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840A -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840A
KR20160115840A KR1020160036082A KR20160036082A KR20160115840A KR 20160115840 A KR20160115840 A KR 20160115840A KR 1020160036082 A KR1020160036082 A KR 1020160036082A KR 20160036082 A KR20160036082 A KR 20160036082A KR 20160115840 A KR20160115840 A KR 2016011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orming
outlet
supply pipe
float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310B1 (ko
Inventor
요시키요 나카가와
다로 나카무라
쇼타 이시하라
요시히토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6011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840A/ko
Priority to KR102024003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4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01C7/206Se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Sow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분립체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부(41)를, 논바닥에 접지하는 플로트(16)에 구비하고, 공급 파이프(46)를 플로트(16)의 저면(16c)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 자세로 홈 형성부(41)의 상부에 접속한다.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46)로부터, 홈 형성부(41)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비료, 약제 및 종자 등의 농업용의 분립체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승용형 전식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의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전식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저류부(특허문헌 1의 도 1의 부호 13),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특허문헌 1의 도 1의 부호 14)를 구비하고 있고, 홈 형성부(특허문헌 1의 도 1, 도 5, 도 6의 부호 25)를 플로트(특허문헌 1의 도 1, 도 5, 도 6의 부호 38)에 구비하고, 조출부와 홈 형성부에 걸쳐서, 공급 파이프(특허문헌 1의 도 1, 도 5, 도 6의 부호 24)를 접속한 것이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가 논바닥에 접지한 상태에서 기체가 진행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홈이 형성되는 것이고,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를 통해 홈 형성부에 도달하고,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3467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측면에서 볼 때, 공급 파이프가 조출부로부터 경사 후방 하방의 경사 자세로 홈 형성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내면(저면)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태가 되고,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부로 방출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수의 입자의 분립체가 조출부로부터 괴상으로 조출되어도, 분립체와 공급 파이프의 내면(저면)의 접촉에 의해, 괴상의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되기 쉽고, 분산된 상태의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오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분산되어,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되지 않는 분립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분립체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
(구성)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를 구비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부를, 논바닥에 접지하는 플로트에 구비하고,
공급 파이프를 상기 플로트의 저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 자세로 상기 홈 형성부의 상부에 접속하고,
상기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분립체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상기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공급 파이프가 플로트의 저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 자세로 홈 형성부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공급 파이프는 대략 연직 자세로 되어 있다(논바닥에 접지하는 플로트의 저면이 대략 수평인 것에 의함).
이에 의해, 다수의 입자의 분립체가 조출부로부터 괴상으로 조출되었을 경우에,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내면에 그다지 접촉하지 않고, 공급 파이프의 내면과 평행하게 낙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내면(저면)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상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분산되는 일이 없어지고,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되지 않는 분립체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립체를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II]
(구성)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조출부와 상기 공급 파이프의 상부에 걸쳐서 공급로를 접속하고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전 작업기.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예를 들어, 다른 장치 등과의 배치의 관계로부터, 홈 형성부의 연직 상방으로 조출부를 배치할 수 없어, 홈 형성부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 조출부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조출부와 공급 파이프의 상부에 걸쳐서 공급로를 접속함으로써, 홈 형성부 및 공급 파이프와 조출부의 위치의 어긋남을 공급로에 의해 보충할 수 있는 것이고,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분립체가 공급로로부터 공급 파이프에 무리없이 공급된다.
[III]
(구성)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가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직관이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조출부의 출구 부분은 비교적 큰 것인 것에 비해, 공급 파이프의 출구는 비교적 작은 것이므로, 조출부와 공급 파이프 사이에, 단면적을 좁혀서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맞추는 깔때기부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깔때기부를 공급 파이프에 구비하면, 분립체가 깔때기부의 경사진 내면에 충돌하여 분립체가 낙하 방향을 바꾸는 상태가 되고, 깔때기부 하측의 공급 파이프의 부분에 있어서도,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내면에 충돌하여 낙하 방향을 바꾸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고,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산란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공급 파이프가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직관이므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내면에 충돌하여 낙하 방향을 바꾼다는 상태는 적어지는 것이고, 이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를 층류에 가까운 상태로 낙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산란되는 경우는 적고, 분립체를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IV]
(구성)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3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립체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의 면적이, 상기 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서의 상기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공급 파이프의 출구는 논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논바닥의 물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부착되고,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하여 막힘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의 면적이,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 대해,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이 평행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를 통과할 때에 있어서,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모든 부분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어느 부분의 부근을 통과하고, 다음에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다른 부분의 부근을 통과한다는 상태를 얻을 수 있고,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있어서 분립체의 막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V]
(구성)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제4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가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항 [IV]에 기재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의 면적이,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는 구성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가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으로부터 공급 파이프의 출구를 향해 물이 날아들어도,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의해 물이 막혀져,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물이 들어오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고,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있어서 분립체의 막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VI]
(구성)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본 발명의 제4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가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항 [IV]에 기재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의 면적이,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는 구성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가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으로부터 공급 파이프의 출구를 향해 물이 날아들어도,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하측에 연장된 부분)에 의해 물이 막혀져,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물이 들어오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고, 공급 파이프의 출구에 있어서 분립체의 막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VII]
(구성)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특징의 수전 작업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돌입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체와, 상기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와, 상기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우측 및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상기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우측 및 좌측 벽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홈 형성부는 논바닥에 돌입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체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많고, 공급 파이프가 홈 형성부에 접속되었을 경우, 공급 파이프의 출구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약제 등과 같이 미세한 분립체를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하는 경우,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에 접촉하면, 논바닥의 물에 의해 분립체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하여 막힘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의하면, 홈 형성체, 우측 및 좌측 벽부를 구비한 홈 형성부에 있어서,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하단부를 논바닥보다도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적어지고, 논바닥의 물이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내면에 도달하기 어려워지므로, 분립체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내면에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하여 막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플로트의 부근 평면도.
도 6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중앙의 플로트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VIII-VIII 방향에서 본 종단 측면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 IX-IX 방향에서 본 종단 측면도.
도 10은 제1 홈 형성부에 있어서의 홈 형성기, 복토 부재, 공급 파이프 및 지지 부재 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홈 형성부의 홈 형성기, 접속부 및 공급 파이프 부근의 종단 측면도.
도 12는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홈 형성부의 홈 형성기, 접속부 및 공급 파이프 부근의 종단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이다.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 및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3)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있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가 지지되고,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6조 형식의 승용형 직파기가 구성되어 있다.
[2]
다음에,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8)이 구비되고, 판재로 구성된 상자 형상의 프레임부(17)가 횡프레임(8)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부(17)에 보스부(9)가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8)의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0)이 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프레임부(17) 및 횡프레임(10)에 상하 방향의 종프레임(11)이 연결되어 있고, 종프레임(11)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2)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의 중앙부,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3)이 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횡프레임(13)에 상하 방향의 종프레임(14)이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10)에 브래킷(18)이 연결되어 있고, 종프레임(14) 및 브래킷(18)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5)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전방부에 브래킷(13b)이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b)에 평판 형상의 벽부재(19)가 연결되어 있다. 후륜(2)의 후방측에 벽부재(19)가 위치하고 있고,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산된 진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에 적재되지 않도록,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날려진 진흙이 벽부재(19)에 의해 막힌다.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에 있어서, 횡프레임(13) 사이의 부분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20)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레이크 형상의 정지 부재(21)가 횡프레임(20)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지 부재(21)가 플로트(16)(후술하는 [6] 참조)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논바닥에 있어서 플로트(16) 사이의 부분이 정지 부재(21)에 의해 정지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3)의 후방부의 하부에, 프레임부(17)의 상부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횡프레임(12)의 우측 및 좌측부에 브래킷(12a)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의 상부와 횡프레임(12)의 브래킷(12a)에 걸쳐서 스프링(22)이 접속되어 있고, 스프링(22)에 의해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기체와 병행한 자세로 가압되어 있다.
[3]
다음에, 파종 장치(5)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3)가 횡프레임(15)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조출부(23)의 하부에 안내 부재(24)가 연결되어 있고, 안내 부재(24)는 후방측이 개방된 단면 コ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 코팅 처리된 종자를 저류하는 호퍼(25)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3)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5)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5)의 종자가 조출부(23)에 의해 소정량씩 조출되고, 종자가 안내 부재(24)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안내 부재(24)의 내부를 통해 낙하하여, 논바닥(표면)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파종 장치(5)는 조출부(23), 안내 부재(24) 및 호퍼(2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출부(23)의 바로 아래의 논바닥(표면)에, 복수 입자의 종자를 하나의 괴상으로 공급(점파)하는 표면 뿌리기 형식(점파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다음에, 시비 장치(6)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6)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6)(조출부에 상당)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호퍼(27)(저류부에 상당)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6)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7)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구절판(28) 및 복토 부재(31)가 연결되고, 구절판(28)에 홈 형성기(29)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26)와 홈 형성기(29)에 걸쳐서 호스(30)(공급로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7)의 비료가 조출부(26)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0)로부터 홈 형성기(29)에 공급되고,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공급되는 것이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복토 부재(31)에 의해 진흙이 횡측의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의한 홈에 향해 압출되고, 비료가 공급된 홈이 매립된다.
이상과 같이, 시비 장치(6)는 조출부(26), 호퍼(27), 구절판(28), 홈 형성기(29), 호스(30) 및 복토 부재(3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종자가 공급되는 위치의 횡측 옆 위치의 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논바닥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비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종자의 횡측 옆 논바닥의 하방의 위치에 비료가 위치하는 상태).
[5]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공급 장치(7)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32)(조출부에 상당)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약제(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호퍼(33)(저류부에 상당)가 3개 구비되어 있고, 2개의 조출부(32)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33)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구절판(34)(홈 형성체에 상당) 및 복토 부재(37)가 연결되고, 구절판(34)에 홈 형성기(35)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32)와 홈 형성기(35)에 걸쳐서 호스(36)(공급로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33)의 약제가 조출부(32)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6)로부터 홈 형성기(35)에 공급되고,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약제가 공급되는 것이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복토 부재(37)에 의해 진흙이 횡측의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의한 홈을 향해 압출되고, 약제가 공급된 홈이 매립된다.
이상과 같이, 약제 공급 장치(7)는 조출부(32), 호퍼(33), 구절판(34), 홈 형성기(35), 호스(36) 및 복토 부재(3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종자가 공급되는 위치의 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논바닥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약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종자의 바로 아래에 약제가 위치하는 상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9)에 입력축(40)이 지지되고, 전동축(39)이 입력축(40)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의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전동축(39)을 통해 입력축(40)에 전달된다.
입력축(40)의 동력이 2개의 전동계에 분기하여, 한쪽의 전동계로부터 파종 장치(5)의 조출부(23)에 동력이 전달되고,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의 조출부(32)에 동력이 전달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전동계로부터 시비 장치(6)의 조출부(26)에 동력이 전달된다.
[6]
다음에, 플로트(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는 폭이 넓은 전방부(16a) 및 폭이 좁은 후방부(16b)를 구비하고 있고, 전방부(16a)의 후단부의 좌우 중앙으로부터 후방부(16b)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3)의 후방부에 브래킷(13a)이 연결되고, 플로트(16)의 후방부(16b)에 브래킷(43)이 연결되어 있고, 3개의 플로트(16)의 브래킷(43)이,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a)의 횡축 중심 P2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중앙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배수용의 홈을 논바닥에 형성하는 구절기(38)가,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후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승용형 직파기에서는 횡프레임(8)에 대한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횡프레임(8)의 논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센서(도시하지 않음), 유압 실린더(4)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높이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논바닥에 접지 추종하는 중앙의 플로트(16)에 대해,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면, 높이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 밸브가 조작되고,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이 논바닥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유압 실린더(4)가 작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의 플로트(16)는 횡프레임(8)의 논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센서로서 기능하므로,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는 비교적 큰 것으로 설정되어 있고, 수평면에 대해 약간 전방 하강의 자세가, 중앙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높이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높이에 상당하는 값이 되고, 유압 실린더(4)가 정지하는 위치]가 되어 있다.
중앙의 플로트(16)에 대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는, 높이 센서의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고, 주로 논바닥을 정지하여,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는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작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고, 수평면과 평행한 자세가 기준 자세[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의 중앙 위치]가 되어 있다.
[7]
다음에,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절판(34)은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고, 플로트(16)의 전방부(16a)의 우측 및 좌측의 후단부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볼트(44)에 의해 플로트(16)에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는 판재를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방 벽부(35a), 우측 벽부(35b)(우측 벽부에 상당) 및 좌측 벽부(35c)(좌측 벽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에 대해,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하단부(35d)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가 볼트(45)에 의해, 구절판(34)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의 횡폭은 구절판(34)의 횡폭과 대략 동일하고, 구절판(34)의 후방부의 우측부의 상부로부터 홈 형성기(35)의 우측 벽부(35b)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구절판(34)의 후방부의 좌측부의 상부로부터 홈 형성기(35)의 좌측 벽부(35c)가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가 구절판(34)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하단부(35d)가, 플로트(16)의 저면(16c)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16)가 논바닥에 접지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의 하단부(35d)가 논바닥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전방 벽부(35a), 우측 벽부(35b) 및 좌측 벽부(35c)]에 의해, 제1 홈 형성부(41)가 구성되어 있다.
[8]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조출부(32)]와 홈 형성기(35)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제이고 주름 상자 형상인 접속부(56)가 홈 형성기(3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경질 수지제의 공급 파이프(46)가 접속부(56)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파이프(46)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파이프의 직관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길이 방향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도록, 접속부(56)에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46)는 접속부(56)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나오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하부에 위치하는 약제의 출구(46a)가,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상부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가 후방 내림 형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후방부(46b)가,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전방부(46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46) 내부의 단면이 원 형상인 것에 비해,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가 후방 내림 형상의 타원 형상(긴 구멍 형상)이 된다[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후방 내림 형상의 비스듬한 면)의 면적이, 플로트의 저면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어 있는 상태에 상당].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의 대략 바로 위에 조출부(32)가 위치하고 있고, 조출부(32)의 하부에 깔때기부(47)가 설치되고, 깔때기부(47)와 공급 파이프(46)의 상부에 걸쳐서 호스(36)가 접속되어 있다.
호스(36)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호스의 직관으로 구성되고, 호스(36)의 내경과 공급 파이프(46)의 내경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깔때기부(47)와 공급 파이프(46)의 상부에 걸쳐서, 호스(36)가 대략 연직 형상(직선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9]
다음에, 복토 부재(37)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평판 형상의 지지 부재(48)가, 플로트(16)의 상면에 볼트(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우측 및 좌측의 단부에 연결 구멍(48b)이 개구되어 있고, 연결 구멍(48b)의 위치에 너트(48c)가 구비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브래킷(50)이 구성되어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에 연결용 긴 구멍(50c)이 개구되어, 횡벽부(50b)에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 및 너트(50d)가 구비되어 있다.
볼트(51)가 브래킷(50)의 긴 구멍(50c) 및 지지 부재(48)의 연결 구멍(48b)에 삽입되고, 지지 부재(48)의 너트(48c)에 체결되어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48a)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 및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전후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의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로부터 하방[플로트(16)의 저면(16c)]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 및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에 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토 부재(37)가 구성되고, 복토 부재(37)에 전후의 연결 구멍(37a, 37b)이 개구되어 있다. 복토 부재(37)를 브래킷(50)의 횡벽부(50b)의 하면에 덧대고, 볼트(52)를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a, 37b)에 삽입하여 브래킷(50)의 너트(50d)에 체결함으로써, 복토 부재(37)가 브래킷(5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복토 부재(37)의 기초부]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복토 부재(37)가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복토 부재(37)의 기초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48a)에 대한 브래킷(50)의 연결 위치를, 브래킷(50)의 긴 구멍(50c)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복토 부재(37)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할 수 있다[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진 깊이를 변경할 수 있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 및 후술하는 [12]에 기재된 복토 부재(31)가, 횡축 중심 P2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플로트(16)가 전방 하강이 될수록 복토 부재(37, 31)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얕아진다.
전항 [6]에 기재와 같이, 중앙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가 수평면에 대해 약간 전방 하강의 자세로 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가 수평면과 평행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복토 부재(37)에 비해, 중앙의 플로트(16)의 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브래킷(50)의 연결 위치에 대해, 중앙의 플로트(16)의 브래킷(50)의 연결 위치를 낮게[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깊어지는 측] 설정하면 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b)이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a)을 지지점으로 하고, 브래킷(50)의 횡벽부(50b)에 대한 복토 부재(37)의 연결 위치를,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b)을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 방향에 대한 복토 부재(37)의 경사 자세를 플로트(16)의 저면(16c)을 따라 변경할 수 있다.
[10]
다음에,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절판(28)은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절판(28)은 플로트(16)의 전방부(16a)의 우측 및 좌측의 후단부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볼트(49)에 의해 지지 부재(48)(전항 [9] 참조)와 함께 플로트(16)에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는 판재를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방 벽부(29a), 우측 벽부(29b) 및 좌측 벽부(29c)를 구비하고 있고, 홈 형성기(29)의 전방 벽부(29a)가 볼트(53)에 의해, 구절판(28)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의 전방 벽부(29a)의 횡폭은 구절판(28)의 횡폭과 대략 동일하고, 구절판(28)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홈 형성기(29)의 우측 벽부(29b)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구절판(28)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홈 형성기(29)의 좌측 벽부(29c)가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가 구절판(28)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하단부(29d)가, 플로트(16)의 저면(16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구절판(28)의 후방부 하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16)가 논바닥에 접지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하단부(29d)가 논바닥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전방 벽부(29a), 우측 벽부(29b) 및 좌측 벽부(29c)]에 의해, 제2 홈 형성부(42)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에서 복토 부재(37)에 대해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절판(28)[제2 홈 형성부(42)]의 전방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제1 홈 형성부(4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되어 있다.
[11]
다음에, 시비 장치(6)[조출부(26)]와 홈 형성기(29)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제의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4)는 홈 형성기(29)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름 상자부(54a), 공급 파이프(54b) 및 접속 파이프(54c)를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 및 접속 파이프(54c)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파이프의 직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의 길이 방향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의 하부에 위치하는 비료의 출구(54d)가,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상부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가, 전방을 향하는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의 상방의 전방측에 조출부(26)가 위치하고, 조출부(26)의 출구(26a)가 후방을 향하는 경사 하방을 향하고 있고, 조출부(36)의 출구(26a)와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에 걸쳐서, 호스(30)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30)는 조출부(36)의 출구(26a)로부터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를 향해 점차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약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호스(30)의 중간부가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는 상태(연직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있다.
[12]
다음에, 복토 부재(3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으로 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토 부재(31)가 구성되어 있고, 복토 부재(31)에 전후의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개구되어 있다. 플로트(16)의 후방부(16b)의 우측 및 좌측부에, 평판 형상의 플랜지부(16d)가 성형되어 있다. 복토 부재(31)가 플로트(16)의 플랜지부(16d)의 하면에 덧대어지고, 볼트(55)에 의해 복토 부재(31)가 플로트(16)의 플랜지부(16d)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1)[복토 부재(31)의 기초부]가,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 복토 부재(31)가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토 부재(31, 37)가 서로 따르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토 부재(31)[복토 부재(31)의 기초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와 중복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를 전방 하강 형상으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전방부(46c)가,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후방부(46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46) 내부의 단면이 원 형상인 것에 비해,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가 전방 하강 형상의 타원 형상(긴 구멍 형상)이 된다[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전방 하강 형상의 비스듬한 면)의 면적이, 플로트의 저면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어 있는 상태에 상당].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46) 출구(46a)를 측면에서 볼 때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공급 파이프(46) 출구(46a)의 외주부의 전방부(46c) 및 후방부(46b)가,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중앙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기재된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나 홈 형성기(35)의 구성을,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의 출구(54d)나 홈 형성기(29)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승용형 직파기뿐만 아니라, 비료, 약제 및 종자 등의 농업용의 분립체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승용형 전식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6 : 플로트
16c : 플로트의 저면
26, 32 : 조출부
27, 32 : 저류부
30, 36 : 공급로
34 : 홈 형성체
35b : 우측 벽부
35c : 좌측 벽부
41, 42 : 홈 형성부
46, 54b : 공급 파이프
46a : 공급 파이프의 출구
46b :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
46c : 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

Claims (7)

  1.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를 구비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부를, 논바닥에 접지하는 플로트에 구비하고,
    공급 파이프를 상기 플로트의 저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 자세로 상기 홈 형성부의 상부에 접속하고,
    상기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분립체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상기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와 상기 공급 파이프의 상부에 걸쳐서 공급로를 접속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가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직관인, 수전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립체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의 면적이, 상기 플로트의 저부와 평행한 면에서의 상기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가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전방부가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후방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구의 외주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돌입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체와, 상기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와, 상기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우측 및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상기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우측 및 좌측 벽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KR1020160036082A 2015-03-26 2016-03-25 수전 작업기 KR10264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2063A KR20240035976A (ko) 2015-03-26 2024-03-06 수전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4656 2015-03-26
JP2015064656A JP6526996B2 (ja) 2015-03-26 2015-03-26 水田作業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2063A Division KR20240035976A (ko) 2015-03-26 2024-03-06 수전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840A true KR20160115840A (ko) 2016-10-06
KR102646310B1 KR102646310B1 (ko) 2024-03-13

Family

ID=571645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082A KR102646310B1 (ko) 2015-03-26 2016-03-25 수전 작업기
KR1020240032063A KR20240035976A (ko) 2015-03-26 2024-03-06 수전 작업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2063A KR20240035976A (ko) 2015-03-26 2024-03-06 수전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26996B2 (ko)
KR (2) KR102646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903A (en) * 1981-02-28 1982-09-07 Iseki Agricult Mach Fertilizing device of rice transplanter
JPH0531514U (ja) * 1991-09-27 1993-04-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側条施肥機付直播機の繰出量調節装置
JP2003310007A (ja) * 2002-04-30 2003-11-05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JP2011234674A (ja) 2010-05-11 2011-11-24 Kubota Corp 水田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853Y2 (ko) * 1975-02-04 1979-10-18
JPS60164813U (ja) * 1984-04-12 1985-11-0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側条施肥部における作溝体構造
GB2209451B (en) * 1987-09-10 1991-08-14 Specialised Harvesting Service Planting apparatus
JP2501095B2 (ja) * 1994-05-09 1996-05-29 株式会社クボタ 施肥装置および薬剤散布装置付き田植機
JP3738514B2 (ja) * 1997-01-29 2006-01-25 井関農機株式会社 水稲用の施肥播種装置
JP5763482B2 (ja) * 2011-09-07 2015-08-12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903A (en) * 1981-02-28 1982-09-07 Iseki Agricult Mach Fertilizing device of rice transplanter
JPH0531514U (ja) * 1991-09-27 1993-04-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側条施肥機付直播機の繰出量調節装置
JP2003310007A (ja) * 2002-04-30 2003-11-05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JP2011234674A (ja) 2010-05-11 2011-11-24 Kubota Corp 水田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310B1 (ko) 2024-03-13
JP6526996B2 (ja) 2019-06-05
JP2016182082A (ja) 2016-10-20
KR20240035976A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730B2 (en) Seed inductor box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a fluidization chamber
KR20140094449A (ko) 수전 작업기
KR20150057958A (ko) 승용 수전 작업기
CN106612782A (zh) 种沟液体喷洒式种子防弹跳装置
CN216650418U (zh) 长效土壤改良巨耘型智能农田物料深施机
KR20160115840A (ko) 수전 작업기
JP6238794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6579770B2 (ja) 水田作業機
KR102673714B1 (ko) 수전 작업기
JP2019154443A (ja) 水田作業機
JP7241824B2 (ja) 水田作業機
JP6440610B2 (ja) 水田作業装置
JP2019154443A5 (ko)
KR20170077036A (ko) 승용형 직파기
JP5831573B2 (ja) 作業機
JP3997321B2 (ja) 搬送導管
AU2020273283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fertiliser into subsoil
JP2016158609A (ja) 水田作業機
KR20170072120A (ko) 수전 작업 장치
JP6510266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5600879B2 (ja) 播種機
AU20052020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eding
JPH0214329Y2 (ko)
JP2011083245A (ja) 水田作業機
JP2022098185A (ja) 水田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