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579B1 -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579B1
KR101653579B1 KR1020140169591A KR20140169591A KR101653579B1 KR 101653579 B1 KR101653579 B1 KR 101653579B1 KR 1020140169591 A KR1020140169591 A KR 1020140169591A KR 20140169591 A KR20140169591 A KR 20140169591A KR 101653579 B1 KR101653579 B1 KR 10165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escalator
boarding
aircraf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19A (ko
Inventor
강영관
김문식
최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4016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5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15Mobile st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에 마련되며, 일정한 궤적으로 회동하는 스텝부; 상기 스텝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탑승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는 상기 운송 수단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MOBILE ESCALATORS FOR AIRCRAFT BOARDING}
본 발명은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편리하게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들은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항공기에서 내릴 때, 계단을 이용한다.
최근에는 승객들이 보다 신속하게 계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단을 탑재한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항공기 탑승용 계단의 경우, 승객에 따라 항공기에 탑승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일 예로, 노약자 및 어린이의 경우 계단을 직접 걸어서 올라가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무거운 짐을 소지한 승객은 직접 짐을 들고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장애우의 경우 직접 계단을 걸어서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항공기 탑승 방법에 있어서, 장애우에 대한 배려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항공기 탑승용 계단의 경우, 승객들의 상황에 따라 탑승하는 속도가 다르고, 승객들의 속도를 조절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때때로, 승객들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승객이 많을 경우, 항공기에서 내릴 때 혼잡함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따라서, 승객들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송 수단에 전 자동 에스컬레이터를 탑재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에 마련되며, 일정한 궤적으로 회동하는 스텝부; 상기 스텝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탑승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는 상기 운송 수단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에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제1 브릿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브릿지는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항공기와 상기 탑승부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는 센서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상태일 때에만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상기 운송 수단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제2 브릿지가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됨으로, 상기 실린더가 수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릿지는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받침부와 지면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들이 신속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 자동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승객들이 계단을 이용할 때보다 신속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들이 항공기에 안전하게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릿지는 항공기와 탑승부 사이의 단차를 없애고, 제2 브릿지는 받침부와 지면과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장애우와 노약자를 포함한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제 1 브릿지와 제2 브릿지에는 센서부가 마련되어,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에만 제 1 브릿지와 제2 브릿지가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 승객이 안전하게 제 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를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들이 편리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즉, 승객들이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내릴 때, 전 자동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함으로 어린이, 노약자, 장애우들 까지도 모두 편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가 운송 수단에 탑재하여 마련됨으로 신속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원하는 목적지로 운반하기 용이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는 실린더를 통해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입구의 높이가 다른 각 항공기마다 별도의 에스컬레이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와 항공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와 항공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 스텝부(1200), 구동부(1300), 탑승부(1400) 및 운송 수단(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는 통용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통행로 양측 상단에는 손잡이(11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승객은 손잡이(1150)를 잡음으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상부에는 루프(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대비하여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상부에 루프를 마련함으로 승객이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스텝부(1200)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에 마련되며, 일정한 궤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특히, 스텝부(1200)는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회동하기 위해 스텝부(1200)의 상면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스텝부(12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스텝부(120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13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스텝부(1200)의 최상층과 최하층의 하부에 각각 한 쌍의 톱니바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열에 위치한 톱니바퀴는 레일(미도시)과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같은 열이란,
계속해서, 레일에는 스텝부(12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장치(미도시)가 톱니바퀴를 회전시킴에 따라, 레일이 회동하고, 레일에 연결된 스텝부(1200)는 일정한 궤적을 가지고 회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부(1300)는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할 때, 스텝부(1200)를 탑승부(1400)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승객이 항공기에서 내릴 때, 구동부(1300)는 스텝부(1200)를 지면으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132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20)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탑승부(1400)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일단에 마련되며, 승객이 스텝부(1200)에서 내려 항공기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승부(1400)에는 손잡이(1150)와 제1 브릿지(14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150)는 탑승부(1400)의 통행로 양측 상단에 마련되어, 승객이 손잡이(1150)를 잡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브릿지(1450)는 탑승부(1400)에 마련되되, 제1 힌지(1455)를 통해 전후방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릿지(1450)는 전방으로 회동시 항공기의 입구와 탑승부(14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1450)는 전방으로 회동시 항공기의 입구와 탑승부(1400)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제1 브릿지(1450)는 후방으로 회동시 탑승부(1400)의 도어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브릿지(1450)의 통행로 양측에는 일정 높이의 이탈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탑승부(1400)와 항공기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브릿지(1450)의 통행로 양측 공간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는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브릿지(1450)의 통행로 양측에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 방지부는 벽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펜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탈 방지부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객이 제1 브릿지(1450)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브릿지(1450)의 일면에는 센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는 미리 정해진 상태일 때에만 제1 브릿지(1450)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는 제1 브릿지(1450)가 전방으로 회동시 항공기의 입구와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연결이 가능할 때에만 제1 브릿지(1450)가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센서부는 운송 수단(1500)의 운전자가 제1 브릿지(1450)에 대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에도 제1 브릿지(1450)가 안정적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릿지(1450)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일 때에 제1 브릿지(1450)의 상면에는 압전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브릿지(1450)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일 때, 제1 브릿지(1450)의 상면에 마련된 압전 센서에 압력이 느껴질 경우, 제1 브릿지(1450)가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1450)의 상면에 사람 또는 물건이 있을 경우, 제1 브릿지(1450)가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브릿지(1450)의 하면에는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1450)의 하면에 리브를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 제1 브릿지(1450)가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릿지(1450)의 상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브릿지(1450)의 상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형성함으로, 승객의 통행시 미끄러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 하부에 마련된 운송 수단(1500)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운송 수단(1500)은 몸체부(1510), 실린더(1520), 받침부(1530), 및 고정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10)는 운송 수단(15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가 탑재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1520)는 몸체부(1510)의 상면에 마련되며,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1520)의 일단에는 롤러(152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520)의 일단은 몸체부(15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실린더(1520)의 타단에 마련된 롤러(1525)는 가이드 레일(1320)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13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525)에는 브레이크(미도시)를 마련하여, 롤러(1525)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 브레이크를 통해 롤러(1525)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실린더(1520)는 탑승부(1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부(1400)의 높이를 낮춰야 하는 경우, 실린더(1520)를 수축시키고,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320)을 따라 이송 롤러(152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기울기를 높임으로 탑승부(1400)의 높이를 높여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탑승부(1400)의 높이를 높여야 하는 경우, 실린더(1520)를 이완시키고, 가이드 레일(1320)을 따라 이송 롤러(1525)를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기울기를 낮춤으로 탑승부(1400)의 높이를 낮춰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와 받침부(1530) 사이에 실린더를 더 구비함으로, 탑승부(1400)의 높낮이가 더 안정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린더(1520)의 개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린더(1520)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실린더(1520)를 통해, 탑승부(1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입구의 높이가 서로 다른 항공기마다 별도의 에스컬레이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받침부(1530)는 몸체부(1510)의 일단에 마련되어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1530)의 일단에는 제2 힌지(1537)를 통해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제2 브릿지(1535)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브릿지(1535)는 전방으로 회동시 받침부(1530)와 지면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브릿지(1535)는 전방으로 회동시 받침부(1530)와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릿지(1535)는 후방으로 회동시 받침부(1530)의 도어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브릿지(1535)의 통행로 양측에는 일정 높이의 이탈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탈 방지부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객이 제2 브릿지(1535)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브릿지(1535)의 하면에는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브릿지(1535)의 하면에 리브를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 제2 브릿지(1535)가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형성함으로, 승객의 통행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브릿지(1535)의 일면에는 센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는 미리 정해진 상태일 때에만 제2 브릿지(1535)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는 제2 브릿지(1535)의 회전 반경 내에 사람 또는 물체가 없는 경우에만 제2 브릿지(1535)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센서부는 운송 수단(1500)의 운전자가 제2 브릿지(1535)에 대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에도 제2 브릿지(1535)가 안정적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릿지(1535)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일 때에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는 압전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브릿지(1535)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일 때,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 마련된 압전 센서에 압력이 느껴질 경우, 제2 브릿지(1535)가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 사람 또는 물건이 있을 경우, 제2 브릿지(1535)가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1540)는 몸체부(15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540)는 몸체부(1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1544)와 몸체부(15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154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5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540)는 일단이 지면에 부착됨으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540)의 위치와 개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1540)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운송 수단(1500)의 운전석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구동부(1300), 실린더(1520), 및 고정부(1540)를 제어하고,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를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송 수단(1500)을 항공기에 이동시키고, 제어부를 통해 운전석에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는 부분을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 및 모니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운송 수단(1500)은 에스컬레이터 본체부(1100)를 신속하게 항공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운전자가 제어부를 통해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항공기의 입구 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실린더(1520)를 수축 또는 이완시켜 탑승부(1400)의 높이를 항공기의 입구에 맞게 조절한다.
다음,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에 마련되 센서부를 통해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가 안전하게 전방으로 회동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다음, 제1 브릿지(1450)를 전방으로 회동하여, 항공기의 입구와 탑승부(1400)를 연결한다. 동시에, 제2 브릿지(1535)를 전방으로 회동하여 받침부(1530)와 지면을 연결시킨다.
다음, 구동부(1300)를 작동시켜 스텝부(1200)를 회동시킴으로, 승객은 스텝부(1200)의 회동에 따라 탑승부(1400)로 이동된다.
다음, 승객이 모두 항공기에 탑승하면,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에 마련된 압전 센서가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의 상면에 하중을 감지한다. 그리고, 압전 센서에 하중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1 브릿지(1450)와 제2 브릿지(1535)는 후방으로 회동하여 각각 탑승부(1400)와 받침부(1530)의 도어가 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승객들이 편리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항공기에서 내릴 때, 계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우는 항공기에 탑승하고 내리는 일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 자동으로 이루어진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이용함으로, 노약자나 장애우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항공기에서 내릴 때, 편리하다.
또한,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는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사람마다 계단을 오르는 속도가 다르고, 특히, 장애우나 노약자의 경우, 시간이 계단을 오르는 시간이 지체되어 신속하게 항공기에 탑승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 자동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1000)를 이용함으로, 모든 사람이 종래보다 신속하게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1100: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1150: 손잡이 1200: 스텝부
1300: 구동부 1320: 가이드 레일
1400: 탑승부 1450: 제1 브릿지
1455: 제1 힌지 1500: 운송 수단
1510: 몸체부 1520: 실린더
1525: 롤러 1530: 받침부
1535: 제2 브릿지 1537: 제2 힌지
1540: 고정부 1544: 제1 고정부재
1548: 제2 고정부재

Claims (6)

  1.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에 마련되며, 일정한 궤적으로 회동하는 스텝부;
    상기 스텝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탑승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는 상기 운송 수단에 탑재되어 이송되고,
    상기 탑승부에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제1 브릿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브릿지는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항공기와 상기 탑승부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브릿지는 센서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상태일 때에만 전방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브릿지의 상면에 압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전센서가 압력을 느끼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브릿지가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상기 운송 수단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는 전후방 회전이 가능한 제2 브릿지가 마련되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스컬레이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됨으로, 상기 실린더가 수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릿지는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받침부와 지면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인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KR1020140169591A 2014-12-01 2014-12-01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KR10165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1A KR101653579B1 (ko) 2014-12-01 2014-12-01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1A KR101653579B1 (ko) 2014-12-01 2014-12-01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19A KR20160065519A (ko) 2016-06-09
KR101653579B1 true KR101653579B1 (ko) 2016-09-02

Family

ID=5613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91A KR101653579B1 (ko) 2014-12-01 2014-12-01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5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826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에이티에이 공항 탑승교 후드전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19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490B2 (en) Stair-climbing wheelchair
US11311433B2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US8006628B2 (en) Vehicle lifting apparatus
US6808057B1 (en) Truck-mounted escalator
US8641050B2 (en) Apparatus for moving a non-ambulatory individual up and down steps
KR101653579B1 (ko) 항공기 탑승용 이동식 에스컬레이터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RU2610839C2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горнолыж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US5402546A (en) Access facilitating system for chair assisted passengers embarking or disembarking a small aircraft
KR101717958B1 (ko)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US20190010709A1 (en) Extendable rail system for heliports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10138999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JP3619519B2 (ja)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KR20150139023A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214729505U (zh) 一种舷梯远端的调节扶梯
US20220034095A1 (en) Extendable rail system for heliports
CN218420692U (zh) 一种连续速降式消防通道
KR20160021592A (ko) 자전거 이동레일시스템
KR20100084727A (ko) 계단 등을 오르는 운반기
JPH02225288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