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318A -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 Google Patents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318A
KR20160112318A KR1020150037879A KR20150037879A KR20160112318A KR 20160112318 A KR20160112318 A KR 20160112318A KR 1020150037879 A KR1020150037879 A KR 1020150037879A KR 20150037879 A KR20150037879 A KR 20150037879A KR 20160112318 A KR20160112318 A KR 2016011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lider
coupled
restrain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정 filed Critical 이은정
Priority to KR102015003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318A/ko
Publication of KR2016011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는, 화물 고정용 벨트에 결합되어 권취부재에 벨트를 감아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권취부재를 회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양 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을 따라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권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속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작동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BELT TENSIONER AND SEPARABLE OPERATING LEVER}
본 발명은 화물 고정용 벨트를 당겨 장력을 제공하는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벨트 텐셔너를 구성하는 작동레버와 베이스를 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를 설계하여 화물 적재하고 벨트 조임 작업을 마친 후 작동레버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운송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에 관한 것이다.
벨트 텐셔너는 화물을 적재한 후 화물이 움직이거나 흔들지지 않도록 화물 주위를 감싼 벨트를 조여 구속하는 장치이다. 벨트 텐셔너는 통상적으로 벨트를 권취부재에 감아 조이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베이스의 권취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벨트를 조여주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벨트 텐셔너의 경우에는 베이스와 작동레버가 분리가 되지 않도록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벨트 텐셔닝(tensioning) 작업 후에 벨트로부터 분리할 수 없어 화물과 함께 목적지로 이동되었다.
이러한 벨트 텐셔너가 화물차 등에 사용될 때에는 벨트 텐셔너를 계속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화물의 적재 및 운송에 벨트 텐셔너에 들이는 비용이 크지 않지만, 컨테이너 등에 화물을 적재하여 해외로 화물이 수출입 되는 경우에는 화물과 함께 벨트 텐셔너가 해외로 이동하게 되므로 다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이에 따른 화물 적재 및 운송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표적인 선행특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5368호(2008년 10월 24일 공고)의 경우 화물 또는 물건들로부터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장치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와 베이스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권취부재가 회전하여 벨트를 감아 벨트를 당겨 화물을 고정할 수 있으나, 작동레버와 베이스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는 선행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418호(2012년 12월 10일 공개)가 있다.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에는 제3자가 작동부 없이는 밴드를 분리할 수 없게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로고, 작동부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작동부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한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5368호(2008년 10월 24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418호(2012년 12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레버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속슬라이더를 구비함으로써, 구속슬라이더를 당기면 구속슬라이더가 후퇴하여 베이스로부터 작동레버가 용이하게 분리가 되며, 구속슬라이더를 당긴 상태에서 결합고리에 베이스를 건 후 구속슬라이더를 놓으면 탄성체에 의해 전진한 구속슬라이더에 의해 작동레버와 베이스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작동레버 만으로 다수개의 베이스를 각각의 벨트 조임 작업에 사용할 수 있고, 화물을 해외로 운송하는 경우에도 베이스만 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화물과 함께 이동하고, 작동레버는 분리된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작동레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는, 화물 고정용 벨트에 결합되어 권취부재에 벨트를 감아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권취부재를 회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양 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을 따라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권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속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작동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는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속슬라이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를 전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폭을 벗어나는 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회동을 제한하고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권취부재에는 벨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재의 양 단에는 사이드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양 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을 따라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권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속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는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폭을 벗어나는 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회동을 제한하고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 안내편과 함께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레버를 베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여 화물 고정을 위한 벨트 텐셔닝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벨트 조임 작업 후 작동레버를 분리하여 화물과 함께 이송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물 적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작동레버와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작동레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베이스의 권취부재에 벨트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베이스에 분리형 작동레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작동레버를 왕복 회동시켜 벨트를 권취하여 벨트를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벨트 조임 작업 후 작동레버를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종래 벨트 텐셔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작동레버(10)와 베이스(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는 벨트가 권취되는 베이스(20)와 베이스의 권취부재(230)를 회동시키는 작동레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는 작동레버(10)를 베이스(20)에 대하여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먼저 작동레버(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레버(10)는 몸체부(100), 손잡이부(5), 결합고리(130) 및 구속슬라이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00)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1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의 형태 및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을 서로 고정결합하는 구조이면 족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부재(100)에 작업자의 엄지를 건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가이드바(153)를 당겨 구속슬라이더(140)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가이드바(153)에 대하여 일정 간격 후방(손잡이부(5)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은 판형의 금속을 레이저절단 공정 등에 의해 컷팅한 후 필요한 부분을 절곡하여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일단에는 손잡이부(5)가 결합된다. 작동레버(10)를 회동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양 단이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에 각각 결합된다.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타단에는 결합고리(130)가 형성된다. 결합고리(130)는 몸체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도면에는 몸체부(100)에 따로 제작된 결합고리(130)를 부착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는 결합고리(130)를 따로 제작하여 부착함으로써, 결합고리(130)에 형성된 안내면(131)이 구속슬라이더(140)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고리(130)는 일측이 개방된 반고리 형상을 가지며, 구속슬라이더(140)의 구속단부(151)가 전진하면 구속단부(151)와 함께 고리 형상을 형성하여 베이스의 권취부재(230) 단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외측면에는 구속슬라이더(140)가 결합된다. 구속슬라이더(140)는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외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속슬라이더(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바(154)에 의해서 서로 고정결합되며, 구속슬라이더(140)에 결합된 가이드바(153)가 제1측판(100a) 및 제2측판(100b)에 형성된 가이드홀(120)을 따라 움직이도록 안내된다. 구속슬라이더(140)와 몸체(제1측판(100a) 및 제2측판(100b)) 사이에는 탄성체(155)가 결합되어 구속슬라이더(1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체(155)에 의해 구속슬라이더(140)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속슬라이더(140)에는 구속단부(151)가 형성된다. 구속단부(151)는 결합고리(130)와 함께 권취부재(230)의 양단에 결합되어 작동레버(10)가 베이스(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재(230)의 양단에는 사이드캡(250)이 결합된다. 사이드캡(250)은 권취부재(230)가 베이스몸체로부터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결합고리(130) 및 구속단부(151)와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속슬라이더(140)에는 상기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폭을 벗어나는 결합부(15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52)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140)의 회동을 제한하고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14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바(154a, 154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이드바(153) 및 고정바(154)에 의해 구속슬라이더(14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구속슬라이더(140)의 더욱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결합고리(130)는 상기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구속슬라이더(14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판(100a)과 제2측판(100b)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고리(130)와 함께 상기 구속슬라이더(14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편(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속슬라이더(140)가 안내면(131)과 안내편(160)의 사이에서 길이방향 운동이 안내됨으로써, 구속슬라이더(140)의 슬라이딩 운동이 더욱 원활해지며, 작동레버(10)와 베이스(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작동레버(10)에 큰 힘을 가해도 작동레버(10)가 베이스(20)에 대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에는 래칫폴(140)이 결합된다. 래칫폴(140)은 제1측판(100a)과 제1측판(100a)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래칫폴(140)의 단부가 래칫휠(240)에 접촉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래칫폴(140)에는 복원스프링이 결합되어 래칫폴(140)이 래칫휠(240)에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는 베이스몸체, 베이스몸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벨트삽입홈이 형성되는 권취부재(230), 한 쌍의 래칫휠(240) 및 래칫휠(2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캡(250)이 추가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물을 고정하고자 하는 벨트의 일측을 컨테이너, 화물차 등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미도시)에 결합한 후 벨트의 자유단을 도 4에 도시된 베이스(20)의 권취부재(230)에 형성된 벨트삽입홈(231)에 삽입하고, 타단을 다른 고정부에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의 구속슬라이더(140)를 손잡이부(5) 방향으로 당겨 후퇴시킨 상태에서 권취부재(230) 양단에 결합된 사이드캡(250)을 결합고리(130)에 삽입한다. 사이드캡(250)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슬라이더(140)를 놓으면 구속슬라이더(140)가 전진하면서 구속단부(151)와 결합고리(130)에 의해 사이드캡(250)이 구속된다. 작동레버(10)를 베이스(20)에 대하여 왕복 회동시키면 래칫휠(24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취부재(230)가 래칫휠(240)과 같이 회전하여 벨트를 감아 장력을 제공하게 되며, 화물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벨트를 조이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동레버(10)의 구속슬라이더(140)를 당겨 후퇴시키고 작동레버(10)를 베이스(20)로부터 분리한다. 작동레버(10)는 벨트 조임 작업을 위해 설치된 다른 베이스(20)에 결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하면 하나의 작동레버(10)로 여러 개의 베이스(20)에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벨트 텐셔너의 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해외 수출 등으로 인해 벨트 텐셔너를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물 적재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5 : 손잡이부
10: 작동레버
20 : 베이스
100 : 몸체부
100a : 제1측판, 100b : 제2측판
110, 110' : 고정부재
120 : 가이드홀
130 : 결합고리, 131 : 안내면
140 : 래칫폴, 142 : 복원스프링
150 : 구속슬라이더
151 : 구속단부
152 : 결합부
153 : 가이드바
154 : 고정바
155 : 탄성체
210 : 베이스몸체
220 : 스토퍼
230 : 권취부재
231 : 벨트삽입홈

Claims (8)

  1. 화물 고정용 벨트에 결합되어 권취부재에 벨트를 감아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권취부재를 회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벨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양 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을 따라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권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속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작동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는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속슬라이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를 전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폭을 벗어나는 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회동을 제한하고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권취부재에는 벨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재의 양 단에는 사이드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
  7. 베이스와 함께 벨트 텐서너를 구성하는 작동레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양 단이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을 따라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고리와 함께 상기 권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속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는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상기 구속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폭을 벗어나는 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회동을 제한하고 한 쌍의 구속슬라이더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안내편과 함께 상기 구속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KR1020150037879A 2015-03-18 2015-03-18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KR2016011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879A KR20160112318A (ko) 2015-03-18 2015-03-18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879A KR20160112318A (ko) 2015-03-18 2015-03-18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18A true KR20160112318A (ko) 2016-09-28

Family

ID=5710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879A KR20160112318A (ko) 2015-03-18 2015-03-18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3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8B1 (ko) 2007-08-20 2008-10-24 웬-흐시앙 흐시에 스트랩 텐셔너
KR101222418B1 (ko) 2011-05-30 2013-01-15 정희석 분리형 버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8B1 (ko) 2007-08-20 2008-10-24 웬-흐시앙 흐시에 스트랩 텐셔너
KR101222418B1 (ko) 2011-05-30 2013-01-15 정희석 분리형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973B1 (en) Strap tensioner
EP2688767B1 (en) Load-strapping device
US20140250644A1 (en) Cargo strap fastener
US20070221897A1 (en) Ratcheted winch bar
US20120023711A1 (en) Interchangeable strap connectors
US10252661B2 (en) Load-strapping device
FI123234B (fi) Kuorman sidontaliinan kiristinlaite
WO2013064149A1 (en) Means for strapping a load on a transport platform
KR20160112318A (ko)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KR100865368B1 (ko) 스트랩 텐셔너
KR101511367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JP2009202614A (ja) 車両運搬車における被運搬車両のタイヤ固縛装置
JP3150865U (ja) 緊締具
KR101509659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양방향 벨트 고정 장치
EP2008867B1 (en) Strap tensioner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KR101755191B1 (ko) 구조적인 안전성과 제작편의성을 갖는 자력을 이용한 화물차용 벨트 텐셔너
CN103350656A (zh) 一种钢丝绳收紧器
JP6483225B2 (ja) ラッシング用フックおよび荷締め用紐体
JP7177322B2 (ja) ベルト荷締機
KR101799694B1 (ko) 화물용 끈 조임장치의 스토퍼
KR101749868B1 (ko) 화물고정용 조임장치의 플랫벨트 결속방법
KR200479567Y1 (ko) 화물결속용 탄력띠
US20140150222A1 (en) Strap for securing cargo on a vehicle
JP3221776U (ja) ラッシングベル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