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804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804A
KR20160109804A KR1020150034887A KR20150034887A KR20160109804A KR 20160109804 A KR20160109804 A KR 20160109804A KR 1020150034887 A KR1020150034887 A KR 1020150034887A KR 20150034887 A KR20150034887 A KR 20150034887A KR 20160109804 A KR20160109804 A KR 20160109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apture
area
image
cloud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530B1 (ko
Inventor
이동수
윤홍서
Original Assignee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고,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고,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IMAGE CLOUD STREAMING SERVICE USING SPLIT SCREE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캡처할 이미지의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캡처 영역의 구분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사용자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은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 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이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고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 정적인 화면에서 변화된 부분만을 캡처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주기 위해 화면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변화된 영역만 서비스 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0-0111711호, 2010년 10월 15일 공개 (명칭: 비디오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영역으로 분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중 변화된 영역만을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시 처리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클라우드 스트리밍에 중요한 지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는 수신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는 영역 분류부;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분할 결정부;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상기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는 분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부를 포함한다.
이 때, 분할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결정부는 상기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수준에 따라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결정부는 상기 수준이 상기 제1수준 및 제2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상기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리밍부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리밍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는 단계;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상기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준에 따라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준이 상기 제1수준 및 제2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상기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영역으로 분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중 변화된 영역만을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시 처리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클라우드 스트리밍에 중요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분할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분할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캡처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120-1~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한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수준에 따라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준이 제1 수준 및 제2 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120-1~ 120-N)로 전송한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단말(120-1~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20-1~ 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단말(120-1~ 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20-1~ 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단말(120-1~ 120-N)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20-1~ 12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20-1~ 12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20-1~ 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13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20-1~ 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3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또는 다른 단말(120-1~ 120-N)과 통신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20-1~ 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20-1~ 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 사용 이력에 따른 정보인 컨텐츠 사용 정보를 함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전송하여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120-1~ 120-N)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 실행 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한 후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및 단말(120-1~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120-1~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120-1~ 12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수신부(210), 영역 분류부(220), 분할 결정부(230), 분할부(240), 스트리밍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영역 분류부(220)는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한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각 구성요소를 프레임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보여주어야 하는데 이를 레이아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의 구성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소스코드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 구성태그인 시맨틱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면 프레임상에 레이아웃 구조를 알 수 있다.
레이아웃 구성태그인 시맨틱 태그의 몇 가지 예를 들면, <header> 태그를 통해 주로 로고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웹 페이지의 헤더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footer> 태그를 통해 카피라이트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웹 페이지의 하단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nav> 태그를 통해 웹 페이지의 메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rticle> 태그를 통해 주 컨텐츠 영역을 생성하고, <aside> 태그를 통해 페이지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부가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영역을 생성할 수 있는데 보통 퀵 메뉴나 광고 영역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레이아웃 구조에 상응하는 영역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분류되는 영역들은 해당 프레임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도 여러 가지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에 페이지에 따른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영역들을 분류할 수 있다.
분할 결정부(230)는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한정적인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화면과 새로 들어온 화면의 차이점만을 사용자 단말로 보내주어야 한다.
이 때,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1차적으로 분류한 영역들마다 차이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차이가 있는 영역만을 인코딩하여 단말로 보내줄 수 있다. 그러나,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영역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은 구성이 복잡하거나 변화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처리할 때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많은 연산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부하량도 많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연산량에 영향을 주는 영역별 복잡도를 확인하여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1차적으로 분류한 영역을 더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영역을 처리할 때의 연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영역별 복잡도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분류된 영역들을 각각 몇 개로 분할할지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상응하게 3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영역별 복잡도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이 제2 영역이나 제3 영역보다 영역별 복잡도가 크다면, 제1 영역을 처리할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중에서도 차이가 있는 부분만 처리하여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캡처 영역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역들을 각각 분할하여 생성된 영역일 수 있으며, 분할이 수행된 후의 모든 영역이 캡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각각 3개로 분할하면 총 8개의 캡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 개수가 1개로 결정된 영역은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영역 자체를 캡처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으르 기반으로 분류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 영역은 2개로 분할하였으나 제2 영역의 분할 개수는 1로 결정되어 분할되지 않았다면, 제2 영역을 그대로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여 총 3개의 캡처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되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는 사용자의 단말의 성능에 따라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 즉 사용자의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개수가 10라고 가정한다면, 생성되는 캡처 영역들의 총 개수가 10개를 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수준에 따라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별 복잡도를 1부터 100까지의 수치로 계산하고, 영역별 복잡도의 수치가 100에 가까울수록 해당 영역이 복잡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가 100부터 70에 포함되는 비교적 복잡한 영역을 제1 수준, 70부터 30에 포함되는 중간 정도 수준의 영역을 제2 수준 그리고 30부터 0에 포함되는 비교적 간단한 영역을 제3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이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에 따라 특정 영역의 복잡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각 수준에 따라 사전에 분할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준은 제2 수준이나 제3 수준에 비해서 복잡한 영역이므로 3개 또는 4개의 분할 개수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수준은 2개, 제3 수준은 분할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1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분할 개수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개수에 따라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 이상의 캡처 영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는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별로 각각 4개, 3개, 1개로 분할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8개 정도의 캡처 영역만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비교적 성능이 낮은 단말에 대해서는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별로 각각 3개, 2개, 1개로 분할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에 상응하는 분할 개수를 다양한 타입으로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의 성능에 따른 타입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준이 제1 수준 및 제2 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가 제1 수준이나 제2 수준보다 높지 않은 간단한 영역은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함으로써 영역이 추가로 분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에서 정보나 로고, 날짜 등을 주로 나타내는 헤더 영역은 컨텐츠를 나타내는 영역에 비해서 변화가 많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더 영역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분할된 영역들을 모두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별 복잡도가 낮은 제3 수준에 상응하는 영역은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하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립터는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소스코드 정보 또는 소스코드에 포함된 레이아웃 구조에 대한 테이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때 함께 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과는 별도로 수신할 수도 있다.
분할부(240)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한다.
이 때, 분할되는 캡처 영역들의 넓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등분하여 캡처 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캡처 영역들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로 세로 또는 가로 등분하거나, 일정한 모양은 아니지만 넓이는 동일하도록 분할될 수도 있다.
스트리밍부(250)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과 같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이 서로 붙어있고, 두 개의 캡처 영역에서 변화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에서 각각 이미지를 캡처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2번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을 합쳐서 제3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제3 캡처 영역에 대해서 이미지 캡처와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가 있다면, 현재 프레임을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캡처 영역에 상응하는 화면을 이미지로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되는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나 캡처 영역에 따라 이미지의 타입이나 사이즈가 다양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프레임들 중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간의 변화가 많은 구간은 캡처할 이미지의 수가 많아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화가 많은 구간은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고, 프레임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된 캡처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6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6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가 발생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캡처할 수 있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한정적인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송속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사양의 사용자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단말을 교체하는 비용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분할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분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레이아웃에 따라 simple text 영역(310), poster 영역(320) 및 text 영역(330)으로 분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simple text 영역(31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VOD를 제공하는 실행화면임을 할 수 있도록 텍스트를 포함하거나, 날짜 등을 표시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poster 영역(32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VOD의 포스터를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OD로 제공될 수 있는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및 애니메이션 등의 포스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oster 영역(32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컨텐츠를 나타내는 영역이기 때문에 변화가 자주 발생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컬러를 이용하여 영화 포스터와 같은 이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영역별 복잡도가 simple text 영역(310)이나 text 영역(330)보다 높은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poster 영역(320)은 도 3의 분할된 poster 영역(322~ 328)과 같이 분할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poster 영역(320)의 분할 개수는 4개로 결정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분할된 poster 영역(322~ 328) 각각의 넓이가 동일할 수 있다.
Text 영역(330)은 poster 영역(320)에서 나타낸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텍스트로 된 설명이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으므로, 영역별 복잡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imple text 영역(310)도 text 영역(330)과 동일하게 영역별 복잡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하여 분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총 6개의 캡처 영역이 생성될 수 있고, 각각의 캡처 영역들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 변화를 검출하여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분할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레이아웃이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Menu list 영역(410~ 440)과 Menu display 영역(450)으로 분류할 수 있다.
Menu list 영역(410~ 440)은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의 실행이나 정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등 다양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Menu display 영역(450)은 Menu list 영역(410~ 440)의 메뉴를 선택했을 때 실행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Menu list 영역(410~ 440)의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해당 메뉴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창을 Menu display 영역(450)에 띄울 수도 있다.
이 때, Menu list 영역(410~440)은 해당 메뉴에 대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영역별 복잡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각각의 Menu list 영역(410~ 440)의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u display 영역(450)은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창을 띄우는 등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Menu list 영역(410~ 440)보다는 영역별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분할 개수를 2개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캡처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캡처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프레임(510)과 현재 프레임(520)을 비교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프레임(510)을 살펴보면,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A, B, C, D, E 및 F에 상응하는 6개의 영역으로 분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현재 프레임(520)을 확인하면, 이전 프레임(510)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에서 B, D 및 F에 상응하는 영역이 각각 B', D' 및 F'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이전 프레임(510)과 비교하였을 때 현재 프레임(520)에서 차이가 있는 B', D' 및 F'에 상응하는 영역을 변화된 캡처 영역(532~ 536)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후, 검출된 변화된 캡처 영역(532~ 536)에서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게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B', D' 및 F'에 상응하는 영역은 모두 인접해 있으므로, 3개의 영역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하나의 영역에 상응하게 이미지를 캡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여러 캡처 영역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여 캡처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파이프라인 처리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처리로 인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을 감소시키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적인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한다(S610).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한다(S620).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각 구성요소를 프레임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보여주어야 하는데 이를 레이아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의 구성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소스코드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 구성태그인 시맨틱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면 프레임상에 레이아웃 구조를 알 수 있다.
레이아웃 구성태그인 시맨틱 태그의 몇 가지 예를 들면, <header> 태그를 통해 주로 로고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웹 페이지의 헤더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footer> 태그를 통해 카피라이트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웹 페이지의 하단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nav> 태그를 통해 웹 페이지의 메뉴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rticle> 태그를 통해 주 컨텐츠 영역을 생성하고, <aside> 태그를 통해 페이지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부가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영역을 생성할 수 있는데 보통 퀵 메뉴나 광고 영역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레이아웃 구조에 상응하는 영역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분류되는 영역들은 해당 프레임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도 여러 가지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에 페이지에 따른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영역들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고,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한다(S630).
예를 들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한정적인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화면과 새로 들어온 화면의 차이점만을 사용자 단말로 보내주어야 한다.
이 때,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1차적으로 분류한 영역들마다 차이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차이가 있는 영역만을 인코딩하여 단말로 보내줄 수 있다. 그러나,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영역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은 구성이 복잡하거나 변화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처리할 때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많은 연산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부하량도 많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연산량에 영향을 주는 영역별 복잡도를 확인하여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1차적으로 분류한 영역을 더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영역을 처리할 때의 연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영역별 복잡도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분류된 영역들을 각각 몇 개로 분할할지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상응하게 3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영역별 복잡도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이 제2 영역이나 제3 영역보다 영역별 복잡도가 크다면, 제1 영역을 처리할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중에서도 차이가 있는 부분만 처리하여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캡처 영역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역들을 각각 분할하여 생성된 영역일 수 있으며, 분할이 수행된 후의 모든 영역이 캡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분류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각각 3개로 분할하면 총 8개의 캡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 개수가 1개로 결정된 영역은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영역 자체를 캡처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으르 기반으로 분류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 영역은 2개로 분할하였으나 제2 영역의 분할 개수는 1로 결정되어 분할되지 않았다면, 제2 영역을 그대로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여 총 3개의 캡처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되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는 사용자의 단말의 성능에 따라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 즉 사용자의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개수가 10라고 가정한다면, 생성되는 캡처 영역들의 총 개수가 10개를 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수준에 따라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별 복잡도를 1부터 100까지의 수치로 계산하고, 영역별 복잡도의 수치가 100에 가까울수록 해당 영역이 복잡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가 100부터 70에 포함되는 비교적 복잡한 영역을 제1 수준, 70부터 30에 포함되는 중간 정도 수준의 영역을 제2 수준 그리고 30부터 0에 포함되는 비교적 간단한 영역을 제3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이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에 따라 특정 영역의 복잡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각 수준에 따라 사전에 분할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준은 제2 수준이나 제3 수준에 비해서 복잡한 영역이므로 3개 또는 4개의 분할 개수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수준은 2개, 제3 수준은 분할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1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분할 개수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 가능한 개수에 따라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 이상의 캡처 영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는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별로 각각 4개, 3개, 1개로 분할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8개 정도의 캡처 영역만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비교적 성능이 낮은 단말에 대해서는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별로 각각 3개, 2개, 1개로 분할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에 상응하는 분할 개수를 다양한 타입으로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의 성능에 따른 타입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준이 제1 수준 및 제2 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가 제1 수준이나 제2 수준보다 높지 않은 간단한 영역은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함으로써 영역이 추가로 분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에서 정보나 로고, 날짜 등을 주로 나타내는 헤더 영역은 컨텐츠를 나타내는 영역에 비해서 변화가 많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더 영역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분할된 영역들을 모두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별 복잡도가 낮은 제3 수준에 상응하는 영역은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하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립터는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소스코드 정보 또는 소스코드에 포함된 레이아웃 구조에 대한 테이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역별 복잡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때 함께 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과는 별도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분할되는 캡처 영역들의 넓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등분하여 캡처 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캡처 영역들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로 세로 또는 가로 등분하거나, 일정한 모양은 아니지만 넓이는 동일하도록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640).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과 같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이 서로 붙어있고, 두 개의 캡처 영역에서 변화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에서 각각 이미지를 캡처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2번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캡처 영역과 제2 캡처 영역을 합쳐서 제3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제3 캡처 영역에 대해서 이미지 캡처와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프레임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가 있다면, 현재 프레임을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캡처 영역에 상응하는 화면을 이미지로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되는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나 캡처 영역에 따라 이미지의 타입이나 사이즈가 다양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프레임들 중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간의 변화가 많은 구간은 캡처할 이미지의 수가 많아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화가 많은 구간은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고, 프레임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된 캡처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감소된 부하량에 따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한다(S702).
이 후,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한다(S704).
이 때, 레이아웃과 관련된 정보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분류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6).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역별 복잡도를 수치로 계산하고, 제1 수준에 해당하는 수치인지 여부에 따라 영역별 복잡도가 제1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706)의 판단결과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이라면, 제1 수준에 상응하게 분할 개수를 결정한다(S708).
이 때, 제1 수준에 상응하는 분할 개수를 사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결정된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류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의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으로 판단되었다면, 제1 영역을 제1 수준에 해당하는 분할 개수로 분할할 수 있다.
단계(S706)의 판단결과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이 아니라면, 분류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2 수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2).
이 때, 제2 수준은 제1 수준보다 영역별 복잡도의 수치가 낮은, 즉 제1 수준보다는 덜 복잡한 수준에 상응할 수 있다.
단계(S712)의 판단결과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2 수준이라면, 제2 수준에 상응하게 분할 개수를 결정한다(S714).
이 때, 제2 수준에 상응하는 분할 개수도 제1 수준에 상응하는 분할 개수와 같은 방식으로 사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분할 개수는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개수가 10개라고 한다면, 결정되는 분할 개수의 숫자를 조정하여 캡처 영역이 10개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결정된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할 수 있다(S710).
단계(S712)의 판단결과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2 수준도 아니라면,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을 제3 수준으로 판단하고 제3 수준에 상응하게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한다(S716). 즉, 영역별 복잡도가 낮아 분할하지 않아야 하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영역이 분할되지 않도록 분할 개수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해당 영역은 분할 개수가 1이므로 분할하지 않고, 해당 영역을 그대로 캡처 영역으로 인식한다(S718).
이 후, 분할을 수행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된 캡처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을 비교한다(S720).
이 후,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한다(S722).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후,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 상응하게 이미지를 캡처한다(S724).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후, 캡처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한다(S726).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이 후,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S728)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에서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되어 전송된 이미지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02).
이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한다(S804).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수신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한다(S80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영역 분류부를 통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레이아웃을 확인하고(S808),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한다(S810).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레이아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분할 결정부에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영역별 복잡도를 확인하고(S812),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한다(S814).
이 때, 영역별 복잡도는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여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분할 개수는 분할을 통해 생성되는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사용자의 단말(120-1)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분할부에서는 결정된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복수 개의 영역들을 각각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한다(S816).
이 때,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넓이가 모두 동일하게 등분하여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하는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스트리밍부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을 비교한다(S818).
이 후, 프레임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한다(S820).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캡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이 서로 맞닿아 인접한 상태라면,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이미지를 캡처할 수도 있다.
이 후,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고(S822), 인코딩된 이미지를 단말(120-1)로 전송한다(S824).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20-1)에서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한다(S826).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부분의 이미지만을 렌더링하게 되므로 기존의 비디오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보다 렌더링에 걸리는 시간과 렌더링 시 발생하는 부하량이 적을 수 있다.
이 후, 단말(120-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렌더링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S828)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압축하여 전송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중에서도 변화가 많은 부분들을 일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도록 영역을 분할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보다 효율적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고,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고, 복수 개의 영역들을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에 의한 지연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단말
130: 네트워크 210: 수신부
220: 영역 분류부 230: 분할 결정부
240: 분할부 250: 스트리밍부
260: 저장부 310: simple text 영역
320: poster 영역 322~ 328: 분할된 poster 영역
330: text 영역 410~ 440: Menu list 영역
450: Menu display 영역 510: 이전 프레임
520: 현재 프레임 532~ 536: 변화된 캡처 영역

Claims (10)

  1.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는 수신부;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는 영역 분류부;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분할 결정부;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상기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는 분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할 결정부는
    상기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수준에 따라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할 결정부는
    상기 수준이 상기 제1수준 및 제2수준 보다 복잡하지 않은 상기 제3 수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분할 개수를 1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복잡도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서로 인접한 캡처 영역들을 하나의 캡처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를 캡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는 단계;
    영역별 복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상기 분할 개수에 상응하게 분할하여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 중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캡처 영역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캡처 영역들의 개수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용 가능한 한도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별 복잡도의 수준이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 중 어느 수준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준에 따라 상기 분할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1020150034887A 2015-03-13 2015-03-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87A KR102313530B1 (ko) 2015-03-13 2015-03-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87A KR102313530B1 (ko) 2015-03-13 2015-03-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04A true KR20160109804A (ko) 2016-09-21
KR102313530B1 KR102313530B1 (ko) 2021-10-18

Family

ID=5708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87A KR102313530B1 (ko) 2015-03-13 2015-03-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37A (zh) * 2018-09-25 2019-02-19 江苏电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大屏多路推流码率自动调整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711A (ko) 2008-01-30 2010-10-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비디오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US20130155075A1 (en) * 2011-12-15 2013-06-2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40055132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웹페이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711A (ko) 2008-01-30 2010-10-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비디오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US20130155075A1 (en) * 2011-12-15 2013-06-2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40055132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웹페이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37A (zh) * 2018-09-25 2019-02-19 江苏电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大屏多路推流码率自动调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30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31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의 투명도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903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7793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된 이미지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26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74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556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와 텍스트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소스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082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화질 정보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260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65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처리 유닛의 작업 분리를 통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0907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최적 렌더링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5426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씬 영역 특성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7114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22599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컬러 비트 감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25140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os 메시지를 이용한 변화 영역 탐지 기반의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992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유형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odríguez-Silva et al. Towards Virtualization of Rich Applications for Distribution under a SaaS Model.
KR2016004473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