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18B1 - 분리형 버클 - Google Patents

분리형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18B1
KR101222418B1 KR1020110051635A KR20110051635A KR101222418B1 KR 101222418 B1 KR101222418 B1 KR 101222418B1 KR 1020110051635 A KR1020110051635 A KR 1020110051635A KR 20110051635 A KR20110051635 A KR 20110051635A KR 101222418 B1 KR101222418 B1 KR 10122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operating
ratchet wheel
detachable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22A (ko
Inventor
정희석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정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석 filed Critical 정희석
Priority to KR102011005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53Tools for manipulating straps or t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분리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밴드(1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는 작동부(30)로 구성되어, 밴드(10)를 몸체부(20)에 체결한 후 버클에서 작동부(30)을 분리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 몸체부(20)만으로 체결된 밴드를 풀 수 없게 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밴드를 체결한 후 버클의 일부인 작동부(30)를 분리, 보관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는 밴드를 분리할 수 없게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버클{separated type buckle}
본발명은 분리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1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으며, 또한 체결한 후 버클부품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체결 밴드 조임기구는 실용신안공고 1994-0006121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는 걸고리가 있고, 타측에는 걸고리가 연결된 라쳇식 조임구가 부착되어 이를 사용할시는 양측단 걸고리를 적재함의 걸림턱에 걸림한 후 라쳇식 조임구로 조으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는 연속 조임이 불가능하여 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배치된 걸림턱의 숫자에 알맞게 개개의 조임구를 마련해야 하므로 경제적 과부담은 물론 조임 작업 밍 취급상에도 불편한 페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용신안공고 1994-0006121호는 화물 자동차의 적재함 좌우측에 돌설된 다수의 걸림턱에 지지밴드(7)와 연결된 다수의 걸고리(7')를 걸림하고 이의 회동관(2)에는 화물 체결 밴드(8)을 연속적으로 감아서 인출된 밴드(8)의 최후단에는 라쳇식 조임구를 체결하여 이의 걸이구를 화물차의 적재함 최후단 걸림턱에 걸림한 상태에서 라쳇식 조임구의 핸들을 작동시키면 다수의 조임 걸이구에 끼움된 체결 밴드(8)가 한꺼번에 조임되게 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공보1992-0002053호에는 종래기술에 대해서, 종래 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안전하게 결박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개 체인 파이프 렌치(Chain pipewrench)나 또는 와이어 렌치(Wire wrench)에 의한 체인과 강선을 주고 사용하여 적재화물을 결박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체인이나 강선이 오래 사용된 경우 육안으로는 거의 식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마모상태가 심하고 부식율도 높아서 적재화물을 결박하여 강하게 조여줄때 간혹 끈어지는 폐단이 있어서 결박 작업에 따른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적재 화물이 원목과 같이 고체물일때는 체인이나 강선의 조임작용으로 다소 흠집이 생겨도 무방하나 박스에 포장된 화물의 경우에는 이들 체인이나 강선의 조임작용에 의해 손상되거나 찌그러지는 일이 많아 내용물을 파손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이 파손의 위험이 있는 적재물은 대개 탄력성이 유한 고무바로 묶어주고 있으나 이 작업을 행하는 데는 적어도 2~3사람 정도의 인력을 필요로 하고 또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0-18655호에 개시된 "운반대에 적치된 판유리의 결속장치"는 결속장치를 이루는 버클의 고정부 및 작동부에는 그 고정부와 작동부를 일체로 고정시키어 주는 록킹수단이 전연 갖추어져 있지를 않고 있어서, 밴드에 의한 화물 결속후 작동부를 고정부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있게 되면 작동부의 흔들림으로 그 작동부의 회동축에 감겨진 밴드가 이완되는바, 밴드에 의해서 결속되어 있던 화물들이 떨어져서 파손 내지는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용신안공보1992-0002053호에는 도면 19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결박용 벨트 조임기에 대해, 고정간체(4)(4')와 작동간체(4a)(4a')에 형성된 각 축수부(12)(12'), (12a)(12a')를 반원형축(2)(2')으로 연결하고, 그 축수부(12)와 (12a), (12')와 (12a')사이에 위치한 래칫기어(G)(G')로 관착시킨 반원형측(2)(2')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고정간체(4)(4')에 천공된 한쌍의 장공(5)(5')으로 안내되게 삽입된 유동판(7)의 폴(6)(6')과, 작동간체(4a)(4a')에 천공된 장공(5a)(5a')으로 안내되게 삽입된 조정간(7a)의 폴(6a)(6a')이 래칫기어(G)(G')에 단계적으로 계합되게 함과 아울러 그 유동판과 조정간은 스프링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반원형축(2)(2')의 간극부(ℓ)로 삽입된 결속벨트가 작동간체의 절첩전개 작동에 따라 시계바늘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반원형축에 감아지게 하여, 그 결속벨트로 하여금 화물을 결속토록 한 공지구조의 화물자동차용 조임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간을 지지토록 작동간체내에 설치한 횡간부(3a)의 안내공(10a)에는, 그 조정간의 중앙에 설치된 안내봉(9a)을 스프링(8a)을 개재하여 상,하동 가능케 헐겁게 삽입하고, 상기 조정간의 양측에는 그 조정간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향해 절곡된 걸림편(6b)(6b')를 설치하여, 절첩시 그 걸림편이 고정간체의 폴(6)(6')에 걸리게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된 종래의 버클들은 밴드를 체결한 후 제3자가 버클을 조작하여 밴드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 및 버클을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밴드를 체결하면서 조은 후 버클의 일부인 작동부(30)를 분리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는 밴드를 분리할 수 없는 분리형 버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분리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밴드(1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는 작동부(30)로 구성되어, 밴드(10)를 몸체부(20)에 체결한 후 버클에서 작동부(30)을 분리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 몸체부(20)만으로 체결된 밴드를 풀 수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밴드를 체결하면서 조은 후 버클의 일부인 작동부(30)를 분리, 보관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는 밴드를 분리할 수 없게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을 펼친 사진
도 2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 몸체부 분리 사진
도 3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 몸체부 분리 측면 사진
도 4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 작동부 분리 사진
도 5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에서 밴드를 풀기 위해 완전히 펼친 사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을 접은 사진
도 8은 도 7의 저면도
도 9는 도 7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 래칫휘일연결축에 밴드를 처음 감는 사진
도 12는 도 11의 상세사진
도 13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몸체부와 작동부를 상호 작동시켜 래칫휘일연결축에 밴드를 감는 사진
도 14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로 밴드를 체결한 사진
도 15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에서 작동부를 분리하기 위해 작동손잡이를 뒤로 당기는 설명 사진
도 16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로 밴드를 체결한 후 작동부를 분리한 사진
도 17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밴드를 해제하기 위해 몸체부와 작동부를 펼친 사진
도 18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래칫휘일축 양단에 결합되는 착탈캡 도면
도 19는 종래의 버클 도면
도 20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 도면
도 21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로 밴드를 체결하는 상태도면
도 22는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로 밴드를 완전히 체결하는 상태도면
도 23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에서 밴드를 풀기위해 펼친 상태도면
본발명은 분리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밴드(1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는 작동부(30)로 구성되어, 밴드(10)를 몸체부(20)에 체결한 후 버클에서 작동부(30)을 분리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 몸체부(20)만으로 체결된 밴드를 풀 수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좌, 우에 각각 결합되며 후방에 래칫휘일축 결합공(70)이 형성된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 우프레임(22, 23)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구성되되,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밴드삽입구멍(80)이 중앙에 형성되며 좌, 우 프레임의 래칫휘일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축(27)과, 상기 래칫휘일축(27)의 좌, 우에 결합되는 좌, 우 래칫휘일(25, 2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0)는 래칫휘일축 결합 고리부(37)가 각각 형성된 좌, 우고정판(33, 34)과;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 결합되며, 전방에 래칫휘일축 착탈구멍(66)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작동홈(67)이 형성된 착탈부재(65)와; 상기 좌,우고정판(33, 34)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부(40);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20)의 래칫휘일축 (27)양단에 좌, 우고정판(33, 34)의 결합 고리부(37)와 착탈부재(65)의 착탈구멍(66)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작동손잡이(64)를 뒤로 당기면, 상기 착탈부재(65)가 바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래칫휘일축(27)이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에는 스토퍼 결합구멍(28)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래칫휘일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50)의 양측면이 상기 스토퍼 결합구멍(28)에 멈춤스프링과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의 스토퍼 결합구멍(28)에는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좌측 멈춤스프링(51)이 좌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멈춤스프링홈(52)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멈춤스프링(91)이 우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멈춤스프링홈(92)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50)가 스토퍼 결합구멍(28) 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 사이에는 작동편(60)이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60)은 전방작동판(61), 좌,우작동판(62, 63)과, 후방의 작동손잡이(6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에는 작동편 결합구멍(35)이 각각 형성되고 작동편(60)의 전방 모서리부 양단이 상기 작동부(30)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 작동스프링(39)과 함께 결합되며, 상기 작동편(60) 좌,우작동판(62, 63) 측면에는 경사면(6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는 착탈구멍(66)과 작동홈(67)이 형성된 착탈부재(65)가 결합되어 있어서,
작동손잡이(64)를 뒤로 당기면, 작동손잡이(64)가 뒤로 후퇴하며, 상기 좌,우작동판(62, 63)의 경사면(68)이 상기 착탈부재(65)의 작동홈(6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착탈부재(65)가 외부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래칫휘일축(27)이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는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 87)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좌측 작동스프링(39)이 좌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작동스프링홈(85)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작동스프링(86)이 우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87)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작동스프링홈(88)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편(60)이 작동편 결합구멍(35) 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좌, 우에 각각 결합되며 후방에 래칫휘일축 결합공(70)이 형성된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 우프레임(22, 23)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구성되되,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밴드삽입구멍(80)이 중앙에 형성되며 좌, 우 프레임의 래칫휘일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축(27)과, 상기 래칫휘일축(27)의 좌, 우에 결합되는 좌, 우 래칫휘일(25, 2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0)는 래칫휘일축 결합 고리부(37)가 각각 형성된 좌, 우고정판(33, 34)과;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 결합되며, 래칫휘일축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착탈캡과; 상기 좌,우고정판(33, 34)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부(40);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20)의 래칫휘일축 (27)양단에 좌, 우고정판(33, 34)의 결합 고리부(37)와 착탈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착탈캡을 착탈함으로써,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을 펼친 사진, 도 2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 몸체부 분리 사진, 도 3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 몸체부 분리 측면 사진, 도 4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 작동부 분리 사진, 도 5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에서 밴드를 풀기 위해 완전히 펼친 사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을 접은 사진, 도 8은 도 7의 저면도, 도 9는 도 7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 래칫휘일연결축에 밴드를 처음 감는 사진, 도 12는 도 11의 상세사진, 도 13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몸체부와 작동부를 상호 작동시켜 래칫휘일연결축에 밴드를 감는 사진, 도 14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로 밴드를 체결한 사진, 도 15는 본발명 분리형 버클에서 작동부를 분리하기 위해 작동손잡이를 뒤로 당기는 설명 사진, 도 16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로 밴드를 체결한 후 작동부를 분리한 사진, 도 17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밴드를 해제하기 위해 몸체부와 작동부를 펼친 사진, 도 18은 본발명 분리형 버클의 래칫휘일축 양단에 결합되는 착탈캡 도면, 도 19는 종래의 버클 도면, 도 20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 도면, 도 21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로 밴드를 체결하는 상태도면, 도 22는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로 밴드를 완전히 체결하는 상태도면, 도 23은 종래의 다른 실시례 버클에서 밴드를 풀기위해 펼친 상태도면이다.
본발명은 밴드(10)의 단부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는 분리형 버클이다. 상기 분리형 버클은 분리형 버클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는 작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우프레임(22, 23) 후방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그 가운데에 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장공이 천공되어 있고 좌,우 래칫휘일(25, 26)이 래칫휘일축(27)에 의해 결합된 것이다.
그래서 밴드의 일단을 상기 전방프레임에 고정결합하고, 다른 밴드의 일단을 상기 래칫휘일축의 밴드삽입구멍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뒤 상기 몸체부와 작동부를 각기 손으로 잡은 후 래칫휘일축(27)을 중심으로 벌렸다가 좁혔다가를 반복하면 밴드삽입구멍에 삽입통과된 밴드 일단이 래칫휘일, 작동편 및 스토퍼의 상호작동에 의하여 조아져서 밴드가 탄탄하게 조아지며 결합되는 것이다. 즉, 분리형 버클을 벌릴 때는 몸체부가 회전하게 되고 작동부는 래칫휘일의 이빨에 저지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분리형 버클을 접게 될 때는 작동부가 회전하게 되고, 몸체부는 래칫휘일의 이빨에 저지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밴드가 탄탄하게 조아지게 된다.
곧,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에는 스토퍼 결합구멍(28)이 각각 형성되어 스토퍼(50)의 양단이 상기 스토퍼 결합구멍(28)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의 스토퍼 결합구멍(28)에는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좌측 멈춤스프링(51)이 좌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멈춤스프링홈(52)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멈춤스프링(91)이 우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멈춤스프링홈(92)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50)가 스토퍼 결합구멍(28) 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 사이에는 작동편(60)이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60)은 전방작동판(61), 좌,우작동판(62, 63)과, 후방의 작동손잡이(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에는 작동편 결합구멍(35)이 각각 형성되고 작동편(60)의 전방 모서리부 양단이 상기 작동부(30)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 작동스프링(39)과 함께 결합되며, 상기 작동편(60) 좌,우작동판(62, 63) 측면에는 경사면(6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는 착탈구멍(66)과 작동홈(67)이 형성된 착탈부재(65)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동손잡이(64)를 뒤로 당기면, 작동손잡이(64)가 뒤로 후퇴하며, 상기 좌,우작동판(62, 63)의 경사면(68)이 상기 착탈부재(65)의 작동홈(6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착탈부재(65)가 외부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래칫휘일축(27)이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가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를 상기 착탈구멍(66)에 결합하게 하여 몸체부(20)와 작동부(30)를 결합하는 것은 상기의 역순으로 하는 것으로, 작동손잡이(64)가 뒤로 후퇴하여 착탈부재(65)가 외부로 벌어지게 한 후, 래칫휘일연결체(24)가 상기 착탈부재(65)의 착탈구멍(66)에 결합되게 하여, 최종적으로 몸체부(20)와 작동부(30)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에서 밴드를 풀 경우에는 작동부의 작동편의 작동손잡이를 뒤로 잡아 당겨서 작동편 선단을 래칫휘일에서 이탈시키고는 몸체부와 작동부를 수평이 될 때까지 벌린다. 이 경우, 몸체부의 좌,우프레임의 후단에는 작동편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해체용 홈에 상기 작동편의 선단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의 좌,우고정판의 선단은 스토퍼멈춤돌기(111)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부와 작동부를 수평이 될 때까지 벌리게 되면, 몸체부의 스토퍼가 상기 작동부의 좌,우고정판의 멈춤돌기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는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좌측 작동스프링(39)이 좌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작동스프링홈(85)에 결합되며,
상기 우측 작동스프링(86)은 우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87)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작동스프링홈(88)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편(60)이 작동편 결합구멍(35) 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발명은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여자들을 위하여 상기 착탈부재 대신에 착탈캡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을 기재하면,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좌, 우에 각각 결합되며 후방에 래칫휘일축 결합공(70)이 형성된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 우프레임(22, 23)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구성되되,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밴드삽입구멍(80)이 중앙에 형성되며 좌, 우 프레임의 래칫휘일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축(27)과, 상기 래칫휘일축(27)의 좌, 우에 결합되는 좌, 우 래칫휘일(25, 2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0)는 래칫휘일축 결합 고리부(37)가 각각 형성된 좌, 우고정판(33, 34)과;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 결합되며, 래칫휘일축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착탈캡과; 상기 좌,우고정판(33, 34)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칫휘일축 (27)양단은 착탈캡에 대응되게 나사부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부(20)의 래칫휘일축 (27)양단에 좌, 우고정판(33, 34)의 결합 고리부(37)와 착탈캡이 모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밴드를 체결한 후 착탈캡을 벗긴 후 상기 작동부를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며, 또한 밴드를 풀기 위하여는 상기 작동부를 몸체부에 다시 결합한 후, 착탈캡을 씌운뒤 버클을 작동하여 밴드를 풀게 된다. 착탈캡은 래칫휘일축 양단에 결합되게 뚜껑형상이며 뚜껑 안쪽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재질은 금속외에도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밴드를 체결한 후 버클의 일부인 작동부(30)를 분리, 보관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는 밴드를 분리할 수 없게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 밴드 20 : 몸체부
30 : 작동부 21 : 전방프레임
22, 23 : 좌, 우프레임 24 : 래칫휘일연결체
25, 26 : 좌,우 래칫휘일 27 : 래칫휘일축
28 : 스토퍼 결합구멍
29 : 멈춤스프링 고정돌기 33, 34 : 좌, 우고정판
35 : 작동편 결합구멍
37 : 결합 고리부 38 : 좌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
39 : 좌측 작동스프링 40 : 고정손잡이부
50 : 스토퍼 51 : 좌측 멈춤스프링
52 : 좌측멈춤스프링홈 60 : 작동편
61 : 전방작동판 62, 63 : 좌,우작동판
64 : 작동손잡이 65 : 착탈부재
66 : 착탈구멍 67 : 작동홈
68 : 경사면
70 : 래칫휘일축 결합공 80 : 밴드삽입구멍
85 : 좌측작동스프링홈 86 : 우측작동스프링
87 : 우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 88 : 우측작동스프링홈
91 : 우측 멈춤스프링 92 : 우측멈춤스프링홈
110 : 작동편삽입홈 111 : 스토퍼멈춤돌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밴드(10)를 서로 분리하거나, 체결하면서 조을 수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는 작동부(30)로 구성되어, 밴드(10)를 몸체부(20)에 체결한 후 버클에서 작동부(30)을 분리함으로써, 제3자가 작동부(30) 없이 몸체부(20)만으로 체결된 밴드를 풀 수 없게 되는 것이되,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좌, 우에 각각 결합되며 후방에 래칫휘일축 결합공(70)이 형성된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 우프레임(22, 23)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구성되되,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밴드삽입구멍(80)이 중앙에 형성되며 좌, 우 프레임의 래칫휘일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축(27)과, 상기 래칫휘일축(27)의 좌, 우에 결합되는 좌, 우 래칫휘일(25, 2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0)는 래칫휘일축 결합 고리부(37)가 각각 형성된 좌, 우고정판(33, 34)과;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 결합되며, 전방에 래칫휘일축 착탈구멍(66)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작동홈(67)이 형성된 착탈부재(65)와; 상기 좌,우고정판(33, 34)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부(40);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20)의 래칫휘일축 (27)양단에 좌, 우고정판(33, 34)의 결합 고리부(37)와 착탈부재(65)의 착탈구멍(66)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작동손잡이(64)를 뒤로 당기면, 상기 착탈부재(65)가 바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래칫휘일축(27)이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에는 스토퍼 결합구멍(28)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래칫휘일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50)의 양측면이 상기 스토퍼 결합구멍(28)에 멈춤스프링과 함께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20) 좌,우프레임(22, 23)의 스토퍼 결합구멍(28)에는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좌측 멈춤스프링(51)이 좌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멈춤스프링홈(52)에 결합되고, 우측 멈춤스프링(91)이 우측 멈춤스프링 고정돌기(29)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스토퍼(5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멈춤스프링홈(92)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50)가 스토퍼 결합구멍(28)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 사이에는 작동편(60)이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60)은 전방작동판(61), 좌,우작동판(62, 63)과, 후방의 작동손잡이(6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0)의 좌,우고정판(33, 34)에는 작동편 결합구멍(35)이 각각 형성되고 작동편(60)의 전방 모서리부 양단이 상기 작동부(30)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 작동스프링(39)과 함께 결합되며, 상기 작동편(60) 좌,우작동판(62, 63) 측면에는 경사면(6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는 착탈구멍(66)과 작동홈(67)이 형성된 착탈부재(65)가 결합되어 있어서,
    작동손잡이(64)를 뒤로 당기면, 작동손잡이(64)가 뒤로 후퇴하며, 상기 좌,우작동판(62, 63)의 경사면(68)이 상기 착탈부재(65)의 작동홈(6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착탈부재(65)가 외부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래칫휘일축(27)이 상기 착탈구멍(66)에서 이탈하게 되어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작동편 결합구멍(35)에는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 87)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좌측 작동스프링(39)이 좌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38)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좌측작동스프링홈(85)에 결합되고, 우측 작동스프링(86)이 우측 작동스프링 고정돌기(87)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작동편(60)의 가운데에 형성된 우측작동스프링홈(88)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편(60)이 작동편 결합구멍(35)내에서 전후 이송되며, 래칫휘일(25, 26)의 이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며 래칫휘일(25, 26)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전방프레임(21)과,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좌, 우에 각각 결합되며 후방에 래칫휘일축 결합공(70)이 형성된 좌, 우프레임(22, 23)과, 상기 좌, 우프레임(22, 23)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연결체(24)로 구성되되, 상기 래칫휘일연결체(24)는 밴드삽입구멍(80)이 중앙에 형성되며 좌, 우 프레임의 래칫휘일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래칫휘일축(27)과, 상기 래칫휘일축(27)의 좌, 우에 결합되는 좌, 우 래칫휘일(25, 2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0)는 래칫휘일축 결합 고리부(37)가 각각 형성된 좌, 우고정판(33, 34)과; 상기 작동부(30) 좌,우고정판(33, 34)의 바깥면에 결합되며, 래칫휘일축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착탈캡과; 상기 좌,우고정판(33, 34)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부(40);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20)의 래칫휘일축 (27)양단에 좌,우고정판(33, 34)의 결합 고리부(37)와 착탈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착탈캡을 착탈함으로써, 몸체부(20)와 작동부(3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버클
KR1020110051635A 2011-05-30 2011-05-30 분리형 버클 KR10122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35A KR101222418B1 (ko) 2011-05-30 2011-05-30 분리형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35A KR101222418B1 (ko) 2011-05-30 2011-05-30 분리형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22A KR20120133122A (ko) 2012-12-10
KR101222418B1 true KR101222418B1 (ko) 2013-01-15

Family

ID=4751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35A KR101222418B1 (ko) 2011-05-30 2011-05-30 분리형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18A (ko) 2015-03-18 2016-09-28 이은정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KR102630648B1 (ko)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35B1 (ko) * 2014-04-18 2014-08-13 주식회사 카스글로벌 화물고정용 벨트의 결속장치
KR200491252Y1 (ko) * 2018-06-20 2020-03-09 신성혁 래칫버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537A (ja) 2008-11-10 2010-05-20 Ashimori Ind Co Ltd ベルト締具
JP2011036349A (ja) * 2009-08-07 2011-02-24 Jang Wen-Cheng 分離式ラチェット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537A (ja) 2008-11-10 2010-05-20 Ashimori Ind Co Ltd ベルト締具
JP2011036349A (ja) * 2009-08-07 2011-02-24 Jang Wen-Cheng 分離式ラチェットバック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18A (ko) 2015-03-18 2016-09-28 이은정 벨트 텐셔너 및 벨트 텐셔너용 분리형 작동레버
KR102630648B1 (ko)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22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077B2 (en) Adjustable strap
CA2681833C (en) Apparatus for securing a lid to a bin in a closed position
US5423644A (en) Cargo tie-down having mechanical advantage
US7947061B1 (en) Ratcheting tourniquet apparatus
US10421386B2 (en) Tie down strap with strap loop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while securing cargo
KR101222418B1 (ko) 분리형 버클
US5063641A (en) Buckle for locking straps
US2981993A (en) Buckle
US20110005047A1 (en) Adjustable cam buckle
WO2010093393A1 (en) Ratchet buckle
US9623788B2 (en) Strap tensioning buckle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978635B1 (en) Device for fastening a load strap
KR101113069B1 (ko) 건물 베란다 안전그물망
US20160174696A1 (en) Strap and Handle Assembly
WO2018076129A1 (zh) 一种车用绞盘主机结构以及车用绞盘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SE531090C2 (sv) Anordning vid dragorgan
KR200166926Y1 (ko)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293775Y1 (ko) 화물고정용텐셔너
US3734365A (en) Back pack and fastener
DE202005003545U1 (de) Trageinrichtung, insbesondere zum Anbringen an einem Zweirad
WO2013173522A1 (en) Strap for securing cargo on a vehicle
KR940006120Y1 (ko) 화물자동차의 화물결박장치
US11111983B1 (en) End fitting assembly for a tie-down strap and a tie-down strap formed therewith
CN209956133U (zh) 一种便装摩托车后备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