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024A - 원격 서버 - Google Patents

원격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024A
KR20160111024A KR1020167022389A KR20167022389A KR20160111024A KR 20160111024 A KR20160111024 A KR 20160111024A KR 1020167022389 A KR1020167022389 A KR 1020167022389A KR 20167022389 A KR20167022389 A KR 20167022389A KR 20160111024 A KR20160111024 A KR 2016011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time
information
uni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시노하라
아키라 노베
야스유키 타니마사
케이스케 우에즈미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을 식별하는 정보인 기계 식별 정보 및 소정의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 서버는 기계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작업기 또는 선박을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을 특정하고, 별도 입력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 또는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수신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과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보수 부품 및 상기 보수 재료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서비스 거점에 통지한다.

Description

원격 서버{REMOTE SERVER}
본 발명은 작업기 등을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작업기 등의 보수 부품의 관리를 지원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의 원격 서버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 등을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작업기 등의 보수 부품의 관리를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부품마다 실제의 수리 교환 시간간격을 통계 처리하고, 이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특정 건설 기계의 가동 정보와 비교해서 그 특정 건설 기계가 대응하는 부품의 수리 교환 예정 시기를 정하는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선박의 운행 계획 및 기항 예정지에 관한 운행 정보에 의거하여 재고의 보충이 필요한 유지 보수용 부품에 대해서 상기 유지 보수용 부품을 사용해서 유지 보수 작업이 실시되는 예정일보다 전에 선박이 기항하는 기항지를 상기 유지 보수용 부품의 운반 장소로서 결정하는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593055호 공보 일본 특허 제490917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수리 교환 예정 시기를 결정하지만,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예를 들면, 서비스 거점)를 특정하는 구성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관리 시스템은 선박의 운행 정보에 의거하는 재고의 보충이 필요한 유지 보수용 부품에 관한 선박이 기항하는 기항지를 결정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를 특정하는 구성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을 식별하는 정보인 기계 식별 정보 및 소정의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 서버로서, 상기 기계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을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을 특정하고, 별도 입력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 또는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으로부터 수신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과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보수 부품 및 상기 보수 부재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상기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상기 서비스 거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수 부품 및 상기 보수 시기를 상기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상기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더 통지하는 실시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작업기를 원격 감시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를 구비한 작업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작업기에 있어서의 원격 감시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작업기가 콤바인인 경우에서의 각종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요소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에 의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의 동작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원격 감시 센터에 형성된 원격 서버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부품 식별 정보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를 정규 유지 보수 이력으로서 가동 데이터와 함께 기계 식별 정보마다 보존한 제 1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기억부에 설정되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기계 식별 정보에 기종 정보를 관련지어서 보존한 제 2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기억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기계 식별 정보에 서비스 거점 정보를 관련지어서 보존한 제 3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13은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에 의해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을 결정하는 보수 시기 결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서비스 거점에 통지된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일례를 교환 부품의 종류와 함께 나타낸 일람표이다.
도 15는 화면 지시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원격 서버에 있어서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월 단위의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원격 서버에 있어서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서 콤바인, 경운기나 이앙기 등의 작업기(예를 들면, 농업 기계)를 예로 들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은 작업기(110, …)를 원격 감시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를 구비한 작업기(11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작업기(110)에 있어서의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1개 또는 복수(여기에서는 복수)의 작업기(110, …)와, 작업기(110, …)에 각각 설치된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와,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통신망(140)을 통해 접속되는 원격 서버(130)를 구비하고 있다.
원격 서버(130)는 작업기(110, …)에 대해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원격 감시 센터(120)에 배치되어 있고,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미리 정한 소정의 가동 데이터를 수집해서 축적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서버(130)는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50)를 통해 PC, 태블릿형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 등의 단말 장치(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60, …)에 접속되어 축적한 데이터가 단말 장치(160, …)에 도입됨으로써 작업기(110)의 유저나 딜러 등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단말 장치(160)는 제어부(161)와, 키보드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162)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6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61)는 원격 서버(130)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에 의거한 표시 정보나, 각종 입력 화면을 표시부(163)에 표시하거나, 입력부(162)로부터 입력된 필요한 정보를 접수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 및 원격 서버(130)는 각각 통신부(210, 131)(구체적으로는 통신 모듈)를 갖고, 통신망(140)을 통해 서로의 통신부(210, 131)로 접속됨으로써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와 원격 서버(130)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격 서버(130)는 원격 감시 센터(120)에서 이용자에 의해 작업기(110, …)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신망(140)은 유선 통신망이어도 좋고, 무선 통신망이어도 좋고,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을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통신망(140)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전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공중 회선망으로서, 고정 전화기나 휴대 전화기 등의 단말기끼리를 통신시키는 공중 회선망을 들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110, …)는 1개 또는 복수(여기에서는 복수)의 작업부(111, …)와,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작업부(111, …)로서는, 예를 들면 작업기가 콤바인인 경우에는 주행 작업부, 예취 작업부, 탈곡 작업부 등을 들 수 있다.
각 작업부(111, …)에는 전자 제어 장치(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13, …)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제어 장치(113, …)는 각종 액추에이터(도시 생략)에 대해서 지령하고, 각 작업부(111, …)로의 운전 상태를 적절히 제어한다. 각 전자 제어 장치(113, …)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규격에 의거하여 서로 데이터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전자 제어 장치(113, …)는 각 작업부(111, …)에서의 각종 센서로 검출한 검출값 정보(신호) 및 각종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에 의거하여 각작업부(111, …)로의 운전 상태를 작동 제어한다. 또한, 각 전자 제어 장치(113, …)는 작업기(110)의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의 이상 발생의 유무를 적당히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이상에 따른 에러 정보(구체적으로는 에러 코드)를 생성한다.
작업부(111, …) 중 엔진(112)을 작동시키는 작업부(주행 작업부(111a))는 엔진(112)과, 엔진(112)의 회전수나 부하 상태 등을 감시하고, 최적인 분사 압력이나 분사 시기를 연료 시스템에 지시해서 엔진 전체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와, 발전기(114)와, 기동 스위치(SW)를 구비하고 있고, 배터리(BT)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는 작업부(111)(주행 작업부(111a))의 작동 제어 외에 운전 개시/휴지의 조작이나, 엔진(112)의 구동에 의한 운전 상태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부(111)(주행 작업부(111a))의 엔진(112)의 가동 상태에 있어서, 발전기(11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배터리(BT)의 충전이 적당히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작업부(111)(주행 작업부(111a))에 구비되어 있는 기동 스위치(SW)는 전원 온 상태와 전원 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스위치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원 온 상태는 배터리(BT)로부터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40)(도 3 참조) 및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가 된다. 전원 오프 상태는 배터리(BT)로부터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40) 및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배터리(BT)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40)에 접속된 전원 접속 라인(L1) 및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에 접속된 전원 접속 라인(L2)의 쌍방에 기동 스위치(SW)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기동 스위치(SW)는 소위 키 스위치라고 불리는 스위치이며, 「ON」 단자는 전원 접속 라인(L1, L2)의 접속 단자이다. 「OFF」 단자는 기동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일 때의 단자이다.
또한, 기동 스위치(SW)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 상관없이 배터리(BT)와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부(220)(도 3 참조)가 전원 접속 라인(L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원격 감시 단말 장치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와, 통신시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각종 입출력 제어 및 연산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220)와,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관한 가동 데이터가 입력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T, …)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
통신부(210)는 원격 감시 센터(120)(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원격 서버(130)의 통신부(131)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통신 규약)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통신부(210)에서 변환된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제어부(240)에서 취득한 작업기(110)의 가동 데이터 등을 원격 서버(130)에 송신한다.
(전원 제어부)
전원 제어부(220)는 기동 스위치(SW)의 오프 상태 및 온 상태에 상관없이 배터리(BT)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부(220)의 입력측 전원 라인(도시 생략)과 배터리(BT)가 전원 접속 라인(L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원 제어부(220)는 배터리(BT)로부터의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40)의 전원 라인(도시 생략)과 전원 제어부(220)의 출력측 전원 라인(도시 생략)이 전원 접속 라인(L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PS 센서(위치 센서의 일례)(231)와, GPS 센서(231)에서 수신한 전파에 의거하여 작업기(110)의 위치 정보 등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32)와, 위치 검출부(232)에서 검출한 위치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를 더 구비하고 있다.
GPS 센서(231)는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세계 표준 일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세계 표준 일시는 협정 세계시(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를 의미한다.
위치 검출부(232)는 작업기(110)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지의 정보 외에 작업기(110)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거나, 작업기(110)의 방향 정보를 검출하거나 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는 작업기(110)의 위도, 경도, 속도 및 방향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검출부(232)는 GPS 센서(231) 및 GPS 위성과 함께 GPS 위성 시스템(측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는 전원 제어부(220)에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BT)로부터의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
제어부(2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처리부(250)와, ROM(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억부(260)와,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의 일시 정보를 얻기 위한 시계 기능을 구비한 시각 취득 타이머(27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40)는 처리부(250)가 기억부(260)의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부(260)의 RAM 상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각종 구성 요소의 작동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 단자)
복수(여기에서는 70개)의 접속 단자(T, …)는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 …)에 접속되는 복수 종류의 접속 단자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32개)의 제 1 접속 단자(T1, …)와,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20개)의 제 2 접속 단자(T2, …)와,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4개)의 제 3 접속 단자(T3, …)와,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4개)의 제 4 접속 단자(T4, …)와,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8개)의 제 5 접속 단자(T5, …)와, 1개 또는 2개 이상(여기에서는 2개)의 제 6 접속 단자(T6,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접속 단자(T1, …), 제 2 접속 단자(T2, …), 제 3 접속 단자(T3, …) 및 제 4 접속 단자(T4, …)는 제어부(240)에 접속되어 있고, 제 1 접속 단자(T1, …) 및 제 2 접속 단자(T2)는 각 작업부(111, …)에 있어서의 출력 요소(Q, …)와 전자 제어 장치(113, …)를 통해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5 접속 단자(T5, …) 및 제 6 접속 단자(T6, …)는 제어부(240)에 접속되어 있고, 각 작업부(111, …)에 있어서의 출력 요소(Q, …)와 직접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T1, …)는 온·오프 정보(구체적으로는 0 또는 1의 접점 정보), 고장 등의 이상의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상태 정보(구체적으로는 0 또는 1의 에러 유무 정보) 등의 2값 정보(구체적으로는 2값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a,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a, …)로부터의 2값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에서는 2값 정보는 CAN의 비트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2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a, …)로서는 전자 제어 장치(113, …)의 입력계에 접속되어서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있어서의 온·오프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스위치(Wa, …)나, 전자 제어 장치(113, …)에 형성되어서 각 작업부(111, …)에서의 고장 등의 이상의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Pa)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a, …)가 각종 스위치(Wa, …)일 경우에는 제 1 접속 단자(T1, …)는 각종 스위치(Wa, …)로부터의 온·오프 정보가 전자 제어 장치(113, …)를 통해 입력되고, 출력 요소(Qa, …)가 출력 제어부(Pa)인 경우에는 제 1 접속 단자(T1, …)는 전자 제어 장치(113, …)에 있어서의 출력 제어부(Pa)로부터의 에러 상태 정보가 입력된다.
제 2 접속 단자(T2, …)는 미리 정한 물리량을 측정(검출)한 값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 고장 등의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 배터리(BT)의 전압값 등의 검출값 정보(구체적으로는 다식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b,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b, …)로부터의 검출값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에서는 검출값 정보는 CAN의 수치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검출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b, …)로서는 전자 제어 장치(113, …)의 입력계에 접속되어서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Wb, …)나,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에 형성되어서 배터리(BT)의 전압값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Pb)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b, …)가 각종 센서(Wb, …)인 경우에는 제 2 접속 단자(T2, …)는 각종 센서(Wb, …)로부터의 수치 데이터가 전자 제어 장치(113, …)를 거쳐서 입력되고, 출력 요소(Qb, …)가 출력 제어부(Pb)인 경우에는 제 2 접속 단자(T2, …)는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에 있어서의 출력 제어부(Pb)로부터의 배터리(BT)의 전압값이 입력된다.
제 3 접속 단자(T3, …)는 엔진(112) 등의 운전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의 가동 시간(운전 시간)을 적산한 적산 시간을 계측하는 적산 시간계(아워 미터)에 의한 적산 시간 등의 적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c,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c, …)로부터의 적산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에서는 적산 정보는 CAN의 적산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적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c, …)로서는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에 형성되어서 엔진(112)의 운전 개시시(기동 스위치(SW)의 온 조작을 접수한 시점)로부터 엔진(112)의 운전 정지시(기동 스위치(SW)의 오프 조작을 접수한 시점)까지의 엔진(112)의 가동 시간(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을 적산한 적산 시간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Pc)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c, …)가 출력 제어부(Pc)인 경우에는 제 3 접속 단자(T3, …)는 전자 제어 장치(113)(엔진 컨트롤러(113a))에 있어서의 출력 제어부(Pc)로부터의 엔진(112)의 적산 시간이 입력된다.
제 4 접속 단자(T4, …)는 CAN의 통신 프로토콜(통신 규약)에 관한 에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d,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d, …)로부터의 에러 정보가 입력된다.
에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d, …)로서는 전자 제어 장치(113, …)에 형성되어서 CAN의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사양의 에러를 인식해서 상기 에러에 따른 에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Pd)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d, …)가 출력 제어부(Pd)인 경우에는 제 4 접속 단자(T4, …)는 전자 제어 장치(113, …)에 있어서의 출력 제어부(Pd)로부터의 에러 정보가 입력된다.
제 5 접속 단자(T5, …)는 2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e,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e, …)로부터의 2값 정보가 입력된다.
2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e, …)로서는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있어서의 온·오프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스위치(We, …)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e, …)가 각종 스위치(We, …)인 경우에는 제 5 접속 단자(T5, …)는 각종 스위치(We, …)로부터의 온·오프 정보가 직접적으로 입력된다. 또한, 제 5 접속 단자(T5, …)는 각 작업부(111, …)에 전자 제어 장치(113, …)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주로 각 작업부(111, …)에 전자 제어 장치(113, …)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유리하다.
제 6 접속 단자(T6, …)는 미리 정한 물리량을 측정(검출)한 값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예를 들면, 배터리(BT)의 전압값이나 전자 제어 장치(113, …)에 탑재된 기판(도시 생략)의 온도) 등의 검출값 정보(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f, …)에 접속되어서 출력 요소(Qf, …)로부터의 검출값 정보가 입력된다.
검출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요소(Qf, …)로서는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Wf, …)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요소(Qf, …)가 각종 센서(Wf, …)인 경우에는 제 6 접속 단자(T6, …)는 각종 센서(Wf, …)로부터의 수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입력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 입력부(280) 및 표시부(290)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도 4는 작업기(110)가 콤바인인 경우에서의 각종 접속 단자(T1, …T6, …)에 대응하는 출력 요소(Qa, …~Qf, …)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단자(T1, …)에 접속된 출력 요소(Qa, …)는 탈곡 스위치, 예취 스위치, 엔진 관계의 차지, 유압, 수온, 오버 로드, 에어클리너 막힘, 폐짚·커터 막힘, 엔진 긴급 정지 등의 경보라는 32항목의 2값 정보를 제 1 접속 단자(T1, …)에 입력한다. 제 2 접속 단자(T2, …)에 접속된 출력 요소(Qb, …)는 작업시 및 비작업시에서의 단위 시간당 엔진(112)의 회전수, 작업시 및 비작업시에서의 엔진(112)으로의 부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엔진 부하율, 작업시 및 비작업시에서의 차속, 작업시 및 비작업시에서의 선회 모터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라는 20항목의 검출값 정보를 제 2 접속 단자(T2, …)에 입력한다. 제 3 접속 단자(T3, …)에 접속된 출력 요소(Qc, …)는 4항목의 적산 정보(이 예에서는 1항목의 적산 정보)를 제 3 접속 단자(T3, …)에 입력한다. 제 4 접속 단자(T4, …)에 접속된 출력 요소(Qd, …)는 4항목의 에러 정보를 제 4 접속 단자(T4, …)에 입력한다. 제 5 접속 단자(T5, …)에 접속된 출력 요소(Qe, …)는 8항목의 2값 정보를 제 5 접속 단자(T5, …)에 입력한다. 또한, 제 6 접속 단자(T6, …)에 접속된 출력 요소(Qf, …)는 2항목의 검출값 정보(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전압 및 기판 온도)를 제 6 접속 단자(T6, …)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가동 데이터를 원격 서버(130)에 송신하는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
도 5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에 의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의 동작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작업기(110)의 가동 중에 접속 단자(T, …)를 통해 입력된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에 관한 가동 데이터(도 4 참조)를 취득 일시(구체적으로는 세계 표준의 서력, 년, 월, 일, 시, 분, 초)의 미리 정한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30초)마다 취득해서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장한 가동 데이터를 원격 서버(130)(도 1 참조)에 송신한다.
상세하게는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기동 스위치(SW)의 온의 기간에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30초)마다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241a)와, 데이터 취득부(241a)에서 취득한 가동 데이터를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에 일시적으로 저장시키는 데이터 저장 제어부(241b)를 포함하는 동작부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가 저장하고 있는 가동 데이터를 통신부(210)로부터 원격 서버(130)(도 1 참조)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41c)를 포함하는 동작부로서도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240)는 기동 스위치(SW)의 오프 조작이 이루어져도 전원 제어부(220)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는 일은 없고, 데이터 저장 제어부(241b)에서 가동 데이터를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에 저장해서 가동 데이터를 원격 서버(130)로 송신한 후에 전원 제어부(220)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에서 가동 데이터를 원격 서버(130)의 통신부(131)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한 후 통신망(140) 및 통신부(131)를 거쳐서 원격 서버(130)에 송신한다.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에 의한 동작예)
이어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에 의한 동작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서는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기동 스위치(SW)의 온 조작을 접수하면(스텝 Sa1: Yes), GPS 센서(231) 및 위치 검출부(232)(도 3 및 도 5 참조)에 의해 작업기(110)의 위치 정보 및 일시를 취득해서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에 저장한다(스텝 Sa2).
이어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출력 요소(Q, …)로 작업기(110)의 가동 데이터를 검출하고(스텝 Sa3), 소정 주기(여기에서는 30초)의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a4), 상기 소정 주기의 타이밍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a4: No) 스텝 Sa3으로 이행한다. 한편,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스텝 Sa4에서 상기 소정 주기의 타이밍인 경우에는(스텝 Sa4: Yes), 가동 데이터를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에 저장한다(스텝 Sa5).
이어서,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기동 스위치(SW)의 오프 조작을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a6), 오프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a6: No) 스텝 Sa3으로 이행한다. 한편,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는 스텝 Sa6에서 오프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에는(스텝 Sa6: Yes) 가동 데이터 기억부(233)가 저장하고 있는 가동 데이터를 원격 서버(130)에 송신하고(스텝 Sa7), 처리를 종료한다.
[원격 서버에 대해서]
도 7은 원격 감시 센터(120)에 형성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센터(120)에 설치된 원격 서버(130)는 통신부(131)와, 통신시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각종 입출력 제어 및 연산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
통신부(131)는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의 통신부(210)(도 1로부터 도 3 참조)와 동일 통신 프로토콜(통신 규약)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통신부(131)로 변환된다. 통신부(131)는 상술한 가동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
제어부(13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처리부(133)와, ROM(Read Only Memory),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억부(134)를 갖고 있다.
제어부(132)는 처리부(133)가 기억부(134)의 ROM에 미리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부(134)의 RAM 상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각종 구성 요소의 작동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작업기(110, …)를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는 미리 필요한 보수 부품을 확보하고 있지 않은 경우, 고장 등에 의해 보수 부품의 교환이 필요해졌을 때에 보수 부품을 발주하게 되므로 보수 부품의 입하 대기의 기간이 발생하고, 그만큼 유지 보수 대응이 느려지게 된다. 이것은 보수 부품이 빈번히 교환될 일은 없지만 고장이 나면 기계가 정지해버린다는 중요 부품이나, 발주해서 입하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는 부품의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가능한 한 많은 보수 부품을 재고해 두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 그만큼 재고 비용이 커지고, 또한 재고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이것은 보수 부품이 고가인 부품이나, 재고 스페이스를 취해버리는 대형 부품의 경우에 특히 현저해진다. 따라서,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미리 필요한 보수 부품을 적정하게 확보하는 것이 요망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하여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는 별도 입력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 또는 작업기(110)로부터 수신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거점이란 메이커가 운영하는 서비스 센터라는 서비스 거점뿐만 아니라 메이커가 인정한 정규 대리점이라는 서비스 거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정규 유지 보수란 메이커측(서비스 거점)이 행하는 유지 보수(즉, 규정의 시기에 규정의 부품(순정 부품)에 대해서 행하는 교환, 규정의 시기에 규정의 개소에 대해서 행하는 청소, 조정이나 그리스 주입 등의 유지 보수)를 말한다.
상세하게는 원격 서버(130)에 네트워크(15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거점의 단말 장치(160)(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제어부(161)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으로서 부품을 식별하는 정보인 부품 식별 정보(구체적으로는 부품 코드) 및 유지 보수 내용 정보(교환, 청소, 조정이나 그리스 주입 등의 유지 보수 내용 코드)를 작업기(110)를 식별하는 정보인 기계 식별 정보(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와 함께 입력부(162)에서 수동의 입력 조작(구체적으로는 키 입력 조작)에 의해 접수, 접수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 및 기계 식별 정보를 원격 서버(13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기(110)에 있어서의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도 3 참조)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으로서 부품 식별 정보 및 유지 보수 내용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80)와, 입력부(280)에서 입력한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9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80)에서 수동의 입력 조작(구체적으로는 키 입력 조작)에 의해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을 접수하고, 접수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을 기계 식별 정보(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와 함께 원격 서버(13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 서버(130)는 키보드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135)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36)와, 프린터 등의 인쇄부(13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32)는 입력 화면을 표시부(136)에 표시하거나, 입력부(135)로부터 입력된 필요한 정보를 접수하거나 또는 인쇄 처리된 인쇄 정보를 인쇄부(137)에서 인쇄하도록 되어 있다.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으로서 입력부(135)에서 수동의 입력 조작(구체적으로는 키 입력 조작)에 의해 부품 식별 정보 및 유지 보수 내용 정보를 기계 식별 정보(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와 함께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말 장치(160)에 있어서의 입력부(162),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입력부(280) 및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입력부(135)는 부품 식별 정보(구체적으로는 부품 코드)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예를 들면, 바코드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160)에 있어서의 제어부(161),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40) 및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는 입력부(162), 입력부(280) 및 입력부(135)에서 판독한 부품 식별 정보를 접수하도록 되어있어도 좋다. 또한,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의 입력이 단말 장치(160),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 및 원격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도 7 참조)는 입력부(162), 입력부(280) 또는 입력부(135)에서 접수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을 기계 식별 정보(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와 함께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부(132)는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적산 시간)을 사용해서 부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에 대한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적산 시간을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로서 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지 보수 실시 시기의 적산 시간은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적산 시간)에 의해, 또한 2회째 이후에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할 경우에는 과거에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기계 식별 정보마다, 또한 부품 식별 정보마다 기억부(134)에 기억한 가동 시간(적산 시간)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적산 시간으로서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작업기(110)에 있어서의 표시부(29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적산 시간)을 입력부(162), 입력부(280) 또는 입력부(135)를 통해 수동의 입력 조작에 의해 취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 중으로부터 부품 식별 정보를 취득했을 때의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적산 시간)을 자동적으로 취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132)는 취득한 부품 식별 정보 및 산출한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를 정규 유지 보수 이력으로서 기계 식별 정보마다(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의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의 부품을 교환했을 경우에서의 부품 교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적산 시간의 근방의 가동 데이터(예를 들면, 부품을 교환했을 때의 적산 시간과 그것보다 소정 시간 거스른 시간 사이에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기계 식별 정보(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마다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도 8은 부품 식별 정보(RE)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를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으로서 가동 데이터와 함께 기계 식별 정보(SD)마다 보존한 제 1 데이터 베이스(DB1)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1 데이터 베이스(DB1)에는 부품 식별 정보(RE)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가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으로서 기계 식별 정보(SD)마다 보존된다. 또한, 제어부(132)는 작업기(110)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 중 부품 식별 정보(RE)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부품 교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적산 시간의 근방의 가동 데이터(예를 들면,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 각종 센서로부터의 온·오프 정보(구체적으로는 0 또는 1의 접점 정보)의 경보 및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수치 데이터의 이상)를 제 1 데이터 베이스(DB1)에 부품 식별 정보(RE) 및 부품 교환 시간 정보에 관련지어서 자동적으로 보존한다.
그리고, 제어부(132)는 작업기(110, …)의 기계 식별 정보(SD)에 의거하여 서비스 거점을 특정하고, 기억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과 작업기(110, …)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즉, 보수 부품의 교환이 필요해졌다고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 서비스 거점에 필요해지는 보수 부품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특정한 서비스 거점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32)는 서비스 거점에 필요해지는 보수 부품의 보수 시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어부(132)는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비정기 교환 부품에 대해서 기억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과 작업기(110, …)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로부터 문제에 의해 교환했다고 판정한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후술하는 도 9 참조)에 의거하여 보수 부품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미리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는 정기 교환 부품에 대해서 미리 설정한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후술하는 도 11 참조)에 의거하여 보수 부품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P1)와,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P2)와,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산출부(P3)와, 유지 보수 이력 기억 제어부(P4)와,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와,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6)와,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와, 보수 시기 결정부(P8)와, 통지 제어부(P9)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P1)는 각 작업기(110, …)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로부터 송신되어 온 가동 데이터를 기계 식별 정보(SD)(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마다 수신해서 기억부(134)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P2)는 입력부(162), 입력부(280) 또는 입력부(135)에서 접수한 부품 식별 정보(RE)를 포함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을 정규 유지 보수를 행한 작업기(110)의 기계 식별 정보(SD)와 함께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산출부(P3)는 정규 유지 보수를 실시했을 때의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적산 시간)으로부터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P2)에서 취득한 기계 식별 정보의 부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지 보수 부품의 적산 시간을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로서 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지 보수 이력 기억 제어부(P4)는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P2)에서 취득한 부품 식별 정보(RE)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산출부(P3)에서 산출한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를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도 8 참조)으로서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P1)에서 수신한 가동 데이터 중 부품 식별 정보(RE) 및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부품 교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가동 데이터(도 8 참조)와 함께 정규 유지 보수를 행한 작업기(110)의 기계 식별 정보(SD)마다 기억부(134)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는 유지 보수 이력 기억 제어부(P4)에서 기억부(134)에 기억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에 있어서의 부품 식별 정보(RE)에 대응하는 부품 교환 시간 정보와,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P1)에서 작업기(110, …)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로부터 비정기 교환 부품의 교환해야 할 시기인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를(도 9 참조) 기종 정보(MA)(구체적으로는 작업기(110)의 기종 코드, 기종명)마다 설정한다.
예를 들면,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에 있어서의 부품 식별 정보(RE)에 대응하는 부품 교환 시간 정보 중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 각종 센서로부터의 온·오프 정보(구체적으로는 0 또는 1의 접점 정보)의 경보 및 작업기(110)의 가동 상태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수치 데이터의 이상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선택된 이상(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XXX-YYYY [연료 호스]의 2280시간, 2350시간, …의 부품 교환 시간시에서의 「연료 잔량의 수치 데이터의 이상」, WWW-ZZZZ [라디에이터 호스]의 2086시간, 1980시간, …의 부품 교환 시간시에서의 「엔진 냉각 수온 상승 경보」 등의 이상)시의 부품 식별 정보(RE)에 대응하는 부품 교환 시간 정보가 가동 유지 보수 시기로 되어 동일한 부품 식별 정보(RE)(예를 들면, XXX-YYYY [연료 호스])의 가동 유지 보수 시기(예를 들면, 2280시간, 2350시간, …)를 평균한 시간(예를 들면, 2300시간)을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도 9 참조)로서 기계 식별 정보(SD)마다 기억부(134)에 설정(기억)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ABC-DEF [냉각 팬 벨트]는 가동 데이터가 「엔진 냉각수 온도 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는 문제에 의해 교환했다고 판정하지 않고, 그 부품 교환 시간 정보의 1520시간은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도 9는 기억부(134)에 설정되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34)에는 부품 식별 정보(RE)(이 예에서는 XXX-YYYY [연료 호스], WWW-ZZZZ [라디에이터 호스] 등의 보수 부품)에 대해서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이 예에서는 2300시간, 2000시간 등의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가 기종 정보(MA)마다 설정(기억)된다.
도 10은 기계 식별 정보(SD)에 기종 정보(MA)를 관련지어서 보존한 제 2 데이터 베이스(DB2)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2 데이터 베이스(DB2)에는 기종 정보(MA)(구체적으로는 작업기(110)의 기종 코드, 기종명)가 기계 식별 정보(SD)(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말 전화번호)에 관련지어져서 미리 보존되어 있다. 제어부(132)는 기계 식별 정보(SD)로부터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2 데이터 베이스(DB2)를 참조함으로써 기종 정보(MA)를 인식할 수 있다.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6)는 소정의 정기 점검시에 정기 교환 부품의 교환해야 할 시기인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도 11 참조)를 기종 정보(MA)마다 기억부(134)에 미리 설정(기억)해 두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는 수동의 입력 조작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은 기억부(134)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34)에는 부품 식별 정보(RE)(이 예에서는 AAA-BBBB [엔진 오일 엘리먼트], CCC-DDDD [워터 세퍼레이터], EEE-FFFF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등의 보수 부품)에 대해서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이 예에서는 200시간, 300시간, 300시간의 부품 교환 시기 등의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가 기종 정보(MA)마다 미리 설정(기억)되어 있다.
도 12는 기계 식별 정보(SD)에 서비스 거점 정보(N)를 관련지어서 보존한 제 3 데이터 베이스(DB3)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3 데이터 베이스(DB3)에는 서비스 거점 정보(N)(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비스 거점 코드, 그 명칭, 작업기(110)를 담당하는 서비스 맨 등의 담당자가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기계 식별 정보(SD)(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말 전화번호)에 관련지어져서 미리 보존되어 있다. 제어부(132)는 기계 식별 정보(SD)로부터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3 데이터 베이스(DB3)를 참조함으로써 서비스 거점 정보(N)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거점은 기계 식별 정보(SD)에 관련지어져서 설정(기억)된 서비스 거점 정보(N)를 사용해서 특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작업기(110)에 있어서의 원격 감시 단말 장치(200)에 설정한 단말 전화번호의 「111-222-333」으로부터 제 3 데이터 베이스(DB3)에서 취득한 서비스 거점 정보(N)에 의해 「S001」(○○ 서비스 센터) 및 담당자가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특정할 수 있다.
서비스 거점 특정부(P7)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 식별 정보(SD)에 관련지어져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 거점 정보(N)를 사용해서 서비스 거점 정보(N)를 구해야 할 기계 식별 정보(SD)(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로부터 서비스 거점 정보(N)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거점 특정부(P7)는 기억부(134)에 있어서의 제 3 데이터 베이스(DB3)에 있어서 기계 식별 정보(SD)와 일치하는 서비스 거점 정보(N)를 특정한다.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과거의 작업기(110)의 적산 시간으로부터 단위 일수당 단위 적산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단위 적산 시간에 의해 보수 시기로서 장래의 보수 부품의 수량을 집계하는 기간인 1개 또는 복수의 소정의 집계 기간(구체적으로는 일정 집계 기간)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에서 설정한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 중 산출한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도 9 참조)의 보수 부품(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비정기 교환 부품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이 예에서는 집계 기간) 및 상기 보수 시기에 작업기(110)에 필요해지는 보수 부품의 수량을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6)에서 설정한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 중 산출한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도 11 참조)의 보수 부품(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정기 교환 부품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이 예에서는 집계 기간) 및 상기 보수 시기에 작업기(110)에 필요한 보수 부품의 수량을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은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에 의해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을 결정하는 보수 시기 결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예를 들면 과거의 작업기(110)(기계 식별 정보 111-222-333, 기종명 AA-123)의 적산 시간(예를 들면, 납품시부터 현재까지의 적산 시간) 및 상기 적산 시간에 대응하는 사용 일수(예를 들면, 납품일부터 현재까지의 일수)로부터 월 평균 적산 시간으로서 1개월간의 예상 적산 시간(Ta)(240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1개월간의 예상 적산 시간(Ta)(240시간)과, 이번 달(2014년 1월)의 작업기(110)(기계 식별 정보 111-222-333, 기종명 AA-123)의 적산 시간(Tb)(1900시간)을 모두 더한 다음 달(2014년 2월)의 작업기(110)의 추정 적산 시간(Tc)(2140시간)을 산출하고,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 중 이번 달(2014년 1월)의 적산 시간(Tb)(1900시간)과 다음 달(2014년 2월)의 추정 적산 시간(Tc)(2140시간) 사이의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의 보수 부품(구체적으로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도 9 참조)가 2000시간인 작업기(110)(기종명 AA-123)의 WWW-ZZZZ [라디에이터 호스]), 그 보수 시기(2014년 1월) 및 상기 보수 시기에 작업기(110)에 필요한 보수 부품의 수량을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 결정한다.
또한,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예를 들면 산출한 1개월간의 예상 적산 시간(Ta)(240시간)과, 다음 달(2014년 2월)의 작업기(110)(기계 식별 정보 111-222-333, 기종명 AA-123)의 적산 시간(Tb)(2140시간)을 모두 더한 2개월 후(2014년 3월)의 작업기(110)의 추정 적산 시간(Td)(2380시간)을 산출하고,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 중 다음 달(2014년 2월)의 추정 적산 시간(Tc)(2140시간)과 2개월 후(2014년 3월)의 추정 적산 시간(Td)(2380시간) 사이의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의 보수 부품(구체적으로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도 9 참조)가 2300시간인 작업기(110)(기종명 AA-123)의 XXX-YYYY [연료 호스]), 그 보수 시기(2014년 2월) 및 상기 보수 시기에 작업기(110)에 필요한 보수 부품의 수량을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 결정한다.
또한,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이번 달 및 다음 달의 다른 보수 부재, 보수 시기 및 수량 및 다음 달보다 저번 달의 보수 부재, 보수 시기 및 수량도 마찬가지로 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에 의해 마찬가지로 해서 보수 부품, 보수 시기 및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P9)는 보수 시기 결정부(P8)에서 결정한 보수 시기(보수 시기가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가장 빠른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예를 들면, 보수 부품의 입하 시기를 고려한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통지 제어부(P9)는 보수 시기 결정부(P8)에서 결정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의 단말 장치(160)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작업기(110)를 담당하는 서비스 맨 등의 담당자의 휴대 수신 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전자 메일로서 송신하거나 또는/또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마다 인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서비스 거점의 단말 장치(160)(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제어부(161)는 원격 서버(130)로부터 보내져 온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단말 장치(160)에 있어서의 표시부(163)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서비스 거점의 담당자의 휴대 수신 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가 원격 서버(130)로부터 보내져 온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을 전자 메일로서 수신한다. 또한, 원격 감시 센터(120)에 있어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서비스 거점마다 인쇄하는 경우,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서비스 거점마다 인쇄한 장표를 사람의 손에 의해 대응하는 서비스 거점에 송부한다.
도 14는 서비스 거점에 통지된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일례를 교환 부품의 종류와 함께 나타낸 일람표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비스 거점(○○ 서비스 센터)에서는 2014년 1월, 2월, 3월의 보수 시기에는 각각 비정기 교환 부품의 XXX-YYYY [연료 호스]의 보수 부품이 각각 2개, 1개, 0개 필요하며, 비정기 교환 부품의 WWW-ZZZZ [라디에이터 호스]의 보수 부품이 각각 3개, 5개, 8개 필요한 것을 예상할 수 있고, 또한 정기 교환 부품의 AAA-BBBB [엔진 오일 엘리먼트]의 보수 부품이 각각 10개, 3개, 14개 필요하며, 정기 교환 부품의 CCC-DDDD [워터 세퍼레이터]의 보수 부품이 각각 15개, 3개, 5개 필요하며, 정기 교환 부품의 EEE-FFFF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보수 부품이 각각 8개, 6개, 9개 필요한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거점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참고로 해서 부품의 발주를 행할 수 있다.
(원격 서버에 있어서의 제어부에 의한 동작예)
이어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에 의한 동작예에 대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 입력부(135)로부터의 표시부(136)의 화면 지시에 의한 수동 처리를 행하는 경우와 월 단위의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화면 지시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
도 15는 화면 지시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의 처리에 앞서 제어부(132)는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P1)에 의해 각 작업기(110, …)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241)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기계 식별 정보(SD)(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마다 수신해서 상기 가동 데이터가 기억부(134)에 기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34)에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6)에 의해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가 미리 설정(기억)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1 참조).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서는 제어부(132)는 우선,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P2)에 의해 입력부(162), 입력부(280) 또는 입력부(135)로부터 부품 식별 정보(RE)를 포함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을 기계 식별 정보(SD)와 함께 취득한다(스텝 Sb1).
이어서, 제어부(132)는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산출부(P3)에 의해 작업기(110)의 가동 시간으로부터 스텝 Sb1에서 취득한 기계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기(110)의 부품 식별 정보(RE)에 대응하는 유지 보수 부품의 적산 시간을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로서 산출한다(스텝 Sb2).
이어서, 제어부(132)는 유지 보수 이력 기억 제어부(P4)에 의해 스텝 Sb1에서 취득한 부품 식별 정보(RE) 및 스텝 Sb2에서 산출한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를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으로서 기억부(134)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데이터 중 상기 부품 식별 정보(RE) 및 상기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에 대응하는 가동 데이터와 함께 기계 식별 정보(SD)마다 기억부(134)에 기억시킨다(도 8 참조)(스텝 Sb3).
이어서, 제어부(132)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P5)에 의해 스텝 Sb3에서 기억부(134)에 기억한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에 있어서의 부품 식별 정보(RE)에 대응하는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TM)(부품 교환 시간 정보) 및 가동 데이터로부터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를 기종 정보(MA)마다 설정한다(도 9 참조)(스텝 Sb4).
이어서, 제어부(132)는 서비스 거점 특정부(P7)에 의해 기계 식별 정보(SD)에 관련지어져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 거점 정보(N)를 사용해서(도 12 참조) 각 작업기(110, …)의 기계 식별 정보(SD)(예를 들면, 단말 전화번호)로부터 서비스 거점 정보(N)를 특정한다(스텝 Sb5).
이어서, 제어부(132)는 보수 시기 결정부(P8)에 의해 스텝 Sb4에서 설정한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 중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1)의 보수 부품(서비스 거점에 필요해지는 비정기 교환 부품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 및 미리 설정한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 중 집계 기간 내에 들어가는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STM2)의 보수 부품(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정기 교환 부품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을 스텝 Sb5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 결정한다(스텝 Sb6).
이어서, 제어부(132)는 통지 제어부(P9)에 의해 스텝 Sb6에서 결정한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스텝 Sb5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의 단말 장치(160)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작업기(110)를 담당하는 서비스 맨 등의 담당자의 휴대 수신 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전자 메일로서 송신한다(스텝 Sb7).
(월 단위의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
도 16은 월 단위의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서의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에 의한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스텝 Sb1~Sb6이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와 같은 처리이며,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c7에서는 제어부(132)는 통지 제어부(P9)에 의해 스텝 Sb6에서 결정한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스텝 Sb5에서 특정한 서비스 거점의 단말 장치(160)에 송신하거나 및/또는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작업기(110)를 담당하는 서비스 맨 등의 담당자의 휴대 수신 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전자 메일로서 송신하거나, 또는/또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인쇄한다.
(조달 부문, 생산 공장으로의 통지)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제어부(132)는 보수 부품 및 보수 시기를 소정 기간 빠른 시기(예를 들면, 보수 부품의 생산 시간을 고려한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더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원격 서버(130)에 네트워크(150)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 장치(160)는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수 시기 결정부(P8)는 각 서비스 거점의 보수 부품의 수량을 보수 시기(이 예에서는 집계 기간)마다 모두 더한 전체 서비스 거점의 보수 부품의 시기 및 수량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지 제어부(P9)는 보수 시기 결정부(P8)에서 결정한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배치에 배치된 단말 장치(160)에 송신하거나, 또는/또한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인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의 단말 장치(160)에 있어서의 제어부(161)가 원격 서버(130)로부터 보내져 온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을 단말 장치(160)에 있어서의 표시부(163)의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서비스 거점 정보(N)마다의 보수 부품, 그 보수 시기 및 수량의 정보를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인쇄하는 경우, 원격 감시 센터(120)에서는 원격 서버(130)에 있어서의 인쇄부(137)에서 인쇄한 장표를 사람의 손에 의해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송부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계 식별 정보(SD)에 의거하여 작업기(110)를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을 특정하고, 정규 유지 보수 이력(HI)과 작업기(110)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보수 부품 및 상기 보수 부재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서비스 거점에 통지하므로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구체적으로는 서비스 거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거점에 있어서 미리 필요한 보수 부품을 적정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수 부품의 입하 대기의 기간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신속한 유지 보수 대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수 부품 및 보수 시기를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더 통지함으로써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서는 보수 부품의 조달 수량의 집약에 의한 비용 저감 및 생산 계획의 관리를 용이화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보수 부품의 결품이나 과잉 생산·재고 리스크를 삭감할 수 있고, 생산 계획의 보조 자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콤바인, 경운기나 이앙기 등의 주행 작업기에 적용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랙터, 셔블 카, 휠 로더나 캐리어 등의 건설 작업 기계라는 주행 작업기나, 플리저 보트, 어선이라는 선박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이다.
이 출원은 2014년 3월 7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045372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청구한다. 이것에 언급함으로써 그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을 식별하는 정보인 기계 식별 정보 및 소정의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 서버에 의한 것이며, 특히 보수해야 할 보수 부품이 필요한 재고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원격 감시 시스템 110 : 작업기
111 : 작업부 111a : 주행 작업부
112 : 엔진 113 : 전자 제어 장치
113a : 엔진 컨트롤러 114 : 발전기
120 : 원격 감시 센터 130 : 원격 서버
131 : 통신부 132 : 제어부
133 : 처리부 134 : 기억부
135 : 입력부 136 : 표시부
137 : 인쇄부 140 : 통신망
150 : 네트워크 160 : 단말 장치
161 : 제어부 162 : 입력부
163 : 표시부 200 : 원격 감시 단말 장치
210 : 통신부 220 : 전원 제어부
231 : GPS 센서 232 : 위치 검출부
233 : 가동 데이터 기억부 240 : 제어부
241 : 가동 데이터 송신 제어부 241a : 데이터 취득부
241b : 데이터 저장 제어부 241c :데이터 송신부
250 : 처리부 260 : 기억부
270 : 시각 취득 타이머 280 : 입력부
290 : 표시부 BT : 배터리
DB1 : 제 1 데이터 베이스 DB2 : 제 2 데이터 베이스
DB3 : 제 3 데이터 베이스 HI : 정규 유지 보수 이력
L1 : 전원 접속 라인 L2 : 전원 접속 라인
L3 : 전원 접속 라인 L4 : 전원 접속 라인
MA : 기종 정보 N : 서비스 거점 정보
P1 : 가동 데이터 수신 제어부 P2 : 유지 보수 이력 취득부
P3 :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산출부
P4 : 유지 보수 이력 기억 제어부
P5 :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
P6 :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설정부 P7 : 서비스 거점 특정부
P8 : 보수 시기 결정부 P9 : 통지 제어부
RE : 부품 식별 정보 SD : 기계 식별 정보
STM1 : 가동 기준 유지 보수 시기
STM2 : 기정 기준 유지 보수 시기 SW : 기동 스위치
T : 접속 단자 TM : 유지 보수 실시 시기 정보
Ta : 예상 적산 시간 Tb : 적산 시간
Tc : 추정 적산 시간 Td : 추정 적산 시간

Claims (2)

  1. 작업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그 작업기 또는 그 선박을 식별하는 정보인 기계 식별 정보 및 소정의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 서버로서,
    상기 기계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을 소관하는 서비스 거점을 특정하고, 별도 입력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 또는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으로부터 수신하는 정규 유지 보수 이력과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선박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서비스 거점에 필요한 보수 부품 및 그 보수 부재의 보수 시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보수 시기보다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상기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상기 서비스 거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부품 및 상기 보수 시기를 상기 소정 기간 빠른 시기에 상기 보수 부품이 필요한 것을 조달 부문 및/또는 생산 공장에 더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버.
KR1020167022389A 2014-03-07 2015-02-13 원격 서버 KR20160111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5372A JP6178739B2 (ja) 2014-03-07 2014-03-07 遠隔サーバ
JPJP-P-2014-045372 2014-03-07
PCT/JP2015/053893 WO2015133242A1 (ja) 2014-03-07 2015-02-13 遠隔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024A true KR20160111024A (ko) 2016-09-23

Family

ID=5405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89A KR20160111024A (ko) 2014-03-07 2015-02-13 원격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17933A1 (ko)
EP (1) EP3115960A4 (ko)
JP (1) JP6178739B2 (ko)
KR (1) KR20160111024A (ko)
CN (1) CN106133783A (ko)
WO (1) WO2015133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2103B2 (ja) * 2017-03-29 2020-12-16 日立建機株式会社 営業支援装置
JP7040270B2 (ja) * 2017-05-08 2022-03-23 富士通株式会社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42847B1 (ko) * 2017-08-29 2022-09-14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의 소모품 유지보수 일정정보 조정 방법 및 서버
CN109494266B (zh) 2017-09-11 2022-04-12 Lg电子株式会社 太阳能电池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055B2 (ja) 2000-03-31 2010-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演算処理装置
JP4909175B2 (ja) 2007-05-23 2012-04-04 ヤンマー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システム、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016A (en) * 1996-12-31 1999-12-14 Walker Asset Management Limited Partnership Remote gaming device
US6446123B1 (en) * 1999-03-31 2002-09-03 Nortel Networks Limited Tool for monitoring health of networks
JP3802811B2 (ja) * 2000-03-31 2006-07-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CN100409216C (zh) * 2000-03-31 2008-08-06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的管理系统
JP4689136B2 (ja) * 2000-03-31 2011-05-2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現場に配備された作業機械の実稼動時間の検出方法、データ収集・管理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US8073653B2 (en) * 2002-12-23 2011-12-06 Caterpillar Inc. Component life indicator
JP4074276B2 (ja) * 2004-09-02 2008-04-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2006164176A (ja) * 2004-12-10 2006-06-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
JP2006073019A (ja) * 2005-09-09 2006-03-16 Orix Auto Corp 車輌運行管理システム
JP4717579B2 (ja) * 2005-09-30 2011-07-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メンテナンス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7199844A (ja) * 2006-01-24 2007-08-09 Hitachi Ltd 部品需要予測プログラム、部品需要予測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システム
JP5773775B2 (ja) * 2011-06-24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印刷装置及び監視方法
JP2013122715A (ja) * 2011-12-12 2013-06-20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保守管理システムおよび保守管理方法
US20140101058A1 (en) * 2012-10-08 2014-04-10 Marc Caste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mer side maintenance
US8924071B2 (en) * 2013-04-26 2014-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line vehicle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055B2 (ja) 2000-03-31 2010-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演算処理装置
JP4909175B2 (ja) 2007-05-23 2012-04-04 ヤンマー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システム、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用部品の在庫、発注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5960A4 (en) 2017-01-18
WO2015133242A1 (ja) 2015-09-11
US20170017933A1 (en) 2017-01-19
EP3115960A1 (en) 2017-01-11
CN106133783A (zh) 2016-11-16
JP2015170196A (ja) 2015-09-28
JP6178739B2 (ja)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512B1 (ko) 원격 감시 시스템의 관리 서버
KR101973218B1 (ko) 주행 작업 기계 또는 선박의 원격 감시 단말 장치
US8108242B2 (en) Working machine failure information centralized managing system
JP6126029B2 (ja) 遠隔サーバ
KR20160111024A (ko) 원격 서버
JP5872238B2 (ja) 走行作業機械又は船舶の遠隔監視端末装置
US10229546B2 (en) Remote server
CN109426869B (zh) 工程机械的消耗品维护日程信息调整服务器及方法
US10297091B2 (en) Remote server
JP6059425B2 (ja) 走行作業機械又は船舶の遠隔監視端末装置
KR102466301B1 (ko)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WO2013080709A1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
WO2015133241A1 (ja) 遠隔サーバ
WO2013054768A1 (ja) 走行作業機械又は船舶の遠隔監視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7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9

Effective date: 201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