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18A - 탑승교 - Google Patents

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18A
KR20160103618A KR1020150026092A KR20150026092A KR20160103618A KR 20160103618 A KR20160103618 A KR 20160103618A KR 1020150026092 A KR1020150026092 A KR 1020150026092A KR 20150026092 A KR20150026092 A KR 20150026092A KR 20160103618 A KR20160103618 A KR 2016010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footrest
tunnels
tunnel part
board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수열
구환준
안원태
나원현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618A/ko
Publication of KR2016010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교의 터널 바닥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터널 간의 높이 단차를 제거하여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노약자들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이루도록 하는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탑승교에 있어서, 일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와 같이 복수 개의 터널부로 이루어지고 접힘과 펼침 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터널과; 상기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의 바닥으로 각각 설치되도록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발판과; 상기 각 발판은 일 측에서부터 타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연결 부분에서 높이 단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탑승교{a Passenger boading bridge}
본 발명은 탑승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교의 터널 바닥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터널 간의 높이 단차를 제거하여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노약자들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이루도록 하는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의 여객터미널 출입구와 항공기의 출입문 사이에는 승객들이 비행기가 출발 전이나 도착 후에 공항과 비행기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모양의 통로인 탑승교(搭乘橋)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탑승교는 복수 개의 이동터널이 결합 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분에서 높이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탑승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바닥이 수평면에 대하여 4.8°∼7.1°이내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항공기의 출입문과 공항의 터미널 출입구 사이 및 각 이동터널 간의 높이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연결발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발판으로 인해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휠체어 사용자나 몸이 불편한 승객의 경우 연결발판의 연결시 형성되는 걸림 턱으로 인해 원활한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탑승교의 연결발판 설치로 인해 부품 수가 증가하고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고 승객에게 쉽게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173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교 이동터널 간의 높이 단차를 제거함으로써, 비장애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이용 승객이나 노약자 등의 원활한 이동으로 안전하고 신속한 탑승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탑승교에 있어서, 일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와 같이 복수 개의 터널부로 이루어지고 접힘과 펼침 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터널과; 상기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의 바닥으로 각각 설치되도록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발판과; 상기 각 발판은 일 측에서부터 타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연결 부분에서 높이 단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의 경사도는 1°∼ 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발판과 제 2 발판의 일단 부분 즉, 항공기 측에 위치하는 일단 부분은 연결시 높이 단차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꺾임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교의 바닥으로 경사를 이루는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터널 간의 높이 단차를 제거하여 비장애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 승객이나 노약자 등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으로 신속한 탑승과 내림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인 제 1 로프, 제 2 풀리, 제 2 로프, 제 2 풀리가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 3 터널부 및 제 2 터널부가 연동되는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발판이 접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발판이 접힘 되어 있는 측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발판이 펼침 되어 있는 측 단면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100)는, 복수 개의 터널(110)과 상기 터널(1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발판(1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터널(110)은 일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터널부(111), 제 2 터널부(112), 제 3 터널부(11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터널(110)이 상호 접힘과 펼침 가능한 제 1 터널부(111)와, 제 2 터널부(112) 및 제 3 터널부(113)는, 상기 제 2 터널부(112)와 제 3 터널부(113)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기 제 1 터널부(111)의 일단 부 측으로 인접되거나 이격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제 2 터널부(112), 제 3 터널부(113)가 함께 형성하는 터널(110)의 길이가 조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널(110)의 터널부를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 위치에 따라 2∼3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판(120)은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제 2 터널부(112) 및, 제 3 터널부(113)의 바닥으로 각각 설치되도록 제 1 발판(121)과 제 2 발판(122) 및 제 3 발판(123)으로 이루어지며, 각 발판은 일 측에서부터 타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일 측은 탑승교 측을 향하고 타 측은 항공기 측을 향하며, 탑승교 측에서 항공기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발판(121)과 제 2 발판(122) 및 제 3 발판(123)의 경사도(傾斜度, gradient, percent of slope : 경사진 기울기를 수평면에 대한 각도로 나타내거나 수평거리(경사장)에 대한 수직높이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는 1°∼ 3°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발판(121)과 제 2 발판(122) 및 제 3 발판(123)의 일단 부분 즉, 항공기 측에 위치하는 일단 부분은 연결시 높이 단차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꺾임 경사부(121a),(122a),(123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121)과 제 2 발판(122) 및 제 3 발판(123)의 연결시 연결 부분에서 높이 단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비장애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 승객이나 노약자 등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터널부(111)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터널부(112)와 제 3 터널부(113)가 접힘과 펼침 가능하도록 탑승교(100)에는 터널부 이동장치로, 크게 제 1 로프(210), 제 2 풀리(220), 제 2 로프(230), 제 2 풀리(24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 로프(210)와 제 1 풀리(220)는 상기 제 3 터널부(113)가 상기 제 1 터널부(111)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터널부(112)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2, 3 터널부(111, 112, 113)상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 1 로프(210)는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제 3 터널부(113)에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이 각각 결합 되고, 상기 제 1 풀리(220)는 상기 제 1 로프(210)의 타단 부분 보다 상기 제 2, 3 터널부(112, 113)가 상기 터널(110)의 길이를 신장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로프(210)를 걸어 상기 제 2 터널부(112)상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 2 로프(230)와 제 2 풀리(240)는 상기 제 3 터널부(113)가 상기 제 1 터널(111)로부터 이격 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터널부(112)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2, 3 터널부(111, 112, 113)상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 2 로프(230)는 상기 제 1 로프(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제 3 터널부(113)에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이 각각 결합 되고, 상기 제 2 풀리(240)는 상기 제 2 로프(230)의 일단 부분보다 상기 제 2, 3 터널부(112,113)가 상기 터널(110)의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로프(210)를 걸어 상기 제 2 터널부(112)상에 고정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3 터널부(11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만큼 상기 제 1 터널부(111)의 일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로프(210)의 타 단부가 상기 제 3 터널부(113)와 함께 상기 제 1 터널부(110)의 일 측으로 2×만큼 당겨지게 되며, 상기 제 1 로프(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함께 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 1 풀리(220)는 상기 제 2 터널부(112)와 함께 상기 제 1 터널부(111)의 일 측으로 ×만큼 연동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3 터널부(11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2× 만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로프(230)의 타단부가 상기 제 3 터널부(113)와 함께 2×만큼 당겨져 이동되며, 상기 제 2 로프(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터널부(111)와 함께 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 2 풀리(240)는 상기 제 2 터널부(112)와 함께 상기 제 3 터널부(113)의 자유단 측으로 ×만큼 연동이동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는 항공기의 출입문과 공항 터미널의 출입구를 연결시 비장애인 승객은 물론 장애인 승객이나 노약자 승객 또한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의 연결 부분에서 높이 단차를 느끼지 못하고 공항 터미널에서 항공기로 또는 항공기에서 공항 터미널로 원활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탑승교 110 : 터널
111 : 제 1 터널부 112 : 제 2 터널부
113 : 제 3 터널부 120 : 발판
121 : 제 1 발판 122 : 제 2 발판
121a, 122a, 123a : 꺾임 경사부 123 : 제 3 발판
210 : 제 1 로프 220 : 제 2 풀리
230 : 제 2 로프 240 : 제 2 풀리

Claims (3)

  1. 탑승교에 있어서,
    일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와 같이 복수 개의 터널부로 이루어지고 접힘과 펼침 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터널과;
    상기 제 1 터널부와 제 2 터널부 및 제 3 터널부의 바닥으로 각각 설치되도록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발판과;
    상기 각 발판은 일 측에서부터 타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연결 부분에서 높이 단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및 제 3 발판의 경사도는 1°∼ 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과 제 2 발판의 일단 부분 즉, 항공기 측에 위치하는 일단 부분은 연결시 높이 단차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꺾임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
KR1020150026092A 2015-02-24 2015-02-24 탑승교 KR20160103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92A KR20160103618A (ko) 2015-02-24 2015-02-24 탑승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92A KR20160103618A (ko) 2015-02-24 2015-02-24 탑승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18A true KR20160103618A (ko) 2016-09-02

Family

ID=5694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092A KR20160103618A (ko) 2015-02-24 2015-02-24 탑승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6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730A (ko) 2011-08-23 2013-03-0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경사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730A (ko) 2011-08-23 2013-03-0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경사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9788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EP3067277B1 (en) Mobile boarding bridge
CN109422189A (zh) 运输装置
KR20160103618A (ko) 탑승교
JP2005132544A (ja) エスカレータの乗客検出装置
KR101923538B1 (ko)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US20190010709A1 (en) Extendable rail system for heliports
US20180265331A1 (en) Elevator commuter boar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20090121969A (ko) 전동차 탑승용 휠체어 발판
KR20130051575A (ko) 휠체어 이동장치를 갖는 탑승교
KR20160073468A (ko)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CN109775522A (zh) 一种楼道安全电梯
US20220034095A1 (en) Extendable rail system for heliports
JP5101663B2 (ja) 動く歩道
JP4567951B2 (ja) 動く歩道
JP3435382B2 (ja) 階段通路設備
JP201610200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34196B1 (ko) 피난계단 겸용 객실선반
IT202000002116A1 (it) Sistema di imbarco/sbarco di passeggeri da una imbarcazione
KR20200002738A (ko)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JP2008063028A (ja) 湾曲型乗客コンベア
JP2016060566A (ja) エレベーター
JP2000026056A (ja) 通路設備
WO2022064341A1 (en) A home escal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