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477B1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477B1
KR102407477B1 KR1020150120081A KR20150120081A KR102407477B1 KR 102407477 B1 KR102407477 B1 KR 102407477B1 KR 1020150120081 A KR1020150120081 A KR 1020150120081A KR 20150120081 A KR20150120081 A KR 20150120081A KR 102407477 B1 KR102407477 B1 KR 10240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lpha value
cloud streaming
type
sti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829A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고,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캡처된 이미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IMAGE CLOUD STREAMING SERVICE USING ALPHA VALUE OF IMAGE TYP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파 값으로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여, 이미지 타입에 적합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사용자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은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 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이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고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정적인 부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캡처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되,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의 타입을 판단하여 적합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4-0027040호, 2014년 3월 6일 공개 (명칭: 적응 이미지 압축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캡처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을 신속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타입에 따라 효과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서 프레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성능이 낮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는 이미지 타입 판단부; 상기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스트리밍부를 포함한다.
이 때, 이미지 타입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상기 알파 값과 상기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 판단부는 상기 알파 값이 상기 자연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상기 알파 값이 상기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부는 상기 이미지 타입이 상기 자연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상기 이미지 타입이 상기 합성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부는 상기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단계;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상기 알파 값과 상기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알파 값이 상기 자연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상기 알파 값이 상기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타입이 상기 자연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상기 이미지 타입이 상기 합성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상기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써,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고,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처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을 신속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타입에 따라 효과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프레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성능이 낮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화면을 알파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캡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105),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120-1~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105)는 단말(120-1~ 120-N)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105)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웹 서버 또는 JSP, servlet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한다.
이 때,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하고,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알파 값과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비교하여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알파 값이 자연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알파 값이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한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한다.
단말(120-1~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20-1~ 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단말(120-1~ 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20-1~ 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단말(120-1~ 120-N)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20-1~ 12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20-1~ 12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20-1~ 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13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20-1~ 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3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또는 다른 단말(120-1~ 120-N)과 통신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20-1~ 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 사용 이력에 따른 정보인 컨텐츠 사용 정보를 함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전송하여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120-1~ 120-N)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 실행 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한 후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및 단말(120-1~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120-1~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120-1~ 12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캡처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생략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을 신속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타입에 따라 효과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프레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성능이 낮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통신부(210), 캡처부(220), 이미지 타입 판단부(230), 인코딩부(240), 스트리밍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적인 화면에 대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여 비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뉴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이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프레임간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 영역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인코딩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제공한다.
이 때, 검출된 변화 영역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는 검출되는 변화 영역의 속성에 따른 세부 처리가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자연 이미지일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것이 압축 효율이 좋을 수 있다. 또한, 변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합성 이미지일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것이 압축 효율이 좋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컬러 수를 카운트하거나 픽셀 값 조사를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미지 영역에 대한 XML/JSON과 같은 부가 정보를 따로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브라우저를 통해서 전달하는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프로세싱은 자원의 소모도가 크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고, 부가 정보를 따로 전달하는 방식은 데이터 전달에 따른 오버헤드 및 이미지와 부가 데이터 간의 연동을 위한 추가 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알파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타입을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통신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들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캡처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한다.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하고,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여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 옵션, 안내 창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프레임의 변화가 적은 정적인 이벤트 또는 동영상 재생 및 게임 플레이와 같이 프레임이 자주 변하는 동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발생시키는 입력신호로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고, 이벤트 유형이 정적인 이벤트라면, 해당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전체 구간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였을 때 변화된 영역이 A 영역이라고 가정한다면, 현재 프레임에서 A 영역만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처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사이즈나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성질이 다양할 수 있다.
이미지 타입 판단부(230)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와 이미지 타입을 판단한다.
이 때, 이미지 타입 별 알파 값은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통해서는 분별하기 어려운 정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이미지의 알파 값이 각각 255와 253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알파 값의 차이는 사용자의 눈으로는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차이일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으로는 정확하게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알파 값의 차이에 따라 손쉽게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알파 값과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비교하여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는 CSS3에 상응할 수 있다.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 시트이고, 스타일 시트의 표준안이 바로 CSS에 상응할 수 있다. 즉, HTML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할 경우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두면 웹 페이지의 한 가지 요소만 변경해도 관련되는 전체 페이지의 내용이 한꺼번에 변경되므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알파 값, 즉 투명도에 대한 정보도 스타일 시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통해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는 각 이미지 타입 별 알파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의 알파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픽셀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알파 값은 이미지의 투명도 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픽셀 값에 컬러 정보와 함께 알파 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픽셀 값은, 알파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획득하지 않아도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때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자연 이미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객체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광학 이미지뿐 아니라 엑스레이와 적외선 같은 다른 파장의 이미지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합성 이미지는 자연 이미지와 다르게 컴퓨터나 인위적 수단을 통해 생성되거나 합성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에서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통해서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 시트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에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와 253이 혼합되어 있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가 혼합된 이미지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인코딩부(240)는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타입이 하나의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타입이거나 또는 여러 개의 이미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이미지일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타입에 적합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선택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이미지의 화질은 좋으나 데이터의 크기가 커져서 전송 망의 대역폭이 낮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압축 효율이 좋아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전송 데이터 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나, 압축 효율이 큰 만큼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때 시스템 부하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는 한 픽셀 주위에 서로 비슷한 색이 모여 있는 자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하였을 때 압축 효율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인 경우에는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인 경우에는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더라도 자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때처럼 압축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의 화질을 높일 수 있는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여 이미지의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250)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한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완료함으로써 압축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6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6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캡처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생략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을 신속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타입에 따라 효과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프레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성능이 낮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먼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302).
이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과 함께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는 이미지 타입마다의 알파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수행 시 최초에 1번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가 수정되는 경우에는 수정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다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하고(S304), 렌더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변화된 영역을 캡처할 수 있다(S306).
이 때, 이미지를 캡처하면서 이미지의 픽셀 값을 획득하고, 픽셀 값에 포함된 알파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캡처한 이미지의 알파 값을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과 함께 수신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와 비교하여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S308).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 및 합성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에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미지의 알파 값이 이중 어느 값에 상응하는지 비교하여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이미지 타입에 따라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S310).
이 때,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인 경우에는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인 경우에는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이미지의 화질은 좋으나 데이터의 크기가 커져서 전송 망의 대역폭이 낮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압축 효율이 좋아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전송 데이터 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나, 압축 효율이 큰 만큼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때 시스템 부하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는 한 픽셀 주위에 서로 비슷한 색이 모여 있는 자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하였을 때 압축 효율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 후,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하면(S312), 사용자의 단말에서는 이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S314) 마치 사용자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 화면은 자연 이미지 영역(410)과 합성 이미지 영역(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자연 이미지 영역(410)은 그림, 사진 및 포스터와 같은 중요 객체를 나타낼 수 있고, 합성 이미지 영역(420)은 중요 객체에 대한 설명 위주의 텍스트나 인공적으로 생성한 배경 또는 여러 이미지들을 합성해 놓은 이미지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연 이미지 영역(410)과 합성 이미지 영역(420)이 섞여 있는 프레임 화면의 경우에는 이미지를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캡처된 이미지가 어떤 이미지 타입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타입에 따라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달리 설정하여 보다 높은 효율로 압축을 수행하기 위함일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게 부담을 줄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화면을 알파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화면을 알파 값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자연 이미지 영역(510)과 합성 이미지 영역(520)으로 구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자연 이미지 영역(510)와 합성 이미지 영역(520)의 알파 값은 사용자의 눈을 통해 차이를 인식하기 어려운 정도에 해당할 수 있으나, 프로그래밍을 통해서는 분명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이미지 영역(510)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하도록 설정된다면, 합성 이미지 영역(520)의 알파 값은 253에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때, 별도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고도 수월하게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타입에 따른 효율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캡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캡처하는 과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여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 옵션, 안내 창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프레임의 변화가 적은 정적인 이벤트 또는 동영상 재생 및 게임 플레이와 같이 프레임이 자주 변하는 동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발생시키는 입력신호로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고, 이벤트 유형이 정적인 이벤트라면, 해당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전체 구간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후,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620)과 이전 프레임(610)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현재 프레임(620)과 이전 프레임(610)을 비교하면, 이전 프레임(610)에 포함된 5개의 영역, A, B', C, D 및 E의 영역들이 현재 프레임(620)에서는 각각 A', B, C', D 및 E에 상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이전 프레임(610)의 A, B' 및 C에 해당하는 3개의 영역이 현재 프레임(620)에서는 각각 A', B, C'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프레임(620)에서의 A', B, C'에 해당하는 영역을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적인 화면에 대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여 비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뉴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이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프레임간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 영역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인코딩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제공한다.
이 때, 검출된 변화 영역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는 검출되는 변화 영역의 속성에 따른 세부 처리가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자연 이미지일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것이 압축 효율이 좋을 수 있다. 또한, 변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합성 이미지일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것이 압축 효율이 좋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컬러 수를 카운트하거나 픽셀 값 조사를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미지 영역에 대한 XML/JSON과 같은 부가 정보를 따로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브라우저를 통해서 전달하는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프로세싱은 자원의 소모도가 크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고, 부가 정보를 따로 전달하는 방식은 데이터 전달에 따른 오버헤드 및 이미지와 부가 데이터 간의 연동을 위한 추가 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알파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타입을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한다(S710).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하고,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여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 옵션, 안내 창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프레임의 변화가 적은 정적인 이벤트 또는 동영상 재생 및 게임 플레이와 같이 프레임이 자주 변하는 동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발생시키는 입력신호로 이벤트 유형을 감지하고, 이벤트 유형이 정적인 이벤트라면, 해당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전체 구간 중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였을 때 변화된 영역이 A 영역이라고 가정한다면, 현재 프레임에서 A 영역만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처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사이즈나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성질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한다(S720).
이 때, 이미지 타입 별 알파 값은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통해서는 분별하기 어려운 정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이미지의 알파 값이 각각 255와 253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알파 값의 차이는 사용자의 눈으로는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차이일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으로는 정확하게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알파 값의 차이에 따라 손쉽게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알파 값과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비교하여 이미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는 CSS3에 상응할 수 있다.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 시트이고, 스타일 시트의 표준안이 바로 CSS에 상응할 수 있다. 즉, HTML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할 경우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두면 웹 페이지의 한 가지 요소만 변경해도 관련되는 전체 페이지의 내용이 한꺼번에 변경되므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알파 값, 즉 투명도에 대한 정보도 스타일 시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통해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는 각 이미지 타입 별 알파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의 알파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픽셀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알파 값은 이미지의 투명도 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픽셀 값에 컬러 정보와 함께 알파 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픽셀 값은, 알파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획득하지 않아도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때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자연 이미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객체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광학 이미지뿐 아니라 엑스레이와 적외선 같은 다른 파장의 이미지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합성 이미지는 자연 이미지와 다르게 컴퓨터나 인위적 수단을 통해 생성되거나 합성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에서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통해서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 시트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에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와 253이 혼합되어 있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가 혼합된 이미지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다(S730).
예를 들어, 이미지 타입이 하나의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타입이거나 또는 여러 개의 이미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이미지일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타입에 적합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선택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하는 경우에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이미지의 화질은 좋으나 데이터의 크기가 커져서 전송 망의 대역폭이 낮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압축 효율이 좋아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전송 데이터 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나, 압축 효율이 큰 만큼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때 시스템 부하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는 한 픽셀 주위에 서로 비슷한 색이 모여 있는 자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하였을 때 압축 효율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인 경우에는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인 경우에는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더라도 자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때처럼 압축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의 화질을 높일 수 있는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여 이미지의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한다(S740).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완료함으로써 압축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들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 한다.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 모듈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 모듈은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캡처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생략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알파 값을 기반으로 이미지 타입을 신속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타입에 따라 효과적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프레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성능이 낮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는 방법은 먼저 캡처된 이미지의 픽셀 값을 체크한다(S810). 즉, 알파 값은 이미지의 투명도 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픽셀 값에 컬러 정보와 함께 알파 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 픽셀 값은, 알파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획득하지 않아도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때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픽셀 값에 포함된 이미지의 알파 값을 획득한다(S820).
이 후,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25).
이 때,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에서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를 통해서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 시트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에 자연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하고, 합성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5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자연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캡처된 이미지의 알파 값이 253에 상응한다면, 캡처된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이 합성 이미지에 상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S825)의 판단결과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위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한다(S830).
또한, JPE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압축 효율이 좋아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전송 데이터 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나, 압축 효율이 큰 만큼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때 시스템 부하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S825)의 판단결과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1 알파 값에 상응하지 않으면,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5).
단계(S835)의 판단결과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위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으로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한다(S840).
이 때, PNG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 시 이미지의 화질은 좋으나 데이터의 크기가 커져서 전송 망의 대역폭이 낮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단계(S835)의 판단결과 이미지의 알파 값이 제2 알파 값에도 상응하지 않으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적합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한다(S850).
또한, 이미지 영역에 대한 대한 XML/JSON과 같은 부가 정보를 따로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브라우저를 통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타입을 체크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고,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선택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압축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절약하여 동시에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05: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단말 130: 네트워크
210: 통신부 220: 캡처부
230: 이미지 타입 판단부 240: 인코딩부
250: 스트리밍부 260: 저장부
410, 510: 자연 이미지 영역 420, 520: 합성 이미지 영역
610: 이전 프레임 620: 현재 프레임
630: 캡처 이미지

Claims (10)

  1.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는 이미지 타입 판단부;
    상기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스트리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타입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획득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와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알파 값을 비교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타입은
    자연 이미지(natural image) 및 합성 이미지(synthetic image)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타입 판단부는
    상기 알파 값이 상기 자연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자연 이미지로 판단하고, 상기 알파 값이 상기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2 알파 값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타입을 합성 이미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알파 값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타입에 기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는 단계;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타입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타일 시트를 기반으로 획득된 이미지 타입 별 알파 정보와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알파 값을 비교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20081A 2015-05-07 2015-08-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7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890 2015-05-07
KR20150063890 2015-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29A KR20160131829A (ko) 2016-11-16
KR102407477B1 true KR102407477B1 (ko) 2022-06-13

Family

ID=5754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81A KR102407477B1 (ko) 2015-05-07 2015-08-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491B1 (ko) * 2019-02-08 2023-12-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2429225B1 (ko) * 2020-11-20 2022-08-04 주식회사 이알마인드 원격화면 전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075A1 (en) * 2011-12-15 2013-06-2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0139A1 (en) * 2012-06-01 2013-12-0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tream having a transparency information channel
KR20140027040A (ko) 2013-12-30 2014-03-06 주식회사 큐램 적응 이미지 압축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075A1 (en) * 2011-12-15 2013-06-2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29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71395A (zh) 生成和发送用于虚拟现实的元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38417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94618A1 (en) Hemisphere cube map projection format in imaging environments
US10462200B2 (en)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for still image-based cloud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989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시 인코딩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674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사이즈 기반의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74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알파 값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903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4341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의 투명도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7793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된 이미지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5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컬러 비트 감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690888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 контента
KR10224788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소스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556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와 텍스트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269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os 메시지를 이용한 변화 영역 탐지 기반의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5426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씬 영역 특성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23796B1 (en) Low resolution processing of high resolution video in support of video-based computing services
KR10226541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선택적 인코딩 처리 유닛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65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처리 유닛의 작업 분리를 통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9749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2016013995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선택적 서버 연결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