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359A -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 Google Patent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359A
KR20160102359A KR1020160095782A KR20160095782A KR20160102359A KR 20160102359 A KR20160102359 A KR 20160102359A KR 1020160095782 A KR1020160095782 A KR 1020160095782A KR 20160095782 A KR20160095782 A KR 20160095782A KR 20160102359 A KR20160102359 A KR 2016010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inforced plastic
plastic sheet
glass fi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9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2359A/ko
Publication of KR2016010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GRP sheet or GRP skin)가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고, GRP 또는 FRP 재질로 구성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충진 공간에 충진 되어 구비되는 내장재; 및 상기 내장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충진 공간으로 공급되는 통로로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된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제외한 홈 또는 홀이 구비되는 않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가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제조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도어의 제조 공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도어를 제작하는데 소모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DOOR HAVING 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본 개시(Disclosure)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GRP sheet or GRP skin)가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구성하고 다양한 형상 및 무늬가 성형 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가공 및 건조를 선 시행한 후, 도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부착하여 구성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GRP sheet or GRP skin)가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목재 도어는 관리하기가 어렵고 변형과 짧은 수명의 단점이 있으며, 특히 환경보호를 이유로 목재의 공급이 제한적이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형성되는 판상의 코어의 표면에 원목무늬가 전사된 시트지 등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작되는 도어는 외력, 예를 들면, 자중이나 온도차에 의하여 변형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코어와 시트지가 서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548호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전후면 외관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이면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하면 또는 좌우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판재와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된 발포액이 고화되어 형성되는 발포층으로 구성되는 도어를 개시하고 있으며, 프레임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인서트물이 합성수지의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판재의 전면판과 후면판이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전면판과 후면판에 무늬 가공 등을 위해서는, 프레임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부착된 상태로 도어의 표면 가공 및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도어의 표면가공 및 건조공정을 위하여 프레임에 지그홀을 형성해야 함에 따라 도어에 손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는 프레임에 시트가 부착된 상태에서 발포액을 충진 한 후, 시트의 표면에 무늬 가공과 같은 마감처리 및 건조공정 등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시트의 강공 및 건조를 위해 도어 전체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도어의 회전을 위한 지그(jig)와, 이 지그와의 결합을 위한 지그홀이 프레임의 일면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므로, 도어의 외관미를 크게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548호
본 개시는, 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구성하고 다양한 형상 및 무늬가 성형 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가공 및 건조를 선 시행한 후, 도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부착함으로써, 도어의 제조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도어의 제조 공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프레임 부재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도어를 제작하는데 소모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와 프레임 부재 간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고, GRP 또는 FRP 재질로 구성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충진 공간에 충진 되어 구비되는 내장재; 및 상기 내장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충진 공간으로 공급되는 통로로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된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제외한 홈 또는 홀이 구비되는 않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설정된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표면에 설정된 무늬의 가공 및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표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LVL(Laminated veneer lumber) 재질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일 측단에 덧대어져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PVC(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상기 프레임 수단의 내부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강재가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그 내측 면에 상기 안착홈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지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에는 상기 도어의 표면 보호를 위하여 투명 코팅층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따르면, 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구성하고 다양한 형상 및 무늬가 성형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가공 및 건조를 선 시행한 후, 도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부착함으로써, 도어의 제조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도어의 제조 공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도어를 제작하는데 소모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와 프레임 부재 간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일부를 절취한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일부를 절취한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는, 강성을 부여하고 도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프레임(100), 표면가공 및 건조가공에 의해 제조되며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부착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 및 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장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도어의 골격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은, 수평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을 가지며, 이들은 일체로 또는 서로 결합 되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00)을 구성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으로 긴 각재로 구비되며, LVL(Laminated veneer lumber)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되어 구비된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와 프레임(100)의 접착에 의해, 프레임(100)의 내부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에 의해 정의되는 충진 공간(140)가 형성되는데, 충진 공간(140)에는 내장재(320)가 충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GRP(Glassfiber Reinforced Plastic)로 구성된다.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프레임(100)과는 별도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프레임(100)에 부착됨으로써,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GRP, 또는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소정의 온도로 열압착하여 일정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도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나뭇결 등과 같은 도어 문양(202) 형성과 같은 마감공정이 병행하여 또는 연속하여 진행된다. 또한 건조공정이 완료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가 프레임(100)에 부착된 후 내장재의 충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개시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2mm의 두께를 이루도록 제조될 수 있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는 프레임(100)의 외면에 부착되는 전방 섬유시트(210) 및 후방 섬유시트(220)와, 도어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측부 섬유시트(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마감공정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의 표면에 표면 보호를 위하여 투명 박판의 부착, 페인트나 에나멜을 표면에 칠하여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는, 제조, 표면의 마감, 건조가 완료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가 프레임(100)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내장재가 충전되어 그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내장재 충전의 완료 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의 표면 마감 및 건조를 진행하기 위해, 도어 전체의 건조가 필요하므로 넓은 건조 공간이 요구되는 종래와 달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 각각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의 표면 마감 및 건조과정에서, 도어 전체의 이동 및 회전이 필요하므로, 도어 전체의 파지 및 지지를 위해 지그 장치 및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지그홀이 반드시 요구되는 종래와 달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 각각에 대한 마감 및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지그홀의 형성이 불필요하여 제작 공수를 줄일 수 있고, 도어의 외관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개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의 표면 가공이 선 시행된 후, 프레임(100)에 부착되어 내장재(320)의 충진 공정이 진행되므로 종래와 같은 지그홀의 형성, 시트의 마감 및 건조공정을 위한 공간 등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0)에는 내장재(320)가 충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진홀(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충진홀(150)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가 프레임(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내장재(320)의 발포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장재(320)의 충진 시 이 내장재(320)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2개 이상 복수 구성될 수 있다.
충진홀(150)은, 내장재(320)의 충진 및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메워져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100)에 임의의 형태의 홀 또는 홈이 구비되지 않아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홀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내장재(320)의 충진을 위한 충진홀(150)의 제외한 임의의 기능을 가지는 홀 또는 홈이 존재하지 않는다.
내장재(320)는 충진홀(150)을 통해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 공간(140)에 충진 및 고화되는 것으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발포체를 프레임(100)의 내부 충진 공간(140)에 주입하여 발포 및 경화 공정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내장재(320)는 도어의 프레임(100)에 형성된 충진 공간(140)를 완전히 충전시켜 프레임(100)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 사이의 틈이 발생하거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200)와의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평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도어의 흡음성, 차음성, 보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0)은, 충진 공간(106)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며, 도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강성 프레임(130)을 더 가질 수 있다.
강성 프레임(130)은 프레임(100)에 적어도 1개 이상 다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측면, 즉 내장재(32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내장재(320)의 충진이 이루어질 때, 프레임(100)과 내장재(320) 간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는 한편, 내장재(32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 또는 반구형의 요홈이 구비되거나, 돌기와 요홈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은 상하로 긴 형상을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구비되는데, 그 양측 또는 한쪽 측에 덧대어져 구비되어, 프레임(10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재(310)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강재(310)는, PVC(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강재(310)는, 프레임(100)과 결합 되어 도어의 측면 부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100)과 접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에는, 보강재(3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316)이 형성되고, 보강재(310)의 일 측에는 안착홈(3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와 같이, 보강재(310)에는 안착홈(316)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면에 가이드부(312)가 형성되며, 이 가이드부(312)의 단부에는 안착홈(316)에 삽입되어 보강재(310)와 프레임(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가이드 돌기(318)가 형성되고, 안착홈(316)에는 가이드 돌기(31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316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10)는 프레임(100)의 일 측 전체를 커버 할 수 있는 길이, 즉 프레임(100)의 상하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골격을 형성하고, LVL(Laminated veneer lumber) 재질로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고, GRP(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구성되며, 열압착 방식에 의해 설정된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그 표면에 설정된 무늬의 가공 및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표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충진 공간에 충진 되어 구비되는 내장재; 및
    상기 내장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충진 공간으로 공급되는 통로로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된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을 제외한 홈 또는 홀이 구비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KR1020160095782A 2016-07-27 2016-07-27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KR20160102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82A KR20160102359A (ko) 2016-07-27 2016-07-27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82A KR20160102359A (ko) 2016-07-27 2016-07-27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189A Division KR20160080421A (ko) 2014-12-29 2014-12-29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59A true KR20160102359A (ko) 2016-08-30

Family

ID=5688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782A KR20160102359A (ko) 2016-07-27 2016-07-27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2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48B1 (ko) 2006-07-04 2007-08-22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 및 도어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48B1 (ko) 2006-07-04 2007-08-22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 및 도어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8698A (zh) 一种汽车内饰顶棚及其生产方法
US6644727B2 (en) Inner shell for a roof module in sandwich construction as well as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180215447A1 (en) Recreational watercraft and method of assembly
KR101302396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US7147808B2 (en) Vehicle part with integrated impact management fea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ITMI20001046A1 (it) Metodo per produrre manufatti compositi e manufatto composito ottenuto
CN105365000B (zh) 用于实施包括具有木质材料带的外观层的装饰件的方法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KR20160102359A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KR20160080421A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구비된 도어
JP4060966B2 (ja) 繊維強化加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CA2567763C (en) A door
KR101808766B1 (ko) 자동차용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H0780195B2 (ja) リム成形サンドイッチ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2704B1 (ko) 도어
KR101582638B1 (ko)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JP2010064273A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
JP2531218B2 (ja) 車両用ウインドウの製造方法
KR101949843B1 (ko) 가구용 크리스탈 복합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47992A (ja) 軽量フラッシュ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1038Y1 (ko)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JPH02150314A (ja) 合成樹脂枠を有するウインドウの製造方法
KR20200118922A (ko) 질감을 가지는 차량용 내장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S5820423A (ja) プラスチツク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
US20080090067A1 (en) Manufactured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