 하부구동원(350)에 의해 강제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하부구동원(350)은 구동모터와 평기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2가닥의 보호튜브(10)는 강제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이송부재(320)와 강제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하부이송부재(3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송되고,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한편, 보호튜브 절단부(400)는 이송되는 2가닥의 보호튜브(10)를 설정된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는 설비로서, 지지블록(410) 및 커터(420)를 포함한다.
지지블록(410)은 이송바디(310)에 구비된다. 물론, 지지블록(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커터(420)는 이송바디(310)에 왕복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블록(410)에 지지되는 보호튜브(10)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커터(420)는 나란하게 이송되는 2가닥의 보호튜브(10)를 동시에 커팅한다. 이때, 커터(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파이프 공급부(500)는 공급바디(510), 정렬블록(520) 및 가이드블록(530)을 포함한다.
특히, 파이프 공급부(500)는 보호튜브 절단부(400)에 연결되게 배치된다. 그래서, 절단된 보호튜브(10)는 파이프 공급부(500)에 의해 공급되어 대기 중인 파이프(20)에 삽입된다.
공급바디(510)는 보호튜브(10)의 이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이프(20)를 나란하게 공급받는다. 이때, 공급바디(5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정렬블록(520)은 공급되는 파이프(20)를 나란하게 정렬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파이프(20)를 일대일로 공급하기 위한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정렬블록(520)은 파이프(20)가 공급바디(510)로 최초 공급될 때 하강하여 정렬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공급바디(5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정렬블록(520)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블록(530)은 공급되는 파이프(20)의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절단되어 이송되는 보호튜브(10)의 변형을 방지한다.
즉, 가이드블록(530)은 정렬블록(520)에 의해 나란한 상태로 이송되는 파이프(20)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간(532)을 형성한다. 특히, 공간(532)은 파이프(20) 측으로 이송되는 보호튜브(10)를 수용함으로써 보호튜브(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원형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가이드블록(530)이 위치 고정되도록, 공급바디(510)는 상부지그(542)와 하부지그(544)를 구비한다. 하부지그(544)는 가이드블록(530)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부지그(542)는 가이드블록(530)의 상측을 가압하여 가이드블록(5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부지그(542)와 하부지그(5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지그(542)는 가이드블록(53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공급바디(5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 배출부(600)는 프레임(610), 파이프 공급거치대(620), 피딩부재(630), 공급가이드부재(640), 피딩작업대(650) 및 배출유도부재(660)를 포함한다.
프레임(610)은 파이프 배출부(6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610)은 파이프 공급거치대(620), 피딩부재(630), 공급가이드부재(640), 피딩작업대(650) 및 배출유도부재(660)를 연결하거나 지지한다. 물론, 프레임(6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파이프 공급거치대(620)는 프레임(6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를 공급 대기시켜 놓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이프 공급거치대(620)는 파이프(20)를 하나씩 피딩부재(630)로 공급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아울러, 파이프 공급거치대(620) 또는 프레임(610)은 적재된 파이프(20)가 임의적으로 피딩부재(630)로 이동되지 않도록 스토퍼(622)를 구비한다. 스토퍼(622)는 이동되는 파이프(2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피딩부재(630)는 파이프(20)를 나란하게 이송 안내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피딩부재(630)는 정렬홈부(632)를 복수 개 형성한다. 편의상, 피딩부재(630)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정렬홈부(632)를 나란하게 함몰 형성한다. 이때, 정렬홈부(63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가이드부재(640)는 파이프 공급거치대(620)에서 최초로 공급되는 일측 최외측의 정렬홈부(632)의 파이프(20)를 이웃한 정렬홈부(632)로 순서대로 이동시키도록 요철부(642)를 구비하고, 프레임(6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공급가이드부재(640)에 의해 파이프(20)는 일측 최외측의 정렬홈부(632)에서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되며 모든 정렬홈부(632)에 한 개씩 배치된다.
이를 위해, 요철부(642)의 산부(644)는 정렬홈부(632)의 골부(634)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그래서, 요철부(642)가 상승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정렬홈부(632)의 골부(634)에 위치한 파이프(20)는 공급가이드부재(640)의 요철부(642)의 산부(644)에 의해 이웃한 정렬홈부(632)의 골부(634)로 이동하게 된다.
피딩작업대(650)는 피딩부재(630)를 구비하고, 프레임(61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배출유도부재(660)는 프레임(61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피딩부재(630)에 안착된 파이프(20)의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피딩작업대(650)의 하강시 파이프(20)를 설정 위치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유도부재(660)는 파이프(20)를 설정 위치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구비된다. 물론, 배출유도부재(6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파이프 배출부(600)는 배출허용지그(670)를 더 포함한다.
배출허용지그(670)는 파이프 공급부(500)의 가이드블록(530) 내측에서 보호튜브(10)를 삽입한 파이프(20)를 배출 허용하기 위해 파이프(20)를 공급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프레임(610)에 구비된다. 즉, 배출허용지그(670)는 파이프(20) 또는 보호튜브(10)를 밀도록 프레임(610)에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배출허용지그(6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이송바디(310)는 보호튜브 이송부(300)를 통해 보호튜브 절단부(400)로 공급되는 보호튜브(10)의 장력을 유지하여 보호튜브(10)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힌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700)를 구비한다. 장력조절부재(700)는 이송바디(310)로 공급되는 보호튜브(10)가 당겨질 경우 보호튜브(10)에 의해 하측이 회동되며 설정 이상 상승되는데, 상승된 장력조절부재(700)가 언코일러(2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보호튜브(10)를 풀어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보호튜브 20: 파이프
100: 삽입장치 200: 언코일러
210: 트레이 220: 플레이트
300: 보호튜브 이송부 310: 이송바디
320: 상부이송부재 330: 상부구동원
340: 하부이송부재 350: 하부구동원
400: 보호튜브 절단부 410: 지지블록
412: 삽입홀 420: 커터
500: 파이프 공급부 510: 공급바디
520: 정렬블록 530: 가이드블록
542: 상부지그 544: 하부지그
600: 파이프 배출부 610: 프레임
620: 파이프 공급거치대 622: 스토퍼
630: 피딩부재 632: 정렬홈부
634: 골부 640: 공급가이드부재
642: 요철부 644: 산부
650: 피딩작업대 660: 배출유도부재
670: 배출허용지그 700: 장력조절부재

Claims (7)

  1. 각각 보호튜브가 권취된 복수 개의 언코일러;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보호튜브 절단부;
    상기 보호튜브의 이송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파이프를 나란하게 정렬하며 공급하여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를 나란하게 위치 정렬하고, 절단된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 유도하는 파이프 공급부; 및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한 상기 파이프를 배출시키는 파이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보호튜브를 각각 지지하여 공급 안내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보호튜브의 공급 상태에 따라 특정한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 정지시켜 해당 보호튜브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공급부는,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공급받는 공급바디;
    공급되는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정렬 안내하는 정렬블록; 및
    공급되는 상기 파이프의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송되는 상기 보호튜브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배출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를 공급 대기시켜 놓는 파이프 공급거치대;
    상기 파이프를 나란하게 이송 안내하도록 병렬로 배치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정렬홈부를 갖는 피딩부재;
    상기 파이프 공급거치대에서 최초로 공급되는 일측 최외측의 정렬홈부의 상기 파이프를 이웃한 정렬홈부로 순서대로 이동시키도록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가이드부재;
    상기 피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딩작업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피딩작업대의 하강시 상기 파이프를 설정 위치로 배출 유도하는 배출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산부는 상기 정렬홈부의 골부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배출부는, 상기 보호튜브를 삽입한 상기 파이프를 배출 허용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를 공급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배출허용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디는 공급되는 상기 보호튜브의 장력을 유지하여 상기 보호튜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힌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KR1020150044813A 2015-03-31 2015-03-31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KR10167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13A KR101678422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13A KR101678422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83A true KR20160116683A (ko) 2016-10-10
KR101678422B1 KR101678422B1 (ko) 2016-11-22

Family

ID=5714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13A KR101678422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4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197A (ja) * 1994-11-17 1996-06-07 Hitachi Cable Ltd チューブ挿設装置
KR100414990B1 (ko) * 2001-09-24 2004-01-13 부국산업주식회사 튜브삽입장치
KR100860092B1 (ko) * 2007-08-08 2008-09-25 한일튜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자동 절단 및 삽입장치
KR101188657B1 (ko) * 2010-05-26 2012-10-08 부국산업주식회사 이송관과 수축튜브 결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197A (ja) * 1994-11-17 1996-06-07 Hitachi Cable Ltd チューブ挿設装置
KR100414990B1 (ko) * 2001-09-24 2004-01-13 부국산업주식회사 튜브삽입장치
KR100860092B1 (ko) * 2007-08-08 2008-09-25 한일튜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자동 절단 및 삽입장치
KR101188657B1 (ko) * 2010-05-26 2012-10-08 부국산업주식회사 이송관과 수축튜브 결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422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216B1 (ko) 열수축튜브의 자동 절단 및 파이프 삽입을 위한 장치
KR100860092B1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자동 절단 및 삽입장치
CN101596644B (zh) 全自动螺钉焊机
TWI409164B (zh) 用於製造輪胎之至少一部分的設備及方法
KR101678421B1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KR101297570B1 (ko) 자동차용 금속튜브 제조장치
CN109702404B (zh) 铝模板焊接筋条设备
KR101188657B1 (ko) 이송관과 수축튜브 결합 시스템
KR101678422B1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CN112108559A (zh) 带材冲压成型单元
CN108608212B (zh) 一种汽车用管体深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KR20050069474A (ko) 배관 이송투입장치
KR100836678B1 (ko) 슬리브 자동이송장치
CA2260156A1 (en) Production of tubes
CN114769401A (zh) 一种减少工件开裂的冲压设备
JP7411677B2 (ja) 離型剤を中空ワークピースに導入するための装置
KR20100043675A (ko) 튜브 삽입장치
CN109647774B (zh) 一种led支架全自动电解清洗设备
TWM606902U (zh) 全自動彎管與鋸切複合系統
CN105382617A (zh) 一种叉车支撑管架精确定位加工设备
US74414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waging of tubes
JP4659185B2 (ja) 切断装置
CN217142931U (zh) 钢管端部修整机
CN112008435B (zh) 管件加工送料装置
CN212094056U (zh) 墩头弯管切割系统的全自动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