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482A -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482A
KR20160102482A KR1020167019624A KR20167019624A KR20160102482A KR 20160102482 A KR20160102482 A KR 20160102482A KR 1020167019624 A KR1020167019624 A KR 1020167019624A KR 20167019624 A KR20167019624 A KR 20167019624A KR 20160102482 A KR20160102482 A KR 2016010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base plate
circuit
cover sheet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롱
이시앙 추
Original Assignee
선전 후이딩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후이딩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후이딩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08Feature extraction
    • G06F2218/10Feature extraction by analysing the shape of a waveform, e.g. extracting parameters relating to pea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54Biometric subscribe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공개하였다. 지문 인식 장치는, 유도 회로, 제어 회로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유도 회로는 지지부재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유도 회로와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도 회로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문 인식 모듈;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지문 인식 모듈을 커버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브라켓; 및 통공 내에 장착되고 유도 회로와 연결되어, 유도 회로가 유전체 커버시트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을 통해 지문을 수집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유전체 커버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는, 지문 인식 모듈의 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문 인식 장치의 구조를 축소시키기에, 상기 지문 인식 장치를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본 발명은 지문 인식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지문 인식 장치는 이미 이동 단말기, 은행 시스템, 출석 시스템 등과 같은 여러가지 단말 기기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문 인식 장치는 손가락 슬라이딩 타입과 광 영상 타입으로서, 그 중 손가락 슬라이딩 타입은 감도가 비교적 떨어지고, 손가락이 더럽거나 또는 방향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모두 감응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손가락 슬라이딩 타입과 광 영상 타입 지문 인식 장치의 안전성이 낮기에, 지문 복제 방식에 의해 쉽게 해킹될 수 있다.
선행기술 중의 지문 인식 장치의 패키징이 복잡하고, 구조가 비교적 크기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원료 공법 및 모듈 패키징 공법에 대한 요구가 모두 매우 높고 단가 역시 굉장히 비싸며, 아울러 생산율 및 효율이 모두 매우 낮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비교적 작은 지문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문 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는, 유도 회로, 제어 회로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 회로는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회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도 회로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문 인식 모듈;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브라켓; 및 상기 통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회로가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을 통해 지문을 수집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유전체 커버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는, 유도 회로와 제어 회로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집적시키는 것을 통해, 유도 회로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제어 회로는 유도 회로의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지문 인식 모듈의 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문 인식 장치의 구조를 축소시키기에, 상기 지문 인식 장치를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편리하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는 하기와 같은 부가적인 기술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도 회로는 본딩 와이어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본딩 와이어에 피복되는 제1 보호 콜로이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유도 회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공간 내에 충진되는 제2 보호 콜로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램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완충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는 상기 완충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LED 램프는 호흡 램프(Breathing lamp)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LED 램프는 서로 대칭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에는 식별 ID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체 브라켓과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 사이는 액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체 브라켓의 상기 통공의 둘레 벽면에는 액상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와 상기 도체 브라켓 사이에는 접지링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체 브라켓과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는 각각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의 상기의 지문 인식 장치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설치도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상이한 각도에서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 중의 지문 인식 모듈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구현예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 그 중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는 시종일관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소자를 표시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아래에서 도1~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를 설명하고, 상기 지문 인식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등 이동 단말기에 응용될 수 있으며, ATM 기기 등 금융 단말 기기에 응용될 수도 있다.
도1~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 도체 브라켓(2)과 유전체 커버시트(3)를 포함하고, 여기서, 지문 인식 모듈(1)은 유도 회로(10), 제어 회로(12)와 베이스 플레이트(13)를 포함하며, 유도 회로(10)는 지지부재(14)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설치되고 유도 회로(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회로(12)는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도 회로(10)의 하방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위로부터 아래로의 방향에 따라, 지문 인식 모듈(1)은 순차적으로 유도 회로(10), 제어 회로(12)와 베이스 플레이트(13)를 포함하는 바, 여기서, 지지부재(14)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설치되고, 유도 회로(10)는 지지부재(14)의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유도 회로(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어 회로(12)는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설치되고 유도 회로(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어 회로(12)와 베이스 플레이트(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만약 유도 회로(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충분히 크면, 베이스 플레이트(13)에 기타 소자(11)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에 회로를 배치시켜, 인터커넥트 브리징(Interconnect bridging) 작용을 하는 동시에 지문 인식 모듈(1)의 공정 프레임인 바,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3)의 회로는 2층 또는4층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는 기판 또는 연성 회로 기판, 또는 경성-연성 결합 회로 기판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2~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가 기판일 때, 기판에 하나의 연성 회로 기판(19)을 연결시켜 외부 회로를 외접하여야 한다.
도체 브라켓(2)에는 통공(20)이 설치되어 있고, 도체 브라켓(2)은 지문 인식 모듈(1)을 커버하며, 도체 브라켓(2)과 베이스 플레이트(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체 브라켓(2)은 전도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이다. 상기 도체 브라켓(2)은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작용을 하여 전체 지문 인식 장치(100)를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펄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유전체 커버시트(3)는 통공(20) 내에 장착되고 유도 회로(10)와 연결되어, 유도 회로(10)가 유전체 커버시트(3)를 손가락으 누르는 것을 통해 지문을 수집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바, 다시 말하면, 유도 회로(10)가 유전체 커버시트(3)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을 통해 지문을 수집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며, 유도 회로(10)는 멀티 채널 고효율 센싱칩일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유도 회로(10)는 사용자 지문을 감지하고 지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어 회로(12)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시키고, 상응한 알고리즘을 통해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여 지문 인식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체 브라켓(2)과 유전체 커버시트(3)는 각각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전체 커버시트(3)는 이방성인 유전체 재료이고, 바람직하게 Al2O3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인조 블루 사파이어 유리 또는 강화 유리이며, 내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손가락이 접촉되는 평평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유전체 커버시트(3)의 유전율은 바람직하게 9.3∼11.5이고, 두께는 350um이하이며, 평면도는 10um보다 작고, 면형 정밀도는 0.1λ이며, 전술한 유전체 커버시트(3)의 파라미터는 단지 바람직 실시예로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유전체 커버시트(3)의 색상 순서는 주요하게 침적 형성되거나 또는 특수한 기술로 도금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저면에 잉크층을 합지시킴으로 인한 것으로서, 목적은 유전체 커버시트(3)가 불투명하도록 확보하여, 사용자가 바층 기재 소자를 볼수 없도록 방지하기 위함이고, 유전체 커버시트(3)의 가장자리는 열 활성화 필름과 주변 실링제를 사용하여 도체 브라켓(2)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지문 인식 장치(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도 회로(10)는 감응 칩(Induction chip)을 선택 사용할 수 있고, 제어 회로(12)는 제어 칩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감응 칩에는 사용자 지문을 감지하고 지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센싱 회로가 설치되고, 센싱 회로는 싱글 인라인 패키지(single in-line package) 내 또는 싱글 칩에 패키징될 수 있고, 아래에 소자를 첨가할 수 있으며, 콜로이드를 충진하여 보호할 수 있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언더필(underfill)하여 충진 보호할 수 있다. 유도 회로(10)는 에폭시 수지 또는 기타 탄성체 재료 내(또는 이를 대신하여, 세라믹 또는 투명 고유전율 재료 내에 패키징됨)에 패키징된 다음, 감응영역의 콜로이드 또는 커버물체를 제거하여 완전히 노출될 수 있거나, 또는 간신히 최상부를 노출시켜 하나의 Exposed die패키징을 형성함으로써, 감응 칩이 비교적 작은 수직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합리한 보호를 받게하여 장착 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센싱 회로는 커패시터 타입의 연결모드로써 사용자 손가락 지문의 융선(ridge) 및 골(valley)과 커패시터의 다른 하나의 극을 형성하고, 사용자 손가락의 표피 특징은 일정한(Constant) 유전율를 구비하기에, 체액 변화 또는 손가락이 바뀔 경우, 판독된 커패시터 값이 상이함으로써, 상이한 손가락 또는 지문을 구분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여기서, 지문 인식 모듈(1)은 베이스 플레이트(13)를 통해 회로 연결을 진행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3)는 기판 또는 연성 회로 기판, 또는 경성-연성 결합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만약 기판이면, 연성 회로 기판(19)을 별도로 추가 연결시켜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고, 핀(pin)의 수량과 위치는 제한받게 된다. 만약 연성 회로 기판이면 직접 연결시키고, 별도의 연성 회로 기판을 추가할 필요없지만, COF/COB 공정 능력을 구비할 필요는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는, 유도 회로(10)와 제어 회로(12)를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집적시키는 것을 통해, 유도 회로(10)가 지지부재(14)에 의해 지지되고, 제어 회로(12)는 유도 회로(10)의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지문 인식 모듈(1)의 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문 인식 장치(100)의 구조를 축소시키기에, 상기 지문 인식 장치(100)를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회로(10)는 본딩 와이어(15)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여기서, 본딩 와이어(15)는 RSSB본딩 와이어 또는 기타 방식으로 최고 라디안(radian)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유도 회로(10)는 실리콘 통공 구조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로써 본딩 와이어(15)가 유도 회로(10)의 최상층으로부터 인출되어 유전체 커버시트(3) 평면도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2)는 본딩 와이어(15)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제어 회로(12)는 실리콘 통공 구조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로써 본딩 와이어(15)가 제어 회로(12)의 최상층으로부터 인출되어 유전체 커버시트(3) 평면도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모듈(1)은 제1 보호 콜로이드(16a)와 제2 보호 콜로이드(16b)를 더 포함하고, 제1 보호 콜로이드(16a)는 본딩 와이어(15)에 피복된다. 제2 보호 콜로이드(16b)는 유도 회로(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의해 생성된 공간 내에 충진된다. 다시 말하면, 유도 회로(10)의 주변은 제1 보호 콜로이드(16a)와 제2 보호 콜로이드(16b)에 의해 둘러싸여 유도 회로(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아울러 제1 보호 콜로이드(16a)는 본딩 와이어(15)를 커버할 수 있어, 본딩 와이어(15)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보호 콜로이드(16a)와 제2 보호 콜로이드(16b)는, 유도 회로(10)와 제어 회로(12)가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장착된 후 충진 응고될 수 있고, 제1 보호 콜로이드(16a)와 제2 보호 콜로이드(16b)는 일체로 성형된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 모듈(1)은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설치되고 제어 회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램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유전체 커버시트(3)는 적당히 필름 코팅을 진행해야하는 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밝기를 표시하고자 하는 곳에 반증투막을 코팅하고,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곳에는 컬러 필름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전체 커버시트(3)에는 식별 ID(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식별 ID를 지문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로써 지문 인식 모듈(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LED 램프(17)는 호흡 램프일 수 있다.
여기서, LED 램프(17)의 밝기가 지나치게 낮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모듈(1)은 완충 회로 (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LED 램프(17)는 완충 회로를 통해 제어 회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LED 램프(17)는 2개이고, 2개의 LED 램프(17)는 서로 대칭되게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설치되며, 이로써 2개 LED 램프(17)를 설치하여 하나의 환형 램프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체 브라켓(2)과 유전체 커버시트(3) 사이는 액상 접착제로 서로 연결되고, 도체 브라켓(2)의 통공(20)의 둘레 벽면에는 액상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으며(미도시), 이로써 액상 접착제가 응도된 후 하나의 고정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보장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유전체 커버시트(3)와 도체 브라켓(2) 사이에는 접지링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유전체 커버시트(3)의 표면은 도체 브라켓(2)의 통공(20)의 최상부보다 낮고(약 0.1~0.25mm사이에 있음), 이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전체 커버시트(3)를 누를 때 도체 브라켓(2)의 통공(20)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가이드하고 보장하여 펄스회로를 형성하고, 도체 브라켓(2)의 통공(20) 가장자리에서 발사되는 펄스 신호를 전송하여, 유도 회로(10)가 전기장 변화 수치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에 적어도 하나의 전도 단자(18)(예를 들면 금속 단자임)가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3)가 도체 브라켓(2)과 적어도 하나의 접촉 포인트를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제어 회로(12)가 전도 단자(18)를 통해 도체 브라켓(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써 도체 브라켓(2)의 통공(20) 내벽 외에 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원료 및 장착 단가를 절약한다.
유도 회로(10)와 유전체 커버시트(3) 사이에는 액체의 비도전성 접착제 또는 비도전성 접착 필름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 액체의 비도전성 접착제 또는 비도전성 접착 필름의 두께는 관리 통제가 필요하고, 지나치게 두꺼워 신호를 약화시켜 인스트럭션을 판독하는 감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보장하도록, 두께는 일반적으로 50um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유전체 커버시트(3)는 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 적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그 표면에는 도금층 구조가 구비되어 불투명한 효과를 실현하고, 바닥층이 감응 칩과 연결되는 접착 필름을 통해 컬러층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단일 컬러층과 연결 접착 필름을 분리할 수도 있다. 만약 표면이 도금층을 통해 실현되면, 하나의 반투명한 광 순서를 형성해야 하는 바, 즉 LED 램프(17) 발광이 투과되어 상방에서 하나의 발광하는 ID가 보이도록 하여 고객을 가이드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반투명 도형을 전통적인 "홈(home) 키” 모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 실시예 중의 손가락 지문 도형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자체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100)는,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 소자와 조합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스크린 메인 컨트롤 패널 하방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물리적인 홈 키 또는 가상의 홈 키의 메인 컨트롤 패널 위치에 접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블루 사파이어 유리의 높은 경도, 내마모 등 특징을 이용하여, 제어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조합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커버 유리 시스템 또는 고정 구조 또는 장치의 하우징 내에 인서트된다. 요컨대, 단말 기기의 조건에 따라 일부 적당한 적응성 조정을 진행하여 지문 특징을 간편하고 영활하게 인식해 낼 수 있고, 시스템 비밀 번호 락(lock)으로서, 정보 누출을 방지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100)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듈(1)이 고감도와 높고 정확한 인식률을 구비하고, 아울러 지문 인식 모듈(1)의 가소성이 높기에, 고객의 수요에 따라 모듈의 형상(원형 또는 사각형), 지시 외관, 색상 및 도형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100)의 생산 효율이 높기에, 연성 회로 기판(19)의 연결 문제를 해결하였고, 높은 품질율을 구비하며, 특히 미관 향상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해야 할 것은, 용어 “중심", "세로방향”, "가로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최상”, "바닥”, "내”, "외”,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기반한 방위 또는 위치관계로서, 단지 본 발명을 간편하게 설명하 설명을 간략하기 위한 것인 바, 지칭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된 방위 구조와 조작을 지시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 밖에,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는 지시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은연중 표명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로써,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명시하거나 또는 은연중 표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수”의 의미는 별도의 구체적인 한정이 없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존재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고정 연결할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직접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적접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2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2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있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거나, 또는 제1특징 및 제2 특징이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의 상”, "상방”및 "상부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 또는 경사지게 위에 있다는 것을 가리킬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 “의 하”, "하방”과 "하부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경사지게 아래에 있다는 것을 가리킬 수도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현예”, "구체적인 구현예”, 또는 "일부 구현예” 등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구현예과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표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를 대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부될 수 있다. 이 밖에, 서로 모순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상이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의 특징을 결부 및 조합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에서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시킬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는 유도 회로와 제어 회로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집적시키는 것을 통해, 유도 회로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제어 회로는 유도 회로의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지문 인식 모듈의 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문 인식 장치의 구조를 축소시키기에, 상기 지문 인식 장치를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 편리하다.
지문 인식 장치 : 100 지문 인식 모듈 : 1 유도 회로 : 10
제어 회로 : 12 베이스 플레이트 : 13 지지부재 : 14
본딩 와이어 : 15 제1 보호 콜로이드 : 16a
제2 보호 콜로이드 : 16b LED 램프 : 17 전도 단자 : 18
연성 회로 기판 :1 소자 : 11 도체 브라켓 : 1
통공 : 20 유전체 커버시트 : 3

Claims (14)

  1. 유도 회로, 제어 회로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 회로는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회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도 회로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문 인식 모듈;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브라켓; 및
    상기 통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회로가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을 통해 지문을 수집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유전체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회로는 본딩 와이어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문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본딩 와이어에 피복되는 제1 보호 콜로이드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유도 회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공간 내에 충진되는 제2 보호 콜로이드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램프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완충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는 상기 완충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문 인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는 호흡 램프(Breathing lamp)인 지문 인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LED 램프는 서로 대칭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문 인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에는 식별 ID가 구비되어 있는 지문 인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브라켓과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 사이는 액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지문 인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브라켓의 상기 통공의 둘레 벽면에는 액상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는 지문 인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와 상기 도체 브라켓 사이에는 접지링이 설치되어 있는 지문 인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브라켓과 상기 유전체 커버시트는 각각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지문 인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7019624A 2014-01-28 2014-08-15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02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042178.2 2014-01-28
CN201410042178.2A CN103793691A (zh) 2014-01-28 2014-01-28 指纹识别装置及具有其的移动终端
PCT/CN2014/084560 WO2015113396A1 (zh) 2014-01-28 2014-08-15 指纹识别装置及具有其的移动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482A true KR20160102482A (ko) 2016-08-30

Family

ID=5066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624A KR20160102482A (ko) 2014-01-28 2014-08-15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1923B2 (ko)
EP (1) EP3101588B1 (ko)
KR (1) KR20160102482A (ko)
CN (2) CN106407954A (ko)
WO (1) WO2015113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7954A (zh) 2014-01-28 2017-02-1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模组、指纹识别装置及具有其的移动终端
CN104049803B (zh) 2014-06-16 2017-03-2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4051368A (zh) * 2014-07-01 2014-09-17 苏州晶方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芯片封装结构和封装方法
CN104134063B (zh) * 2014-08-26 2018-01-30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检测组件及其电子装置
CN104156711A (zh) * 2014-08-26 2014-11-19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终端设备
CN104217198A (zh) * 2014-08-26 2014-12-17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终端设备
CN104156710A (zh) * 2014-08-26 2014-11-19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终端设备
CN104182739A (zh) * 2014-08-26 2014-12-03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其电子设备、封装方法
CN105612532B (zh) * 2014-09-18 2019-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
CN104598893A (zh) * 2015-02-03 2015-05-06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系统、指纹识别系统的运行方法和电子产品
TWM533758U (en) * 2015-02-11 2016-12-11 Tron Intelligence Inc Fingerprint recognition image optical fiber imaging structure improvement
CN104700079A (zh) * 2015-03-06 2015-06-10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模组及基于指纹识别的触控屏
CN104767513B (zh) * 2015-04-24 2018-06-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功能按键及移动终端
CN105023003A (zh) * 2015-07-24 2015-11-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装置、终端及其设置方法
CN105590095A (zh) * 2015-12-14 2016-05-18 麦克思商务咨询(深圳)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
CN105447486B (zh) * 2016-01-18 2019-11-05 宸盛光电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装置及具有该指纹识别装置的电子设备
CN107239724B (zh) * 2016-03-28 2020-07-28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指纹成像模组
KR101808626B1 (ko) 2016-03-29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288245B1 (en) * 2016-08-16 2019-03-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ingerprint sensor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06375500B (zh) * 2016-08-31 2019-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10055637B2 (en) * 2016-12-07 2018-08-21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sensor with substrate light filter
CN106550073B (zh) * 2016-12-07 2020-10-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于移动终端的设备组件及移动终端
CN108205650B (zh) * 2016-12-20 2021-11-3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模块
CN106815572A (zh) * 2017-01-03 2017-06-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指纹识别组件的支架、盖板组件及终端
CN108280391B (zh) * 2017-01-06 2021-04-3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模块
CN108475332A (zh) * 2017-01-22 2018-08-3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模组
CN108629239A (zh) * 2017-03-21 2018-10-09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传感器及指纹识别模组
WO2018184289A1 (zh) * 2017-04-06 2018-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组件及终端
CN107217919B (zh) * 2017-06-06 2019-02-05 浙江捷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密码锁锁面前板智能识别系统装配工艺
CN107168474B (zh) * 2017-07-06 2019-11-15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模组及移动终端
CN107145880B (zh) * 2017-07-06 2020-06-0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模组及移动终端
TWI633480B (zh) * 2017-08-07 2018-08-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指紋辨識觸控屏
CN107748861A (zh) * 2017-09-15 2018-03-02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模组及电子装置
US10866697B2 (en) * 2017-10-24 2020-12-1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ouch-sensitive user-interface including configurable virtual widgets
CN108416991A (zh) * 2018-04-10 2018-08-17 江苏聚泰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指纹报警装置
CN110929609A (zh) * 2019-11-12 2020-03-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233266B (zh) * 2020-10-19 2022-05-31 山东师慧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思政教学用人员管理装置
CN113780184A (zh) * 2021-09-13 2021-12-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超声指纹识别模组及显示装置
CN114745850A (zh) * 2022-04-13 2022-07-1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指纹识别装置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8330A (en) * 1997-05-16 2000-08-08 Authentec, Inc. Machine including vibration and shock resistant fingerprint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6310371B1 (en) * 1999-10-08 2001-10-30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Fingerprint sensor chip
JP4702586B2 (ja) 2001-09-10 2011-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指紋センサ及び指紋センサ実装構造並びに該指紋センサを備えた指紋検出器
JP2003148906A (ja) * 2001-11-13 2003-05-21 Toko Inc 静電容量型センサ装置
EP1481358B1 (en) * 2001-12-07 2006-08-16 Idex ASA Sensor for measurement on wet and dry fingers
US7076089B2 (en) * 2002-05-17 2006-07-11 Authentec, Inc. Fingerprint sensor having enhanced ESD prot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6852996B2 (en) * 2002-09-25 2005-02-08 Stmicroelectronics, Inc. Organic semiconductor sensor device
TW200630897A (en) * 2005-02-22 2006-09-01 Elecvision Inc Fix-focus image capturing and packaging structure
TW200828561A (en) * 2006-12-20 2008-07-01 Powertech Technology Inc Stacked-chip package structure
CN100590643C (zh) * 2007-01-17 2010-02-17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器的薄膜封装构造
JP2009048387A (ja) 2007-08-20 2009-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指紋照合装置
US8050467B2 (en) * 2007-09-19 2011-11-01 Chipbond Technology Corporation Package, packaging method and substrate thereof for sliding type thin fingerprint sensor
CN101562157B (zh) * 2008-04-17 2011-03-16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封装构造及其支撑装置
TWI408609B (zh) * 2008-10-17 2013-09-11 Egis Technology Inc 平面式半導體指紋感測裝置
NO20093601A1 (no) * 2009-12-29 2011-06-30 Idex Asa Overflatesensor
CN102918546B (zh) * 2010-04-15 2016-05-11 苹果公司 包括电容透镜的手指传感器及其相关方法
US8717775B1 (en) * 2010-08-02 2014-05-06 Amkor Technology, Inc. Fingerprint sensor package and method
CN102638852B (zh) 2011-02-12 2016-06-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服务质量的调度方法、设备及系统
KR101387731B1 (ko) 2011-05-31 2014-04-21 크루셜텍 (주) 포인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400181B (zh) * 2013-07-24 2016-01-20 江苏恒成高科信息科技有限公司 指纹读取传感器ic卡及其封装方法
CN203366350U (zh) * 2013-07-24 2013-12-25 江苏恒成高科信息科技有限公司 指纹读取传感器ic卡
CN203630794U (zh) * 2013-12-13 2014-06-0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移动终端
CN103699881A (zh) * 2013-12-13 2014-04-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移动终端
CN103793688B (zh) * 2014-01-23 2017-04-1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106407954A (zh) * 2014-01-28 2017-02-1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模组、指纹识别装置及具有其的移动终端
US10095906B2 (en) * 2014-02-21 2018-10-09 Idex Asa Sensor employing overlapping grid lines and conductive probes for extending a sensing surface from the grid lines
CN104049803B (zh) * 2014-06-16 2017-03-2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4332452B (zh) * 2014-08-20 2017-04-1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封装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07954A (zh) 2017-02-15
CN103793691A (zh) 2014-05-14
EP3101588A1 (en) 2016-12-07
WO2015113396A1 (zh) 2015-08-06
EP3101588A4 (en) 2018-02-28
EP3101588B1 (en) 2019-12-04
US20160335468A1 (en) 2016-11-17
US9971923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482A (ko)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0318786B2 (en) Integration of touch screen and fingerprint sensor assembly
KR101849213B1 (ko) 이동 단말기
JP5647726B2 (ja) 容量性レンズを含む指センサ及びこれに関連する方法
WO2015085786A1 (zh) 指纹识别装置和移动终端
CN104933396B (zh) 具有外露颜料层的全平面传感器及使用其的电子装置
CN104408434B (zh) 指纹感测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60071352A (ko) 전자기기 커버윈도우 일체형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EP397552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aled biometric input system
US11881046B2 (en) Optical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20160084302A (ko) 필름 커버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 모듈 및 생체인식센서 모듈의 패키징 방법
TWI616824B (zh) 指紋辨識裝置與具有指紋辨識功能之觸控裝置
CN105224934A (zh) 一种指纹传感器及电子设备
CN108694360A (zh) 指纹成像模组和电子设备
CN205384626U (zh) 指纹传感器封装件
WO2018190460A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2066657B1 (ko) 지문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7318A (ko) 전자기기 커버윈도우 일체형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및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발광 가이드
KR20150034511A (ko) 모바일 장치용 지문센서 모듈
KR101379235B1 (ko) 트랙 패드 및 이를 가지는 전자기기
US2023041842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iometric input system including a composite cover element
CN107346966A (zh) 按钮组件及电子设备
WO2018157687A1 (zh) 输入组件及电子装置
KR101839289B1 (ko) 지문센서 모듈
KR20200024454A (ko) 지문센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