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927A -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927A
KR20160114927A KR1020150041423A KR20150041423A KR20160114927A KR 20160114927 A KR20160114927 A KR 20160114927A KR 1020150041423 A KR1020150041423 A KR 1020150041423A KR 20150041423 A KR20150041423 A KR 20150041423A KR 20160114927 A KR20160114927 A KR 2016011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ublic transportation
cell
gps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776B1 (ko
Inventor
손병진
민승홍
양장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4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393Trajectory determination or predictive tracking, e.g. Kalman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은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ALKING NAVIGATION}
본 발명은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로를 포함할 때 GPS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대한민국 대다수 국민이 이동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단말은 그 기능이 다양화 되고 점점 더 개인과 밀접한 정보통신 기기가 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출시는 그 양상을 가속화 하였으며 스케줄 관리, 연락처 관리 등은 기본 기능이 되었다.
나아가, 스마트폰 기술 및 LBS 기술의 발전으로 내비게이션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기존 차량용 내비게이션 외에 도보 및 대중교통 정보를 합친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도 점차 서비스 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충전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존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달리, 도보용 내비게이션은 충전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용자들은 배터리 소모에 굉장히 민감하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를 많이 소비하는 GPS 측위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대신 이용자의 TPO(Time-Place-Occasion) 에 맞으면서 GPS에 비해 배터리 소모도 적은 위치 측위 기술을 사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에 최적화된 위치 측위 및 경로 안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은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리고, 우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2 횟수의 진동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단말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리고, 우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2 횟수의 진동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의 GPS 29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은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버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단말이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및 단말이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보 내비게이션에 최적화된 측위 및 경로 안내를 제공하고, 도보 내비게이션 제공 시 GPS 사용을 줄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GPS 측위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구체적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단순히 장치(Device)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가입자 단말(SS: Subscriber Station), 이동가입자 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단말(Terminal) 또는 장치(Device)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하에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외에 도보 및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로안내를 제공해 주는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기존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달리 좁은 골목길이나 육교, 계단, 지하보도 등 상세 도로망 정보가 모두 담긴 정밀한 지도를 구축해 보행자용 상세 도로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홍대, 강남 등 핵심 권의 맛집 등과 추천 메뉴를 안내하고 상세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먼저, 차량 내비게이션과 마찬가지로 화면을 계속 보고 있어야 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이다. 다음으로, 지도 및 간단한 텍스트로 경로를 안내해 주는 길 찾기 및 지도 서비스가 있다. 상기 2개의 서비스 모두 도보 및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로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를 충전하며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달리, 도보 내비게이션은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가 배터리 소모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이하에서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에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의 첫 번째 방법은, GPS 측위 방법이다.
GPS 측위 방법은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며 오차율은 15m 내외이다.
도 1은 GPS 측위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로부터 GPS 위성 A까지의 거리 A, 단말로부터 GPS 위성 B까지의 거리, 단말로부터 GPS 위성 C까지의 거리 C를 기초로 3개 구의 교점에서 측위 할 수 있다.
다만, GPS 측위 방법은 GPS의 위성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곳이나 신호의 감쇠가 큰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위치 정보 획득의 두 번째 방법은 무선랜의 신호세기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기존의 무선인터넷 인프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무선랜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고, 위치정보 데이터를 별도로 구축하여야 한다.
위치 정보 획득의 세 번째 방법은 이동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방법은 생활의 거의 모든 곳을 커버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정확도 면에서 비교적 부정확할 수 있다.
E-CID(Enhanced Cell ID) 측위
CID (Cell ID)측위 방법은 휴대폰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CID 측위 방법은 별도의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변경이 필요 없는 가장 단순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이다. 다만, CID 측위 방법은 셀 반경의 크기에 따라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큰 편차를 보인다.
E-CID(Enhanced Cell ID) 측위 방법은 CID 측위 방법을 개선한 것이다.
E-CID 측위 방법은 CID 측위 방식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 정보 추가하여 정확도를 개선한 것이다.
단말기의 위치는 셀 반경에 위치하고, 이 반경을 추정하기 위해 왕복 시간(RTT)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RTT는 기지국이 단말기로 응답을 요청한 시각과 기지국이 단말기의 응답을 수신한 시각의 차이에서 단말기에서 응답 처리 시간을 제외한 값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대중교통 이용이 포함된 경로 안내 시, GPS 사용을 최소로 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를 많이 소비하는 GPS 측위를 최소한으로 하고, GPS에 비해 배터리 소모가 적은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도보 내비게이션에 최적화된 위치 측위 및 경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1 실시예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따른 위치 판단을 단말이 수행하는 것이며, 후술할 제2 실시예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따른 위치 판단을 내비게이션 서버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은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전체 경로는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승차 위치까지의 제1 구간, 대중 교통 승차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하차 위치까지의 제2 구간, 대중 교통 하차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제3 구간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제1 구간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단말은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제1 구간은 단말이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승차 위치까지의 구간이므로 기존과 같이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대중 교통 승차 위치로 이동하면, 제2 구간에서 E-CID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충전하며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달리, 도보 내비게이션은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가 배터리 소모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대중 교통 노선 정보를 기반으로 E-CID 측위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대중 교통 하차 위치로 이동하면, 제3 구간에서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제3 구간은 단말이 대중교통에서 하차한 경우이므로,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같이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각 구간에 따른 이동 경로 제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구체적 일례를 도시한다.
먼저, Cell_ID와 관련하여,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은 기지국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Cell_ID를 Cell_ID DB(data base)를 포함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기지국이 만들어질 때부터 각 기지국의 Cell_ID를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즉,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각 기지국들의 Cell_ID를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가 각 기지국의 Cell_ID를 수집하는 방법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례로 내비게이션 서버를 들 수 있다.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 와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매핑한다. 즉,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각 기지국의 Cell_ID와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를 수신하면 Cell_ID에 매핑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의 이용자가 단말의 도보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경로 검색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단말의 이용자가 서울역 근처에서 출발하여 사당역 근처의 A 빌딩을 목적으로 하는 경로를 검색했다고 가정한다.
도보 내비게이션은 지하철 서울역에서 지하철 사당역을 경유하여 도보로 A 빌딩으로 경로를 안내한다.
즉, 검색된 전체 경로는 최초 단말의 이용자의 위치로부터 지하철 서울역까지의 제1 구간, 지하철 서울역으로부터 지하철 사당역까지의 제2 구간, 사당역으로부터 A 빌딩까지의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안내된 경로가 지하철을 이용하므로, 단말은 대중 교통 승하차 위치에 해당되는 Cell_ID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다. 즉, 단말은 서울역과 사당역의 Cell_ID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최초 제1 구간에서는 GPS 위치 측위로 파악한 이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경로를 안내한다. 단말이 GPS 측위로 경로 안내를 진행하다가, ‘서울역’의 Cell_ID가 확인되면 단말은 이용자가 서울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대중교통 승차 위치로 판단한 이후의 제2 구간에서, 단말은 GPS측위에서 E-CID 측위로 자동 전환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즉, 단말은 전체 경로를 통해 이용자가 어디로 이동할 것인지 미리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된 경로가 지하철을 이용해야 한다면 단말은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서울역’의 Cell_ID를 미리 전달받고, GPS 측위로 경로 안내를 진행하다가 ‘서울역’의 Cell_ID가 확인되면 이용자가 서울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은 서울역에 진입한 시점부터 GPS측위에서 E-CID 측위로 자동 전환하여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제2 경로에서, 단말이 다음에 어느 정거장으로 이동할지는 지하철의 노선 정보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로에서는 GPS 측위에 비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 등에 장점을 가지는 E-CID 측위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대중 교통으로서 지하철을 예로 들었지만, 다음 정거장을 예측할 수 있는 버스 등의 다른 대중교통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제2 경로에서는 E-CID 측위를 통해 측정한 이용자의 위치를 지하철 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 역에 도착하여,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측위 방식을 E-CID 에서 GPS로 다시 전환한다.
즉, 단말은 제1 경로에서 제2 경로로 변경될 때, 단말이 GPS 측위로 경로 안내를 진행하다가 ‘서울역’의 Cell_ID가 확인되면 이용자가 서울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시점부터 측위 방식을 GPS에서 E-CID로 전환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경로에서 제3 경로로 변경될 때 단말이 E-CID 측위로 경로 안내를 진행하다가,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미리 전달받았었던 ‘사당역’의 Cell_ID가 확인되면 이용자가 사당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하차한 역으로부터 최종 목적지(도 3의 예에서, A 빌딩) 까지는 다시 GPS 측위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한다.
여기서, 최초 안내 받은 경로와 다르게 단말이 움직이는 예외 상황이 발생하면 GPS 위치측위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외 상황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이용자가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경로 확인을 위해 도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현재 위치와 최초 지하철 승차 역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단순 경로 확인이라 판단하여 GPS 측위방식을 유지한다.
두 번째로, 안내 받은 경로대로 이동하지 않고 중간에 하차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지하철 이동 경로에 맞게 Cell_ID를 지속 확인하는 것으로 하차여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을 탑승하고 있다면 약 2~5분 사이에 다음 정거장의 Cell_ID가 확인되어야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Cell_ID가 일정시간 이상 측정된 이후, 다음 Cell_ID가 일정시간 이상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 구축된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식을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검색한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Cell_ID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Cell_ID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승차위치를 단말이 확인할 경우 자동으로 E-CID 측위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대중교통 노선 정보를 Cell_ID와 함께 활용하여 이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대중교통에서 하차 하면 다시 GPS로 자동 전환되어 최종 목적지까지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제2 구간에서는GPS 측위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GPS 이용을 최소한으로 줄여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시 배터리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대중교통 이용이 포함된 경로 안내 시, GPS 사용을 최소로 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대한 것이며,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따른 위치 판단을 내비게이션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단말이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주체적으로 수행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 단말은 내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주 목적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내비게이션 서버가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체 경로는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승차 위치까지의 제1 구간, 대중 교통 승차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하차 위치까지의 제2 구간, 대중 교통 하차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제3 구간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제1 구간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내비게이션 서버는 단말로부터 GPS 측위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제1 구간은 단말이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 승차 위치까지의 구간이므로 기존과 같이 단말의 GPS 측위를 이용한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제2 구간에서는 E-CID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즉, 제3 구간은 단말이 대중교통에서 하차한 경우이므로,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같이 GPS 측위를 이용한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각 구간에 따른 이동 경로 제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단말의 이용자가 단말의 도보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경로 검색을 수행하면, 단말은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단말의 이용자가 서울역 근처에서 출발하여 사당역 근처의 A 빌딩을 목적으로 하는 경로를 검색했다고 가정한다.
단말이 서울역 근처의 출발 위치와 사당역 근처의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면, 내비게이션 서버는 지하철 서울역에서 지하철 사당역까지의 대중 교통을 포함하는 전체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즉, 검색된 전체 경로는 최초 단말의 이용자의 위치로부터 지하철 서울역까지의 제1 구간, 지하철 서울역으로부터 지하철 사당역까지의 제2 구간, 사당역으로부터 A 빌딩까지의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최초 제1 구간에서는 GPS 위치 측위로 파악한 이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경로를 안내한다. 즉, 단말은 GPS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내비게이션 서버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구간에서 경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다.
단말이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GPS를 이용한 측위에서 Cell_ID를 이용한 측위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단말이 접속한 셀의 Cell_ID가 서울역에 대응하면 단말이 서울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이동 경로가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GPS 측위에 비하여 정확도가 낮은 E-CID 방법을 이용하여도 비교적 정확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 단말이 다음에 어느 정거장으로 이동할지는 지하철의 노선 정보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로에서는 GPS 측위에 비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 등에 장점을 가지는 E-CID 측위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접속한 Cell_ID는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단말이 접속한 Cell_ID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예에서 대중 교통으로서 지하철을 예로 들었지만, 다음 정거장을 예측할 수 있는 버스 등의 다른 대중교통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제2 경로에서, E-CID 측위를 통해 측정한 단말의 위치를 대중 교통의 정거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제2 경로에서는 E-CID 측위를 통해 측정한 이용자의 위치를 지하철 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 역에 도착하여,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측위 방식을 E-CID 에서 GPS로 다시 전환한다.
여기서, 최초 안내 받은 경로와 다르게 단말이 움직이는 예외 상황이 발생하면 GPS 위치측위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외 상황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이용자가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경로 확인을 위해 도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현재 위치와 최초 지하철 승차 역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단순 경로 확인이라 판단하여 GPS 측위방식을 유지한다.
두 번째로, 안내 받은 경로대로 이동하지 않고 중간에 하차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지하철 이동 경로에 맞게 Cell_ID를 지속 확인하는 것으로 하차여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을 탑승하고 있다면 약 2~5분 사이에 다음 정거장의 Cell_ID가 확인되어야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Cell_ID가 일정시간 이상 측정된 이후, 다음 Cell_ID가 일정시간 이상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차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더하여 경유지 기반으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최초 경로 안내 시에 적절한 경유지를 알려줌으로써 이용자가 경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보 내비게이션은 대략적 경로를 확인한 후 단말의 화면을 끄는 이용자의 습관 및 대중 교통 이용시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화면이 꺼져도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란 단말 디스플레이 표시가 배터리 절약을위해 꺼져 있는 상태 및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한 단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이외 다른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브라우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이 단말 디스플레이를 우선 점유하여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말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중간 경유지에 도착 시 음성 및 진동 알림을 통해 이용자가 경유지에 도착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경로안내를 하다가, 최종 경유지에 도착하면 팝업으로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경로안내를 선택하면 최종 경유지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크게 확대된 지도가 노출되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화면 사용 및 알림으로 배터리 절약 및 보행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경유지 알림을 제공할 때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진동을 통하여 경유지에서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꺾어야 하는 지점에서 사전에 약속된 진동 패턴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별도로 화면을 보지 않아도 이동 경로를 인지하고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유지에서 화면이 꺼져있더라도, 진동이 2번 울리면 좌회전, 진동이 3번 울리면 우회전으로 약속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음성을 통하여 경유지에서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을 끼고 있을 경우 꺾어야 하는 지점에서 노래 소리가 작아지고 ‘좌회전입니다’ 등의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 진동, 소리 등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단말의 대중교통 탑승 여부 판단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GPS 또는 단말에 내재되어 있는 각종 센서에 측정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이 이동 중에 대중교통에 탑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위하여 단말에 여러 종류의 센서가 탑재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서, 가속계(Accelerometers)를 들 수 있다. 가속계는 스마트폰에 작용하는 중력 감지 및 가속도 감지를 수행하여 물체의 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Light Sensor)를 들 수 있다.
세 번째 예로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들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물리적 접촉 전 물체가 가까이 접근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네 번째 예로서, 주위 기온 및 공기중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계를 들 수 있다.
다섯 번째 예로서, 중력을 측정할 수 있는 중력센서를 들 수 있다. 중력 센서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위아래를 감지할 수 있다.
여섯 번째 예로서, 지자기센서를 들 수 있으며, 동서남북 방위 측정할 수 있다.
일곱 번째 예로서, 자이로센서(gyroscope)를 들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회전 또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단말이 대중교통에 승차 또는 하차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 대중교통에 탑승 여부에 따라 GPS 측위 방법에서 E-CID 측위 방법으로 전환하는데, 단말의 이용자가 대중교통에 탑승했는지의 여부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먼저, GPS를 이용한 속도 측정을 이용할 수 있다.
대중교통 탑승하기 전 이용자 이동속도는 ‘걷거나 뛰는’ 정도의 속도이다.
만약, GPS로 측위되는 속도가 ‘사람이 낼 수 없는 속도’ 내지 '교통수단의 평균적인 이동속도’이면 대중교통에 탑승했다고 판단한다.
이동속도 측정뿐 아니라, 단말 내 센서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큰 움직임이 없을 경우 대중교통에 탑승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 중에는 단말이 정해진 ‘노선’에 맞추어 이동할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GPS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도, Cell 측위와 대중교통의 노선 정보를 이용해 이용자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동안에는 Cell 측위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대중교통에서 단말의 이용자가 하차한 후에는 GPS 측위로 자동 전환한다.
단말의 이용자가 대중교통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마찬가지로 단말의 이용자가 대중교통에서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의 이동속도가 ‘보행속도’ 수준으로 바뀌면 GPS 측위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단말의 이용자가 대중교통에서 하차 후, 최종 목적지까지는 GPS 측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5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500)은 전송 모듈(501), 수신 모듈(503), 메모리(505) 및 프로세서(5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501)은 외부 장치 또는 단말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모듈(503)은 외부 장치 또는 단말로부터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7)는 단말(5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7)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 (6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 (600)은 전송 모듈(601), 수신 모듈(603), 메모리(605) 및 프로세서(6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601)은 외부 장치 또는 단말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모듈(603)은 외부 장치 또는 단말로부터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07)는 단말(6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07)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500: 단말
501: 전송 모듈
503: 수신 모듈
505: 메모리
507: 프로세서
600: 내비게이션 서버
601: 전송 모듈
603: 수신 모듈
605: 메모리
607: 프로세서

Claims (39)

  1.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data base)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리고, 우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2 횟수의 진동을 알리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13.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단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단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단말.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단말.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는 포함하는, 단말.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하는,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하는,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리고, 우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2 횟수의 진동을 알리는, 단말.
  25.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GPS 측위에서 E-CID (Enhanced Cell ID)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를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경로는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대중 교통 하차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를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는 Cell_ID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수집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대중 교통 승차 및 하차에 위치한 기지국의 Cell_ID를 상기 Cell_ID DB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GPS 29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한 값이 보행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E-CID(Enhanced Cell ID) 측위로 제1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검색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제2 정거장의 셀 아이디가 확인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하차 판단은 상기 단말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도보 기준 속도 이하이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경로는 상기 단말이 탑승한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3.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된 단말의 위치가 상기 대중 교통 하차 위치에 해당하는 셀 아이디로 확인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 하차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ID 측위에서 상기 GPS 측위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경유지 알림을 수행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의 진동을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알림은 상기 단말이 경유지점에서 좌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1 횟수의 진동을 알리고, 우회전이 예정된 경우 제2 횟수의 진동을 알리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7. 내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38.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버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상기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내비게이션 서버.
  39. 내비게이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의 전체 경로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출발 위치로부터 대중 교통의 승차 위치 사이의 구간인 경우,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 경로를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단말이 대중 교통의 승차로 판단되면, 단말이 접속한 셀 식별자(Cell_ID)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이동 경로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및
    단말이 대중 교통의 하차로 판단되면, 단말의 GPS를 기초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이동 경로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를 포함하는,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41423A 2015-03-25 2015-03-25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6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423A KR101762776B1 (ko) 2015-03-25 2015-03-25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423A KR101762776B1 (ko) 2015-03-25 2015-03-25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27A true KR20160114927A (ko) 2016-10-06
KR101762776B1 KR101762776B1 (ko) 2017-07-28

Family

ID=571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423A KR101762776B1 (ko) 2015-03-25 2015-03-25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CN110830101A (zh) * 2018-08-10 2020-02-2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小区id的确定及获取方法、网络设备、终端、可读介质
CN112612798A (zh) * 2020-11-27 2021-04-06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引导内容更新方法、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14110A (ko) * 2020-03-10 2021-09-2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열차 승하차 알림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CN116095601A (zh) * 2022-05-30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基站小区cell特征库更新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779A (ja) * 2001-07-31 2003-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267057A (ja) 2005-03-25 2006-10-05 Ntt Comware Corp 位置検出システム、携帯端末、位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6653A (ja) * 2008-03-12 2009-09-24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163935A (ja) * 2010-02-10 2011-08-25 Nec Corp 経路検索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経路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66638A (ja) * 2012-09-26 2014-04-17 Lapis Semiconductor Co Ltd 判定装置、電子機器及び判定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CN110830101A (zh) * 2018-08-10 2020-02-2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小区id的确定及获取方法、网络设备、终端、可读介质
CN110830101B (zh) * 2018-08-10 2021-07-27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小区id的确定及获取方法、网络设备、终端、可读介质
KR20210114110A (ko) * 2020-03-10 2021-09-2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열차 승하차 알림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CN112612798A (zh) * 2020-11-27 2021-04-06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引导内容更新方法、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12798B (zh) * 2020-11-27 2024-04-1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引导内容更新方法、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095601A (zh) * 2022-05-30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基站小区cell特征库更新方法及相关装置
CN116095601B (zh) * 2022-05-30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基站小区cell特征库更新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776B1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76B1 (ko)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037330B (zh) 导航设备和方法
EP310981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US8972166B2 (en) Proactive mitigation of navigational uncertainty
WO2011084258A2 (en) Transit stop detection
KR101087725B1 (ko)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US20140063044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3620346B (zh) 移动体导航装置及移动体导航系统
JP5741194B2 (ja) 向き推定方法、向き推定装置及び端末装置
US10823577B2 (en)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JP2007102296A (ja) 移動情報端末および交通情報生成装置
JP2010197211A (ja) 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経路情報提示方法
JP2013170938A (ja) 位置表示装置、位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0636B2 (ja) 現在位置補完装置および現在位置補完方法
KR20090000417A (ko)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와 교통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과시스템
JP6037817B2 (ja)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5251054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292596A (ja) 測位装置による移動状況の検出装置
KR20160113898A (ko)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714840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126222A (ja) 携帯用電子機器、アラー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224969A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16065B (zh) 信息处理装置、其控制方法以及程序
JP2019100763A (ja) すれ違い困難区間回避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表示装置およびすれ違い困難区間回避方法
US10812950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