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241A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241A
KR20160102241A KR1020167019583A KR20167019583A KR20160102241A KR 20160102241 A KR20160102241 A KR 20160102241A KR 1020167019583 A KR1020167019583 A KR 1020167019583A KR 20167019583 A KR20167019583 A KR 20167019583A KR 20160102241 A KR20160102241 A KR 2016010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opening
cosmetic liquid
gas
clo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6010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가스 노즐(24)과, 그 가스 노즐(24)로부터의 분사류의 범위 내에서 가스 노즐(24)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화장액 노즐(41)을 구비하며, 가스 노즐(24)로부터의 탄산 가스의 분사류에 의해서 화장액 노즐(41)로부터 화장액이 빨아 올려져 분무된다. 가스 노즐(24)의 구경(口徑)을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크게 했다.

Description

분무기{SPRAYER}
본 발명은, 화장액 등의 액체를 가스의 분류(噴流, 제트 기류)에 실어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분무기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분무기에서는, 가스 봄베(bombe)로부터의 가스가 가스 노즐로부터 분사되면, 그 분사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압(負壓)에 의해서 화장액이 용기로부터 빨아 올려진다. 그리고, 빨아 올려진 화장액이 화장액 노즐로부터 미스트가 되어, 분사류와 함께 방출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3-233957호 공보
이러한 분무기에서는, 가스 노즐과 화장액 노즐과의 구경(口徑) 등에서 양자의 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미스트의 미세하고 양호한 분무를 얻을 수 없거나, 드립(drip, 액체가 방울방울 흐르는 것)이 생기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미세한 미스트의 분무를 얻을 수 있는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체가 분사되는 가스 노즐과, 그 가스 노즐로부터의 분사류(噴射流)의 범위 내에서 가스 노즐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함과 아울러 액체 공급원에 접속된 액체 노즐을 구비하며, 가스 노즐로부터의 기체의 분사류에 의해서 액체 노즐로부터의 액체가 공급되어 분무되도록 한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의 구경(口徑)을 액체 노즐의 구경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체 노즐의 개구가 가스 노즐로부터의 분사류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드립이 적게 되고, 미세한 미스트가 분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액 등의 액체의 미스트를 미세하게 할 수 있어, 분무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분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분무기의 개폐 커버를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분무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분무기의 상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가스 노즐과 화장액 노즐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가스 노즐과 화장액 노즐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8은 화장액의 빨아올림 경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9는 노즐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화장액 노즐의 선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화장액 노즐과는 다른 화장액 노즐의 선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화장액 보틀(bottle)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화장액 보틀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4는 가스 노즐 및 화장액 노즐 부분의 분해 측면도.
도 15는 구 모양 씰(seal)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구 모양 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화장액 보틀의 상부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화장액 보틀과는 다른 화장액 보틀의 하부의 단면도.
도 19는 누름 버튼의 개폐를 락(lock)하는 기구를 나타내며, 밸브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20은 마찬가지로 누름 버튼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21은 누름 버튼의 개폐를 락하는 기구를 나타내며, 밸브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2는 마찬가지로 누름 버튼의 락 해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3은 누름 버튼의 개폐를 락하는 기구를 나타내며, 밸브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4는 마찬가지로 누름 버튼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5는 개폐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액체 노즐의 씰 부재를 동작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며, 씰 기능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7은 마찬가지로 씰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8은 화장액 노즐을 폐쇄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9는 화장액 노즐의 씰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은 캡을 씌운 상태에서의 화장액 노즐의 사시도.
도 31은 캡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2는 변경예를 나타내는 캡의 부분 단면도.
도 33은 변경예를 나타내는 작동 캠 부분의 간략 단면도.
도 34는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작동 캠 부분의 간략 단면도.
도 35는 또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작동 캠 부분의 간략 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상태로부터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캠 부분의 간략 단면도.
(실시 형태)
이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무기의 하우징(11)은, 메인 프레임(12)을 가지고 있다. 이 메인 프레임(12)의 하부에 하부 케이스(13)가 도시하지 않은 걸림 기구를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3)의 전면(前面)에는 세로로 긴 창(窓)(131)이 뚫려 마련되고, 그 내측에는 투명판(透明板)(132)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14)이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상부 프레임(14)의 외측에는 하우징(11)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폐 부재로서의 개폐 커버(15)가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부 위치와,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은 상부 커버(141)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의 상부의 전면(前面)에는, 해제 버튼(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해제 버튼(16)이 밀어 넣음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3)의 걸림 기구에 의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메인 프레임(12)으로부터의 하부 케이스(13)의 떼어냄이 가능하게 된다. 상부 프레임(14)의 상단 후부(後部)에는 분무를 위한 조작 부재로서의 누름 버튼(1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누름 버튼(17)은 그 후단 하부에서 상기 상부 커버(141)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4)의 전면(前面)에는 분무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출구(18)는 상기 개폐 커버(15)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에 개폐 커버(15)에 의해서 폐쇄되고, 개폐 커버(15)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에 개방된다. 개폐 커버(15)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부 프레임(14)이 덮여진다. 개폐 커버(15)는, 도시하지 않은 규제 구조에 의해,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부 위치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위치 규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 내에는 레귤레이터(regulator)(21)가 고정되어 있고, 이 레귤레이터(21)의 하단의 접속부(27)에는 탄산 가스 봄베(이하, 간단히 '가스 봄베'라고 함)(22)의 출구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의 상부에는, 노즐 홀더(23)가 고정되어 있고, 이 노즐 홀더(23)에는 원통부(231)를 가지는 노즐 커버(23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노즐 커버(232)의 원통부(231) 내에서 노즐 홀더(23)에는 상기 방출구(18)와 대응함과 아울러, 전방을 지향하는 가스 노즐(24)이 지지되어 있다. 가스 노즐(24)과 레귤레이터(21)의 하류부(下流部)와의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밸브(25)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25)의 작동자(26)의 상부에 상기 누름 버튼(17)의 전측의 작동편(19)이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버튼(17)이, 눌러 내림 조작되는 것에 의해, 밸브(25)의 작동자(26)(도 21및 도 22 참조)가 눌러 내려져, 밸브(25)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가스 봄베(22) 내의 탄산 가스가 레귤레이터(21)를 매개로 하여 가스 노즐(24)에 공급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스 노즐(24)로부터 전방으로 분사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2)에는, 액로(液路)(31)를 가지는 접속 부재(3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액로(31)의 하단의 접속구(33)에는, 화장액의 보틀(34)이 하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2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34)의 본체의 상부에는 보틀 캡(341)이 씌워져 있다. 이 보틀 캡(341)의 양측에는 돌기(344)가 형성되어 있고, 각 돌기(344)가 도 14에 나타내는 메인 프레임(12)의 대응하는 돌편(突片)(122)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것에 의해, 보틀(34)이 장착 상태로 유지된다. 또, 접속 부재(32)에 대한 보틀(34)의 착탈에 있어서는, 각 돌기(344)와 각 돌편(122)과의 걸림 및 그 해제에 의해 클릭감이 발생한다.
도 8,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 캡(341)의 통 모양의 취출구(342)에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공(中空)의 구 모양 씰 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 모양 씰 부재(35)의 선단부(36) 및 외주의 최대지름부(37)가 접속구(33)의 내면에 압접(壓接)되어 씰링성이 확보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34) 내에는 상기 취출구(342)에 접속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빨아올림 파이프(343)가 수용되어 있고, 이 빨아올림 파이프(343)를 매개로 하여 보틀(34) 내의 화장액이 빨아 올려진다. 빨아올림 파이프(343)의 하단 개구부는, 거의 V자 모양으로 절입(切入)되어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빨아올림 파이프(343)의 하단 개구부가 평탄한 단면(端面)을 가지도록 잘라내어진 경우는, 빨아올림 파이프(343)가 만곡했을 때에, 그 단면(端面)이 보틀(34)의 내측면에 닿아 하단 개구부가 막힐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화장액의 빨아올림에 지장을 초래한다. 단면(端面)을 상기와 같은 V자 형상으로 하면, 이러한 우려를 막을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34)의 보틀 캡(341)에는 통기 구멍(3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기 구멍(346)을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보틀 캡(341)의 내측면에는 미세 구멍을 가지는 다공질막(多孔質膜)(347)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기온(高氣溫) 등에 의해서 보틀(34)의 온도가 상승하여 내압이 상승한 경우는, 통기 구멍(346) 및 다공질막(347)을 통과하여 내압이 빠진다. 이 때, 다공질막(347)의 미세 구멍은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화장액의 누출은 방지된다. 또, 화장액의 분무에 의해서 보틀(34) 내의 화장액의 수위(水位)가 내려진 분(分)만큼 다공질막(347) 및 통기 구멍(346)을 통과하여 외기가 보틀(34) 내에 도입되어, 보틀(34)의 내압 저하가 방지된다.
상기 보틀(34)은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고, 내부의 화장액을 외부로부터 투시(透視)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틀(34)을 메인 프레임(1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상기 창(131)의 투명판(132) 및 보틀(34)을 매개로 하여 화장액의 잔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34)의 본체(340)는,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통(外筒)(348)과,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통(349)으로 이루어지며,, 외통(348)과 내통(349)은 그들의 입구부에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액은 내통(349) 내에 수용되고, 화장액의 분무를 위한 빨아올림시에는, 그 빨아올림량에 따른 분(分)만큼 내통(349)이 변형하여 내통(349)의 용적이 축소되고, 내통(349)의 내압의 저하가 억제된 상태에서, 화장액이 원활히 빨아 올려진다. 화장액의 빨아올림 후에는, 상기 통기 구멍(346) 및 다공질막(347)을 매개로 하여 내통(349) 내에 대기가 도입되어, 내통(349)의 변형이 복원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커버(232) 내에서, 노즐 홀더(23)의 하단부에는 액체 노즐로서의 화장액 노즐(41)이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화장액 노즐(41)은 접속 파이프(42)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접속 부재(32) 내의 액로(31)에 연결되어 있다. 화장액 노즐(41)의 선단 개구는, 가스 노즐(24)의 중심축선(100)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함과 아울러, 가스 노즐(24)의 중심축선(100) 상에서 상기 가스 노즐(24)의 선단 개구의 구경(口徑) 즉 내경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스 노즐(24)로부터의 탄산 가스의 분사류에 의한 부압에 의해서 화장액 보틀(34) 내의 화장액이 빨아 올려져 화장액 노즐(41)에 공급된다. 그리고, 빨아 올려진 화장액은 탄산 가스의 분사류에 의해서 미스트가 되어, 탄산 가스의 분사류와 함께, 상기 노즐 커버(232)의 전면(前面) 개구 및 방출구(18)로부터 분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누름 버튼(17), 가스 노즐(24), 밸브(25) 및 화장액 노즐(41)에 의해 분무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액 노즐(41)의 선단 외주에는 면취(面取, 모따기)(4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면취(411)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면취(411)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탄산 가스의 분사류 중에 엣지를 기점(起点)으로 한 와류(200)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의 직경인 구경은 가스 노즐(24)의 개구(44)의 구경보다 소경(小徑)으로 되어 있고,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가 가스 노즐(24)의 개구(44)로부터의 분사류의 범위(45) 내에 들어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에 대한 가스 노즐(24)의 구경의 비율이 1.07~1.60 내로 설정되어 있다. 가스 노즐(24)의 구경은, 예를 들면 0.35~0.50mm,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은, 예를 들면 0.30~0.45mm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노즐(24)의 중심축선(100)은 화장액 노즐(41)의 상단면보다 상부로 오프셋되고, 그 오프셋량 α는 가스 노즐(24)의 구경의 5~100분의 1, 예를 들면 0.05mm 정도이다. 가스 노즐(24)과 화장액 노즐(41)과의 사이의 거리 β는, 가까울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시 형태에서는,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의 4배 이내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커버(232)의 상부에서, 화장액 노즐(4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46)는, 주로 분무음(噴霧音)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 홀더(23)의 좌우 양측의 하부 근처의 위치에는, 각각 노즐 홀더(2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도입 개구(47)가 뚫려 마련되어 있다. 이들 도입 개구(47)는 가스 노즐(24)로부터의 분사류를 따르는 이젝터(ejector) 효과에 의한 흡인 공기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공기류에 의해서, 분무가 정류(整流)되어 지향성이 높아진다. 즉, 이젝터 효과에 의한 흡인류가 분무의 주위의 수반류(隋伴流)가 되기 때문에, 분무가 광범위로 확산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방출된다. 이 경우, 개방부(46)로부터도 이젝터 효과에 의한 흡인류(吸引流)가 도입되기 때문에, 이 개방부(46)도 도입 개구(47)과 동일한 작용을 가진다.
도 5,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이동 부재로서의 슬라이더(51)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51)의 상부에는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51)의 이동에 의해, 돌기(52)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 버튼(17)의 작동편(19)의 바로 아래의 제1 위치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곳으로부터 이간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돌기(52)가 작동편(19)의 바로 아래의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돌기(52)가 누름 버튼(17)의 기능을 무효화하여 누름 버튼(17)을 눌러 내림 불능(不能)으로 락(lock)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17)에 의한 상기 밸브(25)의 개방 방향으로의 전환이 실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돌기(52)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돌기(52)가 도 20의 제2 위치로부터 도 19의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돌기(52)와 작동편(19)과의 간섭을 피해 슬라이더(51)의 원활한 이동을 얻기 위한 원호 모양 또는 경사 모양의 캠면(cam面)(5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52)를 가지는 슬라이더(51)에 의해서 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5, 도 19, 도 20,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에는, 좌우 한 쌍의 레버(53)가 각 레버(53)의 하단의 축(5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레버(53)는, 스프링(55)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각 레버(53)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캠 팔로어(follower)(58)가 지지되어 있다. 도 19에서, 우측의 레버(53)는 그 상단에 연결 핀(56)을 가지며, 그 연결 핀(56)은 상기 슬라이더(51)의 단부의 구멍(5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5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51)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도 19, 도 20,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커버(15)의 내측면에는, 상기 양 캠 팔로어(58)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캠 부재로서의 작동 캠(61)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작동 캠(61)의 가장자리부에 캠면(61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면(610)에는, 꼭대기부(613)와, 그 꼭대기부(613)로부터 후퇴하는 상측의 제1 경사면(611)과, 꼭대기부(613)로부터 후퇴하는 하측의 제2 경사면(6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커버(15)가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에 있고, 개폐 커버(15)에 의해서 방출구(18)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 캠 팔로어(58)가 작동 캠(61)의 제1 경사면(611)의 꼭대기부(613)의 근방에 걸려, 그 위치에서 유지되어, 레버(53)가 내측의 회동 위치에 규제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51)가 도 19 및 도 21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누름 버튼(17)의 락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개폐 커버(15)에 캠 팔로어(58) 및 작동 캠(61)을 매개로 하여 스프링(55)의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제1 경사면(611)과 캠 팔로어(58)와의 걸림에 의해, 개폐 커버(15)의 상부 이동에 대해서 저항력이 부여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개폐 커버(15)만을 들어 이 휴대용 미용기를 매달았을 때, 미용기의 본체측의 부분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55)의 스프링력이나 제1 경사면(611)의 경사 각도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 도 20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15)가 상부 위치로 끌어 올려져, 도 3에 나타내는 방출구(18)가 개방될 때에는, 캠 팔로어(58)가 상기 저항력에 저항하여 꼭대기부(613)에 타고 오른다. 이 시점에서, 개폐 커버(15)는, 그 이동 스트로크의 대략 전반(前半)에 상당하는 거리를 이동한다.
다음으로, 캠 팔로어(58)가 꼭대기부(613)를 거쳐, 제2 경사면(612) 상으로 이행하면, 개폐 커버(15)는, 그 이동 스트로크의 대략 후반(後半)에 상당하는 거리를 이동한다. 그 이동 중에, 그 제2 경사면(61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저항력이 약해짐과 아울러, 제2 경사면(612)의 캠 작용에 의해 개폐 커버(15)에는 상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어시스트력(assist力)이 작용한다.
그리고, 개폐 커버(15)의 상부로의 이동이 계속되고, 그것에 따라서, 레버(53)가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 축(54)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더(51)가 도 20 및 도 22의 제2 위치, 즉 누름 버튼(17)의 조작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17)을 눌러 내려, 밸브(25)를 개방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가스 봄베(22)로부터의 탄산 가스가 가스 노즐(24)로부터 분사되게 된다.
한편, 개폐 커버(15)가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눌러 내려졌을 때에는, 캠 팔로어(58)가 상기 저항력에 저항하여, 제2 경사면(612)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 후에 꼭대기부(613)에 타고 오른다. 다음으로, 캠 팔로어(58)가 꼭대기부(613)를 거쳐, 제1 경사면(611) 상으로 이행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후퇴하는 제1 경사면(611)의 캠 작용에 의해, 상기 저항력이 약해짐과 아울러, 개폐 커버(15)에는 하부로의 어시스트력이 작용한다.
또, 이 때, 제2 경사면(612)으로부터 꼭대기부(613)까지의 개폐 커버(15)의 캠 팔로어(58)에 대한 하부 이동은, 개폐 커버(15)의 이동 스트로크의 대략 전반에 상당한다. 꼭대기부(613)로부터 제1 경사면(611)을 따른 개폐 커버(15)의 캠 팔로어(58)에 대한 하부 이동은, 개폐 커버(15)의 이동 스트로크의 대략 후반에 상당한다.
이러한 개폐 커버(15)의 이동에 따라, 레버(53)가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축(5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더(51)가 도 20 및 도 22의 제2 위치로부터 도 19 및 도 21의 제1 위치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17)을 눌러 내려도, 밸브(25)의 개방이 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53), 작동 캠(61) 등에 의해, 개폐 커버(15)와 슬라이더(51)와의 사이의 연계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51)를 좌우 이동 시키기 위해서는, 레버(53)는 일방만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레버(53)가 대칭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커버(15)에 작용하는 편하중(偏荷重)이 적고, 개폐 커버(15)가 경사지거나 하지 않아 승강 동작이 안정화된다. 또, 상기 스프링(55), 캠 팔로어(58) 및 캠면(610)에 의해 저항 부여 수단 및 저항 감소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5, 도 26~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에는 한 쌍의 가이드판(62)이 병설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판(6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63)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경사면(64)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64)을 매개로 하여 가이드 홈(63)의 상부에 폭광부(幅廣部)(65)가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홈(63)에는 피동(被動) 부재(66)가 그 양단을 좌우 양측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어 있다. 피동 부재(66)의 배면에는 가이드판(62)의 외측면에 걸림 가능한 한 쌍의 돌기(6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661)와 가이드판(62)과의 걸림에 의해, 피동 부재(66)의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 및 경사가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동 부재(66)의 중앙 하부의 구멍(662)에는 상기 화장액 노즐(41)과 대향하고, 화장액 노즐(41)을 폐쇄할 수 있는 저지 부재로서의 원주형(圓柱形)의 씰 부재(67)가 장착되어 있다. 이 씰 부재(67)에는,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가 이용된다. 피동 부재(66)와 메인 프레임(12)과의 사이에는 피동 부재(66)를 하부로 가압하는 스프링(68)이 개재되어 있다. 피동 부재(66)의 승강에 따라, 피동 부재(66)의 중앙부 및 씰 부재(67)는 상기 노즐 커버(232)의 개방부(46)(도 5 및 9 참조)를 출입한다.
도 25~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커버(15)의 내주면에는 돌기(69)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경사면(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커버(15)가 끌어 올려졌을 때, 돌기(69)에 의해 피동 부재(66)가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끌어 올려진다. 이 때문에, 씰 부재(67)가 화장액 노즐(41)의 상부로 이간하여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면(70)의 작용에 의해, 피동 부재(66)가 상승 위치에서 가이드 홈(63)의 폭광부(65)의 후부측으로 이동되어, 돌기(69)와 폭광부(65)의 경사진 저변(底邊)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또, 돌기(661)에 의해 좌우 이동하지 않아 그 상승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개폐 커버(15)가 끌어 올려지고, 분무가 행해질 때 등에서, 씰 부재(67)에 의해서 화장액 노즐(41)이 막히거나, 씰 부재(67)가 화장액 노즐(41)의 상부 위치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피동 부재(66)가 가이드 홈(63)의 폭광부(65)의 경사면(64)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68)의 스프링력은 돌기(69), 즉 개폐 커버(15)에 작용하지 않는다. 개폐 커버(15)가 하부로 이동되면, 돌기(69)가 하강되기 때문에, 피동 부재(66)는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64)의 경사를 따라서 하강된다. 이 하강에 의해,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동 부재(66)가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씰 부재(67)에 의해 화장액 노즐(41)이 씰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판(62), 피동 부재(66), 개폐 커버(15)의 돌기(69) 등에 의해서, 개폐 커버(15)와 씰 부재(67)와의 사이의 연계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씰 부재(67)의 피동 부재(66)로부터 하부로의 돌출부(671)는, 상기 구멍(662)에 삽입된 부분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화장액 노즐(41)을 씰링한 상태에서, 좌굴(座屈)이나 횡방향으로의 휨이 규제되어 씰링 상태가 적절히 유지된다. 씰 부재(67)의 하부에는 씰 부재(67)와 가스 노즐(24)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도려냄부(6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34)이 분무기 내에 장착되기 전에서는, 보틀 캡(341)에는 구 모양 씰 부재(35)를 덮는 방호(防護) 캡(81)이 장착된다. 이 방호 캡(81)은 유통 단계 등에서 이용되며, 보틀(34)을 분무기 내에 장착할 때에 떼어내어진다. 방호 캡(81)의 내측 중심에는 핀(82)이 돌출 마련됨과 아울러, 그 주위에는 유지통(8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핀(82)은 보틀(34)의 취출구(342) 내에 삽입되어, 취출구(342)에 마개를 한다. 유지통(83)은 구 모양 씰 부재(35)의 외주면에 걸린다.
보틀 캡(341)의 내주면에는 유지통(83)의 하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단차(811)가 형성되며, 유지통(83)과 단차(811)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틀 캡(341)의 통기 구멍(346)의 주위의 고리 모양 벽(350)에 대응하는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지는 씰링판(84)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고도 비행 중의 항공기 내의 경우와 같이, 보틀(34)의 내외에 압력차가 생겨, 보틀(34) 내의 압력이 외측보다 높게 된 경우라도, 방호 캡(81)을 씌우는 것에 의해, 씰링판(84)이 고리 모양 벽(350)에 맞닿아 통기 구멍(346)이 폐쇄된다. 이 폐쇄에 의해 보틀(34) 내의 화장액의 누출이 방지된다.
그런데, 개폐 커버(15)가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 개폐 커버(15)에 의해 방출구(18)가 폐쇄되어, 분무기의 내부에 티끌 등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개폐 커버(15)의 돌기(69)가 도 26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동 부재(66)가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씰 부재(67)에 의해서 화장액 노즐(41)이 폐쇄되어, 보틀(34)로부터의 화장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커버(15)가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캠(61)이 하부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레버(53)의 캠 팔로어(58)가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 작동 캠(61)의 캠면(610)의 꼭대기부(613)보다 상측인 제1 경사면(611)에 걸려, 레버(53)가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해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며,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더(51)가 도 19 및 도 21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상부의 돌기(52)가 누름 버튼(17)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누름 버튼(17)의 눌러 내림이 락되어, 밸브(25)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가스 봄베(22)로부터의 탄산 가스의 방출이 저지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액체 누출, 탄산 가스 방출 및 분무가 방지된 상태에서, 휴대용 미용기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캠 팔로어(58)가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작동 캠(61)의 꼭대기부(613)보다 후퇴하고 있는 제1 경사면(611)에 걸려 있기 때문에, 폐쇄 상태의 개폐 커버(15)에는 개방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작용하여, 개폐 커버(15)는, 이 스프링(55)에 의해서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커버(15)가 휴대용 미용기의 휴대시에 예를 들면 핸드백 내에서 부주의하게 개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개폐 커버(15)를 든 경우, 본체측의 부분이 자중에 의해 내려져, 개폐 커버(15)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보틀(34) 내의 화장액을 분무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15)가 끌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동 부재(66)가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끌어 올려져, 씰 부재(67)가 화장액 노즐(41)로부터 상부로 이간하여, 화장액 노즐(41)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가 된다.
또, 도 20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15)의 상승에 기초하는 작동 캠(61)의 상승에 의해, 캠 팔로어(58)가 작동 캠(61)의 꼭대기부(613)를 타고 넘으며, 말하자면 데드 포인트(dead poing)를 타고 넘어, 작동 캠(61)의 제2 경사면(612)측으로 이행한다. 제2 경사면(612)은 하측만큼 외측으로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 캠(61)에 대한 스프링(55)에 의한 캠 팔로어(58)의 압접력(壓接力)이 약해지고, 따라서, 개폐 커버(15)의 개방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약해지며, 또한, 제2 경사면(612)의 캠 작용에 의한 어시스트력도 작용하여, 개폐 커버(15)를 가벼운 힘으로 개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스프링(55)의 작용에 의해, 레버(53)가 제2 경사면(612)을 따라서 외측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더(51)가 도 22의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돌기(52)가 누름 버튼(17)을 락하는 위치로부터 퇴피되어, 누름 버튼(17)을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17)을 눌러 내리면, 밸브(25)가 개방되어, 가스 봄베(22) 내의 탄산 가스가 가스 노즐(24)로부터 분출된다. 이 때문에, 화장액 노즐(41)의 개구부가 부압이 되어, 보틀(34) 내의 화장액이 빨아 올려져, 화장액 노즐(41)로부터의 화장액이 탄산 가스의 분류(噴流, 제트 기류)에 의해 미스트가 되고, 그 미스트가 방출구(18)로부터 외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화장액을 화장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크고, 화장액 노즐(41)은 가스 노즐(24)로부터의 분사류의 범위(45)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드립이 거의 생기지 않고, 미세한 미스트가 분사된다. 따라서, 분무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무 종료후, 개폐 커버(15)를 하강시키면, 상기와 역순으로, 도 27에 나타내는 돌기(69)가 하강하여,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동 부재(66)가 하강된다. 이 때문에, 씰 부재(67)가 화장액 노즐(41)을 씰링한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작동 캠(61)이 하강되기 때문에, 캠 팔로어(58)가 제2 경사면(612)으로부터 상기 꼭대기부(613), 즉 데드 포인트를 넘어 제1 경사면(611)으로 이행하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레버(53)가 내측의 위치로 이동되어, 슬라이더(51)가 슬라이드되어, 그 돌기(52)가 누름 버튼(17)의 눌러 내림을 락하는 제1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폐 커버(15)에 대해서 폐쇄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부여되고, 개폐 커버(15)가 데드 포인트를 넘으면, 그 저항력이 작게 됨과 아울러, 제1 경사면(611)의 캠 작용에 의해 개폐 커버(15)로의 하부로의 어시스트력이 작용하여, 개폐 커버(15)를 가벼운 힘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커버(15)가 이 폐쇄 위치에 이르면, 캠 팔로어(58)가 제1 경사면(611) 상을, 꼭대기부(6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외측으로 향해서 타고 오를 수 없기 때문에, 개폐 커버(15)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개폐 커버(15)에는 전술과 같이 개방 방향으로 강한 저항력이 부여되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화장액의 누출이 방지된 상태에서, 분무기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1) 즉, 기체로서의 탄산 가스가 분사되는 가스 노즐(24)과, 그 가스 노즐(24)에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25)와, 상기 가스 노즐(24)의 선단에 근접하는 액체 노즐로서의 화장액 노즐(41)과, 상기 밸브(25)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의 누름 버튼(17)으로 이루어지는 분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화장액 노즐(41)로부터의 액체로서의 화장액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수동 조작 가능한 저지 부재로서의 씰 부재(67)를 마련하고 있다. 즉, 분무를 위한 누름 버튼(17)이 눌러 내림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장액 노즐(41)로부터의 화장액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씰 부재(67)가 구비되어 있다(도 28, 29 참조). 이 때문에, 하계의 고온시 등, 보틀(34)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라도, 보틀(34) 내의 화장액이 화장액 노즐(41)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씰 부재(67)는 화장액 노즐(41)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장액 노즐(41)과 보틀(34)과의 사이의 화장액의 경로에 밸브 기구 등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3) 분무가 방출되는 방출구(18)를 개폐 커버(15)에 의해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분무 이외일 때에는 방출구(18)로부터 개폐 커버(15) 내에 티끌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가스 노즐(24) 및 화장액 노즐(41)을 원통 모양의 홀더(23)에 지지하고, 그 홀더(23)의 화장액 노즐(41)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개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때문에, 쾌적한 분무음을 생성할 수 있다.
(5) 상기 홀더(23)의 양측 하부 근처에 한 쌍의 도입 개구(4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노즐(24)로부터의 분사류에 의해서, 도입 개구(47)로부터 흡인류가 생겨, 분무가 정류되어 분무의 지향성이 높여진다(도 8, 9 참조). 따라서, 분무는 필요 이상으로 확산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형성되며, 이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하는 위치에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화장액의 쓸데없는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분무를 정류하는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쾌적한 분무음을 생성할 수 있다.
(6) 가스 노즐(24)의 개구(44)의 구경을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의 구경보다 크게 하여,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를 가스 노즐(24)로부터의 분사류의 범위(45)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도 6, 7 참조). 이 때문에, 화장액이 원활히 빨아 올려짐과 아울러, 빨아 올려진 화장액이 유효하게 미스트화된다. 따라서, 화장액의 쓸데없는 소비를 피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가스 노즐(24)의 개구(4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의 구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화장액 노즐(41)의 개구(43)가 상기 범위(45)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장액의 빨아올림력(力)이 부족하거나, 빨아 올려진 화장액의 일부가 미스트화되지 않고, 적하(滴下)되어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은 드립 상태가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7) 하우징(11)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보틀(34)의 개구부에는 접속 부재(32)의 접속구(33)에 유지되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공 모양의 구 모양 씰 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도 12, 13 참조). 따라서, 보틀(34)의 개구부와 접속 부재(32)와의 사이의 씰 기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틀(34)의 착탈에 있어서 강한 마찰 저항을 받지 않아, 작은 저항으로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에 따라, 클릭감에 가까운 기계적인 감촉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고, 구 모양 씰 부재(35)와 접속 부재(32)와의 감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도, 그 감합 상태를 소리와 손의 감촉에 의해서 적절히 확인할 수 있어, 보틀(34)의 장착 상태의 양부(良否)를 인식할 수 있다. 덧붙여서, 구 모양 씰 부재(35)를 대신하여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O링을 이용한 경우는, 고무재 고유의 높은 마찰 계수와 유연성에 의해, 접속 부재(32)와의 착탈을 함에 있어서 강한 마찰 저항을 받아, 착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클릭감을 얻는 것도 곤란하여, 장착 상태의 양부를 인식하기 어렵다.
(8) 도 10, 1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화장액 노즐(41)은 그 선단에 테이퍼 모양의 면취(面取)(41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면취(411)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와류(200)에 의한 난류(亂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선단에 면취(411)가 형성되지 않고, 잘라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스 노즐(24)로부터의 가스의 분사에 의해, 화장액 노즐(41)의 선단 위치에는 동일한 선단의 엣지를 기점(起点)으로 한 큰 와류(200)가 생겨, 난류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난류가 생성되면, 화장액 노즐(41)의 선단에서의 부압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화장액의 빨아올림력 P가 약해져, 경우에 따라서는 순간적이지만 화장액 노즐(41)에 대해서 역류 방향으로의 힘 Q가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화장액 노즐(41)의 선단 영역에 탄산 가스의 분사류가 존재해도, 분무는 생기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면취(411)에 의해서 와류(200)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분무를 얻을 수 있다.
(9) 가스 노즐(24) 및 화장액 노즐(41)이 분무기의 하우징(11)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그들 노즐(24, 41)의 부분으로의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을 막고, 이물에 의한 분무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무기를 떨어뜨린 경우 등에서 노즐(24, 4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하우징(11)에, 액체로서의 화장액을 외부를 향해 분무하기 위한 개구로서의 방출구(18)와, 그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15)를 구비한 휴대용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15)의 개폐 동작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저항 부여 수단과, 상기 커버의 개폐 스트로크의 도중(途中)에서 상기 저항 부여 수단에 의한 저항 부여 상태를 약하게 하도록 한 저항 감소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15)의 폐쇄 상태에서는,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의해 캠 팔로어(58) 및 작동 캠(61)을 매개로 하여 개폐 커버(15)에 대해서 개방 방향으로의 저항이 강하게 부여되기 때문에, 화장액 보틀(34) 내에 화장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 커버(15)를 들고 이 미용기를 매달아도, 본체측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커버(15)가 본의가 아니게 방출구(18)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시 등에 있어서 방출구(18) 내로부터 노즐 등에 상기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개폐 커버(15)를 사용자가 개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55)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캠 팔로어(58)가 제1 경사면(611)으로부터 작동 캠(61)의 꼭대기부(613)를 타고 넘어, 하측으로 갈수록 후퇴하는 제2 경사면(612) 상으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개폐 커버(15)를 적당한 저항감에 저항하여 끌어올리면, 어시스트력이 작용하여, 개폐 커버(15)를 작은 힘으로 스무스하게 또한 개방을 위한 다른 동작을 행하지 않고 간단히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꼭대기부(613)의 타고 넘을 때에 클릭감에 유사한 감촉이 주어진다. 게다가, 개폐 커버(15)의 개방 동작시에는, 캠 팔로어(58)가 작동 캠(61)의 제2 경사면(612)에 걸리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15)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그리고, 개폐 커버(15)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시킬 때에도, 폐쇄 종료 직전에 캠 팔로어(58)가 작동 캠(61)의 꼭대기부(613)를 타고 넘기 때문에, 사용자에는, 어시스트력이 작용함과 아울러, 클릭감에 유사한 감촉에 의해서 개폐 커버(15)가 폐쇄된 것을 간단히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개폐 커버(15)를 적당한 저항감을 가지고 덜컹거리지 않게 개폐 조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체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고급의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어시스트력을 이용하여 개폐를 위한 다른 동작을 행하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
복수 종류의 구경의 가스 노즐(24) 및 화장액 노즐(41)을 조합시킨 실시예를, 표 1~표 12에 따라서 설명한다. 여기서,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작은 경우의 조합은, 본 실시예로부터 제외한 비교예로 한다.
표 1~표 8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기가 부착된 유량 조정 밸브(90)의 1차측에 가스 봄베(22)를 접속함과 아울러, 동일 밸브(90)의 2차측에 튜브(95)를 매개로 하여 가스 노즐(24)을 접속하고, 게다가, 화장액 노즐(41)에 보틀(34)을 접속한 상태에서, 드립과, 분무를 뺨에 대었을 때의 체감을 검증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유량 조절 밸브(90)의 계량기 지침(指針, 바늘)이 0.12MPa(메가 파스칼), 0.15MPa인 2단계가 되도록 설정하여, 양 단계에서 검증을 행했다. 이 경우, 가스 노즐(24)로부터의 실제의 분출 압력은, 상기 튜브(95) 내에서의 유통 저항 등에 의해 계량기 지침에 대해서 8~12퍼센트 저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스 노즐(24)은, 그 구경(직경)이 0.25mm, 0.35mm, 0.48mm인 것을 3종류 준비하고, 화장액 노즐(41)은, 그 구경이 0.3mm, 0.45mm, 0.55mm인 것을 3종류 준비하며, 그들을 조합시켰다. 그리고, 피험자의 뺨에 대해서 25cm 떨어진 위치에 화장액 노즐(41)을 배치하여, 조합마다 20초씩 12회에 걸쳐서 뺨에 대해서 분무했다. 표 1, 표 2의 「드립」의 검증에 있어서는, 화장액 노즐(41)로부터의 드립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드립이 1회라도 인정된 경우를 「×」(불량), 인정되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했다. 표 3 및 표 4의 「체감」의 검증은, 피험자가 뺨에 수적(水滴, 물방울)이 닿는 것이 1회에서도 느낀 경우를 「×」(불량), 전혀 느끼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했다. 수적이 닿는다고 하는 것은, 화장액이 미스트화하지 않고 수적의 상태에서 비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표 1 및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드립에 대해서는, 가스의 분사 압력이 강약 어느 케이스에서도,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큰 경우에는 「○」(양호)이지만, 반대의 경우는 「×」(불량)이다. 따라서, 드립에 대해서는,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및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체감에 대해서는, 가스의 분사 압력이 낮은 케이스 및 높은 케이스의 쌍방에서,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큰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5 및 표 6은, 드립 및 체감의 검증에 관해서 가스 분사 압력마다, 표 1, 표 3 및 표 2, 표 4의 결과를 각각 합체하여 평가한 것이다. 여기서, 표 1 및 표 2의 「○」과「○」과의 조합을 「○」(양호), 그것 이외의 조합을 「×」(불량)로 했다. 이 평가 결과에 의하면,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큰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표 7 및 표 8은, 1회의 분무에서의 화장액 보틀(34) 내의 화장액의 양의 변화를 그램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즉, 분사 압력이 다른 2케이스에서의 노즐(24, 41)의 각 조합에서, 20초씩 12회 분무하여 각 회의 화장액의 중량의 변화를 그램 단위로 계측하고, 1회분의 소비량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그들 평균값을 표 7 및 표 8에 기록한 것이다. 그 결과는,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작을수록 중량 변화량, 즉 화장액의 소비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표 7]
Figure pct00007
[표 8]
Figure pct00008
표 9 및 표 10은, 0.12MPa 및 0.15MPa의 계량기 지침 압력에서, 가스 노즐(24)로부터 탄산 가스를 각각 연속 분사시켜, 그 분사가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 즉, 가스 봄베(22) 내의 분출 가능한 탄산 가스가 소비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 것이다. 이 경우도,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작을수록 분사 지속 시간이 길다. 또, 탄산 가스의 분출 압력이 낮은 경우의 쪽이 분사 지속 시간이 길다. 따라서, 가스 노즐(24)의 구경이 작고, 탄산 가스의 분출 압력이 낮은 경우에, 1개의 가스 봄베(22)를 길게 사용할 수 있다.
[표 9]
Figure pct00009
[표 10]
Figure pct00010
표 11은, 가스 노즐(24)의 구경에 대한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1]
Figure pct00011
표 12는, 표 11의 구경 비율과, 표 5 및 표 6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탄산 가스의 분출 압력이 고저(高低) 어느 케이스에서도, 가스 노즐(24)의 구경에 대한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의 비율이 1.07~1.60인 경우가 좋은 결과이다.
[표 12]
Figure pct00012
(변경예)
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ㆍ본 발명을 화장액 이외의 액체, 예를 들면 향수나 세안료를 분무하는 분무 장치에서 구체화하는 것.
ㆍ화장액 보틀(34)의 다공질막(347)을 가지는 통기 구멍(346)을 마련하지 않도록 하는 것.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화장액을 분무에 의해서 빨아 올려지면, 그 빨아올림량에 따라 화장액 보틀(34)의 내통(349)이 용적 축소 상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그 후, 예를 들면, 분무 직후에 씰 부재(67)에 의해서 화장액 노즐(41)이 폐쇄되기 직전에서, 외기가 화장액 노즐(41) 등으로부터 화장액 보틀(34) 내로 흡인되어 내통(34)의 변형이 복원된다.
ㆍ가스 봄베(22)나 화장액 보틀(34)을 하우징 밖에 설치하는 타입의 분무기에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것.
ㆍ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씰 부재(67)를 대신하여, 화장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화장액 보틀(34)과 화장액 노즐(41)과의 사이의 경로 중에 마련하는 것.
ㆍ상기 구 모양 씰 부재(35)를 대신하여, 보틀(34)의 입구의 외주 또는 접속 부재(32)의 접속구(33)의 내주에 씰용의 O링을 마련하는 것.
ㆍ가스 노즐(24) 및 화장액 노즐(41)의 구경을 상기 실시예의 값 이외의 값으로 하는 것. 이 경우, 가스 노즐(24)의 구경을 화장액 노즐(41)의 구경보다 크게 함.
ㆍ가스 봄베(22)로서, 탄산 가스 이외의 기체, 예를 들면 공기, 질소 가스 등의 기체를 봉입(封入)한 봄베를 이용하는 것.
ㆍ슬라이더(51)나 피동 부재(6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조작 부재를 개폐 커버(15)와는 별도로 마련하는 것. 즉, 슬라이더(51)나 피동 부재(66)의 이동을 캠 팔로어(58) 및 작동 캠(61)의 작용에 의하지 않고 직접 혹은 간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캠(61)을 스프링(80)을 매개로 하여 개폐 커버(15)에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 프레임(14)의 고정 위치에 작동 캠(61)과 걸리는 캠 팔로어로서의 접촉자(87)를 마련하거나,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캠(61)에 걸리는 접촉자(87)를 스프링(88)을 매개로 하여 상부 프레임(14)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하거나 하는 것. 이와 같이 하면, 개폐 커버(15)에 대해서 개폐의 저항을 부여할 수 있지만, 개폐 커버(15)의 동작과 슬라이더(51)의 동작을 떼어낼 수 있다.
ㆍ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호 캡(81)의 내측에 보틀 캡(341)의 상면을 씰링하는 씰 링(ring)(85)을 마련하는 것. 그리고, 항공기 내 등에서 기압이 저하하여, 씰 링(85)의 내측의 압력이 외측보다 높게 된 경우에는, 씰 링(85)의 씰부(851)가 보틀 캡(341)과의 맞닿음 상태에서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하여, 씰부(851)와 보틀 캡(341)과의 맞닿음 압력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만일 보틀(34) 내의 화장액이 누출했다고 해도, 방호 캡(8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ㆍ개폐 커버(15)의 개폐에 대해서 저항을 부여하는 구성으로서 링크 기구를 마련하는 것. 예를 들면,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에 한 쌍의 긴 구멍(94)을 형성하고, 그들 긴 구멍(94)에 각각 링크(91)의 일단의 핀(9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각 링크(91)의 타단을 개폐 커버(15) 상의 공통의 핀(93)에 지지한다. 그리고, 개폐 커버(15)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공통의 핀(93)이 긴 구멍(94) 내의 한 쌍의 핀(92)을 통과하는 중심축선(110) 상의 데드 포인트를 쌍방향으로 넘도록 한다.
11 - 하우징 22 - 가스 봄베
23 - 노즐 홀더 24 - 가스 노즐
25 - 밸브 34 - 화장액 보틀
41 - 화장액 노즐 100 - 중심축선
411 - 면취 α - 오프셋량

Claims (6)

  1. 기체가 분사되는 가스 노즐과, 그 가스 노즐로부터의 분사류(噴射流)의 범위 내에서 가스 노즐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함과 아울러, 액체 공급원에 접속된 액체 노즐을 구비하며, 가스 노즐로부터의 기체의 분사류에 의해서 액체 노즐로부터의 액체가 분무되도록 한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의 구경(口徑)을 액체 노즐의 구경보다 크게 한 분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노즐의 구경에 대한 가스 노즐의 구경의 비율을 1.07~1.60의 범위 내로 한 분무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액체 노즐의 선단에 면취(面取)를 형성한 분무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노즐 및 액체 노즐을 덮는 커버를 마련한 분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의 주위를 향하는 공기류(空氣流)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가스 노즐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에 마련한 분무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 및 액체 노즐을 분무기 하우징에 의해서 덮는 분무기.
KR1020167019583A 2013-12-26 2014-12-25 분무기 KR20160102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0432 2013-12-26
JPJP-P-2013-270432 2013-12-26
JP2014083168 2014-04-14
JP2014083221 2014-04-14
JPJP-P-2014-083169 2014-04-14
JPJP-P-2014-083168 2014-04-14
JPJP-P-2014-083221 2014-04-14
JP2014083169 2014-04-14
PCT/JP2014/084276 WO2015099023A1 (ja) 2013-12-26 2014-12-25 噴霧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241A true KR20160102241A (ko) 2016-08-29

Family

ID=5347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583A KR20160102241A (ko) 2013-12-26 2014-12-25 분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5099023A1 (ko)
KR (1) KR20160102241A (ko)
CN (1) CN105849008A (ko)
TW (1) TW201531259A (ko)
WO (1) WO2015099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137A (zh) * 2018-06-02 2018-09-28 余姚市永佳电器有限公司 便携式喷粉美妆仪
USD918732S1 (en) * 2019-10-21 2021-05-11 Glaspray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 Ltd. Cosmetic container
CN112498990B (zh) * 2020-10-30 2022-08-02 怡业股份有限公司 按压瓶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957A (ja) 2012-05-08 2013-11-21 Mtg:Kk 噴霧装置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052A (en) * 1990-10-17 1992-04-07 S. C. Johnson & Son, Inc. Fluid spray device
JP3572546B2 (ja) * 2001-09-17 2004-10-06 株式会社Gsiクレオス 塗装スプレー装置
JP2005329341A (ja) * 2004-05-20 2005-12-02 Soft99 Corporation 内容物噴射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備えた塗料スプレー
TWI619449B (zh) * 2012-04-18 2018-04-01 Mtg股份有限公司 噴霧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957A (ja) 2012-05-08 2013-11-21 Mtg:Kk 噴霧装置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99023A1 (ja) 2017-03-23
CN105849008A (zh) 2016-08-10
WO2015099023A1 (ja) 2015-07-02
TW201531259A (zh) 201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088B1 (en) Foam spray head assembly
WO1996015952A1 (fr) Recipient equipe d'une pompe d'injection de bulles
KR101862497B1 (ko)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CZ20032509A3 (cs) Zařízení pro vytváření pěnyŹ zejména tryska
KR20160102241A (ko) 분무기
CN110062662B (zh) 具有保持装置的喷枪气嘴
WO1999051360A1 (fr) Contenant de pulverisation
JP5729821B2 (ja) 泡吐出器の吐出ヘッド
JP6678074B2 (ja) 吐出器
JP4911505B2 (ja) 泡噴出容器
JP2016222306A (ja) 噴霧装置
JPH089033Y2 (ja) 間歇噴射式バルブ
JP5264536B2 (ja) 吐出器
JP6684667B2 (ja) 吐出器
JP6484032B2 (ja) スプレーガンアダプター
JP5337571B2 (ja) 吐出器
JP6122771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WO2023153503A1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US20090090297A1 (en) Air brush
KR20240036847A (ko) 인헤일러
KR101776030B1 (ko) 스프레이 장치
JP3976886B2 (ja) 手動噴霧容器
JP2012012040A (ja) ポンプ
JP2012152726A (ja) 液体噴出器
JP5903747B2 (ja) 泡吐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