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955A -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955A
KR20160115955A KR1020167023554A KR20167023554A KR20160115955A KR 20160115955 A KR20160115955 A KR 20160115955A KR 1020167023554 A KR1020167023554 A KR 1020167023554A KR 20167023554 A KR20167023554 A KR 20167023554A KR 20160115955 A KR20160115955 A KR 2016011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ose
interlocking piece
receiv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78B1 (ko
Inventor
슈지 모리모토
마사오 노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ublication of KR2016011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복용물 수용 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수용부(20)와 연동편(22)을 구비한다. 수용부(20)가 복용물(100)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출구(30)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에 의해 형성된다. 연동편(22)은 연결뿌리부(40)와 선단부(42)를 갖는다. 연결뿌리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선단부(42)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가 출구(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20)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MEDICATION STORAGE CELL, STRIP PACKAGING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DICATION STORAGE CELL}
본 발명은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가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고형제제 포장체를 개시한다. 이것은 고형제제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해당 수납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폐쇄하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 실링부의 적어도 한 영역은 개봉가능한 약(弱)실링부이다. 그 약실링부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는 수납부의 고형제제가 통과가능하다. 수납부는 연질 포장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 연질 포장재료는 수납부 내의 고형제제를 손가락으로 집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 연질 포장재료는 1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형제제 포장체는 손가락 끝의 힘이 약한 자 및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는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2-205767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형제제 포장체에는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가 쉽게 개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가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이 란에서 도면 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내용을 도시한 범위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복용물 수용 셀(12, 14, 18, 312, 314)은 복용물(100)을 수용하는 수용부(20, 320)를 구비한다. 수용부(20, 320)가 복용물(100)의 출구(30, 330)를 가지고 있다. 출구(30, 330)는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에 의해 형성된다.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다.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으면, 중첩된 시트들(60, 62, 360, 362) 사이를 설사 붙인다고 하더라도, 그 붙임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중첩된 시트들(60, 62, 360, 362) 사이는 붙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로써,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용물 수용 셀(12, 14, 18, 312, 314)은, 수용부(20, 320)에 더하여, 시트 구속부를 구비한다. 시트 구속부는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의 일부를 구속한다.
시트 구속부가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의 일부를 구속하면, 그 구속이 없는 경우에 비해, 출구(30, 330)가 열릴 가능성은 낮아진다. 한편,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 중 시트 구속부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그 일부이므로, 기타 일부는 시트 구속부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 이로써,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 전체가 구속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그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 전체가 구속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시트 구속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때까지 출구(30, 330)가 열릴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또한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상술한 시트 구속부가 연동편(22)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편 (22)은 중첩된 시트(60, 62) 중 일방에 마련된다. 이 경우, 연동편(22)은 연결뿌리부(40)와 선단부(42)를 갖는다. 연결뿌리부(40)는 출구(30)의 가장자리로 이어지도록 마련된다. 선단부(42)는 연결뿌리부(40)에 이어진다. 연결뿌리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선단부(42)는 중첩된 시트(60, 62)가 출구(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20)에 고정된다.
연동편(22)의 연결뿌리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연동편(22)의 선단부(42)는 중첩된 시트(60, 62)가 출구(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20)에 고정된다. 연동부(22)의 연결뿌리부(40) 중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위에 인간의 손가락과 같은 것을 삽입하면, 연동편(22)의 선단부(42)를 수용부(20)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 연동편(22)의 선단부(42)를 수용부(20)로부터 떨어뜨려, 출구(30)를 형성하는 절곡되어 중첩된 시트(60, 62)를 펴면 출구(30)를 통해 수용부(20)로부터 복용물(100)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수용부(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거기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연동편(22)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연동편(22)의 움직임이 구속되면, 중첩된 시트(60, 62)의 움직임도 구속된다. 중첩된 시트(60, 62)의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수용부(20)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출구(30)가 열리는 것은 방지된다. 한편,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수용부(20)로부터 떨어지면, 중첩된 시트(60, 62)의 구속은 해제된다. 구속이 해제되므로, 출구(30)를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연동편(22)의 연결뿌리부(40) 중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위에 인간의 손가락과 같은 것을 삽입하면, 출구(30)를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트 구속부가 연동편(322)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편(322)은 중첩된 시트(360, 362) 중 일방에 마련된다. 연동편(322)은, 절결부분(340)을 통해, 출구(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320)에 고정된다. 절결부분(340)은 중첩된 시트(360, 362)의 타방에 마련된다. 이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출구(30, 330)를 형성하는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막도록 서로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 중 절곡되는 부위(52, 354)는 서로 붙어 있는 영역(32, 332)에서 볼 때 복용물(100)이 존재하는 측 또는 서로 붙어 있는 영역(32, 33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 중 절곡되는 부위(52, 354)는 서로 붙어 있는 영역(32, 332)에서 볼 때 복용물(100)이 존재하는 측 또는 서로 붙어 있는 영역(32, 332)에 배치되므로, 출구(30, 330)는 포개어 절곡되어 있는 시트(60, 62, 360, 362)와 서로 붙어 있는 영역(32, 332)에 의해 닫혀 있게 된다. 출구(30, 330)를 형성하는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서로 붙어 있으면, 연동편(22, 322)의 선단부(42)가 수용부(20)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과 맞물려, 출구(30, 330)를 단단히 막을 수 있다. 단단히 막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지 않아 서로 붙어 있는 것에 의해서만 출구(30, 330)가 밀봉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간의 붙임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붙임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서로 붙어 있는 것에 의해서만 출구(30, 330)가 밀봉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밀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용부(320)가, 출구(330)에 더하여, 제한부(34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부(342)는 복용물(100)의 수용부(320) 내에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한다.
제한부(342)가 수용부(320) 내에서의 복용물(100)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면, 그와 같은 제한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복용물(100)이 수용부(320)의 안쪽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복용물(100)이 수용부(320)의 안쪽으로 들어가기 어려우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용부(320)로부터 복용물(100)을 꺼내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수용부(320)의 복용물(100)과 접하는 내측면의 마찰계수가 외측면의 마찰계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면의 마찰계수가 내측면의 마찰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복용물(100)이 수용부(320) 안에서 밖으로 나올 때, 수용부(320)의 외측면보다도 수용부(320)의 내측면이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수용부(320)의 내측면이 외측면보다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손가락 끝으로 물건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없는 사람도 복용물(100)을 꺼내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수용부(320)가, 출구(330)에 더하여,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은, 윤곽이 예각을 이루는 부분 및 윤곽이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인간의 육체에 손상을 입히기 어렵다. 이로써,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을 수용부(320)가 가지고 있으면, 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용부(320)의 외연부분(376)이 인간의 육체를 손상시킬 가능성은 낮아진다. 특히, 잘못하여 복용물 수용 셀(12, 14)을 사람이 삼킨 경우에, 수용부(320)의 외연부분(376)이 그 사람의 내장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스트립 포장체(10, 310)는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12, 14, 312, 314)을 구비한다. 복용물 수용 셀(12, 14, 312, 314)은 열(70, 72)을 구성하도록 늘어선다. 복용물 수용 셀(12, 14, 312, 314)은 수용부(20, 320)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20, 320)는 복용물(100)을 수용한다. 수용부(20, 320)가 복용물(100)의 출구(30, 330)를 가지고 있다. 출구(30, 330)는 중첩된 시트(60, 62)에 의해 형성된다. 중첩된 시트(60, 62, 360, 362)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다.
개개의 복용물 수용 셀(12, 14, 312, 314)은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12, 14)이 복수의 열(70, 72)을 구성하도록 늘어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트립 포장체(10)가, 복수의 열(70, 72)에 더하여, 열간(列間) 절곡부(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列間) 절곡부(16)는 열들(70, 72) 사이에 마련된다. 이 경우, 복용물 수용 셀(12, 14)은, 수용부(20)에 더하여, 연동편(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편(22)은 중첩된 시트(60, 62) 중 일방에 마련된다. 연동편(22)은 연결뿌리부(40)와 선단부(42)를 갖는다. 연결뿌리부(40)는 출구(30)의 가장자리에 이어지도록 마련된다. 선단부(42)는 연결뿌리부(40)에 이어진다. 연결뿌리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선단부(42)는 중첩된 시트(60, 62)가 출구(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은 열간(列間) 절곡부(16)가 절곡되면 다른 열 중 어느 하나(72)에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은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 (14)에 대해 어긋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이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4)에 대해 어긋난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어긋남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 내의 복용물(100)은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4)의 복용물(100)에 대해 어긋난 상태가 되기 쉬워진다. 복용물들(100)간의 어긋남이 발생하면,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이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된 상태의 스트립 포장체(10)는 얇아진다. 스트립 포장체(10)가 얇아지면,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또한, 상술한 스트립 포장체(310)는,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312, 314)에 더하여, 적어도 한 부위의 연결부(316)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316)는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312, 314)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316)는 복용물 수용 셀(312, 314)끼리를 연결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한 부위의 연결부(316) 중 어느 하나가 복용물 수용 셀(312, 314)끼리가 서로 대향하도록 절곡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은 복용물 수용 셀(12, 14, 18, 312, 314)의 제조방법이다. 복용물 수용 셀(12, 14, 18, 312, 314)은 시트(110, 112, 510, 512)를 재료로 하고 있다. 복용물 수용 셀(12, 14, 18, 312, 314)에는 복용물(100)이 수용되어 있다.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은 수용접착공정(S200, S600) 및 절곡공정(S206, S606)을 구비한다. 수용접착공정(S200, S600)에서, 중첩된 시트들(110, 112, 510, 512) 사이에 복용물(100)이 수용된다. 수용접착공정(S200)에서, 주위영역(32, 34, 36, 332, 334, 336)이 복용물(100)의 출구(30, 330)를 형성하도록 접착된다. 주위영역(32, 34, 36, 332, 334, 336)은 중첩된 시트들(110, 112, 510, 512) 사이 중 복용물(100)의 주위에 해당한다. 절곡공정(S206, S606)에서, 절곡부위(52, 354)가 절곡된다. 이 절곡부위(52, 354)는 중첩된 시트(110, 112, 510, 512)의 소정 부위이다. 이 절곡부위(52, 354)는 복용물(100)에서 볼 때 출구(30, 330)가 있는 방향에 있다.
또한, 상술한 중첩된 시트(110, 112)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형성체(112)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일부를 덮는다. 이 경우, 절곡공정(S206)은 아래에 언급되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정은 연동편 부분(160)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연동편 부분(160) 이외의 어느 한 부분과 커버 형성체(112) 중 적어도 일방에 대향하도록 절곡부위(52)가 절곡되는 공정이다. 연동편 부분(160)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커버 형성체(112)로 덮여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이다. 이 경우,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이 대향부위 고정공정(S208)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부위 고정공정(S208)에서, 연동편 부분(160) 중 어느 한 부위가 절곡공정(S206)에서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중첩된 시트 중 일방(512)에 절결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곡공정(S606)이 아래에 언급되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정은 연동편 부분이 중첩된 시트 중 일방(512)의 절결부분을 통해 중첩된 시트의 타방(510) 중 연동편 부분 이외의 어느 한 부위에 대향하도록 절곡부위(354)가 절곡되는 공정이다. 연동편 부분은 중첩된 시트의 타방(510) 중 중첩된 시트의 일방(51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이다. 이 경우, 복용물 수용 셀(312, 314)의 제조방법이 대향부위 고정공정(S608)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부위 고정공정(S608)에서, 연동편 부분은 중첩된 시트의 타방(510) 중 절결을 통해 대향하는 부위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가 둘로 접혀 있는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의 수용부로부터 연동편의 선단부가 떨어진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중에 복용물이 배열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 형성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중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중의 연동편 형성용 시트와 커버 형성체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편이 달린 시트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평면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그들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 설명]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는 복수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복수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과 열간(列間) 절곡부(16)를 구비한다.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모두 복용물(100)을 수용하는 것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제 1 열(70)을 구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제 2 열(72)을 구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아래에 언급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구조와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구조는 동일하다. 그 점이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제 1 열(70)의 폭 방향 길이가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제 2 열(72)의 폭 방향 길이에 비해 짧다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 "복용물"이란 어느 한 인간이나 동물이 복용가능한 고체를 말한다. 어느 한 인간 또는 동물이 복용가능한 고체인 한, 복용물(10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용물(100)은 분말일 수도 덩어리일 수도 있다. 어느 한 인간 또는 동물이 복용가능한 고체인 한, 복용물(100)은 인간 또는 동물에게 독물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용물은 과자 등의 식품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복용물(100)은 주지의 정제(錠劑) 형태를 하고 있다.
열간(列間) 절곡부(16)는 제 1 열(70)과 제 2 열(72)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제 1 열(70)의 폭 방향 길이는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제 2 열(72)의 폭 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에서 열간(列間) 절곡부(16)의 위치는 스트립 포장체(10)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쳐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열간(列間) 절곡부(16)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는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열(70)과 제 2 열(72)을 쉽게 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열(70)에 있어서,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경계부(80)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열(72)에 있어서도,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경계부(82)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두 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을 쉽게 서로 분리할 수 있다.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을 쉽게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가 둘로 접혀 있는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열(70)을 구성하는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스트립 포장체(10)를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한 경우에 제 2 열(72)을 구성하는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 사이에 각각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제 2 열(72)을 구성하는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스트립 포장체(10)를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한 경우에 제 1 열(70)을 구성하는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사이에 각각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게다가, 도 1에 도시되고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제 1 열(70)의 폭 방향 길이는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제 2 열(72)의 폭 방향 길이에 비해 짧다. 따라서, 이들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 스트립 포장체(10)를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한 경우,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이 수용하고 있는 복용물(100)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이 수용하고 있는 복용물(100)은 서로 마주보기 어렵다. 이에, 복용물(100)이 정제의 형태를 하고 있어도,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되어 있는 스트립 포장체(10)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스트립 포장체(10)의 두께가 줄어들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수용부(20)로부터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서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일부는 절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구조와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구조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를 서로 접합한 것이다. 이들 소재는 주지의 부드러운 합성수지이다. 합성수지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기타 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류의 합성수지가 적층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수용부(20)와 연동편(22)을 구비한다. 수용부(20)는 복용물(100)을 수용한다. 연동편(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의 일단에는 복용물(100)의 출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출구(30)는 중첩된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시트(62)는 출구 영역(32)과 단부 영역(34)과 저부(底部) 영역(36)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에 붙어 있다. 출구 영역(32)은 상술한 출구(30)가 되는 영역이다. 단부 영역(34)은 수용부(20)의 양 옆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저부 영역(36)은 수용부(20)의 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커버 시트(62)가 출구 영역(32)과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에 있어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에 붙어 있음으로 인해, 수용부(20) 내부는 밀봉된다. 출구 영역(32)에서의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의 붙임 강도는 단부 영역(34) 및 저부 영역(36)에서의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의 붙임 강도에 비해 크게 낮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는 출구 영역(32)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를 손가락으로 서로 맞대어 비비면 쉽게 벗겨진다.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출구 영역(32)의 형상은 직선형태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동편(22)은 연결뿌리부(40)와 선단부(42)를 갖는다. 연결뿌리부(40)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의 출구 영역(32), 나아가 출구(30)의 가장자리에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결뿌리부(40) 전체가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즉, 연결뿌리부(40)는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도 점착도 하고 있지 않다. 선단부(42)는 연결뿌리부(40)에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연동편(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의 굽힘과 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부(42)는 연결뿌리부(40)보다 가늘다. 선단부(42)는 선단 접착부(50)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의 소재는 주지의 부드러운 합성수지이다. 이로써,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는 절곡가능하다. 유통 및 보관시에,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절곡부위(52)에서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절곡부위(52)는 출구 영역(32)에서 볼 때 복용물(100)이 존재하는 측에 배치된다. 이 절곡 및 출구 영역(32)의 접합에 의해 출구(30)는 닫히게 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편(22)의 선단 접착부(50)는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부(42) 중 선단 접착부(50) 이외의 부분은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22) 중 선단 접착부(50) 이외의 부분은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제조방법의 설명]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상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는 복수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의 제조방법은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제조방법이기도 하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의 제조방법은 수용접착공정(S200)과 절취선 형성공정(S202)과 연동편 형성공정(S204)과 절곡공정(S206)과 대향부위 고정공정(S208)을 구비한다. 이하, 이들 공정의 구체적 내용이 설명된다.
수용접착공정(S200)에 있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사이에 복용물(100)이 수용된다.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의 재료이다. 커버 형성체(112)는 커버 시트(62)의 재료이다. 따라서,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는 복용물 수용 셀(12, 14)의 재료이다.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소재와 커버 형성체(112)의 소재는 상술된 부드러운 합성수지이다. 수용접착공정(S200)에 있어서,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사이 중 복용물(100)의 주위에 해당하는 영역이 복용물(100)의 출구(30)를 형성하도록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접착공정(S200)은 복용물 배열공정(S220)과 커버링 공정(S222)과 주위 접착공정(S224)을 가지고 있다.
복용물 배열공정(S220)에 있어, 미도시의 대에 올려진 연동편 형성용 시트 (110)의 표면에 복용물(100)이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아래에 언급되는 로봇(120)이 복용물(100)을 배열한다. 그 로봇(120)은 복용물(100)을 홀딩하기 위한 흡착부(130)와 그 흡착부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표면 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13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로봇(120)은 주지의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6은 복용물 배열공정(S220)에서, 로봇(120)에 의해 복용물(100)이 배열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용물(100)이 배열됨으로써, 복용물(100)의 쪽 곧은 열이 2개 형성된다.
커버링 공정(S222)에 있어, 상술된 로봇(120)과는 별도의 장치(미도시)가 2장의 커버 형성체(112)로 복용물(100)을 덮는다. 즉,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표면에 배열된 복용물(100)째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일부가 커버 형성체 (112)로 덮인다. 어느 물건 위에 또 다른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장치는 주지의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장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2장의 커버 형성체(112)는 각각 복용물(10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일부를 덮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끝 가장자리 중 커버 형성체(112)로 덮이지 못한 부분이 연동편 부분(160)이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 형성체(112)는 커버 시트(62)의 재료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 형성체(112)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커버 형성체(112)는 기층(基層)(140)이 되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층(142)이 마련된 것이다. 기층(140)은 복용물(100)째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일부를 덮는다. 기층(140)의 소재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이다. 합성수지의 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접착층(142)은 가열되면 녹는다. 접착층(142)은 일단 녹아 다시 고화될 때에, 기층(14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를 접착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접착층(142)은 약접착영역(150)과 강접착영역(152)을 갖는다. 약접착영역(150)의 접착강도는 강접착영역(152)의 접착강도보다 크게 낮다. 기층(14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약접착영역(150)에 의해 접착된 영역이 출구 영역(32)이 된다. 기층(14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강접착영역(152)에 의해 접착된 영역이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이 된다. 커버 형성체(112)로 복용물(100)째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접착층(142)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대향한다.
주위접착공정(S224)에 있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사이 중 복용물(100)의 주위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술된 출구 영역(32)과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공정에서 접착되는 영역은 "주위영역"이라 총칭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위접착공정(S224)은 강접착공정(S230)과 약접착공정(S232)을 가지고 있다.
강접착공정(S230)에 있어, 주위영역 중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이 접착된다. 상술된 "소정 영역"이란, 복용물(100)에서 볼 때 연동편 부분(160)이 있는 방향에 있다. 이 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영역은 주위영역의 일부이다. 소정 영역은 복용물(100)이 통과가능한 폭을 가진다. 소정 영역은 상술된 출구 영역(32)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즉, 강접착공정(S230)에서 가열되는 것은 주위영역 중 상술된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강접착공정(S230)에 있어 주위영역 중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접착하는 것은 아래에 언급되는 미도시의 장치이다. 그 장치는 발열부와 가압접촉부를 구비한다. 그 발열부는 접착층(142)의 강접착영역(152)을 녹이는 데 충분한 열을 방출한다. 그 발열부 중 소정 면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의 형태와 동일하다. 가압접촉부가 그 발열부의 소정의 면을, 커버 형성체(112)의 기층(140) 중 강접착영역(152)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꽉 대고 누른다. 이로써, 그 발열부가 발한 열이 커버 형성체(112)의 기층(140)을 통해 접착층(142)의 강접착영역(152)에 전달된다. 강접착영역(152)에 열이 전달되면, 강접착영역(152)은 녹는다. 강접착영역(152)이 녹은 후, 가압접촉부는 발열부를 커버 형성체(112)로부터 떨어뜨린다. 발열부가 커버 형성체(112)로부터 떨어지면, 강접착영역(152)은 다시 고화된다. 그 때, 강접착영역(152)은 기층(14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에 따라,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에 해당하는 부위는 접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강접착공정(S230)은 커버링 공정(S222)에 이어 실시된다. 강접착공정(S230)은 커버링 공정(S222)이 실시된 장소에서 실시된다. 이로써, 복용물(100)이 덮인 후부터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가 서로 고정될 때까지 동안에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가 서로 어긋나 버리는 위험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약접착공정(S232)에 있어, 주위영역 중 상술된 소정 영역이 가열된다. 즉, 주위영역 중 출구 영역(32)에 해당하는 영역이 가열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그 소정 영역은 강접착공정(S230)에 있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의 사이를 가열한 것과 마찬가지의 미도시 장치에 의해 가열된다. 그 장치의 가압접촉부는 그 장치의 발열부의 소정 면을 커버 형성체(112)의 기층(140) 중 약접착영역(150)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꽉 대고 누른다. 이로써, 그 발열부가 발한 열이 커버 형성체(112)의 기층(140)을 통해 접착층(142)의 약접착영역(150)에 전달된다. 약접착영역(150)에 열이 전달되면, 약접착영역(150)은 녹는다. 약접착영역(150)이 녹은 후, 가압접촉부는 발열부를 커버 형성체(112)로부터 떨어뜨린다. 발열부가 커버 형성체(112)로부터 떨어지면, 약접착영역(150)은 다시 고화된다. 그 때, 약접착영역(150)은 기층(140)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로써, 출구 영역(32)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다. 그 출구 영역(32)에 해당하는 영역은 강접착공정(S230)에서 접착된 영역보다도 파단강도가 약해지도록 접착되게 된다. 즉, 주위영역 중 소정 영역이, 강접착공정(S230)에서 접착된 영역보다도 파단강도가 약해지도록 접착된다. 그 결과, 주위영역이 복용물(100)의 출구(30)를 형성하도록 접착되게 된다. 소정 영역은 복용물(100)의 출구(30)가 된다. 주위접착공정(S224)에 있어, 소정 영역이 주위영역의 남는 부분보다 파단강도가 약해지도록 접착되게 된다.
절취선 형성공정(S202)에서, 주지의 절취선 형성장치(미도시)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에 절취선을 형성한다. 이로써,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경계부(80)가 되는 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된다.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경계부(82)가 되는 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된다. 열간(列間) 절곡부(16)가 되는 부위에도 절취선이 형성된다. 도 8은 절취선 형성공정(S202)에서, 이들 절취선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연동편 형성공정(S204)에 있어, 주지의 절단장치(미도시)가 아래에 언급되는 부위를 잘라낸다. 그 부위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중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경계부(80)가 되는 부위, 및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경계부(82)가 되는 부위이다. 그 때,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연동편 부분(160)이 절결된다. 이로써, 연동편(22)의 외형이 형성된다. 도 9는 연동편 형성공정(S204)에 있어, 연동편(22)의 외형이 형성된 후의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의 평면도이다.
절곡공정(S206)에 있어, 사람의 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주지의 로봇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를 절곡한다. 그 절곡되는 부위는 상술된 절곡부위(52)에 상당하는 부위이다. 즉, 이 공정에서 절곡되는 부위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에 커버 형성체(112)가 겹쳐 있는 영역 중, 복용물(100)에서 볼 때 연동편 부분(160)이 있는 방향에 있는 소정의 부위이다. 이로써,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커버 형성체(112)에서 볼 때 연동편 부분(160)과는 반대측에 있는 부분과 커버 형성체(112)가 연동편 부분(160)에 대향한다. 연동편 부분(160) 중 연동편(22)의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분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열간(列間) 절곡부(16)의 근방영역에 대향한다.
대향부위 고정공정(S208)에 있어, 연동편 부분(160) 중 연동편(22)의 선단부 (42)에 해당하는 부위가 아래에 언급되는 부위로 접착된다. 그 부위는 연동편 부분(160) 중 연동편(22)의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위가 절곡공정(S206)에서 대향하고 있는 부위이다. 그 접착은 아래에 언급되는 로봇(미도시)에 의해 실시된다. 그 로봇은 발열체와 연동편 가압부와 발열체 가압부를 구비한다. 발열체는 연동편 부분(160) 중 연동편(22)의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위를 녹이는 데에 충분한 열을 방출한다. 연동편 가압부는 그 부위를 절곡공정(S206)에서 대향하고 있는 부위에로 꽉 누른다. 발열체 가압부는 연동편 부분(160) 중 연동편(22)의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분에로 발열체를 꽉 누른다. 이로써,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위가 있는 부분이 녹는다. 그 녹은 부분이 연동편(22)의 선단부(42)에 해당하는 부위와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들 접착 후,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는 소정의 길이로 컷팅된다. 이로써, 스트립 포장체(10)가 완성된다.
[사용방법의 설명]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 및 소형 복용물 수용셀(12)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대형 복용물 수용셀(14)의 사용방법은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보관시, 스트립 포장체(10)는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이 동안, 제 1 열(70)을 구성하는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제 2 열(72)을 구성하는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 사이에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제 2 열(72)을 구성하는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제 1 열(70)을 구성하는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사이에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복용물(100)을 복용시, 사용자는 스트립 포장체(10)로부터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중 임의의 하나를 잘라낸다. 잘라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형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이다.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이 잘라내어지면, 사용자는 연동편(22)과 수용부(20) 사이에 자신의 엄지 손가락을 끼워 넣는다. 엄지 손가락이 끼워 넣어지면, 선단 접착부(50)는 수용부(20)의 표면에서 벗겨진다. 선단 접착부(50)가 벗겨지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은 도 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수용부(20)의 표면을 서로 맞대고 비빈다. 이로써,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힘을 받으면,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가 전단력을 받는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는 출구 영역(32)에서 쉽게 벗겨진다. 벗겨지면, 출구(30)가 열린다. 출구(30)를 열면, 사용자는 복용물(100)을 꺼내어 그 복용물(100)을 복용한다.
[효과 설명]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및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연동편(22)과 수용부(20)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끼워넣고,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를 서로 맞대고 비비는 조작으로 개봉할 수 있다.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는 출구 영역(32)에서 볼 때 복용물(100)이 존재하는 측(수용부(20)의 중앙부근에서 볼 때 출구 영역(32)보다 앞쪽)에 있는 절곡부위(52)에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에 의해 출구(30)가 닫혀 있기 때문에, 출구 영역(32)에서의 붙임 강도가 매우 약한 것이어도 좋다. 매우 약한 것이어도 좋으므로, 손가락 끝의 힘이 약한 자 및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는 자라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및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및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출구 영역(32)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가 서로 붙어 있다. 붙어 있으므로,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수용부(20)의 표면에 붙어 있는 동안, 중첩된 시트(연동편이 달린 시트(60) 및 커버 시트(62))가 절곡부위(52)에서 절곡되어 있는 것과 맞물려, 출구(30)를 단단히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출구 영역(32)의 형상이 직선형태이다. 즉, 중첩된 시트 중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형상이 직선형태이다. 출구 영역(32)의 형상이 직선형태이기 때문에, 출구 영역(32) 중 어느 한 부분이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 비해, 그 영역의 어딘가에 출구 영역(32)을 벗길 힘이 집중적으로 걸릴 가능성은 낮아진다. 출구(30)가 닫혀 있을 뿐만 아니라 출구 영역(32)의 어딘가에 힘이 집중적으로 걸릴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가능성이 낮아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출구 영역(32)에서의 붙임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포개어 절곡되어 있는 시트와 서로 점착되어 있는 영역에 의해 출구가 닫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의 어딘가에 힘이 집중적으로 걸릴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중첩된 시트간의 붙임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밀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끝을 능숙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는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함으로써, 어느 열을 구성하는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 사이에, 다른 열을 구성하는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이 대향하게 된다. 이로써,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되어 있는 스트립 포장체(10)는 주지의 포장필름으로 복용물(100)을 포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부피가 커지지 않게 된다. 스트립 포장체(10)가 부피가 커지지 않게 되면,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10)에 있어서, 상술한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70)를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2)은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며 인접한 2개의 복용물 수용 셀(14, 14) 사이에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후자인 2개의 복용물 수용 셀(14, 14) 사이에 전자인 복용물 수용 셀(12)이 대향하고 있다고 다음에 언급할 경우, 전자의 복용물 수용 셀(12)에 수용되는 복용물(100)이 후자인 2개의 복용물 수용 셀(14, 14)에 수용되는 복용물(100) 사이에 끼워넣어질 수 있다. 그 경우란, 전자인 복용물 수용 셀(12)이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된 경우이다. 전자의 복용물 수용 셀(12)에 수용되는 복용물(100)이 후자인 2개의 복용물 수용 셀(14, 14)에 수용되는 복용물(100) 사이에 끼워 넣어지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전자인 복용물 수용 셀(12)이 다른 열(7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된 상태의 스트립 포장체(10)는 부피가 커지지 않게 된다. 스트립 포장체(10)가 부피가 커지지 않게 되면,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제 2 실시형태> 
[구조 설명]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가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는 복수의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복수의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과 연결부(316)를 구비한다.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은 복용물(100)을 수용하는 것이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은 열을 구성하도록 교대로 늘어서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결부(316)는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직선형태의 영역이다. 연결부(316)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을 쉽게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의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의 일부는 절결되어 있다. 도 11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를 서로 접합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은 수용부(320)와 연동편(322)과 라벨부(324)를 구비한다. 수용부(320)는 복용물(100)을 수용한다. 연동편(322)은 수용부(320)의 일단으로부터 내뻗는다. 라벨부(324)는 수용부(320)의 타단으로부터 내뻗는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362)는 단부 영역(334)과 저부 영역 (336)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에 접착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 영역(334)은 수용부(320)의 양 옆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저부 영역(336)은 수용부(320)의 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단부 영역(334)의 폭(s)(도 11에서는 복용물(100)에서 본 접착 영역(332)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 영역(334)의 길이)과 저부 영역(336)의 폭(t)(도 11에서는 복용물(100)에서 본 접착 영역(332)의 방향에 대한 저부 영역(336)의 길이)은 모두 3.0mm이다. 그리고, 단부 영역(334)의 폭과 저부 영역(336)의 폭은 좁은 편이 바람직하다. 단, 단부 영역(334)의 폭과 저부 영역(336)의 폭이 2.0mm 이상 3.0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되는 기계에서도 그들 폭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버 시트(362)가 단부 영역(334)과 저부 영역(336)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에 접착되어 있음으로 인해,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 사이에 복용물(100)이 끼이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부(320)는 제한부(342)를 가진다.  제한부(342)는 복용물(100)의 수용부(320) 내에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한부(342)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서로 접착됨으로써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라벨부(324)에는 정보가 표시된다. 그 정보의 예로는 복용물(100)의 종류가 있다. 라벨부(324)의 모서리에는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이 형성되어 있다. 라벨부(324)의 모서리에 외연부분(37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그 모서리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 비해,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을 사람이 잘못하여 삼켰을 때 그 사람의 내장을 손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연동편(332)의 모서리부, 또는 연동편(332)이 절결부분을 통해 외연접착부(350)(외연접착부(350)는 후술된다.)에 접착된 상태, 즉 출구(330)를 닫도록 절곡된 상태의 수용부(320)의 절곡부위(354) 모서리부에서도,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20)의 일단에는 복용물(100)의 출구(33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시트(362)는, 단부 영역(334) 및 저부 영역(336)에 더하여, 접착 영역(332)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 중 접착 영역(332)에서 절곡부위(354)까지의 영역이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출구 시트부이다. 커버 시트(362) 중 접착 영역(332)에서 절곡부위(354)까지의 영역이 커버 시트(362)의 출구 시트부이다. 커버 시트(362)가 접착 영역(332)과 단부 영역(334)과 저부 영역(336)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에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수용부(320)의 내부는 밀봉된다.
접착 영역(332)에서의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의 접착강도는 단부 영역(334) 및 저부 영역(336)에서의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의 접착 강도에 비해 크게 낮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는 접착 영역(332)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는 손바닥으로 서로 맞대어 비빔으로써 쉽게 벗겨진다. 또한,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접착 영역(332)의 형상은 직선형태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3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연동편(3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의 굽힘과 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322)은 외연접착부(350)와 손잡이부(352)를 갖는다.
유통 및 보관시에,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은 절곡되어 있다. 절곡되는 부위는 도 11에 도시된 절곡부위(354)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절곡부위(354)는 접착 영역(332)에서 볼 때 복용물(100), 나아가 저부 영역(336) 측에 배치된다. 이 절곡과 접착 영역(332)의 접합에 의해 출구(330)는 닫히게 된다. 이 때, 연동편(322)의 외연접착부(350)는 커버 시트(362)의 절결부분(340)을 통해,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 중 수용부(320)를 구성하는 부분에 접착되어 있다. 절결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실런트(sealant)층끼리 서로 대향하게 되어,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이로써, 연동편(32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들 시트의 일부를 구속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손잡이부(352)는 연동편(322)의 선단부분에 배치된다. 손잡이부(352)는 외연접착부(350)가 벗겨질 때,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집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는 일차 배리어층(380)과 실런트층(382)과 접착층(384)과 이차 배리어층(386)과 표면층(388)을 갖는다. 일차 배리어층(380)은 수용부(320) 내부의 산소를 흡수하는 층이다. 일차 배리어층(380)은 수용부(32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산소와 수증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층이기도 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일차 배리어층(380)의 소재는 불소 수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일차 배리어층(380)은 수용부(32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일차 배리어층(380)이 복용물(100)에 접촉된다. 즉, 일차 배리어층(380)이 수용 시트부의 내층이 된다. 실런트층(382)은 수용부(320)의 내부를 기밀상태로 하는 층이다. 실런트층(382)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서로 접착할 때에 용융되는 층이기도 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실런트층(382)의 소재는 폴리에틸렌이다. 접착층(384)은 실런트층(382)과 이차 배리어층(386)을 접착시키는 층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접착층(384)의 소재도 폴리에틸렌이다. 이차 배리어층(386)은 수용부(320)의 외부로부터 그 내부로의 산소와 수증기의 침입을 막는 층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차 배리어층(386)의 소재는 알루미나이다. 표면층(388)은 이차 배리어층(386)을 보호하는 층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표면층(388)의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표면층(388)이 수용부(32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즉, 표면층(388)이 수용 시트부의 외층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소재는 이하의 요건을 만족한다. 제 1 요건은 수증기 투과도가 1.0g/평방미터·일(日) 이하라는 요건이다. 수증기 투과도가 0.5g/평방미터·일(日)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요건은 산소 투과도가 600나노 입방미터/평방미터·일(日)·atm(0.6cc/평방미터·일·atm) 이하라는 요건이다. 산소 투과도가 300나노 입방미터/평방미터·일·atm(0.3cc/평방미터·일·at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요건은 수용부(320)의 내측에 대향하는 면의 정마찰계수가 수용부(320)의 외측에 노출되는 면의 정마찰계수보다 작다는 요건이다. 수용부(320)의 내부에 대향하는 면의 정마찰계수는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이 0.2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 4 요건은 영률이 200MPa 이상 1000MPa 이하라는 요건이다. 영률이 400MPa 이상 600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소재가 제 4 요건을 만족하므로, 영률이 1000MPa을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또는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을 잘못하여 사람이 삼킨 경우에 수용부(320)가 그 사람의 내장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낮아진다. 제 5 요건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서로 접착되었을 때, 접착된 부위의 수증기 투과도와 접착된 부위의 산소 투과도가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소재 자체의 것과 동등 이하라는 요건이다. 제 6 요건은 서로 접착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를 사람의 손으로 쉽게 벗길 수 있다는 요건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커버 시트(362)의 소재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소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시트(362) 소재의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구조는 아래에 언급되는 두 가지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 첫번째 점은 복용물(100)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본 절결부분(340)의 위치가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는 반대측인 점이다. 두번째 점은 복용물(100)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본 외연접착부(350)의 위치도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는 반대측인 점이다. 따라서,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조시스템의 설명]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4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400)의 구성이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400)은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 제 1 가이드 롤러(412),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 제 2 가이드 롤러(416), 절결 형성 롤러부(418), 정제(錠劑) 공급부(420), 세로 접착 롤러부(422), 가로 접착 롤러부(424),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 가열장치(428), 절곡 가이드부(430), 프레스 롤러부(432), 대향부위 접착 롤러부(434) 및 재단 롤러부(436)를 포함한다.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는 통형상으로 감긴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의 일단을 인출하는 장치이다. 인출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제 1 가이드 롤러(412)를 경유하여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다.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자중에 의해 처진다.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는 통형상으로 감긴 커버 형성체(512)의 일단을 인출하는 장치이다. 인출된 커버 형성체(512)는 제 2 가이드 롤러(416)를 경유하여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다.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 커버 형성체(512)도 자중에 의해 처진다. 정제 공급부(420) 아래로의 진입에 따라, 커버 형성체(512)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대향한다.
절결 형성 롤러부(418)는 커버 형성체(512)에 절결을 형성한다. 절결 형성 롤러부(418)는 받침 롤러와 누름 롤러를 갖는다. 받침 롤러는 커버 형성체(512)를 지지한다. 누름 롤러는 커버 형성체(512)를 받침 롤러에 꽉 누른다. 그 때, 누름 롤러는 커버 형성체(512) 중 커버 시트(362)의 절결부분(340)에 해당하는 영역에 절결을 형성한다. 누름 롤러는 미도시의 돌기를 가진다. 이 돌기가 절결부분(340)에 해당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그 영역에 절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제 공급부(420)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에 의해 인출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에 의해 인출된 커버 형성체(512)와의 사이에 정제를 떨어뜨린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정제가 본 실시형태의 복용물(100)이다. 정제가 떨어진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세로 접착 롤러부(422) 내로 진입한다
세로 접착 롤러부(422)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서로 접착시킨다. 세로 접착 롤러부(422)는 받침 롤러와 제 1 누름 롤러와 제 2 누름 롤러와 제 1 히터와 제 2 히터와 냉각부를 갖는다. 받침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지지한다. 제 1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받침 롤러에 꽉 누른다. 그 때, 제 1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열을 전달한다. 열이 전달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열이 전달된 커버 형성체(512)는 용융된다. 용융으로 인해, 이들은 서로 접착된다. 제 1 누름 롤러는 미도시의 돌기를 갖는다. 이 돌기가 저부 영역(336)에 해당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그 영역에 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히터는 제 1 누름 롤러에 열을 공급한다. 제 2 누름 롤러는 제 1 누름 롤러와 동시에,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받침 롤러에 꽉 누른다. 그 때, 제 2 누름 롤러는 제 1 누름 롤러와 마찬가지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열을 전달한다. 제 2 누름 롤러는 제 1 누름 롤러와 마찬가지로 미도시의 돌기를 갖는다. 이 돌기가 접착 영역(332)에 해당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그 영역에 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히터는 제 2 누름 롤러에 열을 공급한다. 냉각부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의 접착이 완료하면, 즉시 제 1 누름 롤러 및 제 2 누름 롤러를 냉각한다. 세로 접착 롤러부(422)에 의해 커버 형성체(512)가 접착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 내로 진입한다.
가로 접착 롤러부(424)도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서로 접착시킨다. 가로 접착 롤러부(424)는 받침 롤러와 누름 롤러와 히터와 냉각부를 갖는다. 받침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지지한다.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받침 롤러에 꼭 누른다. 그 때,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열을 전달한다. 열이 전달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열이 전달된 커버 형성체(512)는 용융된다. 용융으로 인해 이들은 서로 접착된다. 누름 롤러는 미도시의 돌기를 가진다. 이 돌기가 단부 영역(334)에 해당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그 영역에 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히터는 누름 롤러에 열을 공급한다. 냉각부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의 접착이 완료되면, 즉시 누름 롤러를 냉각한다. 가로 접착 롤러부(424)에 의해 단부 영역(334)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 내로 진입한다.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는 서로 접착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중 연결부(316)에 해당하는 영역에 절취선을 형성한다.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는 그 절취선의 끝 가장자리에 절결을 형성한다.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는 받침 롤러와 누름 롤러를 갖는다. 받침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지지한다.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받침 롤러에 꼭 누른다. 그 때,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절취선을 형성한다. 누름 롤러는 미도시의 돌기를 가진다. 이 돌기가 연결부(316)에 해당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그 영역에 절취선과 그 끝 가장자리의 절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절취선이 형성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가열장치(428) 내로 진입한다.
가열장치(428)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중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과의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가열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열장치(428)는 한 쌍의 적외선 히터를 갖는다. 이들 적외선 히터가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밀어 붙여진다. 이로써, 그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가열된다. 가열에 의해 그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은 부드러워진다.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그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은 절곡하기 쉬워진다. 그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가열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절곡 가이드부(430)를 통과한다.
절곡 가이드부(430)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가 복용물 수용 셀(12)의 절곡부위(354)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절곡되도록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유도한다. 이러한 유도를 구현하기 위해, 절곡 가이드부(430)에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가 절곡 가이드부(430)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이들이 접촉하는 면이 형성되어 있다.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가 그 표면에 접촉한 상태인 채 절곡 가이드부(430)를 통과함으로써,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가 복용물 수용 셀(12)의 절곡부위(354)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절곡된다. 그 부위에서 절곡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프레스 롤러부(432) 내로 진입한다.
프레스 롤러부(432)는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절곡부위(354)에 해당하는 부분에 접힘선을 형성한다. 접힘선이 형성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대향부위 접착 롤러부(434) 내로 진입한다.
대향부위 접착 롤러부(434)는 커버 형성체(512) 중 커버 시트(362)의 절결부분(340)에 해당하는 부위를 통해,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 중 수용부(320)를 구성하는 부분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 중 외연접착부(350)에 해당하는 부위를 서로 접착시킨다. 거기가 접착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와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로 인한 추가적인 인출에 따라 재단 롤러부(436) 내로 진입한다.
재단 롤러부(436)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한다. 재단 롤러부(436)의 구성은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재단 롤러부(436)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재단 롤러부(436)에 의해 재단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가 된다.
[제조방법의 설명]
도 14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트립 포장체(310)는 상술된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400)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 도 13과 도 14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는 복수의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복수의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의 제조방법은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제조방법이기도 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의 제조방법은 수용접착공정(S600)과 절취선 형성공정(S602)과 연화공정(S604)과 절곡공정(S606)과 대향부위 고정공정(S608)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의 구체적인 내용이 설명된다.
수용접착공정(S600)에 있어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사이에 복용물(100)이 수용된다.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의 재료이다. 커버 형성체(512)는 커버 시트(362)의 재료이다. 따라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는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재료이다. 수용접착공정(S600)에 있어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사이 중 복용물(100)의 주위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다. 이로써 출구(330)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접착공정(S600)은 절결 형성공정(S620)과 커버링 공정(S622)과 공급전 접착공정(S624)과 복용물 공급공정(S626)과 공급후 접착공정(S628)을 가지고 있다.
절결 형성공정(S620)에 있어,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는 통형상으로 감긴 커버 형성체(512)의 일단을 인출한다. 절결 형성 롤러부(418)는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414)에 의해 인출된 커버 형성체(512)에 절결을 형성한다. 절결이 형성된 커버 형성체(512)는 제 2 가이드 롤러(416)를 통해 정제 공급부(420) 아래로 진입한다.
커버링 공정(S622)에 있어,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410)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의 일단을 인출한다. 인출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제 1 가이드 롤러(412)를 경유하여 정제(錠劑)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다.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정제 공급부(420)의 아래로 진입한 커버 형성체(512)와 약간 어긋난 상태로 대향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경우, 커버 형성체(512)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의 일부를 덮는다.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는 커버 형성체(512)의 일부를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의 끝 가장자리 중 커버 형성체(512)로 덮이지 않았던 부분을 "재료 단부"라고 칭한다.
공급전 접착공정(S624)에 있어서, 세로 접착 롤러부(422)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사이 중 저부 영역(336)에 해당하는 영역과 접착 영역(332)에 해당하는 영역을 서로 접착시킨다. 이로써, 세로 접착 롤러부(422)의 제 1 누름 롤러와 제 2 누름 롤러가 전달한 열이 커버 형성체(512)의 표면층(388)을 통해 실런트층(382)으로 전달된다. 실런트층(382)에 열이 전달되면, 실런트층(382)은 녹는다. 실런트층(382)이 녹은 후, 제 1 누름 롤러와 제 2 누름 롤러가 커버 형성체(512)로부터 떨어진다. 제 1 누름 롤러와 제 2 누름 롤러가 커버 형성체(512)로부터 떨어지면, 실런트층(382)은 재차 고화된다. 그 때, 실런트층(382)은 커버 형성체(512)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에 따라, 저부 영역(336)에 해당하는 영역과 접착 영역(332)에 해당하는 영역은 서로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세로 접착 롤러부(422)의 제 1 누름 롤러의 온도와 제 2 누름 롤러의 온도는 서로 다르다. 이로써, 저부 영역(336)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착강도와 접착 영역(332)에 해당하는 영역의 접착강도가 서로 다르다.
복용물 공급공정(S626)에 있어, 정제 공급부(420)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사이에 정제를 떨어뜨린다. 이로써, 저부 영역(336)에 해당하는 영역과 접착 영역(332)에 해당하는 영역 사이에 그 정제가 끼인다.
공급후 접착공정(S628)에 있어, 가로 접착 롤러부(424)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 사이 중 복용물(100)의 주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접착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술된 단부 영역(334)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다. 가로 접착 롤러부(424)의 누름 롤러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열을 전달한다. 그 누름 롤러가 전달한 열이 커버 형성체(512)의 표면층(388)을 통해 실런트층(382)에 전달된다. 실런트층(382)에 열이 전달되면, 실런트층(382)은 녹는다. 실런트층(382)이 녹은 후, 누름 롤러가 커버 형성체(512)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누름 롤러가 커버 형성체(512)에서 떨어지면, 실런트층(382)은 다시 고화된다. 그 때, 실런트층(382)은 커버 형성체(512)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로써, 단부 영역(334)에 해당하는 영역은 접착된다.
절취선 형성공정(S602)에 있어, 절취선 형성 롤러부(426)가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에 절취선 및 절결을 형성한다. 이로써,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연결부(316)가 되는 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된다. 그 절취선의 끝 가장자리에 절결이 형성된다. 그 절결 중 어느 하나가 라벨부(324)의 모서리의 외연부분(376)이 된다.
연화공정(S604)에 있어, 가열장치(428)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와 출구 시트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가열한다. 이로써, 가열장치(428)가 전달한 열이 그 영역에 전해진다. 그 영역에 열이 전달되면, 그 영역은 부드러워진다.
절곡공정(S606)에 있어, 절곡 가이드부(430)는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절곡부위(354)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절곡되도록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를 유도한다. 프레스 롤러부(432)는 그 절곡부위(354)에 해당하는 부위에 접힘선을 형성한다.
대향부위 고정공정(S608)에 있어, 대향부위 접착 롤러부(434)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 중 수용부(320)를 구성하는 부분과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 중 외연접착부(350)에 해당하는 부위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들 부위는 커버 형성체(512) 중 커버 시트(362)의 절결부분(340)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해 접착된다. 이들 부위의 접착 후, 재단 롤러부(436)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510)와 커버 형성체(512)를 소정 길이로 재단한다. 이로써, 스트립 포장체(310)가 완성된다.
[사용방법의 설명]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310)와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보관시, 스트립 포장체(310)는 연결부(316) 중 어느 하나에서 절곡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복용물(100)을 복용시, 사용자는 스트립 포장체(310)로부터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 중 임의의 하나를 잘라낸다. 그것이 잘라내어지면, 사용자는 연동편(322)과 수용부(320) 사이에 자신의 엄지 손가락을 끼워 넣는다. 엄지 손가락이 끼워 넣어지면, 외연접착부(350)은 접착되어 있던 부위에서 벗겨진다. 외연접착부(350)가 벗겨지면, 사용자는 손바닥 등으로 수용부(320)의 표면을 서로 맞대고 비빈다. 이로써,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힘을 받으면,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전단력을 받는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는 접착 영역(332)에서 쉽게 벗겨진다. 벗겨지면, 출구(330)가 열린다. 출구(330)가 열리면, 사용자는 수용부(320)를 통해 복용물(100)의 가장자리를 누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12)에 있어서, 수용부(320) 내측의 정마찰계수는 수용부(320) 외측의 정마찰계수보다 작다. 따라서, 복용물(100)은 원활하게 출구(330) 쪽으로 밀린다. 그 후에도, 사용자는 복용물(100)을 누른다. 그 결과, 복용물(100)은 출구(330)를 거쳐 수용부(320)로부터 나온다. 사용자는 수용부(320)에서 나온 복용물(100)을 복용한다.
또한, 사용자는 외연접착부(350)를 벗겨낼 때, 손잡이부(352)를 잡고 당겨도 좋다.
[효과 설명]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에 있어, 수용부(320)의 출구(330)는 접착 영역(332)과 절곡부위(354)에 의해 막혀 있다. 접착 영역(332)에 더하여, 절곡부위(354)에 의해 출구(330)가 막혀 있기 때문에, 접착 영역(332)에 의해서만 출구(330)가 막혀 있는 경우에 비해 접착 영역(332)의 접착강도를 낮출 수 있다. 접착 영역(332)에 더하여, 절곡부위(354)에 의해 출구(330)가 막혀 있기 때문에, 출구 시트부의 쌍이 절곡부위(354)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아 접착 영역(332)에 의해서만 출구(330)가 막혀 있는 경우에 비해,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은 소형화된다. 그 결과, 복용물(100)을 꺼내기 쉽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에 있어, 일차 배리어층(380)의 정마찰계수에 비해 표면층(388)의 정마찰계수는 크다. 이로써, 사용자가 손바닥 등으로 수용부(320)의 표면을 서로 맞대고 비볐을 때, 일차 배리어층(380)에서 발생하는 마찰력보다는 표면층(388)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쪽이 더 커진다. 그 결과, 사용자가 수용부(320)의 표면을 서로 맞대고 비볐을 때, 수용부(320) 안에서 복용물(100)은 잘 미끄러진다.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바닥 등으로 수용부(320)의 표면을 서로 맞대고 비비면, 복용물(100)을 쉽게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의 일차 배리어층(380)은 불소 수지제이다. 이로써, 다른 합성수지가 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복용물(100)과의 화학반응으로 인한 열화(劣化)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수용부(320)의 모서리에는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376)은 예각을 이루는 부분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사람의 육체를 손상시키기 어렵다. 이로써, 수용부(320)가 외연부분(376)를 가지고 있으면, 이것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그 수용부(320)가 사람의 육체를 손상시킬 가능성은 낮아진다. 특히,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또는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을 사람이 실수로 삼켰을 때, 수용부(320)가 그 사람의 내장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연동편(332)의 모서리부, 혹은 연동편(332)이 절결부분을 통해 외연접착부(350)에 접착된 상태, 즉 출구(330)를 닫도록 절곡된 상태의 수용부(320)의 절곡부위(354) 모서리부에서도,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그 외연부분이 사람의 내장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에 따르면, 연동편(322)과 수용부(320)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끼워 넣고,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를 서로 맞대고 비비는 조작으로 개봉할 수 있다.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는 절곡부위(354)에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에 의해 출구(330)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접착 영역(332)에서의 붙임 강도는 매우 약한 것이어도 좋다. 매우 약한 것이어도 좋기 때문에, 손가락 끝의 힘이 약한 자라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12)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은 접착 영역(332)에서, 연동편이 달린 시트(360)와 커버 시트(362)가 서로 붙어 있다. 게다가, 중첩된 시트(연동편이 달린 시트(360) 및 커버 시트(362))가 절곡부위(354)에서 절곡되어 있다. 이로써, 연동편(322)의 외연접착부(350)가 수용부(320)에 붙어 있는 동안, 출구(330)를 단단히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접착 영역(332)의 형상이 직선형태이기 때문에, 접착 영역(332)의 어느 한 부분이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 비해, 그 영역의 어딘가에 접착 영역(332)을 벗길 힘이 집중적으로 걸릴 가능성은 낮아진다. 출구(330)가 닫혀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 영역(332)의 어딘가에 힘이 집중적으로 걸릴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가능성이 낮아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접착 영역(332)에서의 붙임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의 설명> 
상술한 스트립 포장체(10, 310)와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과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과 제 2 복용물 수용 셀(314)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과 복용물 수용 셀(18)에 있어, 출구 영역(32)의 형상은 직선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구 영역(32) 중 어느 하나의 부위가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출구 영역(32)은 접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연동편(22)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단부 (42)는 연결뿌리부(40)와 동등 이상의 굵기이어도 좋다. 또한, 연동편(22)은 주지의 숟가락 중 물건이 올려놓여지는 부분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연동편이 달린 시트(60)와 커버 시트(62)의 소재는 주지의 부드러운 합성수지의 시트 위에 어떠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그 표면처리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수용부의 내주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복용물(100)의 나오기 쉬운 특성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트립 포장체(10)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은 가위 등의 임의의 기구에 의해 잘라내어진다.
또한, 스트립 포장체(10)가 구비하는 복용물 수용 셀의 열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열은 1열이어도 좋고, 3열 이상이어도 좋다. 따라서, 복용물 배열공정(S220)에서 형성되는 복용물(100)의 열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과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에 있어서 절곡되는 부위는 상술된 절곡부위(5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 부위는 출구 영역(32) 내의 부위이어도 좋다. 제 1 복용물 수용 셀(312) 및 제 2 복용물 수용 셀 (31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커버 형성체(112)의 구조는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은 기층(14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강접착공정(S230)에서의 발열부의 가압접촉시간과 약접착공정(S232)의 발열부의 가압접촉시간의 차이로 인해, 출구 영역(32)에서의 붙임 강도와 단부 영역(34) 및 저부 영역(36)에서의 붙임 강도와의 차이를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연결뿌리부(40)의 일부가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하고 있어도 좋다. 연결뿌리부(40)의 일부가 수용부(20)의 표면에 점착하고 있어도 좋다. 즉, 연결뿌리부(4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된다. 또한, 선단 접착부(5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선단부(42) 중 수용부(20)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부(20)에 대한 연동편(22)의 선단부(42)의 고정방법은 접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동편(22)의 선단부(42)는 수용부(20)의 표면에 점착하고 있어도 좋다. 연동편(22)의 선단부(42)는 어느 한 물건을 다른 물건에 점착하기 위한 주지의 부재에 의해 수용부(20)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연동편(22)의 선단부(42)는 수용부(2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절단선에 삽입되어도 좋다. 수용부(2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절단선에 연동편(22)의 선단부(42)가 삽입되는 경우, 그 절단선의 위치와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절단선은 단부 영역(34) 또는 저부 영역(36)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수용부(20) 중 복용물(100)이 수용되는 공간과 수용부(20)의 주위 공간과의 연통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은 상술한 것과는 다른 시트 구속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상술한 시트가 출구(30, 330)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들 시트의 일부를 구속하는 것의 구체적인 형태는 상술한 연동편(22, 322)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트 구속부란, 출구(30, 330)를 구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의 일부를 구속하는 것을 말한다. 시트 구속부가 그들 시트와 일체로 되어 있어도, 일체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시트 구속부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연동편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연동편과 기타 물건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시트 구속부는 연동편과는 다른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시트 구속부의 구체예는 점착테이프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은 상술한 것과는 다른 제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복용물(100)의 수용부(320) 내에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은 2장의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부는 앞으로 접기된 1장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도 15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90)의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90)는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18)과 열간(列間) 절곡부(16)를 구비한다.
복용물 수용 셀(18)은 모두 복용물(100)을 수용하는 것이다. 복용물 수용 셀(18)의 구조는 아래에 언급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 차이점은 연동편(24)의 형상이 다른 점, 및 열간(列間) 절곡부(16) 전체를 커버 형성체(220)가 덮고 있는 점이다.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복용물 수용 셀(18) 중 몇 개는 제 1 열(74)을 구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다른 복용물 수용 셀(18)은 제 2 열(76)을 구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열간(列間) 절곡부(16)는 제 1 열(74)과 제 2 열(76) 사이에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90)는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열(74)을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8)은 스트립 포장체(90)를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한 경우에 제 2 열(76)을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8)에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제 2 열(76)을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8)은 스트립 포장체(90)를 열간(列間) 절곡부(16)에서 절곡한 경우에 제 1 열(74)을 구성하는 복용물 수용 셀(18)에 대향하도록 늘어서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포장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을 실현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들 각 공정은 사람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연동편 형성공정(S204)은 커버링 공정(S222)보다 전(예를 들면 복용물 배열공정(S220)의 직전)에 실시되어도 좋다. 이 경우,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2개의 소형 복용물 수용 셀(12)의 경계부(80)가 되는 부위, 및 2개의 대형 복용물 수용 셀(14)의 경계부(82)가 되는 부위가 잘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 형성체(112)는 잘려나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곡공정(S206)에서 절곡되는 부위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 중 커버 형성체(112)의 끝 가장자리에 최대한 가까운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용물 배열공정(S220)의 직전에 연동편 형성공정(S204)이 실시되면, 복용물(100)의 배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동편(22)을 형성할 수 있다. 연동편 형성공정(S204)은 약접착공정(S232) 후이면서 절곡공정(S206) 전에 실시되어도 좋다. 연동편 형성공정(S204)은 실시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수용접착공정(S200)에 있어,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사이에 복용물(100)이 수용되고, 또한 주위영역이 복용물(100)의 출구(30)를 형성하도록 접착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위영역 중 단부 영역(34)과 저부 영역(36)에 해당하는 영역이 접착된 후,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와 커버 형성체(112) 사이에 복용물(100)이 삽입되어도 좋다.
복용물 배열공정(S220)에서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110)의 표면에 복용물(100)이 배열되면 되며, 그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강접착공정(S230)과 약접착공정(S232)은 동시에 실시되어도 좋다. 이들은 순차적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즉, 강접착공정(S230)과 약접착공정(S232)은 주위접착공정(S224)이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강접착공정(S230)은 커버링 공정(S222)에 이어서, 커버링 공정(S222)이 실시된 장소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에 불과하다. 절취선 형성공정(S202)은 약접착공정(S232) 후에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은 1개씩 제조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복용물과, 복용물 수용 셀 1개분에 해당하는 크기의 연동편 형성용 시트와, 복용물 수용 셀 1개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커버 형성체를 재료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에서, 하나의 수용부에 들어가는 복용물의 수는 1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 수는 복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1회에 복용하는 복수의 정제를 하나의 수용부에 넣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용물 수용 셀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X선 불투과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X선 불투과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형상은 라인형태이어도 좋다. X선 불투과부는 바륨을 함유한 소재를 접착하거나 또는 그와 같은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X선 불투과부가 마련됨으로써, 잘못하여 삼켜도 복용물 수용 셀의 장소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10, 90, 310 : 스트립 포장체
12 : 소형 복용물 수용 셀
14 : 대형 복용물 수용 셀
16 : 열간(列間) 절곡부
18 : 복용물 수용 셀
20, 320 : 수용부
22, 24, 322 : 연동편
30, 330 : 출구
32 : 출구 영역
34, 334 : 단부 영역
36, 336 : 저부 영역
40 : 연결뿌리부
42 : 선단부
50 : 선단 접착부
52, 354 : 절곡부위
60, 360 : 연동편이 달린 시트
62, 362 : 커버 시트
70, 74 : 제 1 열
72, 76 : 제 2 열
80, 82 : 경계부
100 : 복용물
110 : 연동편 형성용 시트
112, 220 : 커버 형성체
120 : 로봇
130 : 흡착부
132 : 이동부
140 : 기층(基層)
142 : 접착층
150 : 약접착영역
152 : 강접착영역
160 : 연동편 부분
312 : 제 1 복용물 수용 셀
314 : 제 2 복용물 수용 셀
316 : 연결부
324 : 라벨부
332 : 접착 영역
340 : 절결부분
342 : 제한부
350 : 외연접착부
352 : 손잡이부
376 : 외연부분
380 : 일차 배리어층
382 : 실런트층
384 : 접착층
386 : 이차 배리어층
388 : 표면층
400 : 스트립 포장체 제조시스템
410 : 제 1 재료 시트 인출장치
412 : 제 1 가이드 롤러
414 : 제 2 재료 시트 인출장치
416 : 제 2 가이드 롤러
418 : 절결 형성 롤러부
420 : 정제(錠劑) 공급부
422 : 세로 접착 롤러부
424 : 가로 접착 롤러부
426 : 절취선 형성 롤러부
428 : 가열장치
430 : 절곡 가이드부
432 : 프레스 롤러부
434 : 대향부위 접착 롤러부
436 : 재단 롤러부
510 : 연동편 형성용 시트
512 : 커버 형성체

Claims (13)

  1. 복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복용물 수용 셀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복용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출구는 중첩된 시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시트가 상기 출구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복용물 수용 셀은, 상기 수용부에 더하여, 상기 출구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부를 구속하는 시트 구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속부는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에 마련되는 연동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동편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에 이어지도록 마련되는 연결뿌리부와, 상기 연결뿌리부에 이어지도록 마련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뿌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중첩된 시트가 상기 출구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속부는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에 마련되는 연동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동편은 상기 중첩된 시트의 타방에 마련되는 절결부분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복용물 수용 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중첩된 시트가 상기 출구를 막도록 서로 붙어 있으며,
      상기 중첩된 시트 중 절곡되는 부위는 상기 서로 붙어 있는 영역에서 볼 때 상기 복용물이 존재하는 측 또는 상기 서로 붙어 있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출구에 더하여, 상기 복용물의 상기 수용부 내에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복용물과 접하는 내측면의 마찰계수가 외측면의 마찰계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출구에 더하여, 윤곽이 곡선형태인 외연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
  8. 열을 구성하도록 늘어서는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을 구비하는 스트립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복용물 수용 셀은 복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복용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출구는 중첩된 시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시트가 상기 출구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포장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이 복수의 상기 열을 구성하도록 늘어서며,
    상기 스트립 포장체가, 상기 복수의 열에 더하여, 상기 열 사이에 마련되는 열간(列間) 절곡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용물 수용 셀은, 상기 수용부에 더하여,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에 마련되는 연동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동편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에 이어지도록 마련되는 연결뿌리부와, 상기 연결뿌리부에 이어지도록 마련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뿌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중첩된 시트가 상기 출구를 닫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상기 복용물 수용 셀은 상기 열간(列間) 절곡부가 절곡되면 다른 상기 열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되고, 또한 상기 다른 열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상기 복용물 수용 셀에 대해 어긋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포장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포장체는, 상기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복용물 수용 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용물 수용 셀들끼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부위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한 부위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복용물 수용 셀들끼리 대향하도록 절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포장체.
  11. 시트를 재료로 하고 있으며 복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첩된 상기 시트들 사이에 복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중첩된 시트 중 상기 복용물 주위에 해당하는 주위영역이 상기 복용물의 출구를 형성하도록 접착되는 수용접착공정과,
    상기 중첩된 시트의 소정 부위이며 상기 복용물에서 볼 때 상기 출구가 있는 방향에 있는 절곡부위가 절곡되는 절곡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트는
    연동편 형성용 시트와,
    상기 연동편 형성용 시트의 일부를 덮는 커버 형성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절곡공정은 상기 연동편 형성용 시트 중 상기 커버 형성체로 덮여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인 연동편 부분이 상기 연동편 형성용 시트 중 상기 연동편 부분 이외의 어느 한 부분과 상기 커버 형성체 중 적어도 일방에 대향하도록 상기 절곡부위가 절곡되는 공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동편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위가 상기 절곡공정에서 대향하고 있는 부위에 고정되는 대향부위 고정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공정은 상기 중첩된 시트의 타방 중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으로 덮여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인 연동편 부분이, 상기 중첩된 시트의 일방의 상기 절결을 통해 상기 중첩된 시트의 타방 중 상기 연동편 부분 이외의 어느 한 부위에 대향하도록, 상기 절곡부위가 절곡되는 공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동편 부분이 상기 중첩된 시트의 타방 중 상기 절결을 통해 대향하는 상기 부위에 고정되는 대향부위 고정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KR1020167023554A 2014-01-29 2015-01-28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KR102332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1918 WO2015114749A1 (ja) 2014-01-29 2014-01-29 服用物収容セル、ストリップ包装体、及び、服用物収容セルの製造方法
JPPCT/JP2014/051918 2014-01-29
PCT/JP2015/052400 WO2015115500A1 (ja) 2014-01-29 2015-01-28 服用物収容セル、ストリップ包装体、及び、服用物収容セ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955A true KR20160115955A (ko) 2016-10-06
KR102332778B1 KR102332778B1 (ko) 2021-11-29

Family

ID=5375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554A KR102332778B1 (ko) 2014-01-29 2015-01-28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75776B2 (ko)
EP (1) EP3103736B1 (ko)
KR (1) KR102332778B1 (ko)
CN (1) CN105934393B (ko)
DK (1) DK3103736T3 (ko)
WO (2) WO201511474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8058A (ja) * 1983-12-08 1985-08-19 ヘキス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ブリスタ−パツク
JP2002205767A (ja) 2000-12-28 2002-07-23 Dai Ichi Seiyaku Co Ltd 固形製剤包装体
JP2002542999A (ja) * 1999-04-24 2002-12-1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薬剤キャリヤ
JP2008037460A (ja) * 2006-08-07 2008-02-21 Kyukyu Yakuhin Kogyo Kk 製剤用容器及びこの製剤用容器を使用した包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6058A (de) * 1962-08-14 1966-01-15 Marcus Dr Diamant Bandförmige Verpackung zur portionsweisen Freigabe von festen, pulverförmigen oder flüssigen Produkten
US3478871A (en) * 1968-04-29 1969-11-18 Kleer Vu Ind Inc Burst package with fold seal
US3958750A (en) * 1974-11-21 1976-05-25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Transparent medicine dispenser with hospital medicine card
US4387804A (en) * 1980-07-23 1983-06-14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vertible pill cup package
US4706297A (en) * 1986-04-16 1987-11-10 Minigrip, Inc. Foldable top bag and method
JP3030422B2 (ja) * 1992-09-30 2000-04-10 アール.ピー.シェーラ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段付端部を有するブリスターパック及びその製法
US5325968A (en) * 1993-07-14 1994-07-05 Mcneil-Ppc, Inc. Package for holding tablets
USD364086S (en) * 1994-02-24 1995-11-14 Jacobson Arthur F Plastic pouch with subdivided compartments
US5715943A (en) * 1995-01-20 1998-02-10 Thompson Dental Mfg Co, Inc Reusable sterilization pouch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US5775489A (en) * 1996-11-12 1998-07-07 Vickers; Thomas M. Multi-media librarial storage system
JP2002248156A (ja) * 2001-02-23 2002-09-03 Yumiko Ogawa 連なる薬袋バック
US6845883B2 (en) * 2001-10-18 2005-01-25 Kenneth H. Pieri Toothpaste dispenser
JP2004018081A (ja) * 2002-06-20 2004-01-22 Ishikawa Kk 分離可能な多層袋
US7210580B2 (en) * 2003-10-28 2007-05-01 Future Technology (Uk) Ltd Dispensing containers
JP2007191223A (ja) * 2007-04-09 2007-08-02 Takeda Chem Ind Ltd ピール性包装体
WO2010109610A1 (ja) * 2009-03-25 2010-09-30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医薬組成物容器
US8720679B2 (en) * 2010-03-29 2014-05-13 Morimoto-Pharma Co., Ltd. Container for orally inges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13116266A (ja) * 2011-12-05 2013-06-13 Sumitomo Bakelite Co Ltd 錠剤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8058A (ja) * 1983-12-08 1985-08-19 ヘキス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ブリスタ−パツク
JP2002542999A (ja) * 1999-04-24 2002-12-1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薬剤キャリヤ
JP2002205767A (ja) 2000-12-28 2002-07-23 Dai Ichi Seiyaku Co Ltd 固形製剤包装体
JP2008037460A (ja) * 2006-08-07 2008-02-21 Kyukyu Yakuhin Kogyo Kk 製剤用容器及びこの製剤用容器を使用した包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3736A1 (en) 2016-12-14
US9775776B2 (en) 2017-10-03
WO2015115500A1 (ja) 2015-08-06
DK3103736T3 (da) 2019-12-09
CN105934393B (zh) 2018-11-30
US20160331634A1 (en) 2016-11-17
EP3103736B1 (en) 2019-10-16
CN105934393A (zh) 2016-09-07
KR102332778B1 (ko) 2021-11-29
WO2015114749A1 (ja) 2015-08-06
EP3103736A4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8980B1 (en) Packaging apparatus for medications
US8123036B2 (en) Pill assembly for pill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s
JP2013544714A (ja) 分配容器
US7690511B2 (en) Child resistant blister packaging and a method of removing the contents therefrom
JP5903437B2 (ja) シール
JP4196385B2 (ja) 取り出し用容器
US20070205127A1 (en)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film dosage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080308445A1 (en) Blister Pack
US20060023976A1 (en)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or multiple dosage forms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110215022A1 (en) Blister Card with Peelable Strip for a Child-Resistant Package
US20130015095A1 (en) Administration methods and packagings for dosage units
TWI572530B (zh) 透明袋包裝機與透明袋包裝
JP2011525165A (ja) 薬剤ディスペンサー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2009532281A (ja) パケットディスペンサー
KR20160115955A (ko) 복용물 수용 셀, 스트립 포장체 및 복용물 수용 셀의 제조방법
JP5809380B1 (ja) 服用物収容セル、ストリップ包装体、及び、服用物収容セルの製造方法
US20230037529A1 (en) Packaging systems for drug delivery devices and packaging kits
JP4961499B1 (ja) 特定日に服用する1回分の薬剤を収納するための包装体
JP6698295B2 (ja) 医薬品包装用多目的シート及び医薬品包装用ケース基材
WO2007106338A2 (en) Improved peelable pouch containing a single film dosage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018079965A (ja) 易開封包装体、易開封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