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558A -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558A
KR20160110558A KR1020167024907A KR20167024907A KR20160110558A KR 20160110558 A KR20160110558 A KR 20160110558A KR 1020167024907 A KR1020167024907 A KR 1020167024907A KR 20167024907 A KR20167024907 A KR 20167024907A KR 20160110558 A KR20160110558 A KR 2016011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measurement
section
base station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044B1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요시하루 다지마
아끼라 이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04W76/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시킨다. 무선 단말기(1)의 통신부(1a)는 기지국의 무선 측정(m)과 페이징 신호(p)의 모니터를 주기적인 구간(T) 내에서 행한다. 제어부(1b)는 구간(T) 내에서, 무선 측정(m)의 필터링을 구간(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건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형의 이동 통신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로부터, LTE(Long Term Evolution)로 진화했다. LTE에서는,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베이스로 한 방식이 규정되고, 하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100Mb/s 이상, 상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50Mb/s 이상의 고속 무선 패킷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현재, 한층 더한 고속 통신의 실현을 향해, LTE를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의 검토가 시작되고 있다. LTE-A에서는, 하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1Gb/s, 상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500Mb/s를 목표로 하고 있어, 무선 액세스 방식이나 네트워크 아키텍쳐 등, 다양한 신기술의 검토가 행해져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한편, LTE-A는, LTE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이 되므로 후방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진다.
LTE 또는 LTE-A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으로서, 셀 선택이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 셀렉션(cell selection)과 셀 리셀렉션(cell reselection)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4, 5 참조).
셀 셀렉션은, 무선 단말기가 전원을 투입하고,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동체 통신 사업자)이 선택되면 실시된다. 셀 셀렉션은, 또한, 무선 단말기가 셀의 정보를 모르게 실시하는 셀 셀렉션(initial cell selection)과, 이동국이 셀의 정보를 안 후에 실시하는 셀 셀렉션(stored information cell selection)이 규정되어 있다.
셀 셀렉션에서는, 무선 단말기는 무선 품질을 측정하고, 무선 품질이 좋은 셀을 서빙 셀로서 선택해서 네트워크에 캠프 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와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에 의해 정해지는 셀 선택 기준 「S」를 충족하면, 그 셀에 캠프 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4 참조). 무선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캠프 온 함으로써 착호가 가능해진다. 셀 리셀렉션은, 또한 무선 품질이 좋은 셀을 검출하기 위해 실시되고, 보다 좋은 무선 품질이 검출되면, 그 셀에 캠프 온한다.
보다 좋은 무선 품질의 셀을 검출하기 위해,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의 무선 측정(measurement)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5 참조). 아이들 모드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의 소비 전력과 무선 측정과의 정밀도의 균형을 취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메저먼트의 빈도를 떨어뜨리면, 메저먼트의 정밀도가 열화되어, 적절한 셀에 캠프 온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한편, 메저먼트의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 메저먼트의 빈도를 올리면, 소비 전력이 상승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DRX(Discontinuous Reception)가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5 참조).
DRX의 DRX 사이클값은, 기지국이 통지하는 통지 정보에 의해 취득하는 경우와, 상위 레이어인 NAS(Non Access Stratum)가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무선 단말기는, 적어도 DRX마다 1회는 메저먼트를 행하고, 무선 품질을 샘플링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는, DRX의 함수에 의해 규정되는 샘플링 간격으로 무선 품질을 평균화하여, 무선 품질의 측정값 산출을 행한다.
또한, 아이들 모드의 무선 단말기는 착신을 검출하기 위해, 페이징 신호를 정기적으로 모니터한다. 무선 단말기는, 상기의 메저먼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하는 빈도를 낮추면, 통신 지연이 발생하고,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하는 빈도를 올리면, 소비 전력이 상승한다. 그로 인해,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는, DRX 사이클 내에서 1회만 실시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4 참조).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는, 메저먼트의 사이클인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실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고려한 셀 선택 및 착신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3GPP TR36.913 V9.0.0 3GPP TR36.912 V9.3.0 3GPP TS36.300 V10.4.0 3GPP TS36.304 V10.2.0 3GPP TS36.133 V10.3.0
그런데, 메저먼트와 셀 선택을 실시해야 할지 여부의 판정은, 적어도 DRX 사이클마다 1회의 간격으로 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메저먼트의 측정값 산출에 있어서는, 메저먼트에 의해 얻어진 무선 품질의 샘플값(구체적으로는 RSRP 및 RSRQ의 값)은 필터링되고, 적어도 DRX의 절반의 간격은 두고 평균화를 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5 참조).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DRX 사이클을 크게 하면, 메저먼트의 샘플링 간격도 길어져, 메저먼트의 정밀도가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건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 무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의 무선 측정과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주기적인 구간 내에서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구간 내에서, 상기 무선 측정의 필터링을 상기 구간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의 그 1이다.
도 8은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의 그 2이다.
도 9는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DRX의 마스크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9는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22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 및 NAS 디태치 프로시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는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는 통신부(1a) 및 제어부(1b)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A1 내지 A3은, 무선 단말기(1)가 행하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기지국의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중의 m은, 무선 단말기(1)가 행하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기지국의 메저먼트를 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p는,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부(1a)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기지국의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주기적인 구간 T의 구간 내에서 간헐적으로 행한다.
예를 들어, 도 1 중에 도시하는 T는, DRX를 나타낸다. 통신부(1a)는 DRX의 DRX 사이클 내에서 기지국의 메저먼트(m)와 페이징 신호(p)의 모니터를 간헐적으로 행한다.
제어부(1b)는, 구간 T 내에서, 메저먼트를 구간 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한다. 또한, 메저먼트에 의해 얻어진 무선 품질의 샘플값(구체적으로는 RSRP 및 RSRQ의 값)의 필터링에 있어서도, 구간 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b)는, 화살표 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간 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b)는 DRX 사이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한다.
또한, 화살표 A2는, 종래의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저먼트와 셀 선택을 실시해야 할지 여부의 판정은, 적어도 DRX 사이클의 간격으로 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1)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간 T의 구간 길이(DRX 사이클)를 크게 한다.
화살표 A3은, 종래의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 타이밍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규정에 어긋나지 않도록, 메저먼트를 DRX 사이클의 절반(DRX 사이클/2)의 간격으로 행하고 있다. 또한, 메저먼트의 측정값 산출에 있어서는, 이들 메저먼트의 샘플값을 평균화하고 각 셀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로 한다. 이와 같이 메저먼트 및 측정값의 산출을 실시함으로써, 구간 T의 구간 길이(DRX 사이클)가 커져도 메저먼트의 정밀도는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저먼트의 간격은, DRX 사이클을 길게 할수록 간격이 넓어지고, 메저먼트의 평균화 간격이 길어져, 메저먼트의 정밀도가 열화된다.
이에 대해, 제어부(1b)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간 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한다. 또한, 메저먼트에 의해 얻어진 무선 품질의 샘플값(구체적으로는 RSRP 및 RSRQ의 값)의 필터링에 있어서도,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는 소비 전력을 억제함과 함께, 메저먼트의 평균화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1)의 통신부(1a)는, 기지국의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주기적인 구간 T의 구간 내에서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b)는, 구간 T 내에서, 메저먼트를 구간 T의 구간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통신부(1a)를 제어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구간 T의 구간 길이를 길게 해도, 메저먼트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기지국(11) 및 무선 단말기(12)가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11)과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LTE-A 또는 LTE의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가스 미터나 전기 미터의 디바이스에 내장된다.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가스 미터나 전기 미터 등의 디바이스가 검지된 이상이나 사용 요금 등의 정보를 기지국(11)에 송신한다. 기지국(11)에 송신된 정보는, 예를 들어 가스 회사나 전기 회사에 송신된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휴대 전화기 등과는 다른 통신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이동하지 않고, 또한, 통신량이 적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대부분이 아이들 모드에 있어, 커넥티드 모드가 되는 것은 드물다고 생각된다.
또한, 디바이스가 맨션 등에 설치되는 경우, 기지국(11)은, 예를 들어 홈 eNB(evolved Node B)이어도 좋다. 또한, 디바이스는, 상기한 미터로 한정되지 않고, 센서나 사람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헬스 미터에 내장되어도 좋다.
도 3은 무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2)는 통신부(21) 및 제어부(22)를 갖고 있다. 제어부(22)는 무선 제어부(22a),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 및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를 갖고 있다.
통신부(21)는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는, 기지국(11)과 송수신하는 신호의, BB(Base Band) 처리 및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21)는 제어부(22)의 무선 제어부(22a)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온ㆍ오프 된다.
무선 제어부(22a)는 통신부(21)의 BB 처리 및 RF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 제어부(22a)는 통신부(21)의 전원 온ㆍ오프 제어를 행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와 NAS 레이어의 제어를 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21)는, 예를 들어 도 1의 통신부(1a)에 대응한다. 무선 제어부(22a) 및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예를 들어 도 1의 제어부(1b)에 대응한다.
도 4는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2)는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ROM(Read Only Memory)(33), 스토리지(34),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 입출력 장치(36), 디스플레이(37) 및 버스(38)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31)에는 버스(38)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32), ROM(33), 스토리지(34),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 입출력 장치(36) 및 디스플레이(37)가 접속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12)는 프로세서(3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어 있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메인 메모리(32)에는, 프로세서(31)의 각종 처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ROM(33)에는, 무선 단말기(12)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토콜 등의 정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ROM(33)에는 프로세서(31)가 데이터 플레인 처리, 제어 플레인 처리 또는 스케줄링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스토리지(34)에는, 프로세서(31)의 각종 처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는 기지국(11)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는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고,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출력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입출력 장치(36)는, 예를 들어 키, 스피커 및 마이크이다. 예를 들어, 키는, 유저가 입력하는 문자나 숫자를 접수한다. 또한, 스피커는, 예를 들어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는 유저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디스플레이(37)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다. 디스플레이(37)는, 예를 들어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도 3의 통신부(21)의 기능은,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35)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2)의 기능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현된다.
도 5는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1)은 통신부(41) 및 제어부(42)를 갖고 있다. 제어부(42)는 무선 제어부(42a) 및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를 갖고 있다.
통신부(41)는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1)는, 무선 단말기(12)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BB 처리 및 RF 처리를 행한다.
무선 제어부(42a)는 통신부(41)의 BB 처리 및 RF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RRC 레이어와 NAS 레이어의 제어를 행한다.
도 6은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1)은 프로세서(51), 메인 메모리(52), ROM(53), 스토리지(54),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 및 버스(56)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51)에는 버스(56)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52), ROM(53), 스토리지(54) 및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가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11)은 프로세서(5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어 있다. 프로세서(5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이다.
메인 메모리(52)에는, 프로세서(51)의 각종 처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ROM(53)에는, 기지국(11)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토콜 등의 정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ROM(53)에는 프로세서(51)가 데이터 플레인 처리, 제어 플레인 처리 또는 스케줄링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스토리지(54)에는, 프로세서(51)의 각종 처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는 무선 단말기(12)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는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고,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출력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55)는 S-GW(Serving-GateWay) 등의 상위 장치와 유선 통신을 행한다.
도 7은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의 그 1이다. 도 7에 도시하는 m은, 무선 단말기(12)의 메저먼트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p는, 무선 단말기(12)의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가 검출하는 이벤트 전후에, m, p의 타이밍이 다르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전기 미터 등의 요금 보고나 이상 보고에 의해 생긴다.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통상의 DRX 사이클보다 긴 롱 DRX 사이클을 사용한다.
여기서, 종래의 메저먼트의 측정값은, 적어도, 'DRX 사이클/2'의 간격을 가진 메저먼트의 샘플을 평균화하여 산출한다. 그로 인해, 메저먼트의 간격은, 예를 들어 도 1의 화살표 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이 넓어져, 메저먼트의 측정 정밀도가 열화된다.
이에 대해, 무선 단말기(12)는, 메저먼트는 종래와 같이 적어도 DRX의 간격으로 1회는 실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DRX의 구간 내에서는 복수회의 메저먼트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메저먼트의 샘플값을 '롱 DRX 사이클/n'(n>2)의 간격으로 필터링하고 측정값을 산출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12)는, 도 7에 도시하는 'X'의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2개의 메저먼트를 평균화하고, 메저먼트의 측정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2)는, 도 7에 도시하는 이벤트 발생 전의 롱 DRX 사이클에서, 좌측의 m과 우측의 m의 2개로 메저먼트의 샘플값을 사용해서 측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후의 롱 DRX 사이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1번째의 m과 2번째의 m으로 메저먼트의 샘플값을 사용해서 측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좌측으로부터 3번째의 m과 4번째의 m으로 메저먼트의 샘플값을 사용해서 측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이벤트 발생 후에는, 이벤트 발생 전보다, 롱 DRX 사이클 내에서의 메저먼트의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이벤트 발생 전에서는, 메저먼트의 횟수는 2회이지만, 이벤트 발생 후는 4회가 되어 있다. 이것은, 메저먼트의 횟수를 증가시켜, 메저먼트의 평가의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적절한 셀에 캠프 온하고, 이벤트 정보를 적절하게 기지국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후의 메저먼트에 의해, 전회의 셀에 접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셀 셀렉션을 실시하고, 새로운 셀의 검출을 시도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에 대한 UL 데이터를 송신하면, 이벤트 발생 전의 동작으로 복귀된다.
도 8은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의 그 2이다. 도 8의 타이밍 차트는, 도 7의 타이밍 차트에 대해, 이벤트 발생 후의 메저먼트의 간격이 짧고, 간격 Y로 되어 있다. 즉, 도 8은, 도 7보다 메저먼트의 빈도가 많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의 소비 전력은, 도 7보다 상승하지만, 메저먼트의 측정값 산출에 있어서, 각 샘플을 평균화하는 간격이 짧아지므로, 측정 정밀도는 향상된다.
단, 메저먼트의 측정값 산출에 있어서, 평균화 간격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평균화 간격이 매우 짧은 경우, 무선 전반 상황이 좋은 순간만을 평가하는 가능성이나, 반대로 무선 전반 상황이 나쁜 순간만을 평가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그로 인해, 각 샘플의 간격은 일정 간격 이상 비울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있어서는, 메저먼트의 필터링의 간격은 'X/2'와 같이 하고, 도 8에 있어서는, 메저먼트의 필터링의 간격은 'Y/2'와 같이 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후, 종래의 메저먼트 간격으로 되돌려도 좋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후, 'DRX 사이클/2'의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메저먼트의 간격을 정하는 n의 취득에 대해 설명한다. n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기지국(11)으로부터 통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기(12)는, 전원 투입 후, 초기 셀 서치를 실시하고, 무선 품질이 좋은 셀(suitable cell)에 캠프 온한다. 그 때, 무선 단말기(12)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NAS attach procedure)를 실시한다. 무선 단말기(12)는 셀에 캠프 온할 때에 그 셀의 통지 정보를 기지국(11)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통지 정보로부터 n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메저먼트의 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 전후로 메저먼트의 간격을 바꾸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무선 단말기(12)가 기지국(11)에 통지하고, 기지국(11)이 새로운 n을 무선 단말기(12)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기지국(11)은, 예를 들어 이벤트의 종별(예를 들어, 긴급 이벤트인지 여부)에 따라서 n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n은, 미리 정해 두어도 좋고, 디바이스 ID로부터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ID는, 12비트의 값으로 나타내어진다. 무선 단말기(12)는, 자신의 디바이스 ID를, 예를 들어 4000 등의 적당한 값으로 제산하고, 그 나머지를 n으로 해도 좋다.
또한, 기지국(11)은 롱 DRX 사이클 내에서의 메저먼트의 횟수도 통지 정보로 무선 단말기(12)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은 무선 단말기(12)로부터 이벤트 통지를 수신했을 때에, 롱 DRX 사이클 내에서의 메저먼트의 횟수를 통지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스텝 S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으로부터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즉,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메저먼트의 간격을 산출하기 위한 'n'을 수신한다.
[스텝 S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수신한 'n'으로부터 메저먼트의 간격을 산출한다. 무선 제어부(22a)는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에 의해 산출된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하도록, 통신부(21)를 온ㆍ오프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측정한 메저먼트의 평균화를 행하고, 그 품질을 평가한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예를 들어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타이밍에서, 페이징의 모니터를 행한다.
SFN mod T =(T div N)*(UE-ID mod N)
SFN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이다. T는 DRX 사이클(롱 DRX 사이클)이다. UE-ID는 무선 단말기의 ID이다. N은 DRX 사이클에서 결정되는 값이다.
[스텝 S5]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 대기한다.
[스텝 S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텝 S7로 진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7]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와 무선 제어부(22a)는, 새로운 설정으로, 메저먼트를 행하고, 그 품질의 평가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설정으로 메저먼트를 행한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저먼트를 행해도 좋다.
도 10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1]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제어부(42a)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2)에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 통지 정보에는 메저먼트의 간격을 산출하기 위한 'n'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1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1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의 대기를 행한다.
[스텝 S1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한 경우, 스텝 S15로 진행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새로운 'n'을 무선 단말기(12)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 및 무선 제어부(22a)는 롱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롱 DRX 사이클의 사이클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롱 DRX 사이클로 해도, 메저먼트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메저먼트의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 및 무선 제어부(22a)는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이벤트 전보다, 롱 DRX 사이클 내에서의 메저먼트의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메저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 및 무선 제어부(22a)는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이벤트 전보다 메저먼트의 간격을 작게 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메저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의 DRX에 대해, 마스킹을 행하여, DRX를 실시하지 않는 구간을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DRX를 행한다. DRX를 실시하는 구간에서는 종래의 DRX를 실시해도 좋지만, 메저먼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DRX 사이클 내에서, 복수회의 메저먼트를 실시하고,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DRX 사이클의 사이클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무선 단말기(12)의 블록은, 도 3과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기능이 다르다. 무선 단말기(1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1)의 블록은, 도 5와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의 기능이 다르다. 기지국(1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에서는, 도 7에 대해, 롱 DRX 사이클이 DRX 사이클이 되어 있다. 도 11의 그 다른 부분은, 도 7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전에 있어서는, 메저먼트를 행하지 않는 DRX 사이클에서 마스크를 걸고, 주기적으로 DRX가 실시되도록 한다(도 11 중의 굵은 선). 무선 단말기(12)는, 마스크가 걸려져 있지 않은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무선 단말기(12)는, 마스크가 걸려져 있지 않은 구간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저먼트를 'DRX 사이클/n'(n>2)의 간격으로 행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12)는, 도 11에 도시하는 'X'의 간격으로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행한다.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후에 있어서는, DRX 사이클에 마스크를 걸지 않는다. 즉, 무선 단말기(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DRX 사이클에서,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도 12는, DRX의 마스크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통지 정보의 변경 확인을 실시하는 주기인 BCCH(Broadcasting Control Channel) modification period에 동기하여, DRX의 마스크를 해제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양쪽 화살표 A11, A12는, BCCH modification period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12에 도시하는 점선 A13, A14의 타이밍에서, DRX의 마스크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점선 A13, A14의 타이밍에서, 통신부(21)를 온하도록(DRX를 실시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일점 쇄선은, DRX 사이클의 마스크가 해제되는 기간(DRX가 실시되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 중에 도시하는 사각 및 사선이 그어진 사각은, 기지국(11)으로부터 무선 단말기(12)에 통지되는 통지 정보(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통지 정보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IB1(도 12 중의 오른쪽으로 경사진 상측 사선의 사각) 또는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이들을 모니터하기 위해, 통신부(21)를 온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또한, 왼쪽으로 경사진 상측 사선의 사각은, 정보가 변경된 SIB를 나타내고 있다.
마스크를 해제하는 기간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미리 정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무선 단말기(12)의 구현으로 자유롭게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마스크 패턴은 BCCH modification period에 동기한다고 했지만, 별도의 마스크 패턴 설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 기지국(11)이 마스킹 패턴을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은, 어느 DRX 사이클에서 DRX를 행할지를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한다.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수신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DRX 사이클에서, 마스크를 해제하고,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도록 한다. 마스크 해제의 기간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미리 정해 두어도 좋다. 또한,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 2 : 페이징 신호로 마스킹 패턴을 통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은 무선 단말기(12)가 캠프 온하면, 페이징 신호로 DRX의 마스킹 패턴을 통지한다.
예 3 : 무선 단말기(12)는, 캠프 온할 때,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위치 등록이 된다. 위치 등록은 NAS 레이어에서 행해져, NAS 어태치 프로시저가 실시된다. 무선 단말기(12)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에 의해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의 NAS 어태치 억셉트(NAS attach accept)로 마스킹 패턴을 수신한다.
예 4 : DRX를 N회 마스킹할 때마다, DRX의 마스킹을 해제한다. N은, 기지국(11)으로부터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기지국(11)과 무선 단말기(12)로 미리 결정해 두어도 좋다. 또한,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 5 : 무선 단말기의 식별자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에 기초하여, DRX의 마스크를 해제하는 무선 프레임을 정한다. 예를 들어, SFN mod DRX cycle과, func(IMSI)가 동등해지는 무선 프레임에 의해, DRX의 마스크를 해제한다. func()는, 적당한 함수이며, 예를 들어 IMSI에 의해, 어떠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도 13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21]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스텝 S2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2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2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의 실시에 의해, DRX의 마스크 패턴을 수신한다. 또한, 도 13의 플로우 차트는, 상기의 예 3의 경우의 처리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2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수신한 마스크 패턴으로 DRX를 실시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무선 제어부(22a)는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부(21)를 온ㆍ오프하고,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가 행해지도록 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측정한 메저먼트의 평균화를 행하고, 그 품질을 평가한다.
[스텝 S2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 대기한다.
[스텝 S27]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텝 S28로 진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8]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전체 마스크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11의 이벤트 발생 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DRX 사이클에서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가 실시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도 14는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31]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제어부(42a)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2)에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3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3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에 의해, DRX의 마스크 패턴을 송신한다. 또한, 도 14의 플로우 차트는, 상기의 예 3의 경우 처리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3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의 대기를 행한다.
[스텝 S3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34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DRX를 실시하지 않는 구간을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DRX를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 및 무선 제어부(42a)는,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DRX의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DRX 사이클의 사이클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행하는 DRX의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이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지시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무선 단말기(12)의 블록은, 도 3과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기능이 다르다. 무선 단말기(1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1)의 블록은, 도 5와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의 기능이 다르다. 기지국(1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는, 도 11에 대해,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페이징 신호로 지시하고 있다. 도 15의 그 다른 부분은, 도 1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의 셀에 캠프 온하면,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기지국(11)은 무선 단말기(12)가 다음에 어느 DRX에 의해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실시하면 좋을지를, 페이징 신호로 지정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지정된 DRX에 의해,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실시한다.
DRX를 실시하는 기간은, 상기의 페이징 신호로 지정해도 좋고,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다. 또한, 미리 정해 두어도 좋고,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무선 단말기의 구현으로 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기지국(11)은 통지 정보로 DRX의 개시를 지정하고, DRX의 기간은 무선 단말기(12)의 구현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11)은 NAS에 의해 DRX의 실시를 지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2)는 캠프 온할 때, MME에 위치 등록이 된다. 위치 등록은 NAS 레이어에서 행해져, NAS 어태치 프로시저가 실시된다. 기지국(11)은, NAS 어태치 프로시저에 의해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의 NAS 어태치 억셉트로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지정한다. DRX를 실시하는 기간은, 상기의 NAS 어태치 억셉트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다. 또한, 미리 정해 두어도 좋고,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 정해도 좋다.
도 16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41]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스텝 S4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4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4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페이징 신호 또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의 실시에 의해,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수신한다.
[스텝 S4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스텝 S44)에서 지정된 DRX를 실시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DRX에 의해, 메저먼트를 행하고, 그 평가를 행한다.
[스텝 S4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 대기한다.
[스텝 S47]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텝 S48로 진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8]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전체 DRX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15의 이벤트 발생 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DRX 사이클에서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가 실시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도 17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51]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제어부(42a)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2)에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5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5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페이징 신호 또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의 실시에 의해,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송신한다.
[스텝 S5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의 대기를 행한다.
[스텝 S5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단말기(12)로부터의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54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다음에 실시하는 DRX를, 페이징 신호 또는 NAS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 및 무선 제어부(42a)는, 다음에 실시하는 DRX의 DRX 사이클 내에서,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DRX 사이클의 사이클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소비 전력을 억제함과 함께, 메저먼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제5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DRX 사이클을 2개 설정하여,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무선 단말기(12)의 블록은, 도 3과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기능이 다르다. 무선 단말기(1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1)의 블록은, 도 5와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의 기능이 다르다. 기지국(1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에는 쇼트 DRX 사이클과, 쇼트 DRX 사이클보다 기간이 긴 롱 DRX 사이클이 나타내어 있다. 쇼트 DRX 사이클은, 예를 들어 종래의 DRX 사이클이며, 롱 DRX 사이클은 무선 단말기(12)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쇼트 DRX 사이클보다 사이클이 길게 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소정 기간 실시하고, 그 후,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소정 기간 실시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2)는, 이 동작을 반복한다. 쇼트 DRX 사이클의 DRX 및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된다.
DRX 사이클을 간단히 길게 하면, 메저먼트를 실시하는 간격도 넓어지므로,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롱 DRX 사이클에서는, 메저먼트는 종래와 같이 적어도 DRX의 간격으로 1회는 실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DRX의 구간 내에서는 복수회의 메저먼트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롱 DRX 사이클/n'(n>2)의 간격으로 메저먼트를 행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12)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X'의 간격은 두고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쇼트 DRX 사이클에서는, 종래와 같이 메저먼트를 실시해도 좋지만, 계측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 적어도 '쇼트 DRX 사이클/2'의 간격은 두고 메저먼트의 필터링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2)는, 예를 들어 2개의 메저먼트를 평균화하고, 메저먼트의 측정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2)는, 도 18에 도시하는 롱 DRX 사이클에서, 좌측의 m과 우측의 m의 2개의 샘플값의 필터링을 행한다.
또한, 변형예로서는, DRX 사이클을 간단히 길게 하면, 메저먼트를 실시하는 간격이 넓어지는 것은 명백하므로, 롱 DRX 사이클에서는 메저먼트도 페이징의 모니터도 완전히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에서는, 쇼트 DRX 사이클의 DRX 및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은,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한다고 했지만, 별도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 기지국(11)은 무선 단말기(12)가 캠프 온하면, 페이징 신호로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통지한다.
예 2 : 무선 단말기(12)는 캠프 온할 때, MME에 위치 등록이 된다. 위치 등록은 NAS 레이어에서 행해져, NAS 어태치 프로시저가 실시된다. 무선 단말기(12)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에 의해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의 NAS 어태치 억셉트(NAS attach accept)로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수신한다.
예 3 :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N회 실시한 후, 롱 DRX 사이클의 DRX를 M회 실시한다. N, M의 값은,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N, M의 값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 4 :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도 12에서 설명한 BCCH modification period에 연동하여, DRX 사이클을 전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회의 modification boundary(도 12의 점선 A13, A14)마다,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한다.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 5 :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SFN mod DRX cycle과, func(IMSI)가 동등해지는 무선 프레임에서,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개시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연속한 N개의 무선 프레임에서, 쇼트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한다. N은, 예를 들어 통지 정보에 의해 통지해도 좋고,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무선 단말기(12)의 디바이스 ID로부터, N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쇼트 DRX 사이클의 DRX가 종료되면,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한다.
도 19는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61]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스텝 S6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6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64]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예를 들어 NAS 어태치 억셉트에 의해, 쇼트 DRX 사이클의 DRX 및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취득한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통지 정보로부터 쇼트 DRX 사이클의 DRX 및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65]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스텝 S64)에서 지정된 쇼트 DRX 사이클 및 롱 DRX 사이클에서 DRX를 실시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DRX에 의해, 메저먼트를 행하고, 그 평가를 행한다.
도 20은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71]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제어부(42a)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2)에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7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7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예를 들어 통지 정보 또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의 실시에 의해, 쇼트 DRX 사이클의 DRX 및 롱 DRX 사이클의 DRX를 실시하는 기간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쇼트 DRX 사이클 및 롱 DRX 사이클에서 DRX를 실시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롱 DRX 사이클에 의해 소비 전력을 억제함과 함께, 쇼트 DRX 사이클에 의해, 메저먼트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제6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12)의 전원 투입 후, NAS 어태치 프로시저 및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행한다. 그 후, 무선 단말기(12)는 통신부(21)의 전원을 오프한다. 무선 단말기(12)는, 그 후,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면, DRX에 의해,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고, 예를 들어 이벤트의 정보를 UL에서 기지국(11)에 송신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무선 단말기(12)의 블록은, 도 3과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기능이 다르다. 무선 단말기(1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1)의 블록은, 도 5와 마찬가지이지만,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의 기능이 다르다. 기지국(1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2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의 화살표 A21은, NAS 어태치 프로시저의 실시를 나타내고, 화살표 A22는, NAS 디태치 프로시저의 실시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면, 셀 서치를 행하고, 화살표 A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해서 위치 등록을 행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2)는, 화살표 A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하고, 통신부(21)의 전원을 오프한다.
무선 단말기(12)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출하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통신부(21)를 온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화살표 A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해서 위치 등록을 행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쇼트 DRX 사이클에서 DRX를 실시하고, 메저먼트와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한다.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이벤트 정보를 UL 데이터로서 기지국(11)에 송신하고, 화살표 A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그리고,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통신부(21)의 전원을 오프한다.
또한,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그 후,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도 22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 및 NAS 디태치 프로시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텝 S81]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에 대해, NAS 어태치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82] 기지국(11)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억셉트를 무선 단말기(12)에 송신한다.
[스텝 S83]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컴플리트를 기지국(11)에 송신한다.
[스텝 S84] 무선 단말기(12)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기지국(11)에 대해, NAS 디태치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85] 기지국(11)의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디태치 억셉트를 무선 단말기(12)에 송신한다.
도 23은 무선 단말기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91] 무선 단말기(12)는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스텝 S9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 및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행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화살표 A21, A22를 실시한다.
[스텝 S93]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 대기한다.
[스텝 S94]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텝 S95로 진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5] 무선 제어부(22a)는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부(21)를 온한다.
[스텝 S96]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DRX를 동작시킨다.
[스텝 S97]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98] 통신부(21)는, UL에서, 이벤트 정보를 기지국(11)에 송신한다.
[스텝 S99]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22b)는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도 24는 기지국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01]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어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스텝 S102]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무선 제어부(42a) 및 통신부(41)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2)와 통신을 행한다.
[스텝 S103]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NAS 디태치 프로시저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처리는 이벤트 전 및 이벤트 후에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어 플레인 레이어 제어부(42b)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제어부(22c)의 이벤트 검출에 연동하여, DRX를 행하도록 무선 제어부(22a)를 제어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2)는 이벤트 발생 전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간단히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 : 무선 단말기
1a : 통신부
1b : 제어부

Claims (5)

  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무선 측정과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는 통신부와,
    제1 구간과 제2 구간을 설정하고,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구간 후의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상기 제어를 소정 기간 실시하면, 상기 제2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을 실시하기 위한 기간이 NAS(Non-Access Stratum) 어태치 억셉트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3.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의 무선 측정과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는 통신부와,
    제1 구간과 제2 구간을 설정하고,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구간 후의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상기 제어를 소정 기간 실시하면, 상기 제2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 후의 제2 구간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무선 측정과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도록 통신을 제어하는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지 않도록 통신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상기 제어를 소정 기간 실시하면,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재개할 수 있도록 종료되는 상기 제2 구간에 관한 정보를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무선 측정과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를 행하고,
    제1 구간과 제2 구간을 설정하고,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구간 후의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행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상기 제어를 소정 기간 실시하면, 상기 제2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무선 측정과 상기 모니터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67024907A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788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0540 WO2013105260A1 (ja) 2012-01-13 2012-01-13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293A Division KR101658338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660A Division KR101907335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558A true KR20160110558A (ko) 2016-09-21
KR101788044B1 KR101788044B1 (ko) 2017-10-18

Family

ID=4878123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907A KR101788044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77028660A KR101907335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19012A KR101627443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67014293A KR101658338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660A KR101907335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19012A KR101627443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67014293A KR101658338B1 (ko) 2012-01-13 2012-01-13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9301187B2 (ko)
EP (2) EP3737166A1 (ko)
JP (1) JP5700141B2 (ko)
KR (4) KR101788044B1 (ko)
CN (2) CN109246748B (ko)
BR (1) BR112014016969B1 (ko)
CA (1) CA2862789C (ko)
MX (3) MX369240B (ko)
RU (2) RU2572612C1 (ko)
WO (1) WO2013105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4117A (en) * 2013-05-13 2014-11-19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O2018058463A1 (en) * 2016-09-29 2018-04-05 Nokia Technologies Oy Adaptive media service
EP3386250A1 (en) * 2017-04-07 2018-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 firs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monitoring of an information signal in monitoring time periods of different time durations
MX2020001982A (es) 2017-09-11 2020-07-13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ones de filtrado de medicion mejoradas para la administracion de enlaces de radio y la administracion de recursos de radio.
CN112514442B (zh) * 2018-07-31 2023-12-29 富士通株式会社 基站、移动站、通信系统和通信方法
JP7412895B2 (ja) * 2019-04-19 2024-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1612A (en) 1995-03-10 1998-07-14 Northern Telecom Limited Radio terminal interfaces for voice and data telecommunications, and methods for their operation
FI107861B (fi) 1998-08-28 2001-10-15 Nokia Mobile Phones Ltd Naapurisolumittaukset solun uudelleenvalintaa varten
JP3588281B2 (ja) * 1999-09-14 2004-11-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サーチ制御方法、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US6823191B2 (en) 2001-01-08 2004-11-23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paging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418239B2 (en) 2002-02-13 2008-08-26 Motorola Inc. Reselection optimization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JPWO2007080627A1 (ja) * 2006-01-10 2009-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424258B1 (ko) 2006-08-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KR101233181B1 (ko) * 2006-10-3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억세스 방법
JP5342452B2 (ja) * 2006-12-20 2013-11-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イベントトリガ型のdrxサイクルの調整のための方法及び配置
US7957360B2 (en) * 2007-01-09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KR20080067293A (ko) * 2007-01-15 200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역방향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SG177986A1 (en) * 2007-01-30 2012-02-28 Interdigital Tech Corp Implicit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in lte_active mode
EP2120479B1 (en) 2007-02-05 2015-08-26 NEC Corporation Base station-to-base station handover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rx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84533A (ko) * 2007-03-16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8601156B2 (en) 2007-07-0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discovery and/or paging in peer to peer wireless communications
US8521194B2 (en) 2007-07-1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paging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KR101382748B1 (ko) * 2008-01-25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KR101405950B1 (ko) * 2007-10-02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
US8451803B2 (en) * 2007-10-0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asurement behavior of DRX mode UE
US8121632B2 (en) 2008-02-04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Suitable trigger mechanism to control new cell identification in UE when in DRX mode
CN101242654B (zh) * 2008-03-12 2011-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节省移动终端电能的方法及设备
US8780732B2 (en) 2008-03-18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network management by assistance from terminal using control-plane signaling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WO2009132329A2 (en) * 2008-04-25 2009-10-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rol of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network
JP2010098581A (ja) * 2008-10-17 2010-04-30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1730205A (zh) * 2008-10-31 2010-06-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更新ue寻呼drx周期的方法、系统及装置
US8971933B2 (en) 2008-11-18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X cycle used for paging
JP4620157B2 (ja) * 2009-03-24 2011-0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EP2237469B1 (en) * 2009-04-03 2018-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received signal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67617B2 (en) * 2009-06-26 2015-10-20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mobile network implementing discontinuous reception
JP5322305B2 (ja) * 2009-11-19 2013-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925077A1 (en) 2010-02-12 2015-09-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KR101664279B1 (ko) * 2010-02-16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EP2369890A1 (en) 2010-03-26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Connection peak avoidance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EP2375828A1 (en) 2010-04-06 2011-10-12 Alcatel Lucent Network node control for facilitating relocation
JP5663965B2 (ja) * 2010-06-01 2015-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エリア品質情報収集方法
JP2012010202A (ja) 2010-06-25 2012-01-12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8837313B2 (en) * 2011-04-04 2014-09-16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US9204392B2 (en) * 2011-04-04 2015-12-01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GB2493348A (en) * 2011-07-29 2013-02-06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simplified handover
BR112014002424A2 (pt) * 2011-08-01 2017-02-21 Intel Corp método e sistema para controle de acesso de rede
US8675581B2 (en) * 2011-08-15 2014-03-18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hancing data rate for packet-switched (PS) data service
US8964672B2 (en) * 2011-11-04 2015-02-24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EP2632205B1 (en) * 2012-02-24 2018-08-22 BlackBerry Limited Monitoring neighbour cells
US9407391B2 (en) * 2012-05-11 2016-08-02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power saving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36.912 V9.3.0
3GPP TR36.913 V9.0.0
3GPP TS36.133 V10.3.0
3GPP TS36.300 V10.4.0
3GPP TS36.304 V1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4427A4 (en) 2015-07-22
EP2804427A1 (en) 2014-11-19
CA2862789A1 (en) 2013-08-18
US20160150430A1 (en) 2016-05-26
KR20140110928A (ko) 2014-09-17
CN109246748A (zh) 2019-01-18
KR101627443B1 (ko) 2016-06-03
BR112014016969B1 (pt) 2022-03-29
KR101788044B1 (ko) 2017-10-18
BR112014016969A8 (pt) 2017-07-04
EP3737166A1 (en) 2020-11-11
JPWO2013105260A1 (ja) 2015-05-11
US20210058803A1 (en) 2021-02-25
US11758414B2 (en) 2023-09-12
US20140314024A1 (en) 2014-10-23
KR20170117241A (ko) 2017-10-20
US20190274060A1 (en) 2019-09-05
MX341472B (es) 2016-08-19
RU2572612C1 (ru) 2016-01-20
MX2014008533A (es) 2014-08-21
US10869208B2 (en) 2020-12-15
CN104041142B (zh) 2018-12-21
CN109246748B (zh) 2022-09-06
KR101658338B1 (ko) 2016-09-22
RU2686845C1 (ru) 2019-05-06
KR101907335B1 (ko) 2018-10-11
CA2862789C (en) 2016-10-18
US9301187B2 (en) 2016-03-29
CN104041142A (zh) 2014-09-10
EP2804427B1 (en) 2020-07-29
BR112014016969A2 (pt) 2017-06-13
MX369240B (es) 2019-11-01
KR20160066006A (ko) 2016-06-09
WO2013105260A1 (ja) 2013-07-18
US10349292B2 (en) 2019-07-09
JP5700141B2 (ja)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6845C1 (ru) Радио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US10567991B2 (en) Measuring multiple carriers under discontinuous activity
JP5582199B2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及び端末装置
JP2022513947A (ja) システム情報を更新する方法、及びそれを使用するワイヤレス送信/受信ユニット
TW201902267A (zh) 優化喚醒和相鄰小區測量方法及其使用者設備
JP6734548B2 (ja)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399153B2 (ja)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152904B2 (ja)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RU2660813C1 (ru) Радио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JP5896053B2 (ja) 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RU2619776C1 (ru) Радио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CN115696392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