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888A -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 Google Patents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888A
KR20160109888A KR1020150035112A KR20150035112A KR20160109888A KR 20160109888 A KR20160109888 A KR 20160109888A KR 1020150035112 A KR1020150035112 A KR 1020150035112A KR 20150035112 A KR20150035112 A KR 20150035112A KR 20160109888 A KR20160109888 A KR 2016010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ut
spiral member
spiral
fry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090B1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푸드
Priority to KR102015003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0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넛을 유탕기에서 튀길 때 고온으로 인하여 도넛이 기름의 수면으로 떠올라 고르게 튀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도넛을 튀긴 후에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는 나선형 날개로 구비되는 나선부재가 일 방향 회전 시 유지류에서 튀겨짐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도넛을 나선부재의 저면으로 다시 잠수시키고, 나선부재가 타 방향으로 회전 시 나선부재의 상면으로 도넛을 수거할 수 있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APPARATUS FOR FRYING DONUTS HAVING HELICAL MEMBER}
본 발명은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넛을 유탕기에서 튀길 때 고온으로 인하여 도넛이 기름의 수면으로 떠올라 고르게 튀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도넛을 튀긴 후에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도넛 등과 같이 고온의 유지류에 튀김으로 제작되는 제빵류는 고온의 유지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넛을 튀길 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도넛을 관찰하지 않게 되면 도넛이 타게 되고, 도넛이 맛있게 튀겨지려면 적절한 온도 및 시간을 요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피로도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넛 등과 같이 유지류에 튀겨서 제조되는 제빵류는 대량 생산시설에서 제빵라인과 같이 모든 제조과정이 자동화되는 기계가 개발되어 왔지만, 이는 큰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 또는 소형 제빵점에서 사용하기 힘들고, 비용적인 문제도 사용자에게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넛이 유지류에 튀겨질 때 부력에 의해 떠오르기 때문에 상면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면 도넛이 고루 튀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도넛이 잠수되어 튀겨지더라도 유지류의 하측방향 온도와 상측방향온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넛이 고루 튀겨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도넛의 내용물이 일 방향으로 쏠리는 문제점도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1119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넛이 부력에 의해 유지류 상면으로 떠올라 도넛이 고루 튀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유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튀겨지는 도넛을 관찰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도넛이 튀겨지는 시간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유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도넛이 유지류에서 다 튀겨졌을 때 손쉽게 도넛을 수거할 수 있는 유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의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운동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 하는 나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부재의 회전운동으로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도넛을 유지류 속으로 잠수시키는 유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부력에 의해 유지류 상면으로 떠오르는 도넛을 다시 유지류로 잠수시키기 때문에 도넛이 고루 익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부재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튀겨진 도넛을 유지류 속에서 수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부재는 제어부로 회전운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사용자가 도넛을 튀길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류의 양에 따라 적절한 높낮이로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의 지지부재 구1을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의 나선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의 턱부 및 나선부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의 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를 이용해 도넛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의 벽부 및 몸체부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는 몸체부(100), 지지부재(200), 축부(300), 나선부재(400), 동력부(500) 및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유지류(20)가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원통의 박스형상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유지류(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의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부(100)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몸체부(100)를 원통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부(100)는 하측에 구비되는 가열부로 인해 몸체부(100) 내측에 구비되는 유지류(2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지지부재(200)는 몸체부(100)에 체결되어 몸체부(100) 중심축에 구비되는 축부(3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재(200)는 타단이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체결되고, 일단이 몸체부(100)의 중심축까지 신장되어 일단에 축부(300)가 체결된다. 또한, 지지부재(200)는 타단에 축부(300)를 회전운동 시킬 수 있는 동력부(500)가 더 구비되는데, 여기 벨트(250)부가 더 구비되어 동력부(500)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축부(300)로 전달한다. 상세하게는, 동력부(500)는 회전운동하는 일반적인 모터로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동력부(500)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몸체부(100)의 중심축에 구비되는 축부(300)로 벨트(250)를 통해 힘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때, 지지부재(200)는 몸체부(100)의 크기, 형상 및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 “ㄱ”형상 “ㅡ”막대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지지부재(200)는 몸체부(100)에 직접 체결되어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210), 고정부재(210)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220) 및 이동부재(220)의 상단에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횡부재(230)로 이루어진다.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재(200)의 경우 이동부재(220) 및 고정부재(21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한 개가 구비되지만, 몸체부(100)의 양 측면에 횡단 방향으로 구비되어 몸체부(100)와 체결되는 “ㅡ”과 같이 막대형상으로 지지부재(2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220) 및 고정부재(210)가 두 개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재(200)는 몸체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10)에 고정부재(210)의 길이방향(몸체부(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220)가 체결되고, 이동부재(220)의 상단에는 몸체부(100)의 중심축에 구비되는 축부(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신장된 횡부재(23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210)와 이동부재(220)는 서로 톱니기어, 벨트(250) 및 실린더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부재(220) 또는 동력부(500)재에 구동부(240)가 구비되어 작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동력을 이용한 구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종적으로 이동부재(220)를 직접 파지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220)의 상단에 구비되는 횡부재(230)는 내측이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내측으로 벨트(250)가 구비된다. 벨트(250)는 일단이 동력부(500)와 체결되고 타단이 축부(300)와 체결되어 동력부(500)의 동력을 축부(300)로 전달한다. 이때, 벨트(250)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벨트(2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250) 외에 톱니기어, 웜기어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관절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동력부(500)가 몸체부(100) 외면 방향인 지지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되는 이유는 동력부(500)가 유탕기의 상면 방향에 구비된다면 유탕기에 구비되는 유지류(20)에서 발생되는 기름기가 동력부(500)에 스며들어 동력부(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력부(500)에서 발생되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이 다시 유지류(20)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위생적으로 깨끗함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횡부재(230)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벨트(250)가 구비되어 축부(300)와 체결되는 것도 이와 같이 동일한 이유를 갖는다.
축부(300)는 원통의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중심축에 위치하고, 지지부재(200)에 체결되어 회전운동하는 구성으로 외면에 나선부재(40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축부(300)는 외면에 나선의 날개 형상의 나선부재(400)가 구비되고, 일단에 지지부재(200)와 체결되어 회전운동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축부(300)의 일단은 지지부재(200)의 횡부재(230)에 삽입되고, 횡부재(2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벨트(250)에 체결되어 동력부(5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벨트(250)를 통해 전달받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나선부재(400)는 축부(3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나선의 날개형상으로 구비되고, 나선부재(400)의 높이는 몸체부(100)의 상면에서부터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유지류(20)에 일부분이 잠수될 수 있는 높이로 구비되며, 나선부재(400)의 지름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몸체부(100)의 내측 지름보다 작게 구비된다. 또한, 나선부재(400)의 나선 회전 수는 본 명세서에는 두 바퀴(720도)의 회전 수를 가지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반 바퀴, 한 바퀴 및 세 바퀴 등 다양한 회전 수를 가지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나선부재(400)의 날개면은 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메시(mesh)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메시로 이루어진 나선부재(400)를 갖는 나선부재(400)는 도넛(10)을 유지류(20)로 잠수시킬 때 도넛(10)에서 튀겨지며 발생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불순물이 유지류(20) 상면으로 보다 수월하게 떠오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유지류(20) 관리에 있어 보다 수월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나선 날개가 메시로 구비되면 도넛(10)을 수거할 때 나선부재(400) 상면에 도넛(10)이 위치되어 나선부재(40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데, 나선부재(400)가 메시로 이루어지면 수거와 동시에 도넛(10)에 있는 유지류(20)를 제거할 수 있어, 도넛(10) 수거와 동시에 탈유 과정을 함께 도모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나선부재(400)는 보다 효과적인 도넛(10) 수거를 위해 저면 끝단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턱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재(400)에 턱부(410)가 구비됨으로써 나선부재(400)가 타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도넛(10)이 나선부재(400)의 상면에 얹혀 수거될 때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도넛(10)이 나선부재(400)를 따라 다시 유지류(20) 속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추가적으로, 턱부(410)는 보다 더 효과적으로 도넛(10)을 수거할 수 있도록 나선부재(400)의 상면에 나선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턱부(410)는 돌출된 턱의 높이가 나선부재(400) 저면 방향이 상면 방향보다 더 낮게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턱부(410)는 나선부재(400)의 저면 끝단방향의 높이가 반대되는 대항 면의 높이보다 더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나선부재(400)가 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넛(10)을 수거할 때 턱의 일면이 낮게 구비되어 나선부재(400) 상면으로 수월하게 도넛(10)이 수집될 수 있고, 수집된 도넛(10)은 턱부(410)의 타면이 일면보다 높게 구비되기 때문에 도넛(10)이 손쉽게 나선부재(400)에서 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턱부(410)는 돌출된 돌기형상 또는 일면 및 타면의 높낮이가 상이한 턱부(410)를 일례로 들어 설명했지만, 고리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턱부(41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나선부재(400)의 상측 끝단에는 나선부재(400)의 상측 끝단에서 연장되고 평면을 이루는 보관부(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관부(420)는 나선부재(400)가 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넛(10)을 수거할 때 수거된 도넛(10)들이 나선의 기울기를 따라 유기류 속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수거되는 도넛(10)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또한, 보관부(420) 역시 나선부재(400)와 마찬가지로 수거된 도넛(10)에 남아있는 유기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메시(mesh)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관부(420)는 평면으로 구비되지만, 나선부재(400)에 도넛(10)이 이동되는 것을 감안하여 나선날부재의 날개의 층간 사이에 도넛(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확보하는 크기의 보관부(420)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부(420)의 끝단은 보관된 도넛(10)이 나선 다시 떨어지지 않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보관턱(421)이 구비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600)는 동력부(500) 및 구동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부(500) 및 구동부(24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동력부(500)는 축부(300)와 벨트(250)를 통해 연결되어 축부(300)를 회전운동 시키는 구성으로서, 축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부재(40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제어부(600)가 동력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부(500)의 회전 속도 및 동력부(5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40)는 지지부재(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동부(240)가 고정부재(210)에 이동부재(220)가 체결되고, 이동부재(220)를 고정부재(210)의 길이방향(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구동부(240)에 제어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속도 및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부(610)를 포함한다. 조작부(610)는 사용자가 구동부(240)를 작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간을 함께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넛(10)을 수거하는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수거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부(610)는 동력부(500)를 제어해 동력부(500)의 회전운동에 따라 동력부(500)와 연결되는 나선부재(400)의 회전시간,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도넛(10)의 종류, 상태 및 상황에 따라 알맞은 조작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벽부(700)는 나선부재(4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나선부재(400)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상세하게는, 벽부(700)는 나선부재(400)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나선부재(400)보다 유지류(20)에 더 잠수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벽부(700)는 나선부재(400)와 마찬가지로 메시(mesh)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비되는 벽부(70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몸체부(100)의 직경이 나선부재(400)의 직경과 상이할 때 도넛(10)이 나선부재(400)에 잠수 또는 수집되지 않고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벽부(700)가 몸체부(100), 지지부재(200) 또는 나선부재(4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벽부(700)는 저면이 개구되거나 차단될 수 있는데, 벽부(700)의 저면이 박스 형상으로 차단되도록 구비하면 도넛(10)이 지나치게 몸체부(100)의 저면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도넛(10)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넛(10)의 수집도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벽부(700)의 저면이 개구되었을 때에는 지지부재(200)를 몸체부(1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때 신속하게 도넛(10)을 유지류(20)에 집어넣거나, 수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나선형 날개 형상으로 구비되는 나선부재(400)가 회전운동을 통해 도넛(10)을 조리하기 때문에 유지류(20)가 이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유지류(20)가 몸체부(100)에서 넘치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튀어 화상을 입힐 수 있는데, 벽부(700)가 구비되면 유지류(20)의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는 몸체부(100)에 수용되는 유지류(20) 속에 도넛(10)을 넣어 조리를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조작부(610)를 조작하여 나선부재(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넛(10)이 튀겨짐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도넛(10)을 나선부재(400)의 나선부재(400) 저면으로 다시 유지류(20) 속으로 잠수 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610)를 통해 동력부(500)를 조작하여 나선부재(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나선부재(4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해 도넛(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선부재(400)의 회전 수 및 회전 시간을 조작하여 적절한 조리시간을 맞출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조작부(610)를 통해 동력부(500)와 함께 구동부(240)를 조작하여 조리가 완료되는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나선부재(40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선부재(400)의 상면으로 도넛(10)을 수거할 수 있으며, 구동부(240)를 조작함으로써, 나선부재(400)를 유지류(20) 속에서 꺼낼 수 있으며, 높낮이가 상이한 유지류(20)의 수면에 맞춰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나선부재(400)는 날개면이 메시로 구비되어 도넛(10)을 수거함 과 동시에 도넛(10)에서 유지류(20)를 제거할 수 있어 보다 바삭한 맛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나선부재(400)에 구비되는 턱부(410)로 인해 도넛을 수거 시 도넛(10)이 다시 유지류(20)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도 갖는다.
더 나아가, 몸체부(100) 저면에 구비되는 가열부로 몸체부(100)를 가열 시, 몸체부(100) 내부의 유지류(20)의 온도가 상승하여 도넛(10)을 튀기게 되는데, 이때, 유지류(20)의 온도는 저면과 상면이 상이하기 때문에 도넛(10)의 내용물 또는 외면의 튀김 정도가 달라 맛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나선부재(400)의 저면으로 도넛(10)을 유지류(20) 속으로 다시 잠수시켜 모든 면을 고루 튀기고, 이와 동시에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도넛(10)과 회전운동하는 나선부재(400)의 저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도넛(10)이 잠수됨과 동시에 유지류(20) 속에서 자체 회전하기 때문에, 상하의 온도가 상이한 유지류(20) 속에서도 모든면이 고루 튀겨질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마찰력으로 인한 도넛(10)의 자체 회전운동으로 도넛(10) 내부의 내용물이 일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고루 익어 보다 더 맛있게 튀겨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도넛 20 : 유지류
100 : 몸체부 200 : 지지부재
210 : 고정부재 220 : 이동부재
230 : 횡부재 240 : 구동부
250 : 벨트 300 : 축부
400 : 나선부재 410 : 턱부
420 : 보관부 421 : 보관턱
500 : 동력부 600 : 제어부
610 : 조작부 700 : 벽부

Claims (6)

  1. 원통의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운동하는 축부(300); 및
    상기 축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300)의 회전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 하는 나선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부재(400)가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나선부재(400)의 저면으로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도넛(10)을 유지류(20) 속으로 잠수시키고,
    상기 나선부재(400)가 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나선부재(400)의 상면으로 도넛을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축부(300)와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재(200) 및
    상기 지지부재(200)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300)를 회전운동 시키는 동력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의 높낮이 조절 및 상기 축부(3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400)의 저면 끝단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턱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400)는 메시(mesh)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400)를 감싸는 형상의 원통형 벽부(700)가 상기 나선부재(400)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KR1020150035112A 2015-03-13 2015-03-13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KR10174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12A KR101749090B1 (ko) 2015-03-13 2015-03-13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12A KR101749090B1 (ko) 2015-03-13 2015-03-13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88A true KR20160109888A (ko) 2016-09-21
KR101749090B1 KR101749090B1 (ko) 2017-06-20

Family

ID=5708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12A KR101749090B1 (ko) 2015-03-13 2015-03-13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409A (zh) * 2017-12-29 2018-04-24 浙江帝恒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搅拌的油炸锅
RU199988U1 (ru) * 2020-05-21 2020-10-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Атеси» Автом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ончиков
CN114568453A (zh) * 2022-03-25 2022-06-03 内江市香趣食品有限公司 一种猪油渣产品制备用新型加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90A (ko) 2000-06-14 2001-12-20 송동정 인터넷을 통한 복권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55B1 (ko) 2006-03-07 2007-03-19 손이옥 도넛 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90A (ko) 2000-06-14 2001-12-20 송동정 인터넷을 통한 복권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409A (zh) * 2017-12-29 2018-04-24 浙江帝恒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搅拌的油炸锅
RU199988U1 (ru) * 2020-05-21 2020-10-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Атеси» Автом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ончиков
CN114568453A (zh) * 2022-03-25 2022-06-03 内江市香趣食品有限公司 一种猪油渣产品制备用新型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090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34B1 (ko) 움직임-유도 수단을 구비한 조리 기기용 조리 방법 및 대응하는 조리 기기
KR101749090B1 (ko)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ITMI982473A1 (it) Dispositivo di tipo elettrico ad uso domestico per la cottura diprodotti alimentari
CN204839219U (zh) 炸锅
US5771781A (en) Electrical deep-fryer
AU2016202468B2 (en) Steaming accessory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llecting condensates designed to rest on a mixing bowl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1146881B1 (ko) 튀김장치
CN201205224Y (zh) 一种带有网篮旋转机构的电炸锅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US20090208621A1 (en) Cooking Appliance
KR101181159B1 (ko) 튀김장치
CN110353478B (zh) 一种全自动盖浇饭装置
EP2594177A1 (en) Appliance for preparing foodstuff
JP2013158454A (ja) フライヤ装置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EP0894462A1 (en) Electrical deep-fryer
CN101181143B (zh) 炸煮设备及用于沥干熟食的篮子的转动升降装置
CN203029009U (zh) 上出式炸锅
KR20100006663U (ko) 소시지 롤러구이기
FR2972617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a cuisson vapeur et brassant
CN103479233B (zh) 新结构的空气炸锅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WO2007145516A2 (en) Device for accelerated draining of food which has just been deep-fried
WO1996019934A1 (en) A deep-fryer structure
CN207969638U (zh) 一种转筒式炒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