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649A -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649A
KR20160112649A KR1020150038756A KR20150038756A KR20160112649A KR 20160112649 A KR20160112649 A KR 20160112649A KR 1020150038756 A KR1020150038756 A KR 1020150038756A KR 20150038756 A KR20150038756 A KR 20150038756A KR 20160112649 A KR20160112649 A KR 2016011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lug
dust
particles
roller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영 filed Critical 최원영
Priority to KR102015003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649A/ko
Publication of KR2016011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련 제강 과정에서 쇳물로부터 수거된 금속성 부유물을 대기중으로 날려보내면서 생성된 금속슬러그 입자를 산업원자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형상 및 모양별로 선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자재로서의 활용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형상 및 모양별 선별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속슬러그 입자를 산업자재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으로부터 분진 등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Metal slag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초 생성된 금속슬러그 입자를 크기별로 선별한 뒤 모양별로도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되는 산업자재로의 효과 및 역할을 정확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선별과정에서 입자 표면에 형성된 분진 등의 불순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자재로의 활용과정에서 불필요한 분진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은 물론 환경오염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련 제강 과정 중 쇳물을 다루는 과정에서 쇳물 상측에는 금속성분이 다량 함유된 부유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 부유물질은 쇳물로부터 분리시킨 뒤 별도로 매립처리 등을 통해 처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금속 부유물질에 포함된 금속성분을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 되어왔고 그로 인해 금속부유물질을 분쇄시켜 입자화 시킨 상태에서 해당 금속슬러그 입자들을 건축자재나 건축 마감재, 도로포장재, 가공물표면연마재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슬러그 입자는 최초 쇳물과 같은 상태에서 대기중으로 낙하 되면서 바람에 의해 대기중으로 날려져 입자화 됨과 동시에 대기 중에서 각 입자들이 금속 냉각되는 방식, 일명 아토마이징 공법을 통해 생성된다.
이렇게 풍력에 의해 입자화 된 각 금속슬러그 입자들은 그 형상 및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어떤 입자는 진원에 가깝고 표면이 매끄러운 반면 다른 입자는 표면이 굴곡지고 반원이나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입자들을 각 산업분야별 산업자재로 활용함에 있어서 입자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선별되어 적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금속슬러그 입자를 샌드블러스팅처럼 가공물의 표면연마재로 활용할 경우 각 입자의 형상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가공물 표면이 지점별로 연마상태가 틀려지게 되어, 전체적인 연마효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에 표면도장을 행할 때, 입자표면이 불균일 할 경우 도장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재 제안되어 있는 입자선별장치는 진동등을 통해 입자의 크기별 선별만이 가능할 뿐 형상에 따른 선별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제안되어 있는 기술만으로는 금속슬러그 입자의 형상별 선별이 불가능하므로, 불가피하게 크기는 유사하지만 모양이 전혀 상이한 상태의 입자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속슬러그 입자는 풍력에 의한 생성과정에서 밀폐된 공간 내에서 바람에 날려 입자화 된 후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간 내 먼지 등 이물질이 입자 표면에 들러붙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슬러그 입자를 형상 별로 선별하는 과정에서 입자 표면에 붙어 있는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현재 없기 때문에, 입자표면에 도장처리할 때 이물질에 의한 도장불량 발생가능성이 크고 표면연마재로 사용할 때에도 가공물 표면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 되어 대기 오염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제련 제강 과정에서 쇳물로부터 수거된 금속성 부유물을 대기중으로 날려보내면서 생성된 금속슬러그 입자를 산업원자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형상 및 모양별로 선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자재로서의 활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형상 및 모양별 선별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속슬러그 입자를 산업자재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으로부터 분진 등이 대기중으로 비산 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금속슬러그 입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재을 포함하는 분진처리부, 상기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되 후측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반대쪽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되 종동롤러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후측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에 수평 상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구동롤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위쪽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측단부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의 둘레면을 동시에 휘감은 상태에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되 구동롤러쪽으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이동차단면이 형성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입자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이송벨트 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이송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되, 이동과정에서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및 각 가이드롤러의 경사구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의 상에서 전측을 향해 구른 후 외부로 낙하하게 되며 각 금속슬러그 입자는 표면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이송벨트 표면 상에서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 구르는 속도가 틀려져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하는 시점 및 위치도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은 내부 둘레면을 따라 충돌유도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충돌유도 돌출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되, 블록 형태이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접촉돌기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돌기 사이 표면에는 흡착포가 형성되어 있는 분진처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진제거부재는 상기 투입구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가 상기 투입구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흡진덕트 및 상기 흡진덕트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흡기력을 발휘하여 상기 투입구 내부를 지나는 금속슬러그 입자표면의 분진을 상기 흡진덕트 쪽으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기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선별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부착되되 자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내측면이 상기 종동롤러와 각 가이드롤러 및 구동롤러 표면에 자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이송벨트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이송벨트 외측면을 향해서도 자력을 발휘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부 표면에서 굴러내리는 금속슬러그 입자가 상기 자력에 의해 구르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자선별부는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하측에 위치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을 상하 반복이동시켜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선별부는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후측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측단부를 상하 승강시켜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이렇게 입자 형상에 따라 전측으로 굴러 내려가는 속도차이를 이용해 입자의 형상별로 수거가 가능하므로,
각 형상별 수거된 금속슬러그 입자는 그에 맞는 산업분야별 재료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각 입자의 모양 및 형상이 유사하므로, 결국 해당 산업재료의 기능 및 효과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선별과정에서 분진처리부에 의해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의 분진이 동시에 처리되기 때문에 산업재료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원치않는 분진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오염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송벨트 내부면에 자력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이송벨트의 좌측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더라도 처짐이 방지되고 자석부재를 통해 각 롤러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됨으로 이송벨트는 항시 팽팽한 장력을 유지하면서도 좌측부분이 들어올려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력부재의 자력이 이송벨트 상의 금속슬러그 입자에도 적용되므로 금속슬러그 입자가 원치 않게 빨리 굴러 낙하 되는 현상도 막을 수 있으므로, 결국 선별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전체 구성 및 과정을 나타낸 전체 측면 개략도
도2는 입자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확대 개략도
도3은 금속슬러그 입자의 형상 차이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일측에는 투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금속슬러그 입자(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6)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드럼(110) 및 상기 회전드럼(110)과 연결되어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1)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재(120)을 포함하는 분진처리부(100)를 갖는다.
그리고 분진처리부(100) 일측에 위치하여 분진처리부(100)를 통해 배출된 금속슬러그 입자(1)를 표면 형상 및 모양에 따라 선별하는 입자선별부(200)를 갖는다.
입자선별부(200)는 상기 배출구(114)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는 종동롤러(230), 상기 종동롤러(230) 반대쪽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되 종동롤러(230) 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후측 단부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240), 상기 종동롤러(230)와 구동롤러(240) 사이에 수평 상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구동롤러(240) 쪽으로 갈수록 점차 위쪽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측 단부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경사진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50) 및 상기 가이드롤러(250)와 구동롤러(240) 및 종동롤러(230)의 둘레면을 동시에 휘감은 상태에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되 구동롤러(240) 쪽으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이동차단면(262)이 형성되는 이송벨트(2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1)는 상기 배출구(114)를 통해 상기 이송벨트(260) 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이송벨트(260)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되, 이동과정에서 종동롤러(230)와 구동롤러(240) 및 각 가이드롤러(250)의 경사구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260)의 상에서 전측을 향해 구른 후 외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1)는 표면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이송벨트(260) 표면 상에서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 구르는 속도가 틀려져 이송벨트(260) 외부로 낙하하는 시점 및 위치도 달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진원에 가깝고 표면이 균일한 금속슬러그 입자는 그만큼 이송벨트(260) 상에서 구르는 속도가 빠르게 되고 빨리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된다.
반면에 표면 모양이 각지거나 타원형태의 금속슬러그 입자는 상대적으로 이송벨트(260) 상에서 구르는 속도가 되는 느리기 때문에, 그만큼 이송벨트(260) 외부로 늦게 낙하되므로, 결국 이전에 낙하된 금속슬러그 입자와 다른 지점에 낙하된다.
이처럼 표면 형상과 모양 등에 따라 이송벨트(260) 상에서 구르는 속도와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하는 시점이 틀려지므로, 해당 낙하지점에 낙하된 금속슬러그 입자는 형상과 모양 등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상호 최대한 유사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송벨트(260)에 이동차단면(262)이 경사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미처 외부로 낙하하지 못하고 이송벨트(260)를 따라 이동하던 금속슬러그 입자는 이동차단면(262)의 경사도에 의해 더이상 동하지 못하고 외부로의 낙하가 유도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이송벨트(260)의 내측면에는 자력을 발휘하는 자력부재(6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자력부재(600)는 이송벨트(260)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되되 내측면이 상기 종동롤러(230)와 각 가이드롤러(250) 및 구동롤러(240) 표면에 자력에 의해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이송벨트(26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자력부재(600)는 상기 이송벨트(260) 외측면을 향해서도 자력을 발휘하여 상기 이송벨트(260) 상부 표면에서 굴러내리는 금속슬러그 입자(1)가 상기 자력에 의해 구르는 속도가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금속슬러그 입자(1)가 이송벨트(26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굴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자선별부(200)는 상기 종동롤러(230)와 구동롤러(240) 하측에 위치하는 테이블(210) 및 상기 테이블(210)과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210)을 상하 반복이동시켜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렇게 테이블(210)에 상하 진동을 작용시킴에 따라, 이송벨트(260) 상에 안착된 금속슬러그 입자(1)가 최대한 넓은 범위로 분포된 상태에서 상호 간 간섭없이 원활한 이동 및 굴러내림이 유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입자선별부(200)는 상기 종동롤러(230)와 구동롤러(240)의 후측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측단부를 상하 승강시켜 종동롤러(230)와 구동롤러(240)의 경사도를 동시에 상하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종동롤러와 구동롤러(240) 및 가이드롤러(250)의 상하 경사도를 조절함에 따라, 해당 금속슬러그 입자의 굴러내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금속슬러그 입자의 표면 형상 및 모양에 따라 적정 굴러내림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결국 선별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110)은 내부 둘레면을 따라 충돌유도 돌출부(118)가 형성되되 상기 충돌유도 돌출부(118)는 상기 회전드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드럼(11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내부의 금속슬러그 입자(1)가 요동치면서 각 충돌유도 돌출부(118)에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금속슬러그 입자(1) 표면의 분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분진제거부재(120)는 분진처리블록(122)일 수 있는데, 분진처리블록(122)은 상기 회전드럼(110)의 수용공간(116)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회전드럼(11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116)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블록 형태이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접촉돌기(123)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돌기(123) 사이 표면에는 흡착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드럼(110)의 회전 과정에서 각 분진처리블록(122)이 금속슬러그 입자(1)와 함께 자유롭게 요동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각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분진이 분진처리블록(122)의 흡착포(124)에 흡착되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수시로 분진처리블록(122)을 교체하거나 오염된 흡착포(124) 만을 교체하여 재 사용하게 된다.
분진제거부재(120)는 이러한 분진처리블록(122) 외에도 흡기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진제거부재는 회전드럼(110)의 투입구(112)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가 상기 투입구(112)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흡진덕트(125) 및 상기 흡진덕트(125)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흡기력을 발휘하여 상기 투입구(112) 내부를 지나는 금속슬러그 입자표면의 분진을 상기 흡진덕트 쪽으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기휀(126)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분진제거부재(120)는 분진처리블록(122)과 흡기방식 중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도면과 같이 두 구조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금속슬러그 입자는 투입구(1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기휀(126)의 흡기력에 의해 금속슬러그 입자표면의 분진이 흡진덕트(125) 내로 흡기되어 처리된다.
그 후 회전드럼(110) 내부로 투입된 금속슬러그 입자(1)는 회전드럼(110) 내에서 교반 형태로 회전되면서 충돌유도 돌출부(118) 및 분진처리블록(122)의 접촉돌기(123)와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표면의 분진이 분리된다.
분리된 분진은 각 분진처리블록(122)의 흡착포(124)에 붙게 되어 처리된다.
그 후 각 분진처리블록)을 회전드럼(110)으로부터 빼내 흡착포를 교체하거나 이물질을 털어낸 후 재 사용 하게 된다.
분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금속슬러그 입자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이송벨트(260) 상부면 상에 낙하 되고, 낙하된 금속슬러그 입자는 이송벨트(260)의 이송방향을 따라 구동롤러(240)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벨트(260)는 후측단부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이고 테이블(210)이 진동발생모터(220)에 의해 상하 진동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송벨트(260) 상에 안착된 금속슬러그 입자들은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전측단부를 향해 굴러 내려간다.
이때 금속슬러그 입자 중 진원에 가깝고 표면이 균일한 형상일수록 전측을 향해 빨리 굴러 가게 되어 이송벨트 앞쪽에 위치한 제1수거함(300) 안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표면이 굴곡지거나 타원 등의 형상을 갖는 금속슬러그 입자는 상대적으로 구르는 속도가 느리므로 이전에 낙하된 금속슬러그 입자보다 이송벨트를 따라 횡방향으로 더 이송된 후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하게 되므로, 결국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 되는 시점도 늦게 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늦게 외부로 낙하된 금속슬러그 입자는 제2수거함(400) 안으로 낙하된다.
또한 이보다 표면이 더 굴곡지거나 잘 굴러내려가지 못할 형상의 입자들은 이송벨트를 따라 보다 더 횡방향으로 이송된 후 앞쪽으로 떨어져 제3수거함(500)이나 제4, 5, 6수거함 안으로 낙하되어 선별된다.
따라서 각 수거함 내에는 상호 유사한 형상의 금속슬러그 입자들이 모여있게 된다.
100 : 분진처리부 110 : 회전드럼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16 : 수용공간 118 : 충돌유도 돌출부
120 : 분진제거부재 122 : 분진처리블록
123 : 접촉돌기 124 : 흡착포
125 : 흡진덕트 126 : 흡기휀
200 : 입자선별부 210 : 테이블
220 : 진동발생모터 230 : 종동롤러
240 : 구동롤러 250 : 가이드롤러
260 : 이송벨트 262 : 이동차단면
270 : 경사조절부 300 : 제1수거함
400 : 제2수거함 500 : 제3수거함
600 : 자력부재 1 : 금속슬러그 입자

Claims (5)

  1.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금속슬러그 입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재을 포함하는 분진처리부,
    상기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되 후측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반대쪽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되 종동롤러보다 위쪽에 위쪽에 위치하며 후측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에 수평 상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구동롤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위쪽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측단부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의 둘레면을 동시에 휘감은 상태에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되 구동롤러쪽으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이동차단면이 형성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입자선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슬러그 입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이송벨트 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이송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되, 이동과정에서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및 각 가이드롤러의 경사구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의 상에서 전측을 향해 구른 후 외부로 낙하하게 되며 각 금속슬러그 입자는 표면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이송벨트 표면 상에서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 구르는 속도가 틀려져 이송벨트 외부로 낙하하는 시점 및 위치도 달리 형성되는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은 내부 둘레면을 따라 충돌유도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충돌유도 돌출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진제거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되, 블록 형태이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접촉돌기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돌기 사이 표면에는 흡착포가 형성되어 있는 분진처리블록
    을 포함하는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진제거부재는,
    상기 투입구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가 상기 투입구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흡진덕트 및 상기 흡진덕트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흡기력을 발휘하여 상기 투입구 내부를 지나는 금속슬러그 입자표면의 분진을 상기 흡진덕트 쪽으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기휀
    을 포함하는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입자선별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부착되되 자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내측면이 상기 종동롤러와 각 가이드롤러 및 구동롤러 표면에 자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이송벨트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이송벨트 외측면을 향해서도 자력을 발휘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부 표면에서 굴러내리는 금속슬러그 입자가 상기 자력에 의해 구르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는
    금속슬러그 입자선별장치.
KR1020150038756A 2015-03-20 2015-03-20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KR20160112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56A KR20160112649A (ko) 2015-03-20 2015-03-20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56A KR20160112649A (ko) 2015-03-20 2015-03-20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49A true KR20160112649A (ko) 2016-09-28

Family

ID=5710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756A KR20160112649A (ko) 2015-03-20 2015-03-20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6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41B1 (ko) * 2018-12-24 2019-05-20 주식회사 알맥스 비철분별기
CN113634370A (zh) * 2021-08-24 2021-11-12 广东皆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色母粒杂质分离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41B1 (ko) * 2018-12-24 2019-05-20 주식회사 알맥스 비철분별기
CN113634370A (zh) * 2021-08-24 2021-11-12 广东皆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色母粒杂质分离系统
CN113634370B (zh) * 2021-08-24 2024-01-12 广东皆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色母粒杂质分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1978B2 (ja) 連続式のコンベア式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
EP2598256B1 (en) Separation apparatus
KR101677177B1 (ko) 이물질 제거장치
US2887826A (en) Shot blast machine
JP4272617B2 (ja)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JP2016168657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の研掃材循環装置
KR20160112649A (ko)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KR101623796B1 (ko) 금속슬러그 입자 선별장치.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WO2012111237A1 (ja) 投射材分別装置およびショット処理装置
KR101915536B1 (ko) 원료의 이물 제거용 복합적 선별장치
US390589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lamation of abrasive grit
JP2001276745A (ja) 選別コンベヤ
US11396032B2 (en) Self-cleaning roller screen
JP2001137740A (ja) 石英ガラス原料粉の磁性体粉除去装置
CN110449247B (zh) 一种建筑垃圾处理筛选设备
JP3550932B2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装置および方法
RU2482921C1 (ru) Транспортер-обогатитель
JP2742995B2 (ja) 小魚等の選別装置
JP2005137954A (ja) 分級篩分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S6135084B2 (ko)
JP2002001219A (ja) 異物除去装置及び該異物除去装置を用いた原料粉精製装置
CN220969463U (zh) 小麦加工用磁选装置
JP2001129487A (ja) 形状分別装置
JPH11156232A (ja) 鋼粒子体の分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