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334A - 제어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334A
KR20160107334A KR1020167022510A KR20167022510A KR20160107334A KR 20160107334 A KR20160107334 A KR 20160107334A KR 1020167022510 A KR1020167022510 A KR 1020167022510A KR 20167022510 A KR20167022510 A KR 20167022510A KR 20160107334 A KR20160107334 A KR 2016010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lief
valve body
actuator por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470B1 (ko
Inventor
쇼타 미즈카미
다케시 데라오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1Servomotor systems with fluid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2013/04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with two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41581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0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18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usin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1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515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1With annular passage [e.g., sp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제어 밸브 장치는,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포트와 액추에이터 포트를 복귀 통로에 연통시키는 릴리프 통로를 갖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액추에이터 포트를 공급 측 또는 복귀 측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스풀과, 액추에이터 포트의 압력을 제어하여, 릴리프 통로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조립 구멍에 조립된 개폐 밸브를 구비한다. 개폐 밸브는, 밸브 개방 시에 조립 구멍을 통해 액추에이터 포트와 릴리프 통로를 연통시킨다.

Description

제어 밸브 장치 {CONTROL VALVE DEVICE}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내의 작동 유체를 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개폐 밸브를 구비한 제어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제어 밸브 장치는, 예를 들어 JP2009-20999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제어 밸브 장치에서는, 밸브 보디에 서브 블록이 별도로 설치되고, 이 서브 블록에 상기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블록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종래의 제어 밸브 장치에서는, 서브 블록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서브 블록의 분만큼 부품 개수가 많아짐과 함께, 제어 밸브 장치 전체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서브 블록을 부가하지 않아도 개폐 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제어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제어 밸브 장치는, 액추에이터 포트 및 릴리프 통로를 갖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액추에이터 포트를 공급 측 또는 복귀 측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스풀과, 액추에이터 포트의 압력을 제어하여 릴리프 통로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조립 구멍에 조립된 개폐 밸브를 구비한다. 개폐 밸브는, 밸브 개방 시에 조립 구멍을 통해 액추에이터 포트와 릴리프 통로를 연통시킨다.
도 1은 릴리프 밸브를 제거한 상태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트의 개구 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 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릴리프 밸브를 제거한 상태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트의 개구 측으로부터 본 제2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 측으로부터 본 제2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릴리프 밸브를 제거한 상태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트의 개구 측으로부터 본 제3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릴리프 밸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 측으로부터 본 제3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보디(B1)에 스풀(S)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스풀(S)의 양단부는 파일럿실(1, 2)에 면하고 있다.
밸브 보디(B1)에는, 액추에이터 포트(3, 4)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실린더의 로드 측실에 연통되고,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는 상기 실린더의 보텀 측실에 연통되어 있다.
스풀(S)이 도시한 중립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전환되면, 공급 통로(5)로 유도된 작동 유체가, 스풀(S)에 형성된 제1 환형 홈(7)을 통해 제1 환형 홈부(8)로 유도됨과 함께, 이 제1 환형 홈부(8)로부터 압력 보상 밸브(9)로 유도된다. 압력 보상 밸브(9)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로드 체크 밸브(10, 11)를 밀어 개방하여 중계 유로(12, 13)로 유입된다.
스풀(S)이 우측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스풀(S)의 제2 환형 홈(14)을 통해 상기 중계 유로(12)와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가 연통된다. 따라서, 중계 유로(12)로 유입된 작동 유체는,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로드 측실에 공급된다.
상기 실린더의 보텀 측실로부터의 복귀 작동 유체는,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로 유입된다. 스풀(S)이 우측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스풀(S)의 제3 환형 홈(15)을 통해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와, 도시하고 있지 않은 탱크에 연통되는 복귀 통로(16)가 연통된다. 따라서,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로 유입된 복귀 작동 유체는, 상기 복귀 통로(16)로부터 도시하고 있지 않은 탱크로 복귀된다.
한편, 스풀(S)이 상기와는 반대인 좌측 방향으로 전환되면, 공급 통로(6)로 유도된 작동 유체가, 상기 제1 환형 홈(7)을 통해 제1 환형 홈부(8)로 유도됨과 함께, 이 제1 환형 홈부(8)로부터 압력 보상 밸브(9)로 유도된다. 압력 보상 밸브(9)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로드 체크 밸브(10, 11)를 밀어 개방하여 중계 유로(12, 13)로 유입된다.
스풀(S)이 좌측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스풀(S)의 제3 환형 홈(15)을 통해 상기 중계 유로(13)와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가 연통된다. 따라서, 중계 유로(13)로 유입된 작동 유체는,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4)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보텀 측실에 공급된다.
상기 실린더의 로드 측실로부터의 복귀 작동 유체는,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로 유입된다. 스풀(S)이 좌측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스풀(S)의 제2 환형 홈(14)을 통해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와, 상기 복귀 통로(16)가 연통된다. 따라서,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3)로 유입된 복귀 작동 유체는, 상기 복귀 통로(16)로부터 도시하고 있지 않은 탱크로 복귀된다.
상기한 밸브 보디(B1)에는, 액추에이터 포트(3, 4)에 연통되는 릴리프용 구멍(17, 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릴리프용 구멍(17, 18)에 릴리프 밸브(19, 20)가 조립 장착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19, 20)는, 액추에이터 포트(3, 4)에 접속되는 실린더의 부하압을 제어한다. 실린더의 부하압이 당해 릴리프 밸브(19, 20)에서 설정한 압력을 초과하였을 때, 릴리프 밸브(19, 20)는 개방되어, 액추에이터 포트(3, 4)의 작동 유체를, 릴리프 통로(21, 22)를 경유하여 상기 복귀 통로(16)로 릴리프한다.
밸브 보디(B1)의, 액추에이터 포트(4)의 개구부가 형성된 측면에는, 개폐 밸브(V1)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 구멍(23)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스풀(S)에 대해 평행한 가상선 X로부터 벗어난 위치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의 2개의 위치 조건을 충족시키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립 구멍(23)은,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에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개구됨과 함께, 상기 스풀(S)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내려가 있다. 조립 구멍(23)은, 이 파내려감 방향에 있어서도, 상기 릴리프 밸브(20)에는 간섭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립 구멍(23)에는, 개폐 밸브(V1)가 조립된다. 개폐 밸브(V1)는, 나사 부재(24)를 체결하거나 풀거나 하여 밸브체(25)를 개폐한다.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 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밸브(V1)로 작동 유체를 유도하는 도입 통로(26)의 일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 도입 통로(26)는, 밸브 보디(B1)의, 액추에이터 포트(3, 4)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보디(B1)의,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3, 4)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도입 통로(26)에 교차하여 연통되는 연통 구멍(27)의 일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그 개구는 플러그(27a)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밸브 보디(B1)의, 상기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된 측면에, 상기 연통 구멍(27)에 교차하여 연통되는 연통 포트(28)가 개구되어 있다. 그 개구는 플러그(28a)에 의해 막혀 있다.
연통 포트(28)는, 도입 통로(26)로 유입된 작동 유체를 상기 밸브체(25) 측으로 유도한다. 밸브 보디(B1)에는 조립 구멍(23)에 연속되는 통로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구멍(29)은 도출 포트(30)를 통해 상기 릴리프 통로(22) 및 복귀 통로(16)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V1)의 나사 부재(24)가 체결되어 있을 때에는, 개폐 밸브(V1)의 밸브체(25)가 상기 연통 포트(28)와 통로 구멍(29)의 연통을 차단한다. 바꾸어 말하면, 개폐 밸브(V1)는, 액추에이터 포트(4)와 복귀 통로(16)의 연통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나사 부재(24)가 풀려 밸브체(25)가 개방되면, 액추에이터 포트(4)는 도입 통로(26), 연통 구멍(27), 연통 포트(28), 개폐 밸브(V1), 통로 구멍(29), 도출 포트(30) 및 릴리프 통로(22)를 경유하여 복귀 통로(16)에 연통된다.
따라서, 만일 스풀(S)이 로크되어, 실린더가 작동할 수 없게 되었을 때라도, 상기 개폐 밸브(V1)를 개방하면, 실린더를 자중 혹은 부하에 의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V1)는,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기존의 밸브 보디(B1)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폐 밸브(V1)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23)이 액추에이터 포트(4)와 릴리프 통로(2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 내의 작동 유체를, 릴리프 통로(22)를 통해 복귀 통로(16)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밸브 보디(B1)에 형성되는 유로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밸브(V1)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작게 한 스페이스에 개폐 밸브(V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V1)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을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밸브(V1)를 설치하기 위해 밸브 보디(B1)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의 밸브 보디(B1)에 당해 개폐 밸브(V1)를 조립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도 6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밸브(V2)는, 밸브 보디(B2)의,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된 면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환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액추에이터 포트를 공급 측에 연통하고, 어느 다른 쪽의 액추에이터 포트를 복귀 측에 연통하는 스풀(S)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 보디(B2)의,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된 면에는, 개폐 밸브(V2)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 구멍(31)은, 도 5에 도시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즉, 조립 구멍(31)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의 중심을 통과함과 함께 스풀(S)에 대해 평행한 가상선 X로부터 벗어난 위치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의 2개의 위치 조건을 충족시키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기 조립 구멍(31)의 깊이 방향은, 상기 스풀(S)의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이며, 이 조립 구멍(31)에 개폐 밸브(V2)가 조립된다. 이 개폐 밸브(V2)는, 나사 부재(32)를 체결하거나 풀거나 하여 밸브체(33)를 개폐한다.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 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입 통로(26)의 일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 도입 통로(26)는, 연통 포트(34)와 교차하고 있고, 그들 도입 통로(26)와 연통 포트(34)가 연통하고 있다. 이러한 연통 포트(34)는, 도입 통로(26)로 유입된 작동 유체를 밸브체(33) 측으로 유도한다. 밸브 보디(B1)에는 조립 구멍(31)에 연속되는 통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구멍(35)은, 도출 포트(36)를 통해 상기 릴리프 통로(22) 및 복귀 통로(16)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풀(S)이 로크되어, 실린더가 작동할 수 없게 되었을 때라도, 상기 개폐 밸브(V2)를 개방하면, 실린더를 자중 혹은 부하에 의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V2)는, 릴리프 밸브(20)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기존의 밸브 보디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V2)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31)이 액추에이터 포트(4)와 릴리프 통로(2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 내의 작동 유체를, 릴리프 통로(22)를 통해 복귀 통로(16)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밸브 보디(B2)에 형성되는 유로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밸브(V2)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작게 한 스페이스에 개폐 밸브(V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V2)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을 액추에이터 포트(4) 및 릴리프 밸브(2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밸브(V2)를 설치하기 위해 밸브 보디(B2)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의 밸브 보디(B2)에 당해 개폐 밸브(V2)를 조립할 수도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도 9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V1)로서 제1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V2)로서 제2 개폐 밸브를 구비한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 장치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2 개폐 밸브(V1, V2) 모두를 밸브 보디(B3)에 구비한다.
밸브 보디(B3)는, 상기 제1 개폐 밸브(V1)가 조립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구멍(23)으로서 제1 조립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개폐 밸브(V2)가 조립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구멍(31)으로서 제2 조립 구멍을 갖는다.
따라서, 이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도 9의 각각에는, 제1 개폐 밸브(V1)의 밸브체(25) 및 제2 개폐 밸브(V2)의 밸브체(33)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제1,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제1 조립 구멍(23) 및 제2 조립 구멍(31)이 밸브 보디(B3)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2 조립 구멍(23, 31)에 상기 도시하고 있지 않은 밸브체(25 및 33)가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체(25 및 33)는, 제1,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나사 부재(24 및 32)를 체결하거나 풀거나 하여 밸브체(25 및 33)를 개폐한다. 그리고, 이들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4) 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폐 밸브(V1)로 작동 유체를 유도하는 도입 통로(26)의 일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밸브 보디(B3)에는, 상기 도입 통로(26)에 교차하여 연통하는 연통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27)의 개구가 플러그(27a)에 의해 막혀 있다. 밸브 보디(B3)의,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된 측면에, 상기 연통 구멍(27)에 교차하여 연통하는 연통 포트(28)가 개구되어 있고, 연통 포트(28)의 개구는 플러그(28a)에 의해 막혀 있다.
상기 연통 포트(28)는, 도입 통로(26)로 유입된 작동 유체를, 상기 밸브체(25) 측으로 유도한다. 밸브 보디(B3)에는 제1 조립 구멍(23)에 연속되는 통로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9)은, 도출 포트(30)를 통해 상기 릴리프 통로(22) 및 복귀 통로(16)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 개폐 밸브(V1)의 나사 부재(24)가 체결되어 있을 때에는, 밸브체(25)가 상기 연통 포트(28)와 통로 구멍(29)의 연통을 차단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개폐 밸브(V1)는, 액추에이터 포트(4)와 복귀 통로(16)의 연통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나사 부재(24)가 풀려 밸브체(25)가 개방되면, 액추에이터 포트(4)는 도입 통로(26), 연통 구멍(27), 연통 포트(28), 제1 개폐 밸브(V1), 통로 구멍(29), 도출 포트(30) 및 릴리프 통로(22)를 경유하여 복귀 통로(16)에 연통된다.
제2 개폐 밸브(V2)가 조립되는 제2 조립 구멍(31)은, 도 9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립 구멍(23)으로부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 제1, 2 개폐 밸브(V1, V2)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제2 개폐 밸브(V2) 측의 연통 포트(34), 연통 구멍(35)도 각각, 상기 제1 개폐 밸브(V1) 측의 연통 포트(28), 연통 구멍(29)으로부터 도 9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따라서, 통 포트(34), 연통 구멍(35)은 각각, 연통 포트(28), 연통 구멍(29)에 간섭하지 않는다.
단,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도출 포트(30)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출 포트(36)는, 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통화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는, 공통화된 도출 포트가 부호 30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풀(S)이 로크되어, 실린더가 작동할 수 없게 되었을 때라도, 상기 제1 개폐 밸브(V1) 혹은 제2 개폐 밸브(V2)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실린더를 자중 혹은 부하에 의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2 개폐 밸브(V1, V2) 모두, 릴리프 밸브(20)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기존의 밸브 보디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3 실시 형태는, 제1, 2 개폐 밸브(V1, V2)를 구비하므로, 당해 제어 밸브 장치의 설치 상황에 따라서, 제1, 2 개폐 밸브(V1, V2)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2 개폐 밸브(V1, V2) 모두 밸브 보디(B3)에 조립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2 개폐 밸브(V1, V2) 중 어느 한쪽만이 조립 구멍에 조립되고, 어느 다른 쪽의 개폐 밸브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구멍이 플러그에 의해 막혀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립 구멍을 필요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외에,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조립 구멍(23, 31)을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당해 제어 밸브 장치의 설치 상황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제어 밸브 장치의 액추에이터 포트(3, 4)의 개구 측에 개폐 밸브(V1)의 장착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조립 구멍(31)을 이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된 면 측에 개폐 밸브(V2)의 장착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조립 구멍(23)을 이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 포트(3, 4)를 설치한 제어 밸브 장치를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단동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파워 셔블 등에서, 스풀이 로크된 경우의 안전 대책을 실시한 제어 밸브 장치로서 최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4년 4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91671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4)

  1. 제어 밸브 장치이며,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포트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를 복귀 통로에 연통시키는 릴리프 통로를 갖는 밸브 보디와,
    상기 밸브 보디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를 공급 측 또는 복귀 측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스풀과,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의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릴리프 통로를 개폐하는 릴리프 밸브와,
    상기 밸브 보디에 형성된 조립 구멍에 조립된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밸브는, 밸브 개방 시에 상기 조립 구멍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와 상기 릴리프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어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멍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스풀의 축선과 평행한 가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 및 상기 릴리프 밸브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의 2개의 위치 조건을 충족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멍은,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밸브 보디의 면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구멍은, 상기 릴리프 밸브가 설치된 상기 밸브 보디의 면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장치.
KR1020167022510A 2014-04-25 2015-02-25 제어 밸브 장치 KR10181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1671 2014-04-25
JP2014091671A JP5984871B2 (ja) 2014-04-25 2014-04-25 制御弁装置
PCT/JP2015/055459 WO2015162993A1 (ja) 2014-04-25 2015-02-25 制御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334A true KR20160107334A (ko) 2016-09-13
KR101816470B1 KR101816470B1 (ko) 2018-01-08

Family

ID=5433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510A KR101816470B1 (ko) 2014-04-25 2015-02-25 제어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80149B2 (ko)
JP (1) JP5984871B2 (ko)
KR (1) KR101816470B1 (ko)
CN (1) CN106104011B (ko)
DE (1) DE112015001983B4 (ko)
WO (1) WO2015162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0451B2 (ja) * 2014-10-27 2018-12-19 Kyb株式会社 ロードセンシングバルブ装置
JP6643913B2 (ja) * 2016-02-16 2020-02-12 株式会社クボタ 油圧ブロック
US10527068B2 (en) 2017-08-18 2020-01-07 Expro Americas, Llc System for hydraulic pressure relief valve operation
JP7021964B2 (ja) * 2018-01-31 2022-02-17 Kyb株式会社 弁装置
US11506297B2 (en) * 2020-12-09 2022-11-22 Caterpillar Inc. Relief valve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1197B2 (ja) * 1997-02-27 2005-08-31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機械の油圧駆動装置及び方向切換弁装置
JPH11230106A (ja) * 1998-02-10 1999-08-27 Kayaba Ind Co Ltd 油圧制御装置
US6308812B1 (en) * 1999-09-07 2001-10-30 Case Corporation Clutch control valve
US6981439B2 (en) * 2003-08-22 2006-01-03 Hr Textron, Inc. Redundant flow control for hydraulic actuator systems
JP2009209999A (ja) * 2008-03-03 2009-09-17 Kayaba Ind Co Ltd 制御弁装置
CN201187492Y (zh) 2008-04-01 2009-01-28 常德信诚液压有限公司 抗流量饱和组合比例操纵阀
CN202251199U (zh) * 2011-10-20 2012-05-30 常德中联重科液压有限公司 电液比例组合操纵阀
JP2013155862A (ja) * 2012-02-01 2013-08-15 Shimadzu Corp 優先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1983T5 (de) 2017-02-23
DE112015001983B4 (de) 2023-08-17
WO2015162993A1 (ja) 2015-10-29
US10180149B2 (en) 2019-01-15
US20160363140A1 (en) 2016-12-15
KR101816470B1 (ko) 2018-01-08
JP5984871B2 (ja) 2016-09-06
CN106104011B (zh) 2018-08-03
JP2015209908A (ja) 2015-11-24
CN106104011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70B1 (ko) 제어 밸브 장치
US9103355B2 (en) Flow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
WO2012124386A1 (ja) 制御弁
KR102255621B1 (ko) 듀얼 4포트 전자밸브
JP4782711B2 (ja) 方向制御弁装置およびこの方向制御弁装置を複数備えた方向制御弁装置ブロック
US20190032800A1 (en) Actuating unit for a process valve and process valve
FI123735B (fi) Painekompensoinnilla varustettu suuntaventtiili
US20130276915A1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JP2015209908A5 (ko)
CN107208399B (zh) 用于建筑设备的控制阀
WO2012124385A1 (ja) 制御弁
KR102342222B1 (ko) 유량 조정 밸브 및 밸브 구조체
WO2022080311A1 (ja) 方向・流量制御弁および液圧システム
US20120192975A1 (en) Hydraulic control valve having a pilot piston with four control edges arranged inside the hollow spool
JP5164631B2 (ja) 建設車両用バルブ装置
JP4859786B2 (ja) 制御装置
JP6045419B2 (ja) 油圧制御装置
CN110319068B (zh) 带有主滑阀和两个控制滑阀的阀装置
KR101341398B1 (ko) 3웨이 밸브
JP5822232B2 (ja) 切換弁
KR200483735Y1 (ko)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JP2006183849A (ja) オプションバルブ装置及びそのバルブブロック
JP2019157950A (ja) 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